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ate was ruled by a king, the wanax (ϝάναξ), whose role was religious and perhaps also military and judicial.[85] The wanax oversaw virtually all aspects of palatial life, from religious feasting and offerings to the distribution of goods, craftsmen and troops.[86] Under him was the lāwāgetas ("the leader of the people"), whose role appears mainly religious. His activities possibly overlap with the wanax and is usually seen as the second-in-command.[86] Both wanax and lāwāgetas were at the head of a military aristocracy known as the eqeta ("companions" or "followers").[85][87] The land possessed by the wanax is usually the témenos (te-me-no). There is also at least one instance of a person, Enkhelyawon, at Pylos, who appears titleless in the written record but whom modern scholars regard as probably a king.[88]

 

미케네 그리스. 1600–1100 BC. 에서 보이는건데. 킹을 와낙스. 라고 했다. 신권. 군권 사법권 을 쥔 것으로 보인다. 

 

이사람 아래에. 라와게타스. 민들의 리더. 주로 신앙.을 맡은 이들. 

 

귀족층으로 보이는 이들.이 에케타. 따르는 이들. 동료들. 이게 지금 equity 이쿼티.라는 평등이 된겨. equus 에쿠스.라는 라틴어 말. horse 는 이것과 관련이 없어. aequus 에서 온거야. 킹을 따르다가 킹과 같아진겨. 이게 중세 유럽의 귀족층을 말하는 Peers 피어즈. Peerage 피어리지.가 되는거야. 라틴어 par 파.를 받아서. 저건 킹이랑 자기들이 같은겨. 원탁이 된거야. 저게 동양빠닥과 다른거고

 

킹 와낙스.의 영토.를 테메노스. 에서 tenant 테넌트.라는 왕에게 하사받은 땅 관리하는 세입자가 되는겨. 이게 원래는 높은 말이야. 소작인이니 그야말로 세입자로 내려앉은거지만. 

 

 

 

A number of local officials positioned by the wanax appear to be in charge of the districts, such as ko-re-te (koreter, '"governor"), po-ro-ko-re-te (prokoreter, "deputy") and the da-mo-ko-ro (damokoros, "one who takes care of a damos"), the latter probably being appointed to take charge of the commune. A council of elders was chaired, the ke-ro-si-ja (cf. γερουσία, gerousía). The basileus, who in latter Greek society was the name of the king, refers to communal officials.[85]

 

와낙스.에 의해 임명된 지역들의 짱.을 코레테르. 프로코레테르. 다모코로스. 원로들의 모임체를 케로시야. 게루시아.

 

바실레우스. 라는 그리스어의 킹.은 늦게 나온 말이거니와 그냥 모임체의 공직들 자리.로 쓰인 아주 낮은 위치의 말이야. 이게 비잔틴 초기때도 동로마황제.는 바실레우스.란 말을 사산 페르시아 에게 부여해 주는 정도였걸랑. 그러다가 자기들이 자칭 바실레우스 하게 된건데. 

 

In general, Mycenaean society appears to have been divided into two groups of free men: the king's entourage, who conducted administrative duties at the palace, and the people, da-mo[89] These last were watched over by royal agents and were obliged to perform duties for and pay taxes to the palace.[85] Among those who could be found in the palace were well-to-do high officials, who probably lived in the vast residences found in proximity to Mycenaean palaces, but also others, tied by their work to the palace and not necessarily better off than the members of the da-mo, such as craftsmen, farmers, and perhaps merchants. Occupying a lower rung of the social ladder were the slaves, do-e-ro, (cf. δοῦλος, doúlos).[90] These are recorded in the texts as working either for the palace or for specific deities.[85]  

δῆμος  (dêmos)   

 

미케네 시대야. 전1600-전1100. 어둠의 시대 이전. 와낙스.에 에쿠이.라는 윗 층에. 일반 민.들이 다모. 였어. 이게 클래식 그리스 시대에 데모스.가 되는겨. 데모스.란 말은 아테네의 일종의 지역구.야. 도시.는 데모스.수가 많고 외곽은 수가 적어. 우선은 쪼개진 땅.이란 뜻이고. 이 데모스 단위로 의원.이 선출되는거고 이 시의원들이 아테네의 의사결정을 해. 이래서 망한거고 이후 2천년을. 지금까지. 

 

이외 도에로. 둘로스. 라는 노예계층이 있었다. 즉 다모.는 시민권자야. 

 

In ancient Greece the chief magistrate in various Greek city states was called eponymous archon (ἐπώνυμος ἄρχων, epōnymos archōn). Archon (ἄρχων, pl. ἄρχοντες, archontes) means "ruler" or "lord", frequently used as the title of a specific public office,[1] while "eponymous" means that he gave his name to the year in which he held office, much like the Roman dating by consular years.

In Classical Athens, a system of nine concurrent archons evolved, led by three respective remits over the civic, military, and religious affairs of the state: the three office holders were known as the eponymous archon, the polemarch (πολέμαρχος, "war ruler"), and the archon basileus (ἄρχων βασιλεύς, "king ruler").[2][3] The six others were the thesmothetai, judicial officers. Originally these offices were filled from the wealthier classes by elections every ten years. During this period the eponymous archon was the chief magistrate, the polemarch was the head of the armed forces, and the archon basileus was responsible for some civic religious arrangements, and for the supervision of some major trials in the law courts. After 683 BC the offices were held for only a single year, and the year was named after the eponymous archon.   

 

에인션트 그리스.라는 고대그리스.는 미케네 그리스.이후.부터 보는겨. 비잔틴 직전후까지 봐. 

 

아르콘.이란 말을 써. 와낙스.는 지워지고. 지배자야. 아르콘.이 아르키. -archy 가 되고 앞에 쓰면 아치 arch-가 되서 대주교에 우두머리 등의 의미로 써. 아르콘을 받아 로마에서 콘술.이 되고. 

 

그리스에서 아르콘.으로 선출된 이의 이름.이 그 해.의 이름이 돼. 로마때 콘술 이름이 그 해 이름이야. 중국은 연호.로 쓴거고 일본도 연호 몇년 하는거고. 조선은 중국한테 절해서 받은 달력의 중국 연호 고대로 쓰는거고. 

 

아르콘 이 한명이 아냐. 몇명들로 이뤄져. 로마도 콘술을 복수로 선출해. 아르콘이 9명 있을때 역할을 셋으로 나눈겨. 

 

폴레마르크. 폴레모스. polemos 가 전쟁.이야 전쟁 아르콘. 아르콘 바실레우스. 그리고 테모스테타이. 사법권자들. 

 

아르콘 바실레우스.는 도시의 신앙 제식.에 책임이 있고, 테모스테타이들의 법처리 중에 큰 사건에 대한 판결들을 감독해. 

 

 

 

 

A legatus held full power over his legion. Consul Militaris held control of all legions under the Emperor, who held entire control of Rome during the time of the Roman Empire. 

 

 

그리스.는 아르콘.이고 로마는 콘술.이야. 공화정 이전엔 킹. 라틴어 Rex 렉스.를 쓴거고. 공화정되고는 콘술.을 써. 두명을 기본으로 해. 이 콘술.이란게. 콘.이 다같이 함께고. 술.이 그랩 테이크. 잡는겨. 둘이 함께 잡거나 모든걸 움켜쥔겨. 

 

레가투스.라는 레기온. 군단.의 군단장. 군단 사령관.은 자기 레기온의 레가투스.이고. 모든 군단들의 짱이 콘술 밀리타리스.야. 카이사르 이후 황제시대에. 

 

In ancient RomeImperium was a form of authority held by a citizen to control a military or governmental entity. It is distinct from auctoritas and potestas, different and generally inferior types of power in the Roman Republic and Empire.  

 

엠퍼러.란 타이틀은. Imperator 라틴어 임페라토르.인데 명령하고 코맨드. 맨드.가 manus 마누스. 손.이고 권력이 돼. 집중된 힘.이야. 이걸 하는 이 걸랑. 이게 딱히 타이틀이 아니라. 로마는 쇼.의 나라걸랑. 갈리아 침입 전390년 이후부터는 전쟁의 나라여 이게. 개선식.을 하면서 마음들 푸는겨. 이때 주어지는 타이틀.이 임페라토르.야. 명예여 걍. 

 

이걸 아우구스투스.가 알게모르게 황제 다이너스티.를 하면서. 오직 자기 씨족 즉 황제들 이름으로만 쓰게 한거야. 미들네임에 넣는겨. 이때부터 엠퍼러.는 황제 칭호가 되고. 황제 전용이야. 아우구스투스.는 자기는 프린켑스. 제일시민권자라고 불렀어. 

 

 

Under Roman rule, the term basileus came to be used, in the Hellenistic tradition, to designate the Roman Emperor in the everyday and literary speech of the Greek-speaking Eastern Mediterranean.[4] Although the early Roman Emperorswere careful to retain the façade of the republican institutions and to not formally adopt monarchical titles, the use of basileus amply illustrates that contemporaries clearly perceived that the Roman Empire was a monarchy in all but name.[5] Nevertheless, despite its widespread use, due to its "royal" associations the title basileus remained unofficial for the Emperor, and was restricted in official documents to client kings in the East. Instead, in official context the imperial titles Caesar Augustus, translated or transliterated into Greek as Kaisar Sebastos or Kaisar Augoustos, and Imperator, translated as Autokratōr, were used.  

 

바실레우스. 란 말을 셉투아긴트 70인 역에서  막막 써대면서 이게 유행을 탄건데 기독의 시대가 오고나서야. 

 

아우구스투스.가 말야. 황제가 된게. 자 이제부터 공화정 없애고 왕조 시작합니다~ 한게 아냐 이게. 여전히 원로원이 있어. 공화정 체제가 여전히 있는겨. 헌데 저 제도를 유명무실하게 만든겨 이 인간이 40년 동안. 카이사르가 대놓고 영원한 딕타토르 선언했다가 죽은거걸랑. 이걸 알어. 저 작업을 40년을 한겨. 어느새 죽을때 보니 어 우리네 이거 완전 이전 킹때로 간거네 하고 깨달은겨 로마는. 

 

저때는 이미 그리스.는 로마께 된겨 마케도니아 전쟁 이후로.

 

바실레우스.란 말은 로마의 타이틀이 아냐. 헌데 시중에서 사람들이 로마 황제.를 언급할때는 문학이나 연극이나 사쩍 장소든간에. 임페라토르.란 단어를 안쓰고 그리스어 바실레우스.를 썼다는거야. 이렇게 쓰는게 유행이 되어버렸고. 공식적으로는 자기들에 편입된 속주 킹덤의 킹.을 바실레우스.라고 한겨 로마 공식 문서 쓸때는. 바실레우스.란 말이 임페라토르.보다 훨 아래인겨 이게. 임페라토르.를 그리스어로 번역할때는. 바실레우스.라 안쓰고 아우토크라토르. 스스로 지배하는자.인겨. 

 

By the 4th century however, basileus was applied in official usage exclusively to the two rulers considered equals to the Roman Emperor: the Sassanid Persian shahanshah ("king of kings"), and to a lesser degree the King of Axum, whose importance was rather peripheral in the Byzantine worldview.[6] Consequently, the title acquired the connotation of "emperor", and when barbarian kingdoms emerged on the ruins of the Western Roman Empire in the 5th century, their rulers were referred to in Greek not as basileus but as rēx or rēgas, the hellenized forms of the Latin title rexking.[4]  

 

그러다가. 파르티아가 망하고 사산.이 들어섰어. 위기의 3세기 지나고 로마는 동서로 분할되고 할때 사산의 킹과 에티오피아의 악숨 킹.에게만 바실레우스.란 호칭을 공식적으로 써. 딱 두 킹덤에 대해서만. 5세기에 서로마 망하고 게르만들이 지들끼리 킹덤 세울때. 동로마 비잔틴이 여기 킹들에겐. 바실레우스.라 안하고 레가스. Rex 로마 킹.의 그리스어 Regas 레가스 라고 공식적으로 써. 

 

The first documented use of basileus Rhomaíōn in official context comes, surprisingly, from the Persians: in a letter sent to Emperor Maurice (r. 582–602) by Chosroes II, Maurice is addressed in Greek as basileus Rhomaíōn instead of the habitual Middle Persian appellation kēsar-i Hrōm ("Caesar of the Romans"), while the Persian ruler refers to himself correspondingly as Persōn basileus,   


서기 600년 전후에. 사산.의 샤.가 비잔틴 모리스.에게 로마의 카이사르.라 안하고 로마의 바실레우스.라 한겨. 자기는 똑같이 페르시아의 바실레우스. 즉 이때 페르시아애들이 비잔틴애들과 동급 먹은겨. 

 

 

The catalytic event was the coronation of Charlemagneas imperator Romanorum ("Emperor of the Romans") by Pope Leo III on 25 December 800, at St. Peter's in Rome.  

 

비잔틴 시절에도 여전히. 임페라토르여 황제는. 사람들이 부를땐 카이사르.나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나 카이사르 세바스토스.여. 바실레우스.는 낮은 말이야. 이게 샤를 마뉴.가 알프스 넘으면서 대관식 하면서 말야. 이때부터 비잔틴이랑 밀땅을 하는겨 이 호칭으로. 

 

Charlemagne's claim to the imperial title of the Romans sparked a prolonged diplomatic row, which was resolved only in 812 when the Byzantines agreed to recognize him as "basileus". In an effort to emphasize their own Roman legitimacy, the Byzantine rulers thereafter began to use the fuller form basileus Rhomaíōn (βασιλεύς Ῥωμαίων, "emperor of the Romans") instead of the simple "basileus", a practice that continued in official usage until the end of the Empire.[4][11] The title autokratōr was also revived by the early 9th century (and appears in coins from 912 on). It was reserved for the senior ruling emperor among several co-emperors (symbasileis), who exercised actual power. The term megas basileus ("Great Emperor") was also sometimes used for the same purpose.[13] By the Palaiologan period, the full style of the Emperor was finalized in the phrase "X, in Christ the God faithful Emperor and Autocrat of the Romans" (Greek: "Χ, ἐν Χριστῷ τῷ Θεῷ πιστὸς βασιλεὺς καὶ αὐτοκράτωρ Ῥωμαίων", "Χ, en Christō tō Theō pistós basileus kai autokratōr Rhōmaíōn"). 

 

샤를마뉴.가 자기를 로마시대 임페라토르.로 주장하는겨 외교적으로. 이 타이틀이란게 외교에서 인정을 해줘야 해. 

 

그래서. 비잔틴.이 샤를마뉴.를 바실레우스.라고 해줘. 비잔틴 입장에선 끕을 올려준겨 렉스의 그리스어발음 레가스.라고 해줘야 할걸. 그리고 말야 졸 웃기게도, 자기들 호칭을 저때 샤를마뉴와 동급으로 바실레우스 로마니온. 로마의 바실레우스. 라고 해. 2백년전에 사산 이 부르던 호칭을 지들이 저때 쓰는겨. 그리고 아우토크라토르.란 호칭도 살아나. 같이 써 이걸. 

 

저게 웃긴건데. 샤를마뉴 가 등장할때에 비잔틴.이 힘이 없을때걸랑. 비잔틴은 서로마 망하고 이후 반짝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시대 벨리사리우스. 있을 때만 이민족들 다 쫓아내고 바로 다시 발칸은 슬라브에 불가르투르크 들이 아주 점령을 하걸랑. 얘들은 터키땅외에는 없어. 서기 650년 즈음에 행정개편하면서 테마들 테마타.로 재정비하고 이게 2백년 지나서야 그리스 땅들을 좀 회복하기 시작해.

 

비잔틴도 별게 없는겨 이게. 샤를마뉴 너 바실레우스. 해라. 하면서 자기들도 바실레우스.야. 수식어 로마.를 붙이고. 

 

저게 서기 800년 직후야. 이때부터 바실레우스.가 엠퍼러의 임페라토르.와 동급이 되는겨. 웃기게도.

 

왜냐면. 이건. 성서의 힘이야. 70인역으로 구약 번역할때 킹을 바실레우스.라고 도배를 했걸랑. 이 기독성서.의 바실레우스.가 그리스도 이후 800년 만에 권위를 갖게 된겨 쟤들에게. 그래서 비잔틴 애들조차 바실레우스.를 공식 타이틀로 쓰는겨. 

 

While the terms used for the Roman emperor are Kaisar Augustos (Decree from Caesar Augustus, Dogma para Kaisaros Augoustou, Luke 2:1) or just Kaisar (see Render unto Caesar...) and Pontius Pilate is called Hegemon (Matthew 27:2), Herod is Basileus (in his coins also Basileōs Herodou, "of King Herod", and by Josephus)

Regarding Jesus the term basileus acquires a new Christian theological meaning out of the further concept of Basileus as a chief religious officer during the Hellenistic period. Jesus is Basileus Basileōn (Βασιλεὺς βασιλέων = King of Kings, Revelation 17:14, 19:16) (a previous Near Eastern phrase for rulers), or Basileus tōn basileuontōn(Βασιλεὺς τῶν βασιλευόντων = lit. King of those being kings, 1 Timothy 6:15). Other titles involving Basileus include Basileus tōn Ouranōn, translated as King of Heaven, with his Basileia tōn Ouranōn, i.e. Kingship or Kingdom of Heaven, and is Basileus tōn Ioudaiōn, i.e. King of the Jews (see INRI). In Byzantine art, a standard depiction of Jesus is Basileus tēs Doxēs King of Glory (in the West 'the Christ or Image of Pity');[15] a phrase derived from the Psalms 24:10 and the Lord of Glory (Kyrios tēs Doxēs, 1 Corinthians 2:8).  

 

 

신약에서 카이사르 아우구스토스.라는 건 로마 황제야. 카이사르.도 로마 황제 호칭이야. 지저스.가 요한계시록에서 킹들중의 킹. 할때 바실레우스 바실레온. 으로 바실레우스.를 써. 마태 하늘의 킹.도 바실레우스.야. 막  신약에서 바실레우스가  높여진겨 이게. 비잔틴이 샤를마뉴.를 핑게로 이걸 자기들이 쓰는거야 예전에 후졌다 생각한 타이틀을. 

 

宽刃巨斧 造字本义:名词,最大的战斧,借代战场上所向无敌的统帅  

 

왕. 이란 한자.는 걍 칼날이 넓은 거대한 도끼야.  큰 도끼. 최고의 군대 짱이란겨. 이걸 왕.으로 쓰는건 말야. 타이틀로. 전국시대 시작하는 기원전 3백년 직전에 오국상왕 할때나 공식적으로 쓰이는겨 이게. 이전엔 공식 호칭은 후.였어. 거기에 무슨 공. 무슨 군. 한거고. 

 

그래서, 중국의 진한이전의 글자들에 모든 공자 유교경전 포함해서 저따위 왕 왕 왕도정치 어쩌고가 나올때 말야. 저 왕.이란 글자가 아주 도배를 하고 저게 이 동양빠닥 사상의 핵심이야. 

 

헌데 말이지. 저 왕.이란 글자.는 저게 이전 공자 논어의 글자 역사. 인. 을 예로 봤어도. 고논 노논 제논 이야기 하면서. 저게 정작 글로다가 쓰여진건 말야. 공자때가 아니라  지나서여 저게. 한나라때 의 초기 장사왕의 승상 여자들 무덤이 역경 도덕경 최초.고. 저게 오국상왕 왕왕 거리고 나서 수백년 지나서야 글자로 된거걸랑. 그 왕 이 그 왕 인지 머  알길이 있는건지 없는건지.

 

왕.이란 말이 그래서 이게 오래된 말이 아냐. 황제.의 제.를 쓴거고. 제.라는 글자.는  원시시대에. 나뭇가지 꺾어서 줄로 묶어서 만든 집 형상이야. 이건 머 문명도 아니고. 걍 나뭇가지 집 만들어준 인간이야. 이게 동양빠닥 최고의 사람의 뜻이여.

 

쟤들 글자 이야기 보다가. 동양빠닥 글자와 이야기로 넘어오면. 할말이 없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