Ketef Hinnom (Hebrew: כֵּתֵף הִינוֹם katef hinom, "shoulder of Hinnom") is an archaeological site southwest of the Old City of Jerusalem, adjacent to St. Andrew's Church, now on the grounds of the Menachem Begin Heritage Center. It is located where the Valley of Rephaim and the Valley of Hinnom meet, on the old road from Jerusalem to Bethlehem.[3]

The site consists of a series of rock-hewn burial chambers based on natural caverns.[4] In 1979, two tiny silver scrolls, inscribed with portions of the well-known Priestly Blessing from the Book of Numbers and apparently once used as amulets, were found in one of the burial chambers.  

 

가장 오래된 구약.이 케테프 히놈. 에서 발견된 두개의 실버 스크롤. 은 돌돌말이야. 예루살렘 시온산 자락 서남부 동굴에서 발견된건데. 서기 1979년. 무덤에서 부적용도로 쓴 기도문이야. 민수기에서 인용한 부분이야. 

 

 The results confirmed a date immediately prior to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by the Babylonians in 586/7 BCE 

 

저 유적지.는 유다킹덤.이 네오 바빌로니아.에 망하는 기원전 586년. 이전으로 보는겨 과학적으로. 저기서 은 돌돌말이 두개.는 저 이전의 글들인거야 이게. 구약 성서를 텍스트.로 확인하는 가장 오래된 글이야. 일부 이지만.

 

The scrolls are known as KH1 and KH2. They are written in Paleo-Hebrew characters (see Paleo-Hebrew alphabet) not the Aramaic square script more familiar to most modern readers.  

 

이건 페일로 히브리.글자로 쓰여진거야. 페니키아 글자.의 큰 삼형제.가 그리스글자. 아람글자. 그리고 페일로 히브리 글자.야. 페일로 히브리 글자.는 사라지고 다음 고대 히브리글자.는 아람글자.로 자기글자를 만든거야.

 

저건 기원전 600년 전후로 보는거야 그래서. 훨 이전일 수도 있어. 

 

The Dead Sea Scrolls (also Qumran Caves Scrolls) are ancient Jewish religious manuscripts found in the Qumran Caves in the Judaean Desert, near Ein Feshkha on the northern shore of the Dead Sea  

 

그리고 사해문서.라는 스크롤들이야. 돌돌말이. Est. 408 BCE to 318 CE 기원전 408년 부터 서기 318년. 7백여년간 여기서 하나둘씩 거주를 했던거야. 여기가 예루살렘과 위도가 비슷해. 죽 오른쪽의 사해 끝부근이야. 이런데에 유대교 금욕주의자들인 에세네 Essenes(에씬즈).에 나중 그리스도 믿는 금욕적 유대인들 에비오나이트(Ebionites. 에비오님) 이단시된 사람들이 이런데로 거주를 한겨 또한. 

 

저기서도 돌돌말이가 나오는겨. 이사야서 같은경우는 기원전 300년으로도 봐. 

 

저건 파피루스.가 아냐 대부분. 파치먼트.라는 짐승가죽.에 쓴 글들이야. 일부는 파피루스 도 있어. 더하여 저기가 사람들 사는 곳이잖아. 청동기의 글들도 있고

 

 

7백여년간 걸쳐서. 저기서 글자들도 시대에 따르는 글자들이 있어. 페일로 히브리어 글자에 히브리글자. 아람글자.들도 있고. 헤롯시대 글자도 나오고. 엄청난 유적인거야 저게.

 

대부분 히브리글자이고 다음이 아람글자야.

 

discovered in 1946/47 and in 1956 

 

서기 1946년 부터 발견이 되서. 아직도 연구가 안되었어. 계속 연구중인겨. 인류의 가장 위대한 발견중 하나가 저기야. 

 

The En-Gedi Scroll is an ancient and fragile Hebrew parchment found in 1970 at Ein GediIsrael. It has been carbon-dated to the third or fourth century CE.[1] It contains a portion of the biblical Book of Leviticus.  

 

엔-게디 스크롤. 이것도 파치먼트. 짐승가죽에 쓰여진 글이야. 3세기 정도로 봐 레위기의 일부.가 들어가 있어. 여긴 쿰란보다 훨 아래 사해 중남부 해변이야. 

 

저건. 기원전 600년.의 은 돌돌말이. 다음의 세번째 오래된겨. 두번째 오래된게 70인역 셉투아긴트.의 파편들이야. 사해문서 빼고.

 

The Septuagint (from the Latinseptuāgintā literally "seventy"; often abbreviated as 70 in Roman numerals, i.e., LXX; sometimes called the Greek Old Testament) is the earliest extant Koine Greek translation of the Hebrew scriptures.[1] It is estimated that the first five books of the Hebrew Bible, known as the Torah or Pentateuch, were translated in the mid-3rd century BCE and the remaining texts were translated in the 2nd century BCE  

 

셉투아긴트.라는 그리스어로 된 구약.은 기원전 3세기중반에서 전2세기. 즉 전250년-150년. 머 요쯤으로 보면 돼.

 

여기서 가장 오래된 셉투아긴트.가 저때 기원전 2백년 전후 로 보이는 파편들이 지금 있어. 즉 이게 케테프 히놈.다음으로 가장 오래된 구약성경 파편이야. 사해문서들 제외하고

 

셉투아긴트.의 기원전 조각은 파피루스.로 된겨. 파피루스.가 기원전께 남아있는건 흔치 않아 이게. 

 

Ptolemy II Philadelphus (Greek: Πτολεμαῖος Φιλάδελφος, Ptolemaîos Philádelphos "Ptolemy, lover of his sister"; 308/9–246 BCE[2]) was the pharaoh of Ptolemaic Egypt from 283 to 246 BCE. He was the son of Ptolemy I Soter, the Macedonian Greek general of Alexander the Great who founded the Ptolemaic Kingdom after the death of Alexander, and queen Berenice I, originally from Macedon in northern Greece.  

 

영어 셉투아긴트. 라틴어 셉투아긴타. 이건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포스. 누이의 연인 닉인데. 창업자 프톨레마이오스1세.의 아들이야. 여긴 파라오걸랑. 첩을 둘수 있는 곳이야. 배다른 여동생이 트라키아와 아나톨리아를 지배한 뤼시마코스 60된 할배에게 15세에 시집을 가걸랑. 애 셋낳고 뤼시마코스 가 죽어. 재혼한 곳이 마케도니아 킹.인 배다른 오빠야. 이 오빠가 자기 자식들을 죽여. 이집트로 도망와서 배다른 오빠 인 프톨레마이오스2세.에게 세번째 결혼한겨 그래서 필라델포스.란 닉이 붙은건데. 

 

이집트 파라오는 그야말로 천국인거지 첩들도 졸 많고 자식들 수두룩 낳고. 저사람이 셀레우코스.와의 시리아 전쟁 백년을 시작하고,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부흥시킨 파라오여. 이 도서관은 아빠가 만든거고. 가장 아까운 도서관이야 이게 사라진 것중에서. 이 도서관에 불지른게 카이사르 가 욕먹는거걸랑. 카이사르.가 클레오파트라.랑 놀다가 클레오파트라의 남편이자 남동생이 카이사르를 포위하고 죽일뻔했걸랑. 이때 카이사르가 배에 불지르고 이 불이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 붙었다는 기록이 남겨서리 카이사르 개개끼 하걸랑. 그러다가 이 도서관이, 이전 썰한 팔미라의 제노비아 랑 싸울때 로마 아우렐리우스.가 이집트에서 팔미라 몰아낼때 이 도서관을 다 파괴한겨.

 

저사람이 셉투아긴트.를 만들게 한거야. 유대인들에게. 

 

유대인들은 상인들이야. 그리스인들이 해상도시를 개척을 하면, 여기에 슬쩍 낑겨서 입주해서 장사하는게 유대인들이야 고대부터. 그래서 그리스인들이 가장 싫어하는게 유대인이야. 이집트를 그리스 애들이 먹은겨, 그렇잖아도 눈치보는 유대인들이 불안불안한겨. 마침 파라오가 타나크를 번역해달래 그리스어로. 당연히 해드려야지. 이 그리스인과 유대인의 다툼이 로마까지 가는겨 이게. 이 둘의 전투 다툼들이 예루살렘까지 번진거야 이걸 로마가 티껍게 보는거고 이게 더해지고 더해져서 결국 로마 유대 전쟁까지 간거야.

 

The Letter of Aristeas, called so because it was a letter addressed from Aristeas to his brother Philocrates,[5] deals primarily with the reason the Greek translation of the Hebrew Law, also called the Septuagint, was created, as well as the people and processes involved. The letter's author alleges to be a courtier of Ptolemy II Philadelphus (reigned 281-246 BC). 

 

셉투아긴트.가 만들어지게 된 과정.을 쓴 편지.가 아리스테아스.의 편지야. 아리스테아스 라는 사람이 자기 형제 유대인 학자에게 쓰는 형식으로 되어있는거야. 이 편지가 위서라 규정하는 것은 무지 한거고. 제대로 글들을 안보는건데 이 한글러 애들은. 

 

the Oral Torah or Oral Law (Hebrew: תורה שבעל פה, Torah she-be-`al peh, lit. "Torah that is on the mouth") represents those laws, statutes, and legal interpretations that were not recorded in the Five Books of Moses, the "Written Torah" (Hebrew: תורה שבכתב, Torah she-bi-khtav, lit. "Torah that is in writing"), but nonetheless are regarded by Orthodox Jews as prescriptive and co-given.  

The majority of Biblical scholars believe that the written books were a product of the Babylonian captivity (c. 6th century BCE), based on earlier written sources and oral traditions, and that it was completed with final revisions during the post-Exilic period (c. 5th century BCE).  

 

히브리성경(구약)은 히브리어.로 타나크.야. 타나크.는 토라. 네빔. 케투빔.으로 되어있어. 율법서. 예언서. 성문서. 이중 핵심은 토라.인데.  오랄 토라.야. 기본이. 토라.는 말. 구어로 전해지는겨. 언어라는건 혀로 내는 소리 가 가장 기본이야. 그래서 글자는 표음문자 가 가장 적합한거야. 표의문자란건  후진 글자인 이유야. 

 

말. 소리.가 중요한겨 이게. 소리나는 데로 글자를 쓰는거고. 세상의 모든 글자는 그래서 표음문자 여야 하는거고. 

 

글자가 소리를 제대로 못 전한다는 의지야 저건. 소리 전통은. 그래서 오랄 토라. 리튼 토라. 란 말이 나와.

 

리튼 토라. 라는 기록하는 토라.는 네오 바빌로니아 에 유다 킹덤이 망하고 부터 보는겨. 바빌론으로 잡혀가는 바빌론 유수.이고. 이 최초의 기록물이 케테프 히놈 동굴의 저 은돌돌말이 부적이야 민수기를 인용한. 

 

오랄 전통이 네오바빌로니아에 망하면서 리튼토라. 기록하고 이걸 읽자 라는 전환을 하기 시작하는 거야. 이게 서서히 바뀐겨. 갑자기 안돼. 그래도 대부분은 오랄 토라야. 쿰란 동굴.의 파치먼트 구약성서도 기원전 3백년은 좀 과하고 하튼 이때 하나 둘 보일까야. 기원전에는 주류가 오랄 토라야. 

 

히브리어 타나크 전집.은 그래서 서기. 기원후 920년 정도에 처음 티나오는겨. 이게 알레포 코덱스.야. 히브리어에 아람어로 된 타나크. 가 이때서약 모든게 편집되서 만든겨 이게. 즉 오랄토라 에서 리튼토라 로 바꿀까 가 기원전 500년 이전이었는데 1500년 이 지나서야 타나크 전집을 이때서야 만든거야. 저것도 일부가 손실이 되고  서기 1008년 레닌그라드 코덱스.가 히브리어로 된 가장 오래된 완벽한 타나크 라는 구약 전집이야. 

 

즉 말이지. 이집트 파라오 그리스 인간이 유대인들에게 타나크를 그리스어로 번역해 달라고 하는 요구는. 당시 리튼 토라 라는 토라를 쓰자 라는 생각이 시작된지 3백년가까이 지난거지만, 이에 대한 거부감이 상당한거야 유대인들 내에서는

 

우리 유대인이 아무리 그리스인간들에게 빌붙어 산다지만, 우리도 토라를 기록을 안하는데 하물며 그리스인간을 위해 그리스어로 번역을 하다니. 반감이 거센거야. 

 

저때 나온게 아리스테아스.의 편지 라는 거야. 이건 프톨레마이오스2세.의 코트 사람이 쓴거야. 유대인 형제에게 보내는 형식으로. 즉 아리스테아스.는 가명이고, 유대인 형제인 저 수신자도 픽션이야. 유대인님들이 타나크를 그리스어로 번역하셨으면 하는 이유.를 자기가 캐릭을 동원해서 쓴거야. 저작자는 유대인임에 틀림없어. 파라오 코트에 있는 유대인 관료야. 

 

In 2001, Bruce Metzger writes:

Most scholars who have analyzed the letter have concluded that the author cannot have been the man he represented himself to be but was a Jew who wrote a fictitious account in order to enhance the importance of the Hebrew Scriptures by suggesting that a pagan king had recognized their significance and therefore arranged for their translation into Greek.[14]

 

해서 학자들이 그렇게 결론을 낸거야 저 편지는. 픽션이지만 진정성이 있는겨. 페이건 킹이 유대인들의 중요성을 인지했다. 그러므로 유대인들이 그리스어로 번역을 하도록 주관했다. 유대인들은 그래서 아낌없이 저 지시대로 해야 한다. 유대인들의 이익을 위해서. 

 

저걸 저런 식으로 이해를 해야해. 저건 고대에 저 시기 직후에 기록들이 검증된 서신이야. 70인들이 각각 독방에서 따로 번역해서 나중 비교해보니 다 똑같더라 어쩌고는 과장법...이 아니라 진짜겄지 홀리 스피릿.이 강령하셔서리

 

니덜은 믿음이 없어 정말.

 

저 역사적 사실은 팩트야. 

 

그래서 정작. 유대인들은 히브리어로 된 자기들 타나크.는 안만들고 그리스어로 된 타나크.만 만든겨. 셉투아긴트.

 

저게 지금 남아있는게 파편으로 저 시기로 보이는 파피루스.가 단편적으로 보이는거고.

 

셉투아긴트 전집 모든 타나크 들이 들어있는 완판이 

 

The Codex Vaticanus (The VaticanBibl. Vat., Vat. gr. 1209; no. B or 03 Gregory-Aland, δ 1 von Soden) is regarded as the oldest extant manuscript of the Greek Bible (Old and New Testament), one of the four great uncial codices.[1] The Codex is named after its place of conservation in the Vatican Library, where it has been kept since at least the 15th century.[2] It is written on 759 leaves of vellum in uncial letters and has been dated palaeographically to the 4th century.[3][4]  

 

코덱스 바티카누스.야. 바티칸 도서관에 있는 코덱스. 이건 벨룸. 송아지 가죽으로 되어있어. 

 

파치먼트.는 양가죽. 벨룸.은 송아지 가죽.이 원래 뜻인데. 이게 나중엔 파치먼트.는 그냥 가죽.이고 벨룸.은 고급진 가죽.으로 진화가 돼 의미가. 모두 양가죽 염소가죽 소가죽.이고 비싼 벨룸은 어린 가축을 쓰는거고 무두질을 더 골고루 하는겨.

 

c. 300–325 

 

이건 서기 300년 으로 봐. 제작된 것이. 15세기 이후부터 바티칸 도서관에서 보관되온 것이야. 성서 중에서 가~~장 귀한겨. Codex Amiatinus 이전 썰한 아미아티누스 코덱스. 영국꺼는 서기 700년 즈음의 불가타 성경인거고.

 

저게 가~~장 귀한 성경이야.

 

저 코덱스 바티카누스.도 셉투아긴트.의 구약 그리스어에 신약도 다 들어가있는 종합판이야.

 

에라스무스.가 종교개혁때 신약을 그리스어로 번역하걸랑. 이때 저 바티칸 코덱스.를 보고 한 줄 알았걸랑

 

Textus Receptus (Latin: "received text") is an edition of the Greek texts of the New Testament established and first published by Erasmus. Other ancient texts in other languages may also be called Textus Receptus.  

 

에라스무스.의 그리스 신약.이 텍수스 레켑투스.야. 헌데 나중에 바티칸 코덱스를 번역해서 보니까 전혀 다른거야 이게. 즉 에라스무스.는 저것과 상관없이 그리스어 번역을 한겨.

 

Codex Sinaiticus (Greek: Σιναϊτικός Κώδικας, Sinaïtikós KṓdikasHebrew: קודקס סינאיטיקוס‎; Shelfmarks and references: London, Brit. Libr., Additional Manuscripts 43725; Gregory-Aland nº א [Aleph] or 01, [Soden δ 2]) or "Sinai Bible" is one of the four great uncial codices, ancient, handwritten copies of the Greek Bible. The codex is a celebrated historical treasure.[1]

 

c. 330–360 

 

저 바티칸 코덱스. 직후에 나온게 코덱스 시나이티쿠스. 시나이 반도.의 수도원에 있던 코덱스야. 이것도 셉투아긴트 가 들어간 그리스어에 그리스어 신약이 들어가 있는겨. 세계에서 두번째로 귀한 성경이야 이게.

 

 

타나크.가 구약.이라는 올드 테스터먼트 이름으로 그리스어로 그리스도들인 기독교들에게 신약과 함께 읽힌거야.

 

유대인들은 유대 로마 전쟁 이후에. 그 폐허가 된 마음에서 다시 시작한겨.

 

The Mishnah or Mishna (/ˈmɪʃnə/Hebrew: מִשְׁנָה, "study by repetition", from the verb shanah שנה, or "to study and review", also "secondary")[1] is the first major written collection of the Jewish oral traditions known as the "Oral Torah". It is also the first major work of Rabbinic literature.[2][3] The Mishnah was redacted by Judah the Prince at the beginning of the third century CE[4]  

 

여기서 나온게 미슈나.라고 해. 로마에 허락을 받아서 자기들만의 공동체를 만들고 유대교에 대한 연구를 다시 하는거야. 이건 정체성의 재정비야. 3세기에 등장하는게 미슈나야. 랍비들이 만든 리터러쳐.야. 히브리 성서 가 아니라 히브리 성서의 오랄들을 인용한 리터러쳐일 뿐이야. 이걸 히브리성서 라고 하지는 않아. 랍비.가 이때부터 등장하는겨. 

 

The Masoretes (Hebrew: בעלי המסורה Ba'alei ha-Masora) were groups of Jewish scribe-scholars who worked between the 6th and 10th centuries CE,[1] based primarily in early medieval Palestine in the cities of Tiberias and Jerusalem, as well as in Iraq (Babylonia). Each group compiled a system of pronunciation and grammatical guides in the form of diacritical notes (niqqud) on the external form of the biblical text in an attempt to standardize the pronunciation, paragraph and verse divisions and cantillation of the Jewish Bible, the Tanakh, for the worldwide Jewish community.   

그리고서, 본격적으로. 리튼. 쓰자. 기록하자 라는 유대인들이 나타나기 시작해. 이들이 카라이트 유대인.들이야.

 

그리고서 마소리트스. 마소라. 가 등장하는겨. 6세기에서 10세기. 이들이 텍스트를 만들기 시작해.

 

The Masoretic Text[note 1] (MT or 𝕸) is the authoritative Hebrew and Aramaic text of the 24 books of Tanakh for Rabbinic Judaism.

It was primarily copied, edited and distributed by a group of Jews known as the Masoretes between the 7th and 10th centuries of the Common Era (CE).

The oldest extant manuscripts date from around the 9th century.[note 2] The Aleppo Codex (once the oldest-known complete copy but since 1947 missing the Torah) dates from the 10th century. The Masoretic Text defines the Jewish canon and its precise letter-text, with its vocalization and accentuation known as the Masorah.   

 

마소레틱 텍스트. 여기서 나온 히브리어로 된 타나크.라는 히브리어 성경.이 알레포 코덱스야. 

 

The Aleppo Codex (c. 920 CE) and Leningrad Codex (c. 1008 CE) were once the oldest known Hebrew language manuscripts of the Tanakh.  

 

 

The Leningrad Codex (Latin: Codex Leningradensis, the "codex of Leningrad") is the oldest complete manuscript of the Hebrew Bible in Hebrew, using the Masoretic Text and Tiberian vocalization.[1] It is dated 1008 CE (or possibly 1009) according to its colophon.[2] The Aleppo Codex, against which the Leningrad Codex was corrected, is several decades older, but parts of it have been missing since 1947, making the Leningrad Codex the oldest complete codex of the Tiberian mesorah that has survived intact to this day.  

 

저건 일부 유실이 되었고. 히브리어로 된 완전판 타나크.가 레닌그라드 코덱스야. 서기 1008년. 

 

The Samaritan Pentateuch, also known as the Samaritan Torah (Hebrew: תורה שומרונית torah shomronit), is a text of the first five books of the Hebrew Bible, written in the Samaritan alphabet and used as scripture by the Samaritans. It constitutes their entire biblical canon.  

 

 

although contemporary scholars describe it as a composite of several fragmentary scrolls each penned between the 12th and 14th centuries CE  

 

늦게 알려진게 사마리안 토라.야. 이건 사마리아 글자로 되어있어. 이건 페일로 히브리어.의 자식이야. 이것도 고대 글자야 기원전 600년부터로 지금까지. 저들은 기원전부터의 글이라하는데 12세기-14세기의 것들을 처음 으로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