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tratto di Gentiluomo (detto "Cesare Borgia"), Accademia Carrara, Bergamo
체사레 보르자. 하면 저 그림이 뜨는데. 이사람이 초상화가 저뿐만이 아니라 몇개 더 있어. 이전의 존 칼리어. 포도주 따르려는 보르자 가족그림은 19세기 말 그림이고.
저그림 제목이 말야. 리트라또 디 젠틸루모모. 데또 체사레 보르자. 젠틀맨의 초상. 이야. 초상할때 초. 라는건
肖,金文
(小)
(肉,代身体),表示新生儿。造字本义:父母的小型肉身,即亲生孩子。篆文
承续金文字形。
Altobello Melone (Cremona, 1490/1491 – Cremona, prima del 1547) è stato un pittore italiano.
Egli fu — secondo l'autorevole parere di Roberto Longhi — «uno dei giovani più moderni ed audaci che contasse nei primi decenni del Cinquecento la pittura dell'Italia settentrionale»
저 그림 화가가. 알토벨로 멜로네. 체사레가 1475-1507 인데. 체사레가 아빠 교황이랑 밥먹고 같이 병걸려서 아빠죽고 얜 드러눕는게 1503년이야. 나이 28세 때야. 뒤의 4년은 누워있다가 스페인땅에 가서리 죽은겨. 저 화가가 얘를 볼수 있는건 1503년 이전이야. 화가 나이 13세 때야. 다시말해서. 저 그림이 체사레 라면. 얘가 상상해서 그린그림이야. 체사레라면 어릴때 우연히 봐서 그걸 복기해서 그린 상상도고 아니면 남들 말을 듣고 그린거고. 아니면 체사레 보르자 가 아닐 수도 있어.
로베르토 롱기.는 20세기 예술사가야. 당시에 가장 앞선 양식의 그림을 그린 사람.이라고 저 화가를 평한대.
젠틀맨. 이 자꾸 나오는데 말야. 그 허섭 귀족 젠트리가 레이디랑 동격인 단어가 된게 웃긴겨 저게.
A chivalrous, courteous, or honourable man.
Origin
Middle English (in the sense ‘man of noble birth’): from gentle + man, translating Old French gentilz hom. In later use the term denoted a man of a good family (especially one entitled to a coat of arms) but not of the nobility.
옥스포드 보면. 쉬벌러스. 코어티어스. 아너러블. 저게 다 중세 기사들 용어야. 중세 기사란 고대 로마고. 로마의 말탄 기사들 용어야.
이 나이트. knight. 기사란 걸 제대로 봐야 해.
나이트.외에
chevalier. 이건 불어야. 셰발리예. 영어로 셰발리어.
cavalier. 불어 카발례. 영어 캐벌리어.스페니쉬는 caballero 카바예로. 이것도 불어 영어가 써
저게 다 같은 말이야. 다를게 없어.
Origin
Late Middle English (denoting a horseman or mounted knight): from Old French, from medieval Latin caballarius, from Latin caballus ‘horse’. Compare with caballero and cavalier.
라틴어 카발루스. 라는 말. 에서 카발라리우스. 해서. 셰벌리에. 카발례. 라는 프랑스 갈리아 게르만 애들이 만든겨. 이걸 스페인에서 카바예로. 라고 쓰는거고.
저기서 chivalry 쉬벌리. 라는 나이트후드. 기사도. 기사정신.이란걸 만들어내.
라만차의 돈키호테가.
The Ingenious Nobleman Sir Quixote of La Mancha (Modern Spanish: El Ingenioso Hidalgo Don Quijote de la Mancha,
제목이. 엘 잉헤니오소 이달고. 야. 라만차.의 키호테 님. 인데. 인지니어스. 기발한 머리좋은 귀족. 이란거걸랑.
지니어스 genius .는 명사.이고. 저거에서 더 들어간게 엔진. engine 이야. 엔진.이 지니어스 수준의 말이야. 지니어스.에 인. 들어가서 문명의 중심이 된거고. 저거에 인지니어스. 로 보면돼.
스페인애들은 귀족을. hidalgo 로 쓰고. 이달고. 해. 히달고는 영어발음이고. 이게 얘들 어원은 리치맨. 부자야. italico 이탈리코 에서 온걸로 봐. 고대 로마때 여기도 식민지걸랑. 이탈리아 땅 시민권자가 부자인겨.
돈키호테.는 저기서 캐릭이 말야. caballero andante. 스페니쉬로 카바예로 안단테. 야. 기사인데 안단테.란건 걸어다니는건데. 걍 떠도는겨. 이걸 영어로 knight errant 라고 해. 어런트 라는게 떠도는겨. 에러 error 여. 에라레. 가 정답으로 안가고 오답으로 헤매는거야. 그래서 에러.야. 어. err 고. 헤매는 걸 에런트. 하는겨. 좋은 말로 방랑. 하는거고. 사랑찾아 명예찾아 더 강한 놈 이기려 하고.
저걸 번역해서 편력 기사. 하는겨. 당근 일본애들이 번역한거고.. 저런 번역을 그대로 쓰고 앉았고. 편력.이란건 두루 다 거친겨. 남성편력 여성편력 좋은말이야 그래서. 편력하면 반대로 전문성이 없다해서 안쳐줘 조선에선.
나이트 에런트. 란건 원조가. 아서왕. 이고 여기서 나온 원탁의 기사야.
이게 달라. 시작이.
King Arthur was a legendary British leader who, according to medieval histories and romances, led the defence of Britain against Saxon invaders in the late 5th and early 6th centuries. The details of Arthur's story are mainly composed of folklore and literary invention, and his historical existence is debated and disputed by modern historians.[2] The sparse historical background of Arthur is glean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the Annales Cambriae, the Historia Brittonum, and the writings of Gildas. Arthur's name also occurs in early poetic sources such as Y Gododdin.[3]
아서왕.은 6세기 전후. 서기 500년 전후 사람으로 봐. 켈트. 게일족이 게르만 섹슨족을 막는겨. 로마 나간 직후에. 과연 실존 했는가. 이게 브리튼 매터. 문제야 영국땅의 주제야 지금도. 저 사람과 관련된 이야기를 길다스.의 글. 이고도딘.의 글의 캐릭으로 연관을 시켜. 길다스.는 서기 5백년에 태어난 몽크. 수도사고. 이고도딘. 이란 시.는 13세기에 나온 책.에 나오는 시야. 서기 5백년대에 브리튼의 어느 킹덤에 벌어진 전투에서 죽은 사람들을 위해 쓰여진 시.가 저 아서왕.을 대상으로 한 거란 거지. 캄브리아이.는 웨일즈 연대기이고 이건 10세기 껄 카피한 12세기짜리가 현존하고. 브리튼 히스토리.는 서기 828년이 최초인듯 보이고 11세기 판본부터 보이는데. 여기서 언급되는 캐릭들이 아서왕.으로 보이는 게 있다는 거지.
지기 히스토리아 브리토눔. 이라는 최초본이 828년.으로 보이는게. 11세기부터 저걸 바탕으로 나온 파편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이 중에서.
Historia regum Britanniae (The History of the Kings of Britain), originally called De gestis Britonum (On the Deeds of the Britons), is a pseudohistorical account of British history, written around 1136 by Geoffrey of Monmouth. It chronicles the lives of the kings of the Britons over the course of two thousand years, beginning with the Trojansfounding the British nation and continuing until the Anglo-Saxons assumed control of much of Britain around the 7th century. It is one of the central pieces of the Matter of Britain.
제프리 먼머쓰. 가 서기 1136년 즈음에 쓴 브리튼 킹들의 역사. 에서 아서왕.이 등장을 해. 여긴 원탁의 기사. 이야긴 나오지가 않아.
Roman de Brut (meaning "Romance of Brut") or "Brut" is a verse literary history of Britain by the poet Wace. It is based on Geoffrey of Monmouth's Historia Regum Britanniae, and was probably begun around 1150 and finished in 1155.
Written in the Norman language, it consists of 14,866 lines. It was intended for a Norman audience interested in the legends and history of the new territories of the Anglo-Norman realm, covering the story of King Arthur and taking the history of Britain all the way back to the mythical Brutus of Troy.
저걸 보고서. 노르망디 사람 로버트 웨이스 Wace 가 소설을 쓴거야. 서기 1155년에. 이사람이 원탁의 기사.를 창조한겨. 로망 드 브릿. 브리튼.이야 브릿 Brut 은. 브리틴의 로망스야.
Culhwch and Olwen. 이전 짧게 언급한 쿨후크 올엔. 의 이야기.는 12세기 작품으로 봐. 여기도 아서왕이 나오는데. 하튼 저 역사서들에 아서왕이 12세기에 들어오고. 이걸 바로 소설로 원탁의 기사 만들면서 더 수두룩한 이야기들이 티나온겨.
저런걸. 세르반테스.가 본거야. 특히나 사랑찾아 모험찾아 떠나는 나이트 에런트.라는 방랑 기사들의 이야기.
를 받아서리. 카바례로 안단테. 라는 스페인말로 버전 업된 스페인땅의 방랑기사 돈키호테.를 쓴건데.
이 이야길 왜하냐 .
체사레 보르자 은제하냐 이거.
.
The word knight, from Old English cniht ("boy" or "servant"),[6] is a cognate of the German word Knecht ("servant, bondsman, vassal").[7] This meaning, of unknown origin, is common among West Germanic languages (cf Old Frisian kniucht, Dutch knecht, Danish knægt, Swedish knekt, Norwegian knekt, Middle High Germankneht, all meaning "boy, youth, lad").[6] Middle High German had the phrase guoter kneht, which also meant knight; but this meaning was in decline by about 1200.[8]
The meaning of cniht changed over time from its original meaning of "boy" to "household retainer". Ælfric's homily of St. Swithun describes a mounted retainer as a cniht. While cnihtas might have fought alongside their lords, their role as household servants features more prominently in the Anglo-Saxon texts. In several Anglo-Saxon wills cnihtas are left either money or lands. In his will, King Æthelstan leaves his cniht, Aelfmar, eight hides of land.[9]
A rādcniht, "riding-servant", was a servant delivering messages or patrolling coastlines on horseback.[citation needed]
A narrowing of the generic meaning "servant" to "military follower of a king or other superior" is visible by 1100. The specific military sense of a knight as a mounted warrior in the heavy cavalry emerges only in the Hundred Years' War. The verb "to knight" (to make someone a knight) appears around 1300; and, from the same time, the word "knighthood" shifted from "adolescence" to "rank or dignity of a knight".
An Equestrian (Latin, from eques "horseman", from equus "horse")[10] was a member of the second highest social class in the Roman Republic and early Roman Empire. This class is often translated as "knight"; the medieval knight, however, was called miles in Latin (which in classical Latin meant "soldier", normally infantry).[11][12][13]
In the later Roman Empire, the classical Latin word for horse, equus, was replaced in common parlance by the vulgar Latin caballus, sometimes thought to derive from Gaulish caballos.[14] From caballus arose terms in the various Romance languages cognate with the (French-derived) English cavalier: Italian cavaliere, Spanish caballero, French chevalier (whence chivalry), Portuguese cavaleiro, and Romanian cavaler.[15] The Germanic languages have terms cognate with the English rider: German Ritter, and Dutch and Scandinavian ridder. These words are derived from Germanic rīdan, "to ride", in turn derived from the Proto-Indo-European root reidh-.[16]
저 나이트. 란걸 자세히 보면 말야. 시작이 써번트.에 바쌀이야. 임차인이 주인을 모시는겨. 독자적인 게르만어야. 저걸 서로다른 게르만애들이 게르만 어원 etymon.에서 디리버티브 derivative 변형해서 만들고. 그 변형된 말을 다시 변형 cognate 해서 여기저기서 쓰는겨. 이게 영어로 지금 나이트 knight 인거고.
독일애들은 대게 리터. 해. 저 마지막 기사. 노래의 기사가 리터.야 Ritter . 이건 라이더 rider (말)탄 사람.이야. 독일애들은 이말을 주로 써.
고대로마의 기사. 말탄 사람.은 이퀘스테리언. 이야. 에쿠스 equus 말에서. 말탄사람 에쿠에스 eques. 게르만이 이말을 안쓰고 얘들도 말.horse 란 단어가 있었걸랑. 갈리아나 게르만은 기마부족이었어. 로마의 에쿠스.를 쓸 이유가 없어. 갈리아 말에 카발로스 caballos 가 있던겨. 이걸 로마가 카발루스. 한거야. 즉 라틴어가 중기이후엔. 오히려 갈리아 게르만애들 말을 어원으로 해서 생기게 되는겨 이게. 해서 옥스포드 사전에 저 어원을 라틴어로 쓴건 잘못된겨 옥스포드가.
해서 게르만애들의 말 카발로스. 에서 프랑스는 셰발리예 chevalier 이탈리아어로 받아서 카발리에르 스페인은 카바예로 caballero 해서 영어가 chevalier cavalier 같이 쓰는거고.
나이트.란 영어는. 충성충에 더 집중하는 의미로 쓰는겨. 즉 먼가 어감이 무거운거야 이건. 잉글랜드 애들이 하미지.가 가운데 정체성에 강한거야 이게. 독일애들은 정작 라이더. 를 쓰걸랑. 스페인 프랑스도 결국 말탄 라이더야. 저게 지금 영국.과 떨거지들의 가름 일 수도 있어.
영국은 더하여. 저 가운데 정체성의 상징이. 그 프리함. 리버티. 프리덤.이 동양빠닥애들보다 차원이 훨 높은거였고. 여기에 영국애들이 힘을 모은겨. 지금 문명은 영국이야.
.
귀족계층 피어리지 peerage 를 마저 정리 하면. 저 나이트.가 어딘지 보려면 말야.
Duke DuchessMarquess MarchionessEarl CountessViscount ViscountessBaron Baroness
저건 잉글랜드.의 피어리지.걸랑. 마퀴스.의 여자는 마쉬어니스 marchioness 단어가 약간 달라.
카운트 대신.에 자기들 말 얼.을 쓴건데.
일본애들이 메이지 초기에. 자기들 귀족제도를 유럽애들에 짜맞추면서. 공후백자남.을 만들때 저걸 보고 고대로 만든거갈랑.
저기서 웃긴건 저 마퀴스. 라는거야
The first marquess in England was Robert de Vere, 9th Earl of Oxford, who was appointed the Marquess of Dublin by King Richard II of England on 1 December 1385. On 13 October 1386, the patent of this marquessate was recalled, and Robert de Vere was raised to the rank of the Duke of Ireland. John Beaufort, 1st Earl of Somerset, the second illegitimate son of John of Gaunt, was raised to the second marquessate as the Marquess of Dorset in September 1397. In 1399, he was disgraced, and the king revoked his marquessate. The House of Commons of England later petitioned King Henry IV for his restoration, but the King objected stating "the name of marquess is a strange name in this realm". From that period the title appears to have been dormant until it was revived by Henry VI in 1442.
잉글랜드.가 마퀴스. 란걸 시작한건. 서기 1385년.이야 리차드 2세. 잉글랜드3세 다음이야 백년전쟁 한창일때. 더블린.에 마퀴스를 임명해. 아일랜드 수도야. 곤트의 존. 흑태자 동생.의 안적법자식에게 도싯.의 마퀴스를 줘. 곤트의 존.이 리차드 2세의 삼촌이걸랑 흑태자 아들이니. 도싯의 마퀴스.는 취소해. 뒤의 헨리4세에게 되돌려달라 탄원이 들어와 의회에에서. 거절하면서 하는말. 마퀴스 라는 이름은 낯설다 우리 킹덤엔.
쟤들은 원래 듀크. 에 얼.이야 다음 시다바리 배런들이고. 마퀴스. 라는건 정작 말야. 피어리지. 를 시작한 프랑스에도 없는게 저 마퀴스야. 프랑스는 중세 초기에 이게 있다가 다 사라져버렸어 중세 중반 지나면서
The traditional number of peers is twelve. They are:
- Archbishop-Duke of Reims, premier peer
- Bishop-Duke of Laon
- Bishop-Duke of Langres
- Bishop-Count of Beauvais
- Bishop-Count of Châlons
- Bishop-Count of Noyon
- Duke of Normandy
- Duke of Aquitaine, also called Duke of Guyenne
- Duke of Burgundy
- Count of Flanders
- Count of Champagne
- Count of Toulouse
이 프랑스.는 중세 초에. 아예 12개 영지에 서열을 매겼어. 노르망디 아키탄.이 세속영지에선 제일 위야. 왜냐믄. 플랜태져넷 앙주가 저땅을 갖고 잉글랜드 킹.하는데 실지왕 존때부터냐 잉글랜드에 하미지를 해야 하걸랑 프랑스 땅에 대해선. 부르고뉴 보다 아래일순 없는겨. 어쨋거나 주교의 카운트 보단 아래야.
Titles:
- Duc: possessor of a duchy (duché—a feudal property, not an independent principality) and recognition as duke by the king.
- Prince: possessor of a lordship styled a principality (principauté); most such titles were held by family tradition and were treated by the court as titres de courtoisie—often borne by the eldest sons of the more important duke-peers. This title of prince is not to be confused with the rank of prince, borne by the princes du sang, the princes légitimés or the princes étrangers whose high precedence derived from their kinship to actual rulers.
- Marquis: possessor of a marquessate (marquisat), but often assumed by a noble family as a titre de courtoisie
- Comte: possessor of a county (comté) or self-assumed.
- Vicomte: possessor of a viscounty (vicomté) or self-assumed.
- Baron: possessor of a barony (baronnie) or self-assumed.
- Vidame: a rare title, always with the name of a diocese, as their origin was as the commander of a bishop's forces. The Vidame de Chartres is the best known.
프랑스.의 귀족 명함인데. 아래 비담. vidame 이라 보이는건. 교회 주교가. 자기 관구 안에 세속영지화해서 애가 주는 땅이야.
저기서 마퀴스.에 해당하는 불어 마키 marquis 는. 프랑스 땅에 없어. 저건 커터시. 걍 명예직이야. 이름만 줘 땅은 없고.
쟤들은 원래 마퀴스. 마키.란 후작이란 건 없었어.
- Fils de France: son of a king or dauphin.
- Petit-fils de France: grandson of a king in the male line.
- Prince du Sang ("prince of the blood"): a remote, legitimate male-line descendant of a king of France.[7]
- Peer of France was technically a dignity of the Crown (as, e.g., marshal of France), but became in fact the highest hereditary rank borne by the French nobility—always in conjunction with a title (e.g. "Duc et Pair", "Comte-Pair"). The peerage was originally awarded only to princes of the blood, some legitimised and foreign princes, often the heads of the kingdom's most ancient and powerful families, and a few bishops. Eventually it was almost always granted in conjunction with the title of duke. Gradually the peerage came to be conferred more broadly as a reward for distinguished military or diplomatic service, but also on favourites of the king (e.g. les mignons). The peers were entitled to seats in the Parliament of Paris, the most important judicial court in the kingdom.
- Prince légitimé: legitimised son or male-line descendant of a king. Precise rank depended upon the king's favour.
- Prince étranger ("foreign prince"): members of foreign royal or princely families naturalized at the French court, such as the Clèves, Rohan, La Tour d'Auvergne, and Lorraine-Guise.
- Chevalier: an otherwise untitled nobleman who belonged to an order of chivalry; earlier, a rank for untitled members of the oldest noble families. Later distinction was that a Knight (Sieur) went through the dubbing ceremony (touched with a sword on the head and shoulders by the King), while the lesser rank of Chevalier or Knight Bachelor received the rank without the ceremony.
- Écuyer ("Squire" and literally: "shield bearer"): lowest specific rank in the nobility, to which the vast majority of untitled nobles were entitled; also called valet or noble homme in certain regions.
- Gentilhomme: lowest non-specific rank indicating nobility
- Seigneur ("Lord of the manor" and literally: "lord"): term for the untitled owner of a feudal property; strictly, neither a title nor a rank, it indicated that a landlord's property had certain noble rights attached, although properly it did not indicate the owner was noble, especially after the 17th century.
- Bâtard: recognized bastard son of a gentleman or nobleman. They could not usually inherit a title (if any claimants of legitimate birth existed) but could be employed in their father's retinue. Bastard sons and daughters were often married off to allied or subordinate families to strengthen ties or to bind lesser families to them.
프랑스 귀족의 랭킹. 계급을 매긴건데. 세자.가 도팽.이고 직계 자식이 가장 높아. 그다음에 손자. 그다음엔 왕족의 적법한 남자 자손. 이건 후계자 순위 드는 애들 만이야. 가장 기본은 적법.이야. 정식결혼 후.에 태어난겨. 저 맨 끝이 배타흐. batard 이게 영어로 배스터드. 일리지티메이트. 혼외자식인겨. 배스터드.가 원래 걍 저런 법률용언데. 지금은 걍 개개끼 욕으로 쓰는거고.
그다음이 피어 오브 프랑스. 저 피어. 라는 같다.라는 파. 페어.는 원래 킹이나 킹의 자식 프린스.가 다른 킹 프린스 랑 같다 에서 시작해서리. 듀크도 니네랑 같어 쎄우고. 아이 카운트인 나도 니랑 같어. 하다가 아이 다 같어. 해서 피어. 하는건데. 해서 저긴 그냥 저리 뭉뚱그린겨. 피어 오브 프랑스.로.
그다음 순위가 적법한 프린스. 즉 킹 승계 못받은 적법 자식이야. 얘들이 저 들 피어들 보다 아래란거지. 그다음에 외국에서 오는 손님들 프린스.
저런게 의전 에서 중요하니까. 다들 모일때. 그래서 나눈거고.
그다음에가 셰발리예. 나이트. 기사여.
다음이 에퀴예. 이게 에스콰이어. 하는겨. 셰발리예.의 방배 지기야. 방패 무거우니 기사 따까리하는겨.
얘 아래가 장티욤. 이게 젠틀맨. 다음이 세뇨르. 걍 땅주인 지주야. 그다음 배스타드.
젠틀맨.이랑 세뇨르.는 기사도 아니고 세뇨르는 땅이나 재산이라도 있는거고. 잰틀맨.이 제일 허섭한 귀족이야. 방패잡이 에스콰이어 만도 못한겨 저건.
잉글랜드 영어권에서. 저 다음 아래에 티나오는 말이 Yeoman 요우먼. 이야. 얜 영주님의 영지의 빌런. vllein 농노들을 관리하는 마름.으로 보면 돼. 즉 세뇨르. 의 아래야.
.
저 마키스. 라는게
The Marches of Neustria were two marches created in 861 by the Carolingian king of West Francia Charles the Bald that were ruled by officials appointed by the crown, known as wardens, prefects or margraves (or "marquis" in French). Originally, one March was created against the Bretons and one against the Norsemen, often called the Breton March and Norman March respectively.
In 911, Robert I of France became margrave of both Marches and took the title demarchus. His family, the later Capetians, ruled the whole of Neustria until 987, when Hugh Capet was elected king of the Franks. The subsidiary counts of Neustria had exceeded the margrave in power by that time and the peak of Viking and Breton raiding had passed. After the Capetian Miracle, no further margraves were appointed
대륙엔. 찰스 자식들이 땅 나누면서. 대머리 샤를이. 당시 아직 서쪽 끝 브리타니.는 브레튼 breton 이란 갈리아야. 오른쪽에 로타르땅들. 양 경계선에 울타리 땅들을 이십여개를 세우는겨. 이게 중세 마크. 마키스의 시작이야.
Etymologically, the word "margrave" (Latin: marchio,
c.
1551) is the English and French form of the German noble title Markgraf (Mark, meaning "march" or "mark", that is, border land, added to Graf, meaning "Count"); it is related semantically to the English title "Marcher Lord". As a noun and hereditary title, "margrave" was common among the languages of Europe, such as Spanish and Polish.[1]
A Markgraf (margrave) originally functioned as the military governor of a Carolingian march, a medieval border province.[2] Because the territorial integrity of the borders of the realm of a king or emperor was essential to national security, the vassal (whether a count or other lord) whose lands were on the march of the kingdom or empire was likely to be appointed a margrave and given greater responsibility for securing the border
마크. 마그레이브. 마크라프. 영어 마치. 경계를 찍은겨 콕. 그라프.는 카운트. 경계지역의 카운트. 란겨. 공식적으로도 카운트 보다 윗 레벨로 봐.
저건 군사적인 지배자.야 처음엔. 그러다 이 의미가 퇴색이 된거지. 신성로마는 엘베강 넘어 확장하면서 이 마크그라프. 마그레으브를 세우는거야.
헌데 정작. 중세 피어리지.의 창시자인 프랑스는 저건 안써. 잉글랜드 도 그런거야 그래서. 대체 마퀴스.란게 언제부터 써댄겨 이거. 우린 듀크에 얼.에 따까리 배론만 있으면 되지. 하다가 저기도 명예혁명 전까지 특히나 내전이걸랑. 마퀴스가 생긴겨 브리튼 전역에.
할때, 체사레 보르자.의 초상화 제목이 젠틀맨.이란건 저 기사 방패지는 딱깔이 에스콰이어.의 아래 였는데.
기사가 없어졌걸랑. 이젠. 총이 생기고. 봉건 지주 중심의 제도가 무너졌어 땅 중심의 체제가 작동이 안돼. 땅은 한정되고 기사들이 넘쳐나. 이들이 상공업에 들어가고 신대륙이 등장하고 탐험의 시대가 열렸어. 세상이 자기들 꺼야.
말탄 기사가 효용가치가 없는 시대가 되어버린거야.
콜럼버스가 2차때부터 싣고 가는 애들이 2백명의 젠트리들이야 하급 귀족들. 얘들이 하는겨 이제. 탐험 모험의 로망을 신대륙과 아시아로 가는겨.
그러면서. 기사도.의 좋은 말을 저들이 다 취하게 된거야. 먼말이냐면. 16세기부터 근대는 이들 하급 기사와 젠틀맨들이 만든거야. 저들이 밖으로 다 쏟아져 나간거걸랑.
그래서. 옥스포드 잰틀맨의 첫 정의 쉬벌러스. 코어티어스. 기사들에 대한 추상이걸랑. 이 의미들을 얘들이 차지를 한겨. 레이디.와 같은 레벨이 된거야.
오히려. 레이디.들은 주저앉은겨. 레이디.는 로어드.의 종속이야. 로어드.들이 주저앉은거야. 로어드.는 땅을 가진 지주야. 이 지위가 내려가 버린겨 사람들 마음에서. 로어드와 함께 레이디가 내려가고, 상대적으로 젠틀맨의 시대를 주도하면서 올라가서 둘이 동격이 되어버린거지.
멋진 해석이야.
쓰다보니 저런 결론이 생기네.
체사레 보르자. 언제 하냐 이거.
.
원탁의 기사. 이런게 쟤들의 또다른 이유야. 원탁을 만들걸랑. 서열을 지워 지도부가. 같이 피어. 파 가 되는겨. 저게 영국애들의 힘이야. 가운데 집중 충성 하지만. 그 가운데가 원탁이야. 원탁에 하미지를 하는 민들도 저들 피어리지 처럼 같은 피어가 되는겨. 저게 유럽애들에게 퍼지는거고.
동양빠닥에선 볼 수 없는 이야기지. 동양이 가 된 이유야.
나중에 하자.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사120. 체사레 보르자4 ft.카테리나 스포르차. 바티칸시티 (0) | 2018.12.26 |
---|---|
유럽사119. 체사레 보르자3 (0) | 2018.12.23 |
유럽사117. 체사레 보르자, 르네상스의 여인들 (0) | 2018.12.21 |
유럽사116. 유럽의 행정구역 (0) | 2018.12.20 |
유럽사115. 노빌리티 Nobility. 귀하다 (0) | 2018.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