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Blind People See in Their Dreams?

A recent paper looks at visual activity in blind subjects' dreams.

Posted Dec 29, 2017

 

https://www.psychologytoday.com/intl/blog/dream-factory/201712/do-blind-people-see-in-their-dreams

 

선천적으로 시력을 완전히 잃은 사람은 꿈속에서 볼 수 있을까? 이게 궁금했는데. 생각난김에 찾아봤는데. 

 

즉 시각 경험이 없는데 꿈속에서는 모양 색깔들을 볼 수 있냐는 거지. 후천적으로 잃은 이는 과거의 기억으로 당근 볼 테고. 꿈이 시력 유무에 관계 있나 없나.

 

예전에 얼핏 지나가는 칼럼 비슷 글 본기억이 있는데, 선천적 시력없는 이는 꿈에서도 색깔등을 보지 못한다는겨 이게 실험결과로 밝혀졌다는둥. 저때 저거 보고, 정말 그럴까? 

 

 

 

During sleep, one type of electrical oscillation in the brain called PGO waves (Ponto-Geniculate-Occipital) are thought to activate the visual cortex and serve as a visual dream generator during REM sleep. These particular brain oscillations appear just before REM sleep begins (about 30-90s), and they project from the brainstem to the occipital cortex and visual system.

 

PGO 로 불리는 뇌파는 시각피질을 활성화하고 시각적인 꿈을 재생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렘 수면 동안. 눈동자 빨리 움직이는 겨 꿈꿀땐. 이 뇌파는 렘수면 직전. 약 30초에서 90초 전에 움직인대. 이게 뇌간.에서 옥시피털 피질과 시각시스템에으로 투사가 되는겨. 

 

PGO 의 폰토. 제니큘레이트. 옥시피털. 이란게. 폰토. Ponto 가 불어 퐁. 하는 다리여. 라틴어 pons 폰스.가 다리고. 폰투스. pontus 가 바다여. 폰티펙스.가 다리 짓는 교황이고. 저게 뇌의 다리. 뇌교. 라는겨. 

 

 

뇌.가 대뇌 가 대부분 이고. 이걸 위에서 짜를때. 앞. 뒤. 양측면.을 짤라. 뒤.가 옥시피털.이야. occipital. 얜 한움쿰이야. 얘 아래 있는게 소뇌.야. 

 

대뇌피질. 할때 피질. 이 코르텍스 cortex . 이게 껍대기여. 

 

저 뇌 속의 정가운데.에 시상. 이란게 보일시.에 침대 상 이야. 이게 땔러머스 thalamus 를 번역한건데. 이건 채임버. 둥근천장 있는 집.이란뜻이여. 이걸 시상.으로 일본애들이 번역한겨. 이게 모양이 위가 둥글해. 이 위가 뇌핵에 간뇌에 얘가 대뇌를 떠받치는겨. 그리고 대뇌와 시상쪽의 머리와. 이게 척추.의 척수.와 연결이 된겨. 이 사이의 가교.가 뇌간.이라는 브레인스템.이야. 이 안에서의 저 다리 역할 하는 뇌교.라는 폰스. 다리가 있는겨. 여기에 또한 제니큘레이트. 이게 무릎.이여. 무릎모양의 이음구조가 있는거고. 얘들이 망막을 통해 받은 정보를 중간에서 받아서 옥시피털 코르텍스. 즉 뒤통수 피질.로 보내는겨. 우리가 시각 정보를 읽어서 해석하는 뇌 영역은 이 뒷통수의 피질지역이야. 눈은 걍 받기만 하는겨.

 

PGO 파장을 저기를 읽는거고. 이걸 보면 꿈속에서 보는 정도.를 파악을 한다는거야. 즉 꿈안에서 뭔가 시각적으로 벌어지고 있다는 걸 알수 있어. 그게 먼지는 몰라도. 사건이 꿈속에서 시각적으로 발생하는걸 안다는겨. 

 

But what about those who have been blind since birth, and thus have no visual memories at all?

“When a blind man is asked if he dreams the answer is immediate: "Yes!" But if we ask him if he sees anything in the dream, the answer is always doubtful because he does not know what it is to see. Even if there were images and colours in his brain during the dream how could he recognize them? There is, therefore, no direct way, through the dream reports, to evaluate the presence of visual activation in the dream of congenitally blind subjects.” --Bértolo, Mestre, Barrio, & Antona, 2017

 

선천적으로 시력잃은 사람이 꿈속에서는 시각 기억을 전혀 갖고 있지 않나? 라고 질문하면 답은 바로. 있다. 래.

 

헌데 뭘 본거냐 꿈에서. 하면 이게 간단치가 않아. 일단 이사람은. 표현을 할 수가 없어. 단지 촉감 교육에 의한 모양만 기본적으로 공부를 했을 뿐이야. 색깔은 전혀 몰라. 이건 알수 없어. 태어나서부터 시각이 없다는 걸 주지를 해야해. 몰라 몰라. 해서 그가 본 이미지.를 설명해주세요. 이걸 어드래 설명할 방법이 없어 이게. 그래서 연구하기가 어려운겨. 

 

Because the researchers felt it impossible to know for sure the visual quality of imagery based on dream reports, they decided to additionally study the eye movements during dreams of congenitally blind subjects. 20 adult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including 10 congenitally blind and 10 sighted subjects. All of the subjects underwent two consecutive nights of polysomnographic recordings at home, with several awakenings for dream recall.

 

해서 말야.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해. 폴리솜노그래픽이란 걸 한겨.

 

Polysomnography (PSG), a type of sleep study[1], is a multi-parametric test used in the study of sleep and as a diagnostic tool in sleep medicine. The test result is called a polysomnogram, also abbreviated PSG. The name is derived from Greekand Latin roots: the Greek πολύς (polus for "many, much", indicating many channels), the Latin somnus ("sleep"), and the Greek γράφειν (graphein, "to write").

 

잠자다.가 솜누스. 다차원적으로 잠을 검사하는겨. 수면다원검사.라고 해. 과학적 장치들을 동원하고 PGO 란건 시각이고. 이거 외에 다른 파들을 다 보는거야.

 

비교군을 십명씩. 선천적 시력없는 이들 10명에 시력있는 10명. 

 

The dream reports of the blind subjects were reported as perceptually vivid and contained reference to visual, tactile, auditory and kinesthetic sens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vividness of the dreams or even in the quantity of visual content reported.

Nevertheless, the blind subjects had fewer rapid eye movements than the sighted subjects, although they did have eye movements, and these eye movements did correlate with visual dream recall. The authors argue that “The fact that blind subjects present [rapid eye movements] and that these are correlated with visual dream recall is another result supporting our argument that they do activate visual areas during dream, being able to generate their own visual imagery.”

 

 

별 차이가 없는겨. 꿈들의 생동감, 시각적 촉각적 청각 움직임 등. 비슷한겨 두 그룹이. 시각적 이미지의 양 측면에서도 차이가 없어. 

 

하나의 차이가. 시각없음자.의 렘. 눈동자 운동이 적다 이거지. 이건 꿈을 덜꾼다가 아니라. 드림 리콜.의 문제야. 꿈을 복기하는겨 잠에서 깨고. 사람은 모두 꿈을 꿔. 헌데 기억을. 드림 리콜.을 못할 뿐이야. 이게 렘.의 차이야. 

 

 

Schöpf et al. (2014) conducted a study comparing in utero eye movements to neural activity using fMRI data acquired from seven fetuses. During the study, fetal eye movements were recorded and corresponded with fMRI data. Results showed that already in utero, fetal eye movements correspond with activity in visual and frontal cerebral areas. This suggests that the human visual system is active even prior to birth.

 

2014년 연구에서. 더 웃긴게. 자궁안의 태아.도 시각적인 꿈을 꾸는가. 꾼다는겨 시각적으로다가. 시각 경험이 없는 자궁안의 아기 조차. 시각적인 꿈을 꾼다.

 

 

.

 

 

.

 

The Croatian–Slovene Peasant Revolt (Slovenehrvaško-slovenski kmečki upor), Gubec's Rebellion (CroatianGupčeva buna) or Gubec's peasant uprising of 1573 was a large peasant revolt on territory forming modern-day Croatia and Slovenia. The revolt, sparked by cruel treatment of serfs by Baron Ferenc Tahy, ended after 12 days with the defeat of the rebels and bloody retribution by the nobility.

 

1573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농민 반란. 12일간. 리볼트.를 붙여서 혁명 비스무레 하게 붙었는데. 

 

오스만이 보헤미아.를 에얄리트.로 편입을 하고  서쪽위 크로아티아랑 백년 전쟁 시작이 1493년이야. 1526년엔 모하츠 전투.는 북쪽 헝가리로 가는거고. 한창 크로아티아 안에서 오스만이 수시로 쳐들어가는거걸랑. 얘들은 슬로베니아 땅 깊숙히 까지 가서리 약탈하고 와 이 오스만은. 

 

이 상태에서 가장 문제가 먹고사는거야. 오스만의 침입에 연일 대비해야 하고. 전쟁의 가운데에서 농민들은 죽어나는겨. 영주.들이 또한 더 악착같이 세금을 걷어. 전쟁은 곧 돈이야. 

 

Ferenc Tahy de Tahvár et Tarkő, (also known as Franjo Tahi, or Tahy in Croatian and as Ferenc Tahi in Slovenian; 1526–1573)[1][2] was a Croatian and Hungarian nobleman from the Tahy family, which draws its origins from Pilis County. He was known to have held the positions of royal adviser and master of the horse.[1] His cruel treatment of serfs sparked the Croatian–Slovene Peasant Revolt.

 

프레뇨 타히. 가 아빠가 크로아티아의 반. 이야. 이 반. ban 이란게 이전에는 걍 지방영주.지만 13세기부터는 크로아티아의 킹 대리야. 헝가리와 유니온이고 얘가 대리를 하는겨. 합스부르크 대리이고. 이 가문은 헝가리 가운데 땅에서 왔어. 헝가리인이 크로아티아 실세가 된겨. 헝가리 킹덤의 마스터 오스 호스. 말 집사여. 헝가기 왕정집안.에서 말. 담당이야. 이게 가축담당하는겨. 이 왕정집안 담당하는건. 코트 court 가 아냐. 집안 관리만 하는거야. 헌데 얘들이 그래서 또한 실세가 되는겨. 얜 배론. 남작이야. 말 이란 horse 담당이 왕정집안 경호원이야. 이게 코트에서 군사권력을 행세하는겨 또한. 얘가 전쟁중이라 또한 오스만을 막는 헝가리 부대 사령관도 하는거야. 그러면서 크로아티아의 땅들을 포상으로 받는거고. 얘가 지금 자그레브 쪽 땅들을 막막 받아. 이때 기존 영주집안이 있걸랑. 이 가문과 알력이 또한 생기는거고.

 

프레뇨 타히.가 헝가리에서 오스만을 막으면서 크로아티아에 땅을 더 받으면서 자기가 받은 영지의 농민들을 더 가혹히 대했다는거지. 무엇보다 세금이지 이게. 얜 오스만 상대로 전쟁을 잘한겨. 실력이 있어. 헌데 농민관리를 못한거지.

 

 

The rebellion broke out simultaneously in large parts of Croatia, Styria, and Carniola on 28 January 1573. The rebels' political program was to replace the nobility with peasant officials answerable directly to the emperor, and to abolish all feudal holdings and obligations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A peasant government was formed with Matija Gubec, Ivan Pasanec and Ivan Mogaić as members.[4] Far-reaching plans were drawn up, including abolition of provincial borders, opening of highways for trade, and self-rule by the peasants.

 

저걸 리볼트.로 작명한게. 이 농민들이 귀족을 농민세력으로 대체하고 자기들이 독일 자유도시들 처럼 황제와 임미디어시. 직접 교섭권을 갖으려 한겨. 로마 카톨릭에 주는 세금 등 의무도 벗어나려는 거고. 해서 리볼트. 라고 한건데.

 

Matija Gubec (Croatian pronunciation: [mǎtija gǔːbets]HungarianGubecz Máté) (c. 1548 – 15 February 1573),[1] with his real name Ambroz Gubec (or Gobec),[2] was a Croatian revolutionary, best known as the leader of the Croatian–Slovene Peasant Revolt of 1573.[3] He was part of the court of three people that governed the rebels.[4]

 

이때 주도자.가 마티야 구베쓰. 농민이야 이사람은. 농노야. 저 프레뇨 타히 집안의. 지도부 세명 중에 이사람 이름만 있어. 

 

On 5 February,[6] Uskok captain and baron Jobst Joseph von Thurn (CroatianJosip Turn) led an army of 500 Uskoks from Kostanjevica and some German soldiers[7] that defeated a rebel detachment of Nikola Kupinič at Krško (in Lower Styria),[6] which was the first larger rebel defeat.[7] This rapidly weakened the rebellion in Carniola and Styria.[6]

The next day, another rebel force was defeated near Samobor. On 9 February, the decisive Battle of Stubičko polje was fought. Gubec and his 10,000 men resisted fiercely, but after a bloody four-hour battle the baronial army defeated and captured Gubec. The revolt failed.

Retribution was brutal: in addition to the 3,000 peasants who died in the battle, many captives were hanged or maimed. Matija Gubec was publicly tortured and executed on 15 February. 

 

농민들이 반란해서 지역을 점령을 한거야. 일주일 후에 진압군이 와. 유스콕스 uskoks 란건 저당시 슬라브 게릴라부대여. 오스만애들 쳐들어와서 슬라브민들이 만든 부대여. 크로아티아 해변에서 처음 나와 이부대가. 얘들이 백년동안 오스만이랑 싸운겨 또한. 이들이 용병으로 농민을 진압하러 가는겨.

 

구베쓰.의 농민들은 1만명.인데 전쟁을 몰라. 유스코스 애들은 오스만이랑 전쟁을 해온 애들이고. 걍 진압이 돼. 복수가 잔인했다. 전투중에 3천명이 죽다. 포로가 된 이들은 목졸라 걸어놓거나. 불구로 만들다. 1만명이 다 걍 죽은겨.

 

 

슬라브.들이 나중에 저 마티야 구베쓰.를 롤 모델로 삼는겨. 이 농민반란이 슬라브애들의 정신이 돼. 월드워 2 후에 유고슬라비아.가 나오고 얘들이 슬라브 하나되자 민족 하걸랑. 이때 티토.가 나온겨. 얘가 띄우는게 그래서 저 마티야 구베쓰.이고 저 농민반란이야. 슬라브 이딴 의미업는건 이전에 썰했고. 이런 민족하미 묶는건 필패야 필패. 게르만이 천년 걸려서 한걸 미개한 애드리 그게 민족이여 한다고 되냐 그게. 인간들만 더 죽을 뿐이야. 레미제라블 안하겠다고 하면서 레미제라블만 더 더 더 만들뿐이야 저따위 민족놀이 이념놀이는. 

 

유고슬라비아. 전에. 월드워 1차.되고 슬라브들이 먼저 뭉친게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여 얘들 중심으로 킹덤하다가 이게 유고가 되서리 다들 굶주리고 몬살겠다 해대다가 다시 찢어지자 학살하다가 나토가 폭격을 한겨 

 

Lala Mustafa Pasha's Caucasian campaign was a military expedition launched in 1578 by Lala Kara Mustafa Pasha, a grand-vizier of the expanding Ottoman Empire. It is also considered a part of the larger conflict, Ottoman–Safavid War (1578–90).

 

오스만 사파비 전쟁. 오스만 그랜드비지어. 수상. 라라 무스타파 파샤.의 코카서스 캠페인. 사파비.가 서기 1500년 직후에 들어서. 얘들이랑 동쪽 경계로 싸워. 아르메니아 조지아. 등 코카서스.가 오스만에 들어오고. 쿠제스탄. 여기가 바스라 오른쪽 페르시아만 해변이야. 여기도 갖고와. 

 

Execution of Matija Gubec (at the square in front of st. Mark's Church in Zagreb)

마티야 구베쓰 처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