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stern Christianity comprises church families that developed outside the Occident, with major bodies including the Eastern Orthodox Church, the Oriental Orthodox churches,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that are in communion with Rome but still maintain Eastern liturgies), and the denominations descended from the Church of the East. It also includes Reformed Eastern churches such as the Malankara Marthoma Syrian Church which follows a reformed West Syriac Rite and the Ukrainian Lutheran Church that uses the Byzantine Rite.[1] Historically called the Eastern Church in contrast with the (LatinWestern Church, since the Protestant Reformation Eastern Christianity is used in contrast with Western Christianity, comprising both the said Latin Church as well as Protestantism and Independent Catholicism.[2] Eastern Christianity consists of the Christian traditions and churches that developed distinctively over several centuries in the Middle EastAfricaEastern EuropeAsia Minor, the Malabar coast of South India, and parts of the Far East. The term does not describe a single communion or religious denomination. Some Eastern churches have more in common historically and theologically with Western Christianity than with one another. The various Eastern churches do not normally refer to themselves as "Eastern", with the exception of the Assyrian Church of the East and the Ancient Church of the East.  

 

동서교회.란건 영어로. 크리스티에니티.야. 비잔틴이 있던 발칸반도와 동유럽. 서유럽을 경계로 나눠. 이건 오직 지역만의 구분이야. 동유럽들이 오소독스가 주류도 아니고. 이 동유럽에 발칸의 종교분포는 이전 언급해서 그것 참조하도록 해.

 

1054년.에 로마는 레오 주교가 죽고 비잔틴 주재하는 로마 대표 베네딕트 수도사가 콘스탄티노플 주교.를 파문하고. 파문당하고 하면서 분리가 돼 결정적으로. 이후 5백년 지나서. 루터란 이름이 대명사가 되지만, 웨스턴인 로마 카톨릭도 아르메니아에서 넘어온 폴리시언. 즉 사도 파울로스를 따른 이들이 서유럽에 바람을 넣으면서 카타르파(알비) 발도파(부데스) 들이 12세 13세기에 득세해. 저기에 맞서서 나오는게 도미니크.와 프란치스코라는 수도사들에 더해서, 스콜라철학이야. 이런게 다 먼관점으로 보면 종교개혁이여. 잉글랜드도 존위클리프.가 루터보다 150년 먼저 영어판 성경을 번역해서 내. 이런게 16세기에 루터. 토마스 뮌처. 츠빙글리 들이 등장하면서 프로테스탄티즘으로 또 분열들을 해 서쪽 교회는. 

 

동쪽은 말야. 의외로 이 중세 이후. 즉 근대의 프로테스탄티즘.이 있긴 있었지만. 이게 상당히 약해. 이런것도 왜? 그러했는지 봐야해. 이런게 동쪽이 문명이 약한 이유야. 

 

 Eastern Orthodox Church, the Oriental Orthodox churches,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that are in communion with Rome but still maintain Eastern liturgies), and the denominations descended from the Church of the East.  

 

동쪽 교회인 이스턴 크리스티에니티.는 지금 크게 네 진영이야. 이스턴 오소독스. 오리엔탈 오소독스. 이스턴 카톨릭. 처치 오브 더 이스트. 

 

1054년 교회분리로 나가는게. 이스턴 오소독스.야. 이걸 동방 정교회.라 하는거고. 

 

가장 먼저 이단 판명되서 나갔던 이들이 처치 오브 더 이스트.여. 네스토리우스 들이야. 이 네스토리우스.는 콘스탄티노플.의 주교야. 당시 가장 힘이 쎈 사람이야. 그래서 알렉산드리아.에서 걸고 넘어진거고. 3차 공회의 에페소스.에서 나가는거고. 성모 마리아.를 테오토코스로 인정 안하고 지저스의 신성과 인격성에 반대입장하면서 이단이 돼.

 

이 다음에 나간이들이. 4차 공회의 칼케돈.이야.  Miaphysitism 미아피사이티즘. 지저스의 실재.는 신성과 인성이 섞여서 전혀 다른 성질이다. 라며 나가는 이들이 오리엔탈 오소독스.야. 동양 정교회. 

 

마지막으로. 이스턴 카톨릭.이 있어. 교회 진영에 카톨릭.이란 단어가 있으면 이건 로마 카톨릭.으로 보면 돼. 이들의 커뮤니온.은 로마 카톨릭이야. 동쪽의 교회에 있지만. 저 셋에 다 안들어가고 먼 곳 로마.의 예배 의례와 조직관리 인사관리를 따르는거야. 단지 언어와 문화에 따른 리터지. 예배식만 해당 지역의 것에 따를 뿐이야. 

 

코뮤니온. 이란 말이. 카먼 common 이걸랑. 코뮤니즘. 이 단어가 이게 중요해. 이게 코뮤니즘에 카먼 해서 격이 좀 낮은 말로 쓰이걸랑. 우리의 일반의 해서 이게 통속적인 듯.한 어감이걸랑. 

 

Borrowed from Old French comunion, from Ecclesiastical Latin commūniō (“communion”), from Latin commūnis.  

 

communion (countable and uncountableplural communions)

  1. A joining together of minds or spirits.
  2. (ChristianityHoly Communion
  3. (Roman Catholicism) A form of ecclesiastical unity between the Roman Church and another, so that the latter is considered part of the former  

코뮤니온 이란 말은 이게 로마 교회용어야. 카먼.의 변형이야. 카먼.에서 아마 라틴어 우누스 unus 에서 유니온.하는 하나. 를 더한 걸꺼야. 비록 그리 설명하는 애들은 없지만. 카먼 이나 코무네 코뮤니티 이게 다 같은 말이야. 뭉쳐서 하나 란겨. 뭉치는 주체는 일반인들 시민들 공산당 사회주의 애들은 자기들 좋아하는 표현 인민 인거고. 

 

From Old Latin co(m)moinis, from Proto-Indo-European *ḱom-moy-ni-, from *mey- (“to change”). Cognate with Old English ġemǣne (“common”), related to immūnismūniamūnismūnus.  

 

라틴어 코무니스.에서 온건데. 카이사르때의 라틴어는 코모니스.이고. 인도유럽피안은 코모이니. 메이. 변화하다.에서 의 변형이고. 여기서 그리스어 로마어가 된거고. 영어가 게모네. 에서 카먼. 한거야. 코그네이트 란건 어원의 변형된 말을 변형한게 코그네이트고. 라틴어 임무니스 무니아 무니스 무누스.와 관련되다. 

 

mūnus n (genitive mūneris); third declension

  1. serviceofficeemployment
  2. burdendutyobligation
  3. servicefavor
  4. spectacle, public show
  5. gift  

저기서 핵심은 무누스.야. 이건 의무.야. 짐 이고. 해야할 일.이야. 카먼 이란건 말야. 일반. 공공을 위해서 해야만 하는 의무체. 인거야 이게 어원이. 카먼 웰쓰.란게 단지 우리의 부. 시민들의 부. 좋음. 이 아냐. 바닥엔 의무적으로 해야만 하는 버든. 짐들이 있어야 해. 그래야 웰쓰. 잘 사는게 가능하단 거야. 

 

커뮤니온. 서로들 같이 모여서 하나가 된겨. 이 바닥엔. 의무.가 있는거야. 

 

언어란건 수천년 같이 동의한 그 쌓인 어감으로 쓰는거야. 우리 조선어족들은 이 언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자기들이 워드. 단어들을 만들지 않았어. 바닥의 언어는 중국말이고 한글이란 것의 바닥 글자는 결국 한자.야 이건 표의문자야. 이 한자도 정확하게 각각의 뜻을 확인하는 애들이 말야. 전혀 없어. 글도 표의 문자인데다가 그 조차도 제대로 파악을 못해. 언어를 쓰면서 그 언어가 먼지도 잘 몰라. 애들이 뜬구름 잡는 소리만 하는겨. 전혀 현실감각이 없어. 어제 먼 연설했다는데.  황당한겨. 전혀 현실감 없는 망상의 소리걸랑 저게. 참 슬픈건데. 저건 일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걍 조선 오백년이 똥 그 자체고. 그 똥의 역사를 위대하다 자랑하는 애들의 민족놀이에 젖은 애들이 이념이 더해서 저렇게 밖에 생산이 안된거야. 어떻게 저런 애들이 권력이 되냐 말이지...라는 의아함이 들 필요가 없어. 자연스런 인과야. 아이들이 불쌍한건데 이제부터.

 

저 동쪽에 로마 카톨릭을 따르는. 로마와 같은 코뮤니온.의 교회들이 또한 많아.

.

 

이전에 먼저 티나온 아리우스.는 교회들을 만들지 못했어. 주 고객이 게르만애들이었는데 얘들도 로마 카톨릭에 들어갔어 삼위일체가 먼지 모르지만. 아직 미개할 때였걸랑. 짱들이 아니라는데 버려야지 머 어쩌겠어. 이 아리우스.가 미국에서 등장하는겨 1500년만에. 대표적인게 여호와의 증인.이야.

 

.

The Eastern Orthodox Church, officially the Orthodox Catholic Church,[2][3][4][5] is the second-largest Christian church, with approximately 260 million baptised members[6].[7][8][9][10] It operates as a communion of autocephalous churches, each governed by its bishops in local synods,[9] although roughly half of Eastern Orthodox Christians live in Russia. The church has no central doctrinal or governmental authority analogous to the Bishop of Rome, but the Ecumenical Patriarch of Constantinople is recognised by all as primus inter pares ("first among equals") of the bishops. As one of the oldest surviving religious institutions in the world, the Eastern Orthodox Church has played a prominent role in the history and culture of Eastern and Southeastern Europe, the Caucasus, and the Near East.[11]  

 

1054년.에 나가는 동쪽교회가 이스턴 오소독스.야. 원래는 초기교회 가 간판이 오소독스.가 많았어. 이걸 동쪽교회들에서 전용해서 쓰는겨. 교회는 말야. 동쪽교회가 만든거야. 이 오소독스들이 원래 주인이야. 로마 카톨릭은 별거 아닌 떨거지들이었고. 중세 천년의 로마카톨릭 고객들인 게르만들이 역사를 주도하면서  대세인듯 보인거고 이 후광으로 개신교라는 프로테스탄트들이 지금 세상을 지배하는 듯 보이지만. 원래 주인은 오소독스야. 세상의 모든 교회는 오소독스가 만든겨. 개신교에게도 로마 카톨릭이 악마중에 악마 해대지만 걍 카톨릭의 애들일 뿐이지 지들이 별다르간. 지들만의 독자적 생각들이 있는것도 아니고. 이전 로마 카톨릭과 오소독스가 짜놓은 광대한 사유에서 태생하곤 거기에서 지들만의 이해된 것만 똑 떼어내서. 반대. 해대고 만든 판일 뿐이걸랑.  아는게 없는게 저 프로테스탄트들이란거야. 걍 카톨릭과 오소독스가 사유한 바다에서 놀 수 밖에 없는 애들이야 얘들은. 얘들이 그래서 중세 유럽사를 오염질을 하고 지들이 만든 근대사가 위대하다 해대는거걸랑. 

 

 

이스턴 오소독스.는 공식 명칭이 오소독스 카톨릭.이야. 

 

The Latin Church, also known as the Western Church or the Roman Catholic Church,[N 2] is the largest particular churchof the Catholic Church, employing the Latin liturgical rites. It is one of 24 sui iuris churches, the 23 others forming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It is headed by the bishop of Rome, the pope – traditionally also called the Patriarch of the West– with cathedra in this role at the Archbasilica of Saint John Lateran in RomeItaly. The Latin Church traces its history to the earliest days of Christianity, according to Catholic tradition, through its direct leadership under the Holy See.  

 

동쪽 교회인 이스턴 크리스티에니티.에 대한 반대로 서쪽 교회 진영은. 단 하나야. 로마 카톨릭. 프로테스탄티즘은 제외하고. 그래서 걍 웨스턴 처치.하는겨. 동쪽처럼 네가지 진영이 아니라 로마 하나걸랑. 

 

이들을. 라틴 처치. 로마 카톨릭 처치. 라 해. 로마 카톨릭.이 라틴.이야. 라틴어. 특히 로마 카톨릭.이라 하걸랑. 이 카톨릭 이란말이 로마 랑 같이 항상 붙어쓰는거야. 프로테스탄트가 나온 이후로. 카톨릭 이란 말은 동쪽 오소독스.도 카톨릭이야 원래. 헌데 로마 카톨릭.이 워낙 심하게 알려진 말이다 보니까, 카톨릭하면 로마 카톨릭 라틴 교회.로 보이걸랑. 그래서 오소독스 쪽에서 카톨릭 이란 말을 잘 안 내세우고 오소독스.가 대명사가 된 것일 뿐이야. 둘다 같은 카톨릭 이야. 헌데 카톨릭 이란 단어는 그래서 로마 진영쪽에 쓰는겨. 오소독스나 동쪽교회 진영에선 이 카톨릭이란 말을 잘 안써 자기들 딱지 붙일때. 알겄지?

 

동방정교회.라는 이스턴 오소독스.는 이전에 몇번 소개해서 그걸로 넘어가고. 비잔틴이 6세기에 자기 교구를 에큐메니컬.이라 쓰면서. 이 에큐메니컬 이란 단어는 이스턴 오소독스.만이 사용하는 용어야. 지금도 그래서 교회 통합 운동 벌인다면서 에큐메니칼.이란 단어를 쓰는데. 이 주도세력은 이스턴 오소독스.야. 당연히 로마 카톨릭 진영은 관심이 없을 수 밖에 없어.

 

로마 카톨릭. 라틴교회는 24개 교회들로 되어있어. 로마.가 하나.고. 나머지 23개.가 동쪽 교회들이야.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or Oriental Catholic Churches, also called the Eastern-rite Catholic Churches, and in some historical cases Uniate Churches,[a]   

 

이들을 이스턴 카톨릭.이라고 부르는겨. 동쪽교회들의 네 진영 중 하나. 카톨릭.이야. 코뮤니온.이 로마 소속이야. 코뮤니온.도 그 정도에 따라 다른거야. 성직자 조직관리 인사관리에 리터지라는 예배절차에 쓰이는 언어들. 이 23개 대표교회들 조차 서로 달라 로마에 엮인게. 허나 법적으로는 로마 교황.의 아래야 이들은. 대게가 페이트리아크.라는 체제로 움직이는겨. 자치적으로. 그래도 로마의 승인을 받는거지. 로마의 간섭이 덜한거고.

 

The total membership of the various churches accounts for about 18 million, according to the Annuario Pontificio (the annual directory of the Catholic Church), thus making up about 1.5 percent of the Catholic Church, with the rest of its more than 1.3 billion members belonging to the Latin Church, also known as the Western Church or the Roman Catholic Church.  

 

로마 카톨릭. 라틴 교회.의 신도들을 13억명으로 봐. 이중 1.5퍼센트인 1800만명이 23개 대표교회들인 이스턴 카톨릭.이야.

 

라틴 교회. 24개 를 분류한건데. 저 들 분류 기준이 말야. 라이트 Rite 라는 예배식이야. 예배 절차와 거기 쓰이는 언어.들이 다르단 거지. 크게 다섯개로 라틴. 알렉산드리아. 아르메니아. 비잔틴. 이스트 시리아. 웨스트 시리아.

 

아르메니아.가 말야. 여기가 엄청난 곳이야 원래. 지저스와 여기 킹이 편지를 주고받은 썰도 있고 최초 지저스를 공인한 나라가 이 아르메니아.야. 폴리시언이라는 사도 파울로스를 따르자며 이들이 유럽을 중세에 최초로 개혁바람을 일으키는겨 이후 수백년간을. 그리고 나서야 나온게 루터라는 이름일 뿐이야. 

 

비잔틴 의식.은 그리스어가 중심인거야. 

 

Middle English from Latin ritus ‘(religious) usage’.

 

Mid 16th century via French or late Latin from Greek leitourgia ‘public service, worship of the gods’, from leitourgos ‘minister’, from lēitos ‘public’ + -ergos ‘working’.

 

rite. liturgy. 예배 의식.이 라이트 리터지. 이게 다 같은 말이야. 라이트.는 라틴어 리투스.고 리터지.는 그리스어 레이투르기아.에서 변형된 말이야. 공공을 위한 일들.인겨. 공무원의 일이야. 그 일은 신들을 숭배하는 거고. 그 절차들이야. 

 

그래서. 라틴쪽은 라이트.란 말을 쓰고. 오소독스 쪽은 리터지.란 말을 주로 쓰겄지. 개념 정의는 다 같고, 그 어원이 어디부터 나왔느냐 에 따라서 단어들 모양에 소리만 다를 뿐이야. 저런 걸 갖고 말이지. 머 철학들 논쟁할때도 그 각각 단어들 갖고 개념 분리 하며 그 차이점 논쟁하는거 보면 참 기가차지도 않은데. 

 

저기서 걍 두개만 보면.

 

The Maronite Church is an Eastern Catholic sui iuris particular church in full communion with the Pope and the worldwide Catholic Church, with self-governance under the Code of Canons of the Eastern Churches. It is headed by Patriarch Bechara Boutros al-Rahi since 2011. Officially known as the Syriac Maronite Church of Antioch, it is part of Syriac Christianity by liturgy and heritage.  

 

마로나이트 교회. 마론 Maroun. 성 마론. 이란 사람이 서기 410년에 죽어. 생년은 몰라. 이사람은 터키 아래 토러스 산맥에서 수도하던 사람이야. 이 사람을 따른 이들이 생긴겨. 마론파. 라고 해. 이 마론파.가 유명한게 레바논.이야. 레바논이 지금 과반이 이슬람이지만. 나머지 40퍼가 그리스도고 이 중 과반이 이놈의 마론 교회야. 레바논에서 그리스도를 대표하는 이들이 이 마론파야. 

 

레바논이  안타까운 나라야. 월드워 끝나고 말야. 영국 프랑스는 식민지를 다 돌려줬걸랑. 착한척 하느라고. 식민지 국가들은 이게 당연시 하는데. 참 염치없는 이들이야 이것들이. 고마운줄 몰라. 당연한줄 알아. 저런건 인류문명사에 최초야. 고마운줄 알어라. 양키들한테. 

 

처칠은 저런 짓에 반대해. 저들은 문명이 덜되었어. 지옥이 될꺼야. 그렇게 함부로 착한척 방기하면 안돼. 

 

처칠 말이 맞아.

 

레바논.은 원래  평화롭고  잘살던 도시야. 저걸 방치하고 무슬림들이 쳐 올라오면서 완전히 테러의 도시가 된겨 저게. 이 이슬람 들은 염치란게 없어 이게. 헌데 후진 문명의 나라들은 다 똑같애 이 수준이.

 

레바논 중심으로. 여긴 서 시리아 예배식.에 속하는 나라야. 시리아 언어가 동과 서로 나뉜겨.

 

시리아 언어족.이 셈족 언어족에서 아람언어족 출현과 같어. 기원전 천년 직후로 봐. 앗시리아 의 그 시리아야. 이 시리아 언어족이란게 엄청난겨. 비록 히브리어 언어족에. 아랍어족에 가려서 잘 모르는데. 같은 셈족 언어족이지만 지분이 지금 삼분의 일이야. 얘들 엄마가 아람어족이야. 이들 글자인 시리아 글자는 6세기부터 보이지만 페니키아 글자에 아람어 글자를 익힌 글자야. 이 글자들 슬쩍 카피해서 아랍글자도 생긴겨. 세상 글자의 시작이야 얘들이. 투르크 에 몽골 글자도 얘들 보고 만든겨.

 

그래서. 동쪽 교회 크리스티에니티.중에. 시리악 Syriac 크리스티애니티. 시리아 언어 예배를 하는 교회.가  큰겨 이게. 여기에 저 로마를 따르는 이스턴 카톨릭.에 네스토리우스들의 처치 오브 더 이스트.도 대부분 이 시리악 교회들이야. 저런 구분을 글들 보면서 이해하라고 이리 쓰는겨  친절하게. 우리네들 한글러들이 대부분 저게 대체 먼 말인지 모르걸랑. 교회 분리 표들도 걍 뺐겨쓴 암호 도식이지 저게.

 

The term Melkite (/ˈmɛlkaɪt/), also written Melchite, refers to various Christian churches of the Byzantine Rite and their members originating in the Middle East.  

 

마론.말고 멜카이트. Melkite 란게 있어. 이들은 원래. 알렉산드로스.가 헬레니즘하면서 이집트까지 점령하고. 이후 로마가 재점령하면서. 고대부터 저들 따라서 이집트 해변과 레반트 서쪽해변에 들어온 사람들.을 멜카이트.라고 한거야. 대게들 그리스어.를 쓰는거야. 비잔틴이 6세기 이후엔 라틴어가 죽고 그리스어를 써. 그러다가 이슬람 서면서 아랍어도 쓰는거고.

 

저지역에 비잔틴 예식. 그리스어가 중심이 된. 을 따르면서 그리스도 믿는 이들을 멜카이트.라고 해. 이들은 원래 칼케돈 공회의.에서 반대하고 나와 오리엔탈 오소독스 처럼. 그러다가 다시 로마로 들어간겨. 이 멜카이트 들은 지금 로마 카톨릭.에 속해.

 

The Church of the East (Syriac: ܥܕܬܐ ܕܡܕܢܚܐ‎ Ēdtāʾ d-Maḏenḥā), also called the Persian Church, was an Eastern Christianchurch in the Syriac Christian tradition, active c. 410-1552. It organized itself in 410 in the Sasanian Empire in the Council of Seleucia-Ctesiphon, and in 424 declared itself independent of the church structure of the Roman Empire, after which it also became known as the Nestorian Church.[note 2]  

 

이스턴 크리스티애니티. 의 네가지 진영 중에 나머지 하나. 처치 오브 더 이스트. 이게 7세기 하서주랑 타고 당나라에 와서. 이들이 극동에선 경교. 라고 하는겨. 아주 중요해 이사람들이. 어찌보면 세상의 그리스도.를 만든 이들 중에 가장 역할을 많이 한 사람들이야. 이들이 없었으면 16세기 탐험의 시대에 그리 쉽게 그리스도가 전파될 수가 없었어.

 

이들을 페르시안 처치.라고도 해. 메소포타미아 를 넘어 이 동쪽의 교회는 오직 이사람들이 초기에 다 한겨. 스텝애들도 그리스도는 이들이 한거고. 인도에 중국까지 이들이 다 한겨.

 

이들의 사도.는 토마스. 성 토마스야. 네스토리우스들이 가보니 인도에. 이미 2세기에도  그리스도.가 들어가있는겨. 이게 아마 토마스 지 않을까. 신약에. 오 마이 로어드. 오 마이 로어드. 에이 지저스 니 사기치는거 아이가. 뒈졌는데 살아있다니. 아이 함 만져보게 해줄래? 아 이거 믿음 없는 놈. 만져봐라. 어머나, 오 마이 로어드! 아 이 토마스가 너무 좋아. 난.

 

 After years of decline, the Schism of 1552 divided the patriarchate into several different succesions. By 1830, two unified patriarchates and distinct churches remained: tbe Assyrian Church of the East and the Chaldean Catholic Church(an Eastern Catholic Church in communion with the Holy See). The Ancient Church of the East split from the Assyrian Church of the East in 1968. The Chaldean Catholic Church has approximately 628,405 members (2017),[5] the Assyrian Church of the East 323,300,[6][contradictory][7] while the Ancient Assyrian Church of the East has 100,000.  

 

이. 처치 오브 더 이스트.가 서기 1552년.에 분리가 돼. 서기 1830년.에 두개의 분리된 페이트리아크.로 나뉘어. 이 두개가. 앗시리안 처치 오브 더 이스트. 칼케돈 카톨릭.

 

칼케돈 카톨릭. 은 카톨릭.이란 말이 붙잖니. 즉 이건. 라틴 교회. 로마 카톨릭이야. 로마 외 23개 교회들인 이스턴 카톨릭 처치.중에 하나란겨. 얘들은 네스토리우스를 버린거야.

 

앗시리안 처치 오브 더 이스트.가 네스토리우스의 대명사가 된겨 그래서. 여기 본부가 이라크 에르빌.이야. 여기가 앗시리아 고대 제국의 수도 지역 부근이걸랑. 이들은 물론 시리악 크리스티애니티.야. 시리안 언어족 예배식을 하는거고. 

 

저기서 따로 나온게 서기 1968년. 에인션트 처치 오브 더 이스트.야. 이들역시 네스토리우스 야.

 

이 네스토리우스.들이 동쪽의 그리스도를 다 하고. 지금 완전히 세가 저문거지만. 그래서 대부분 모르지만 말야. 가장 중요한 그리스도 파야 이들이. 

 

교회 이야긴 여기서 일단 접자. 아 저거 유럽사 진도 나가야 하는데. 언제 끝내냐 저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