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ng out or develop (something latent or potential)
educe. 이듀스.
Late Middle English: from Latin educere ‘lead out’, from e- (variant of ex-) ‘out’ + ducere ‘to lead’.
라틴어 에듀케레. 두케레. 가 둑스.야 나중에. 로마가 갈리아 등의 이민족애들 리더에게 쓰던 말이 둑스.야. 이게 나중 듀크. 공작이 되는겨. 두케레. 가 또한 아퀴덕트. 하는 덕트가 돼. 수로. 상수도 하수도 하는. 물길이야 저게. 리드 해서 아웃. 더 나은 곳으로 인도하는게 에듀케이션. 하는겨.
educate.
Origin
Late Middle English: from Latin educat- ‘led out’, from the verb educare, related to educere ‘lead out’ (see educe).
.
유럽애들의 교육 이야기 를 정리를 해야해. 이전에 대학 을 잠깐 봔는데. 1088 볼로냐 대학 부터. 중세에 교황이 카르테스. 차터를 주면서 다 공인을 하걸랑. 저때부터 걍 유럽 바닥에 대학들이 서는겨.
Liberal arts education (from Latin liberalis "free" and ars "art or principled practice") can claim to be the oldest programme of higher education in Western history.[1] It has its origin in the attempt to discover first principles – 'those universal principles which are the condition of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anything and everything'.[2] The liberal arts are those subjects or skills that in classical antiquity were considered essential for a free person (liberalis, "worthy of a free person")[3] to know in order to take an active part in civic life, something that (for ancient Greece) included participating in public debate, defending oneself in court, serving on juries, and most importantly, military service. Grammar, logic, and rhetoric were the core liberal arts (the trivium), while arithmetic, geometry, the theory of music, and astronomy also played a – somewhat lesser – part in education (as the quadrivium)
저 모든 중세 대학들에서. 리베랄리스. 자유로운 인간다움.의 인간을 만든겨 저게. 문법. 논리. 수사학. 수학 기하학 음악 천문학. 세개 네개 나눠서 커리큘럼 만들고. 여기에 의학에 신학도 배워야해. 그래야 학위를 줘.
영지인에 한정을 안둬. 모든 유럽애들이 지 가고 싶은 곳에 가는겨 추천장 받아서리.
저 유럽은. 하나의 나라야 저게. 이 조선 들이나 중국이 개 들처럼. 지들 만 아는 들이 아냐. 지들끼리만 벽을 전 국토 사방에 장벽을 세워서리 상대는 적폐. 오랑캐. 자기는 선비. 정의 .
저 을 지금도 여전히 하고 자빠졌으니 저 개 들 .
이 조선 들은 말야. 정말 개 머저리 들이야. 저런 글에 반일 하면 아 위대한 중국이. 중국이를 배워야 해. 하민서 말야. 지들이 중국이 들에게 당한 것은 전혀 몰라
왜냐믄. 안가르치걸랑. 모르거니와 일단. 중국이가 고려말때부터 서기 1100년 이후부터 이 조선 바닥을 얼마나 괴롭히고 여자들을 공녀로 써대면서 노리개 취급한걸 안가르쳐. 고려시대에 고려여자들이 저 소주항주 하는곳에 팔려가는겨. 주원장 나올때. 장사성 놀이 하는 장사성네에서. 고려여자들이 쟤들을 접대해. 장사성 애들이 고려여자의 사연을 듣고 고려여자 시를 지어.
명나라가 망하면 그 들을 또 사당으로 모셔. 아 진짜 소중화 우리네.
저런 바닥이 말야. 중국몽에 지발 좀 끼워주슈. 인민의 나라님들.
참 끔찍한 들이야 저 천년 된 노예의 마음들이 말야. 일본 한테 당한건 나쁜데. 천년을 모시던 중국이님들을 어드래 감히 욕질하냐 이 친일 적폐 야. 공자님의 나라고. 우리네 조선에 이름 준 나라님이신데. 떠받들어 모실 생각 안하고 감히 중국이님들한테 당한걸 복기 하라니 이 친일적폐 새꺄. 중국이님들한텐 당해도 돼. 한민족이신 북조선이 우리네 남조선에 전쟁한건 괜찮아. 해도 돼. 한민족이잖아. 일본은 나쁜겨. 제국주의 잖아. 자본주의잖아. ㅋㅋㅋ
눈물나는겨 진짜. 저 개 무식한 조선 들은.
저게 민주 정의 애들의 유일한 무기야. 야만이야 그래서. 저 들의 도덕성은 그래서. 기존 권력애들이 권력갖기 전의 도덕성 수준이야. 게르만이 야만 부락에서 벗어나는 서기 사오백년 전 의 그 수준이야. 아니지 게르만은 기본 페델리티는 있다 해쓰니. 그 수준도 안되겠지만.
우리네 노무현님의 자식이라니. 오 이거 챙기줘야돼유. 몇억 달라구유? 기둘리슈. 자식애들 취업유. 당근이쥬. 이념의 성지님들인데 우리네가.
세상에. 자기 형수 오망고를 어쩌고. 저딴 이야긴 정치면 천오백년 보면서 본 적이 없어.
감찰하는 들이 떼로 모여서 접대 받았다는 기사.는 조선 사헌부 사간원때부터도 본 적이 없어 저딴 이야긴.
저런 사례들이 한두개냐 저게. 왜냐면. 민주 놀이 정의 놀이 하다가. 이제서야 길거리에서 벗어나서 따땃한 스팀을 쐬는 거걸랑. 모럴. 이란걸 고민하거나 습해본적이 없어. 걍 반대 만 대면서 적폐 놀이로 인생 다 허비를 하걸랑. 자기 눈엔 세상이 쉬워보이는겨. 인문 이란걸 쌓아본 적이 없어. 쟤들이 말글하는거 보면 그 무식이 절절해. 헌데 이땅 민들 수준자체가 무식하걸랑. 저런 애들이 말글놀이하면 베스트 셀러 대접을 받아. 끔찍한거야 저게.
야만이야 저건. 쟤들은 문명이 아냐. 문명을 욕질하다가 처음 문명인의 옷을 입은겨 징징징징 일생에 바치곤. 도덕 모럴 이란걸 고민하거나 습해본적이 없어. 공부도 해본적이 없어. 일단 볼 게 없었어 쟤들 세대는. 번역 된게 없어. 이천년대야 볼만한게 번역이 되서 나온겨. 일본들이 번역한걸 허섭하게 몰래 보고 반일 놀이로 일생을 산겨. 걍 그게 다야. 정의의 사도가 되서리. 보상을 받아야해. 당연한겨 접대 받는건. 여자도 감히 와서 정의의 조때가릴 감사히 빨지못할망정 미투. 열 받는거지.
남들 앞에서 조때가리 덜렁덜렁 . 이네 이런 용기 있냐? 저게 일본드리 메이지이신 이전시절. 거리에서 지 잣대가리 자랑하면서 길바닥에 오줌싸는 이걸랑. 니네 이런 용기 있냐? 아 이념의 성지님의 대빵님의 저런 용기. 차마 저런 용기는 없어. 아 쪽팔리 그래서. 짐은 용기가 없어.
저게. 교육이 업어서 그래. 이땅은 교육이 있어본적이 없어. 성균관이 다야. 저기가 사서 외우면서 공무원 키우던 곳이걸랑. 사서만 달달달달 외우는겨 저게. 저 개 책을. 저게 구한말이 똥떵어리가 된 근본적인 이유야.
.유럽엔 저런 대학 말고 말야. 그럼. 대학 입학 전 대상 애들의 대해선 어떤걸 시켰나.
초등학교는 최근에야 생긴겨 이게.
.
A primary school (or elementary school in American English and often in Canadian English) is a school in which children receive primary or elementary education from the age of about seven to twelve, coming after preschool, infant school and before secondary school. (In some countries there is an intermediate stage of middle school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프라이머리 스쿨.을 미국에서 엘리먼터리 스쿨. 하는거고. 우리네는 이걸 국민학교.하다가 국민이란 말이 일제냄새에 박정희가 만든거는 다 적폐니까 초등학교 한거걸랑.
요즘에야 박정희가 이해가 돼. 박정희나 지금 보수란 애들이나 말야. 일단 조선이 끔찍했던건 알아. 자유주의라는 걸로 얘들은 퉁치지만. 저들 유럽사가 얼마나 어마무시한걸 얘들은 또한 몰라. 너무나 복잡한듯 얽히고 섥혀서리. 유럽사를 꿰뚫어서 이해한 사람이 이 땅바닥엔 단 하나 없어. 해서 걍 반공이란 두글자로 다스린겨 저 시절은. 일단 데이타를 몰라. 일본애들이 허섭하게 번역한 이야기를 한글로 번역한 일부 이야기만 알수가 있어. 그래서 또한 무식하게 다뤘을 뿐인데. 헌데 정체성.을 고민을 해. 국가. 이건 중요한겨. 국가란 정체성이 이땅바닥엔 선 적이 없어. 오직 조선이야 조선. 대한민국이란 글자도 구한말때 고종이하 선비들이 만든겨. 자기들에 대한 반성 전혀 없이. 뜬금포 대한제국 대민서리. 선포할때 고종이 그러잖니. 외국애들이 우리가 대한제국이란걸 인정하고 받아들이냐덜. 얘 즌하. 다들 흔쾌히 우리네 위대한 조선 이 대한제국으로 거듭남을 어쩌구 합니다 새꺄 걍 얼렁 선포해 대한국제해서 이 새 개새꺄 조선의 황제님이 전제 정치하는 곳이고 황제 말이 최고의 잣대다라고 법도 만들었어 외쿡애들이 ...관시미가 이껜니 없겐니. 저게 대한제국에서 대한민국한 것일 뿐이야. 그 첫째가 대한민국은 인민들이 주인이고 어쩌고 인민 하는거고. 지금 인민 인민. 대는거야 그래서. 저게 다 이유가 있는겨.
박정희가. 국가란 정체성을 심으려 한겨 저게. 일본애들이 메이지때 소학교를 만들고 이걸 국민학교로 개칭해. 국민이어야 해.
그래서 일부러 국민국민 댈 수 밖에 없어. 애국가 틀어서리. 모든 곳에 애국가 틀고. 경례하란게. 얘가 잘한겨 그래서. 이 땅은 국가.에 대한 정체성을 만든 적이 없어 이게. 이걸 억지로라도 심으려 한겨. 국가 란게 나오기까지 유럽애들의 피터지는 천오백년의 중세와 근대이야기를 알 수가 없고. 그 이전의 고대 로마도 몰라. 너무나 방대한 이야기를 쉽게 전해줄 아이도 없어. 헌데 정체성이란게 중요한건 알아. 그래서 만든거야 저 말을.
지금에야 다시 조선의 혼들이 살아난겨. 국민.이란 말 나뻐. 국가 나뻐. 이념이 최고야. 우리 조선은 이념으로 살아온겨. 이념에 환장하고 미친 시대가 다시 온겨. 이건 참 슬픈거야. 군이 자살을 해. 잘한거란겨 적폐라서. 군인이 죽어도 안가. 왜 가. 군인은 적폐야 . 인민죽인게 군인이란겨. 군대가기싫어. 가지마 . 이념이 최고야. 그게 인권이야. 폭력 나뻐. 국가따위 안좋아 인민이란 말 쓰고 싶어 미치겄어. 국가 란건 없애야해. 인민들이 연대해서리 공동체를 만드는겨. 걍 쉽잖아 말 퍼뜨리긴.
믿으세요 믿어요. ㅋㅋㅋ.
The term primary school is derived from the French école primaire, which was first used in 1802.[1]
프라이머리 스쿨.이란건 프랑스에서 처음 나온건데. 이게 1802년이야.
A vocal school, blab school or ABC school or old-time school was a type of children's primary school at some remote rural places in North America, outdated and obsolete as the 19th century progressed. The school children recited (blabbed) their lessons out loud separately or in chorus with others as a method of learning.
미국에선. 저 이후에 나와 애들 대상 학교는. 이걸 블랩 스쿨. 에비시 스쿨. 이라해. 이게 뒤에 엘리멘터리 스쿨. 이 되는겨. 블랩. 이란건 걍 입을 막 떼면서 내는 소리야. 말문이 터진겨 걍. 꼬마애들의 말이야. 에이비시 부터 가르치는겨.
Origin
Old English scōl, scolu, via Latin from Greek skholē ‘leisure, philosophy, lecture place’, reinforced in Middle English by Old French escole.
스쿨. 이란건 그리스어의 놀이. 철학. 강연장. 에서 온 말인데. 이게 올드 프렌치의 에스콜레. 하다가 에콜레. 하다가 지금 스쿨 모양이 된건데.
이전엔 다들 꼬마들은 걍 홈스쿨이야. 괴테도 홈스쿨이야. 괴테 이전 2백년전 인간 츠빙글리도 삼촌이 가르쳐. 과외선생을 두고 가르치거나 가족이 가르쳐. 고대로마때 그리스 사람들이 가장 비싼 노예야. 이들을 가정교사로 써. 로마는 자기들이 그리스 보다 후진걸 알아. 로마나 게르만이나 자기들이 후진건 후짐을 인정해. 그래서 로마가 게르만이 세상을 제일 앞선거야.
제일 열등한 들이. 제일 앞선 들인줄알아. 이건 중국이나 무슬림이나 인도나 똑같애 이 개들. 더하여 조선들은 말야. 저들보다 조오오온나게 후지면서. 오히려 그 허영심은 더해. 이건 머 약도 없어.
애들이 후질 수 밖에 없는겨. 잘난 들은 내가 어디가 더 후진가 해서 각성을 해서 배우는데. 개 야만들이 자기들이 대단하다고 배울 생각을 안해. 정신병도 아니고 말야 드라큘라만 양산하는겨 이게.
저게 동양에선. 서당이나 숙. 등의 자기들 이름으로 애들 가르치는거고 훈장이. 저건 교육제도가 아냐.
헌데 19세기부터 등장하는 스쿨.은 국가가 주도적으로 나서서리. 사립이든 공립이든 만들어서. 교과과정을 저 유니버서티. 처럼 일곱개 아트스. 아르스. 들의 커리큘럼을 만들어서 뿌리듯이. 저때부터야 한겨 저걸.
저건 대략 7살에서 12살.
A secondary school is both an organization that provides secondary education and the building where this takes place. Some secondary schools can provide both lower secondary education and upper secondary education (levels 2 and 3 of the ISCEDscale), but these can also be provided in separate schools, as in the American middle school- high school system.
세컨더리 스쿨. 이런말은 나중에야 정리한 말이고. 프라이머리. 다음에 나온말이야. 2차 교육. 여기서 미들 하이 가 나뉘는겨.
Secondary schools typically follow on from primary schools and lead into vocational and tertiary education. Attendance is compulsory in most countries for students between the ages of 11 and 16. The organisations, buildings, and terminology are more or less unique in each country.[1][2]
대략 11살에서 16살.
Origin
Mid 16th century: from Latin adultus, past participle of adolescere ‘grow to maturity’ (see adolescent).
어덜트. adult. 성인.은 아둘투스. 에서 와. 아돌레스케레. 자라서 머츄리티. 다 익은거야. 마투루스.
아돌레스케레.는 from ad- ‘to’ + alescere ‘grow, grow up’, 알레스케레. 에서 왔어. 앞에 ad 애드가. 투. 향하는겨. 자라는 것으로 가는겨. 이게 adolescent 애돌레슨트. 란 청소년. 이야. 아직 다 안 익었어. 어덜트.는 다 익었어. 저 말의 과거된 시제야. 어덜트.는 에돌레슨트.보다 늦어 말이.
차일드. child. 는 애돌레슨트. 이전의 나이야. 이게 프라이머리 스쿨 애들이야.
저 둘을 다 영 young 하는겨. 영. 은 juvenis 에서 만든 게르만어야.juvinile 주버나일.은 라틴어 그대로 갖고온거고. old 는 저 어덜트 에서 변형된 게르만이고. 차일드는 독자적인 게르만어야.
퓨버티. puberty 란 사춘기.는 pubes 뷰비스. 골반이야. 퓨버털. 골반에서 애 만드는 시절이 된겨. 이건 생산능력과 관련된 말이야.
Sixth century[edit]
- The King's School, Canterbury, England (597)[1][2]
Seventh century[edit]
- The King's School, Rochester, England (604)[1][3]
- St Peter's School, York, England (627)[1][4]
- Thetford Grammar School, Thetford, England (631),[5] first conclusive (1114)
- Royal Grammar School Worcester, England (685),[6] first conclusive evidence (1291)[1]
- Hereford Cathedral School, England (676)[citation needed]
Eighth century[edit]
- Beverley Grammar School, England (700), oldest state school in England[7]
- Gymnasium Paulinum, Germany (797)[8]
- Gymnasium Theodorianum, Germany (799)[citation needed]
Ninth century[edit]
- Gymnasium Carolinum, Osnabrück, Germany (804), founded by Charles the Great (Charlemagne)[citation needed]
- Stiftsgymnasium Xanten, Xanten, Germany (exact founding date not clear)[citation needed]
Tenth century[edit]
- Wells Cathedral School, England (c.909)[9]
- Warwick School, England (914)[citation needed]
- St Albans School, England (948)[1]
- Southwell Minster School, England (c. 956)
- The King's School, Ely, England (970)[1]
- Roskilde Katedralskole, Denmark (c. 980)[citation needed]
- Pannonhalma Benedictine College, Hungary (996)[citation needed], founded by Grand Prince Géza of Hungary
Eleventh century[edit]
- Suzhou High School, China (1035)[10]
- Menntaskólinn í Reykjavík, Iceland (1056)[citation needed]
- Viborg Katedralskole, Denmark (c.1060)[citation needed]
- Katedralskolan, Lund, Sweden (1085)[citation needed], originally part of Denmark, despite the many Danish-Swedish wars continuously operating since it was founded.
- Salisbury Cathedral School, England (1091)[citation needed]
- Norwich School, England (1096)[1]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 가장 오래된 게 켄터베리.의 킹스 스쿨. 서기 597년. 그리고 서기 600년 직후에.
로치스터 킹스스쿨. 요크 성베드로 스쿨. 뗏포드 그래머스쿨. 워시스터 로얄그래머스쿨. 헤리포드 성당학교. 베벌리 문법학교.
독일의 김나지움 파울리눔. 서기 797년에야 시작해. 잉글랜도 보다 2백년이 늦어. 이게 잉글랜드 외에 가장 오래된 학교야.
.
잉글랜드. 는 엄청난 애들이야. 잉글랜드가 영국이 되고 미국을 낳은 이유는 저 학교야 학교. 저때가 헵타르키.
The Heptarchy is a collective name applied to the seven petty kingdoms of Anglo-Saxon England from the Anglo-Saxon settlement of Britain in the 5th century until their unification into the Kingdom of England in the early 10th century.
헵타. hepta 가 그리스어 7. 칠왕국 체제. 로마 나가고. 앵글로색슨이 5세기에서 10세기까지의 체제. 이걸 알프레드 대제 부터 손자 에덜스탄이 합쳐서 첫 잉글리쉬 킹. 하는겨.
저통일애들은 웨식스. 오른쪽이 에식스. essex. 아래가 서식스. 에식스 오른쪽 아래가 켄트. 그리고 노퍽 서퍽 합이 이스트앵글리아. 왼쪽이 머시아. 요크있는 위 땅이 노썸브리아.
The Danelaw (/ˈdeɪnˌlɔː/, also known as the Danelagh; Old English: Dena lagu;[1] Danish: Danelagen), as recorded in the Anglo-Saxon Chronicle, is a historical name given to the part of England in which the laws of the Danes held sway[2]and dominated those of the Anglo-Saxons.
바이킹 에이지.라는 바이킹 시대가 8세기에서 1066년 까지할때. 이게 다 잉글랜드에 찍히는거야. 얘들이 잉글랜드 쑤셔들어와서리 데인로. 지역에 거주하는겨. 여기 경계가 런던.에서 체스터. 야. 9세기부터로 봐.
런던.은 에식스. 체스터는 웨일즈와 잉글랜드 경계야. 여길 얘들이 사선으로 들어오면서. 노썸브리아가 떨어져 위로 덩그러니있게돼. 알프레드의 웨식스가 에식스의 런던을 먹으면서 통일 하는거고. 이때까지의 잉글랜드의 수도는 웨식스 애들의 땅 윈체스터야.
켄터베리. 로치스터. 켄트에 있는겨 이게. 요크 성베드로스쿨.의 요크.는 로마 군단 도시야. 워시스터. 헤리포드. 이건 웨일즈 경계 머시아 킹덤있던 곳이야.
앵글로 색슨이 들어와서리 말야. 로마를 그대로 습한겨 얘들이. 대륙은 로마를 익힌 갈리아애들에게서 게르만애들이 배우면서 문명을 시작하고. 잉글랜드는 그리스어 켈트. 라틴어 갈리아. 영어 게일. 이라는 게일애들이 배운 로마를 앵글로색슨이라는 게르만들이 배우면서 문명을 시작하는데 말이지. 대륙은 클로비스가 통일하면서 익혀나간거고 메로빈지언들이.
이 잉글랜드는. 일곱개 애들이 5백년을 서로 지냈던거야 경쟁하면서. 대륙은 메로빈지언. 이어 카롤라인들이 통일하면서 그 안에서 영지화 하면서 지낼때 얘들은 서로서로 경쟁하면서 지낸겨. 그 와중에 바이킹들이 또 와서리 데인로에서 같이 지내. 3백년을.
저때가 올드 잉글리쉬 시대야. 이당시의 문학작품들이 또 깊이 봐야해 베오울프 티나오는
Old English literature or Anglo-Saxon literature, encompasses literature written in Old English, in Anglo-Saxon England from the 7th century to the decades after the Norman Conquest of 1066. "Cædmon's Hymn", composed in the 7th century, according to Bede, is often considered the oldest extant poem in English, whereas the later poem, The Grave is one of the final poems written in Old English, and presents a transitional text between Old and Middle English.[1] The Peterborough Chronicle can also be considered a late-period text, continuing into the 12th century.
저게 큰 테마야 또한.
저러면서. 쟤들은 말야. 학교를 대륙 최초보다 2백년이 앞서. 저 학교들이 지금도 있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들은 다 잉글랜드야.
저건 칠왕국체제의 경쟁에 더한 바이킹들의 데인로의 합작품이야 저건. 그 바닥에 로마였고. 경쟁자들이 또한 너무 좋아 재료가. 바이킹은 간단한 애들이 아냐 얘들이. 프랑스를 만든것도 결국 바이킹이야. 파리 함락 후에 노르망디 땅을 받은게 바이킹이야. 협정맺고 저기서 시작한겨 얘들이. 얘들이 플랑드르랑 같이 놀고. 넘어가서 잉글랜드를 다시 재정복해서 지금 영국을 만든 애들이야 이 바이킹이. 윌리엄이야 바이킹. 이런 재료들이 너무 좋은겨 잉글랜드가. 대륙은 통일하면서 저런 경쟁자들이 수그려들어갔지만 재들은 서로서로 경쟁하면서 더 낳은 힘을 만든거야. 이게 헨리 7세를 낳은겨. 자본주의에 열폭질 하는 개 들은 헨리7세는 돈만 밝힌 악랄한 란 시선 외엔 없는거고. 참 세상엔 저 열등감에 쩔고 쩐 들이 정의 놀이 하는거 보믄 기가 차지도 않아.
로마의 반복 일 뿐이야. 보이지 않는 손은. 근대의 위대한 인간들은 저 잉글랜드. 그리고 스콧랜드에서 그래서 우수수수 티나오는겨. 옥스포드 사전은 세계 최고의 책 다섯에 들어야해.
15세기까지도 보믄. 다 다 다 잉글랜드야 스콧랜드고. 찔끔 찔끔 딴 학교들 나오는거고.
첫 시작한 유니버시티. 볼로냐 대학 1088 년 하는건. 저 리버럴 아르트스. 일곱개의 꼭지를 가르치는 커리큘럼 인거야. 이게 더 나아가서 개념이
There is no clear official definition of what was a studium generale. The term studium generale first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the 13th century, out of customary usage, and simply meant a place where students from everywhere were welcome, not merely those of the local district or region.[1]
In the 13th century, the term gradually acquired a more precise (but still unofficial) meaning as a place that (1) received students from all places, (2) taught the arts and had at least one of the higher faculties (that is, theology, law or medicine) and (3) that a significant part of the teaching was done by masters.
스투디움 게레날레. 전체 모두의 학문. 이개념은 파리대학 부터 나와. 13세기에. 영지들 가리지 않고 모든 곳 출신의 학생들 다 웰컴한다. 더하여 신학 외에 저 리버럴 한 인간을 위한 과정을 가르친다 라는겨.
우리네가 말야. 이 개 이념놀이 하면서. 자유주의.는 먼 보수고. 안자유주의면 진보냐? 이땅바닥엔 보수도 진보도 개념 기괴하고 말야. 진보란 들의 말글을 보면. 저건 조선으로 돌아가자지 저기에 먼 진보적 인간이 있어 저기에. 남꺼 배우지 말고. 다 적폐고. 민족 민족에 한글 전용 에. 참 기괴한건데 저거.
테레비에 요즘 놀란게. 안보다 퍼뜩 느낀건데. 홈쇼핑 보다 보믄 그 알흠다운 동유럽 언니들의 속옷 화면들이 대체 어디간겨? 그 동유럽 언니들 돈벌라고 그 알흠다운 다리길이와 몸을 보여주는 성은을 왜 대체 요즘 못 입는겨 이거.
년 들이 말야. 선비 을 하면서리. 탈 코르셋 게에 성희롱 어쩌고. 야 다 없애 그럼. 핫팬츠 불매를 시켜. 속옷디자인도 엄금하고. 치마도 무릎이상 못올리게 해. 여자들 치어리딩 하는것도 없애. 이 개 선비년들아.
쟤들이 보면. 역시나 진보야. 민주고. 달님 게 대는 찬양하는 애들이고.
저게 대체 무슨 진보야. 좌파고. 세상 어디에 저따위 진보와 좌파라는게 세상에 대체 어딨니.
자유를 부르짖은게. 오히려. 말야 카톨릭이야. 저 유니버시티. 리버럴 아트스.는 카톨릭 교황 승인으로 최종 인가가 나는거야.
중세 영주들과 교황들이. 자유로운 인간이 최첨단인거야 저게.
인간들이 역사를 너무나 몰라.
자유롭지 맙시다. 이게 오히려. 진보 란 족속애들의 모토야.
금지를 금지하라. 이 들아 프랑스 육팔 빨면. 육팔애들이 저따위 말 한거나 좀 떠받들던가.
.
1088년 볼로냐 대학에. 바로 줄줄이 나오는 파리. 옥스포드. 비첸사. 케임브리지.에 이탈리아는 줄줄줄이 대학들이 설때. 이때의 유니버시티는 정확하게 저 리버럴 아트스.를 위한 학교야.
저기서 스쿨. 이란건. 주로 말야. 세컨더리 스쿨이야. 즉 애덜레슨트. 들이 학생들이야. 성인도 아니고 차일드도 아닌 애들. 헌데 딱히 이것도 아냐. 지금 저 스쿨들은 많이가. 저걸 일일이 다 들어가보진 않아서리 학실치 않은데. 대게 13살에서 18살 내외의 애들에. 어떤건 서너살 부터야. 즉 프라이머리 대상도 저기에 있는겨. 완전 꼬마때 부터 프라이머리로 보내는겨.
헌데 대게. 저 스쿨. 이란건 세컨더리 로 일단 봐. 중고등학교.에서도 고등학교.
The university is generally regarded as a formal institution that has its origin in the Medieval Christiansetting.[9][10]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universities, European higher education took place for hundreds of years in Christian cathedral schools or monastic schools (scholae monasticae), in which monks and nuns taught classes. Evidence of these immediate forerunners of the later university at many places dates back to the 6th century AD.[11]
저런 리버럴 아트스. 이전에도 나름 대학교가 있었어 애덜래슨트 포함 한듯한. 즉 이건 신학교야. 사제들을 육성하기 위한겨 이건. 신학자를 만들고. 이게 스콜라 철학 하는겨. 이교도들. 피터 드 브뤼 하면서리 유아세례 하지말어가 13세기 초야. 얘들 상대하기 위해서리 더 만드는겨 신학 논리 전사를 만들기 위해. 수도원에서도 할일 없잖니. 머하겄어. 가르치는겨. 절에서도 선승들이 면벽만 하는게 아냐. 선승들 심심하니 거 가서 좀 큰 중대가리들도 가르치는겨. 6세기 에도 이런 신학교 가 있었어. 이건 저 스쿨. 이랑 다른 분류야.
A gymnasium is a type of school with a strong emphasis on academic learning, and providing advanced secondary educationin some parts of Europe comparable to British grammar schools, sixth form colleges and US preparatory high schools.
김나지움 이란건 독일에 체코 덴마크 네덜란드 등 쓰는 말이야 스쿨대신에. 이건 세컨더리야. 그중 고등학교야 이건.
세컨더리 도 종류가 많겄지. 저 그래머 스쿨이. 영국의 세컨더리야. 저건 에이비시.를 가르치는게 아냐. 그건 프라이머리 초딩이야. 외국어들 그래머 하는겨 또한. 저건 고등 세컨더리야.
기본적으로. 스쿨은 세컨더리야 저기서. 프라이머리.는 집 담당이야. 과외선생.에 학력있는 가족이 홈스쿨 하는겨.
오만과 편견 영화를 보면. 다르시 이모 공작부인 엄한 아줌이. 리자허테 너의 거버니.가 누구였니? 허니 우린 걍 컸어유 해서 쿠사리 먹걸랑. 거버니.가 여자들 갈키는 여자 과외선생이라 했잖오.
헌데 저러면서 점점 꼬마 애들 프라이머리.도 학교에 처넣는겨 기숙학교에. 저것도 역사를 봐야 하는데. 니덜이 봐. 일단은 세컨더리야.
Cowan Bridge School refers to the Clergy Daughters' School, a school mainly for the daughters of middle class clergy founded in the 1820s.
코원 브리지 스쿨. 성직자 딸들의 스쿨. 1820년대 생긴겨. 여기가 에밀리 브론테. 폭풍의 언덕.의 여자. 1818년생이야 칼 마르크스 개 랑 더럽게도 생년이 같아. 제인 오스틴은 훨 언니셔. 브론테 자매들이 간 학교가 저기야. 이 에밀리.도 여섯살에 저길 가는겨. 이들은 프라이머리 스쿨.이 기숙학교야.
여하튼간에. 저 세컨더리 스쿨.은 조온나게 오래된겨. 잉글랜드 서기 597년. 칠왕국 체제 자리잡아서리 2백여년 지나서 막막 생기는겨. 대륙은 조온나게 늦어 띄엄띄엄. 그러다가 11세기 지나면서. 서기 천년. 브루조아들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돈이 생기면서. 교회 건물들이 고딕. 고쓰족들의 냄새 나게 지을 정도로 높이면서. 저때 리베랄리스 를 위한 대학교 유니버시티.들이 생기면서 또한 저런 세컨더리 스쿨들이 동시에 생기기 시작한거야 유럽에.
江苏省苏州中学,简称苏州中学、苏高中[註 1]、九中[註 2]、苏中[註 3],位于中国江苏省苏州市姑苏区,是一所有着千年办学渊源、百年办学历史的中国江南名校。尽管经历了近千年的发展,办学地点却基本固定在苏州市中心的三元坊。1035年,北宋政治家、文学家范仲淹建立了苏州中学的前身——苏州府学,据记载:“苏州府学是宋代历史上规模最大的官办地方学府,号称东南学宫之首[3]。
서기 1035년에 세운 수저우 중학교. 북송때 세운겨. 자리가 안바뀌었대 지금과. 저걸 중국이네 최고 로 봐.
.
중국이들의 저따위 학교나 명때 국자감이란 학교나. 조선때 성균관이나. 조오온나게 야 저게. 쟤들의 유니버시티 의 커리큘럼과 비교를 하면. 쟤들은 자유로운 인간을 만들기 위함이고 재들은 노예 육성이고.
없느니만 못한겨. 똑같아 그래서 애들이. 자유. 싫어하는 단어. 인민 좋아. 남들은 적폐야. 제국주의에 자본주의에 속물들이야. 정말 들이야.
김나지움. 이란건. 그리스애들 옷벗고 레슬링하는겨. 몸 단련과 관계된 말이고.
스터디의 스투디움. 이란건.
Origin
Middle English: shortening of Old French estudie (noun), estudier (verb), both based on Latin studium ‘zeal, painstaking application’.
질. 그레이트 에너지. 고통을 감수하는 응용이야. 어원이 멋져.
이땅은 문꽈들은 저 스터디. 하는 들이 단 하나 없는겨. 그러곤 이꽈애들이 배운 문명을 엎는게 목적이야 적폐놀이하면서. 허다허다 이꽈들이 정의놀이 하는 지경이 되었으니. 얼마나 웃기냐 저게.
King's College School is a coeducational independent preparatory school in Cambridge, England, situated on West Road off Grange Road, west of the city centre. It was founded to educate the choristers in the King's College Choir during the 15th century.
킹스 칼리지 스쿨. 1441년도. 프렙 스쿨. 프레페러터리 스쿨. 13살 이전애들이 가는겨. 좋은 그래머 스쿨 가려면 프렙스쿨을 들어가. 코리스터.를 만들기 위함이었다. 킹스칼리지.의 성가대원으로. 이것 포함 저 서기 6백년 직전부터의 학교들이 지금도 있어.
칼리지. 이게 좀 웃긴건데. 아 이게 먼가 핸네.
Winchester College is an independent boarding school for boys in the British public school tradition, situated in Winchester, Hampshire. It has existed in its present location for over 600 years. It is the oldest of the original seven English public schools defined by the Clarendon Commission and regulated by the Public Schools Act 1868.
인디펜던트 스쿨. 사립학교야. 교황과 킹덤에서 정한 커리큘럼에서 독립된겨 일차적인건. 재정은 그 다음이고. 보딩 스쿨. 기숙학교야 먹고자야해. 윈체스터. 웨식스 수도야. 런던 이전에 여기가 수도야.
Winchester College was founded in 1382 by William of Wykeham, Bishop of Winchester and Chancellor to both Edward III and Richard II, and the first 70 poor scholars entered the school in 1394.[citation needed] In the early 15th century the specific requirements was that that scholars come from families where the income was less than five marks sterling (£3 6s 8d) per annum; in comparison, the contemporary reasonable living for a yeoman was £5 per annum.[1] It was founded in conjunction with New College, Oxford, for which it was designed to act as a feeder: the buildings of both colleges were designed by master mason William Wynford. This double foundation was the model for Eton College and King's College, Cambridge, some 50 years later, and for Westminster School, Christ Church, Oxford, and Trinity College, Cambridge, in Tudor times.
위컴 오브 윌리엄. 이 1382년에 설립. 윈체스터 주교였어. 당시 챈슬러야. 챈슬러는 장관급자리야. 두 킹 걸쳐서리 권력의 핵심이야. 70명의 가난한 스칼러들. 스칼러들을 위한겨 이건. 스칼러들 요건이. 연소득이 5마르크 스털링.이하 3파운드 좀 넘어인 집안의 학자야. 당시 요우맨 yeoman 수입이 연 5파운드였다. 요우맨.은 기사 나이트 아래고 농민보다 위야. 젠틀맨보다 아래야. 걍 농민들 관리하는 마름 또는 땅 쪼금 있는 농부야. 얘보다 못사는 집안의 학생.들을 공부시키는게 목적이야 이건.
저기서 스칼러. scholar 라는게. 장학금 받는 학생이야. 아 이 이게 먼가 했네. 장학생이야 이건. 장학생. 장.이 장.이란 글자가 병든 사람을 여자들이 돕는겨. 아래 클대자 써서 도와주는겨 저게.
연소득 못사는 가족의 자식들을 가르치는거야. 초기에 70명.의 가난한 장학생을 뽑은겨.
저 위컴.이 주교에 돈줄이 쎄. 수도원과 교구들 중 돈되는 곳이 이사람꺼야. 관리들 줄도 쎄. 그 돈으로 장학생들을 먹여살릴라고 만든겨 칼리지.를. 이사람이 두개를 만들어.
New College is one of the constituent colleges of the University of Oxford in the United Kingdom. Founded in 1379 by William of Wykeham, the full name of the college is St Mary's College of Winchester in Oxford. The name "New College", however, soon came to be used following its completion in 1386 to distinguish it from the older existing college of St. Mary, now known as Oriel College.[3]
옥스포드에 뉴 칼리지. 옥스포드.도 웨식스. 알프레드 대제 땅이야. 두 곳을 서로 경쟁을 시키는겨. 문명 발전의 핵심을 알아 이 잉글랜드 애들은. 경쟁 이란 두글자.도 일본가 말야. 컴퍼티션. compete 를 번역한 말이야 이게. 이 미개한 땅바닥은 경쟁.이 끔찍한 단어야. 이젠 대학교도 제비뽑기로 가서 평등해지재. 미친거야 이 들은. 한심한거야 저게. 어설프게 유럽애들 따라하다가 말야. 걍 야만 미개의 인민 민주 공화국이 되는겨. 베네수엘라가 이땅의 미래야.
너무해 정말.
이걸 모델로. 저사람은 백년전쟁때 저걸 만든거고. 백년전쟁 끝나고 헨리6세가 이튼 칼리지.와 킹스 칼리지.를 만들어. 위컴의 칼리지 두개를 보고. 그러다가 장미전쟁이 터진거야. 쫓겨난거고.
In addition to the 70 scholars and 16 "Quiristers" (choristers), the statutes provided for ten "noble Commoners". These Commoners ("Commoners in Collegio") were paying guests of the Headmaster or Second Master in his official apartments in College. Other paying pupils ("Commoners extra Collegium"), either guests of one of the Masters in his private house or living in lodgings in town, grew in numbers till the late 18th century, when they were all required to live in "Old Commoners" and town boarding was banned. In the 19th century this was replaced by "New Commoners", and the numbers fluctuated between 70 and 130: the new building was compared unfavourably to a workhouse, and as it was built over an underground stream, epidemics of typhus and malaria were common.
위컴.의 윈체스터 칼리지.를 보면. 70명의 장학생들과 코리스터스. 성가대원들 16명.에 더해서. 학칙을 만든게. 노블 카머너스. 10명도 챙겨야 한다는겨. 마스터.는 칼리지의 짱이겠지. 세컨드는 둘째 짱이고. 저 10명은 월급을 줘야하는 게스트들이야. 다른 카머너들이 있어. 월급받는 학생들. 마스터들의 집또는 마을 거주지에서의 다른 게스트들.도 제공을 해야해 칼리지가. 이게 18세기 후반에 이 카머너스 들 숫자가 늘어나따. 이들은 모두 올드 카머너스. 라는 지역이름 안에서 살아야 했다. 그리고 마을 거주는 금지가 되었다. 19세기에는 뉴 카머너스.란 이름으로 바뀌었다. 여기 인원이 70명에서 130명 왔다갔다 했다. 그 건물은 당시 작업장에 비해 안좋았다. 하수도 를 덮어서리 건물이 있어서리. 티푸스와 말라리아가 흔했다.
The Scholars live in the original buildings, known as College; an individual scholar is known as a "Collegeman". College is not usually referred to as a house: hence the terms 'housemaster of College' and 'College house' are not generally used. The housemaster of College is now known as the 'Master in College', though these duties formerly belonged to the Second Master. Within the school, 'College' refers only to the body of scholars (and their buildings); 'Winchester College' and 'the college' refer to the school as a whole.
장학생들은 칼리지. 라는 건물에 있었는데. 칼리지. 가 물질명사로 안쓰고 저 학교를 칼리지 하는겨. 칼리지맨.은 칼리지의 학생이고.
Every pupil at Winchester, apart from the Scholars, lives in a boarding house, chosen or allocated when applying to Winchester. It is here that he studies, eats and sleeps. Each house is presided over by a housemaster (who takes on the role in addition to teaching duties) and a number of house tutors (usually five or six – Mon to Fri). Houses compete in school competitions, mostly in sporting competitions. Each house has an official name, usually based on the family name of the first housemaster, which is used mainly as a postal address. Each house also has an informal name, which is more frequently used in speech, usually based on the name or nickname of an early housemaster. Each house also has a letter assigned to it, in the order of their founding, to act as an abbreviation, especially on laundry tags. A member of a house is described by the informal name of the house with "-ite" suffixed, as "a Furleyite", "a Toyeite", "a Cookite" and so on. The houses have been ordered by their year of founding. College does not have an informal name, although the abbreviation Coll is sometimes used, especially on written work. It also has a letter assigned to it, X, but it is considered bad form to use this except as a laundry mark or in lists of sporting fixtures. [a]
Each house also had a set of house colours, which adorned the ribbon worn around boys' "strats" (straw hats). The wearing of strats was abolished for Commoners in around 1984 – Collegemen had ceased to wear them years earlier. They can however still occasionally be seen being sported on Winchester Day. House colours are now used on socks and "pussies", scarves awarded for exceptional contribution to the house or society.
장학생외에 학비를 직접 내는 애들이 또한 있는겨. 해서 이게 점점 사립학교가 되는거야 비싼. 이게 지금 연 수업료가 1억원이 넘어. 윈체스터의 학생들은 기숙사. 보딩하우스에 산다. 여기서 공부하고 먹고 잔다. 각 하우스. 는 하우스마스터.가 감독하는데. 선생질에 더하여진 의무고. 많은 하우스 튜터들. 월에서 금까지 대게 다섯에서 여섯.이 감독했다. 각 기숙사들. 하우스들은 스쿨 경쟁과목들마다 겨루는 단위가 되다. 대부분 스포츠 시합의 경우다. 각 하우스는 공식적 이름이 있다. 대게 그 하우스 역사의 첫 감독관의 성.을 따다. 이게 또한 우편 주소가 되다. 각 하우스는 비공식 이름이 있다. 하우스 감독관의 이름 또는 별명에 기초해서. 각 하우스는 설립연도 순서대로 알파벳을 약어로 붙고 벼라별 이름 애칭도 붙인다. 각 하우스는 색깔도 각각 갖는다. 어쩌고 저쩌고.
저기서. 말야. 해리포터. 가 나온겨.
Winchester has its own entrance examination, and does not use Common Entrance like other major public schools. Those wishing to enter a Commoner House make their arrangements with the relevant housemaster some two years before sitting the exam, usually sitting a test set by the housemaster and an interview. Those applying to College do not take the normal entrance examination but instead sit a separate, harder, exam called "Election": successful candidates may obtain, according to their performance, a scholarship, an exhibition or a Headmaster's nomination to join a Commoner House (without remission of fees).
윈체스터는 고유의 입학 시험이 있다. 일반적으로 보는 공통 자격 시험으로 입학하지 않다. 다른 공공 학교처럼.
카머너 하우스에 들어가고 싶으면 시험 보기 2년 전에 해당 하우스마스터와 약속을 잡아야 하고 시험을 보는데 하우스마스터가 지정한 시험장소에 앉아서 인터뷰를 한다. 평범한 입학시험이 아니라 분리된 빡빡한. 일렉션. 이란 시험을 본다.
Admission to College is on academic merit, as measured in the Election examination, regardless of financial means, though the original statutes specified that the foundation existed for poor scholars and required entrants to take an oath that their net income did not exceed a figure chosen as the average income for the time. Scholars enjoyed a remission of fees, amounting for much of the 20th century to two-thirds of the total. This remission has since been progressively reduced, and is due to be abolished altogether.[2] The intention is to maintain the academic and institutional distinction between Scholars and Commoners, while using the money saved to fund bursaries for those pupils least able to pay, Scholars and Commoners alike.
저 칼리지.에 입학 기준은 학업 성적에 기초한다. 일렉션 시험에서 측정된. 집안 재정은 측정치가 아니다. 왜냐믄 초기 설립목적이 가난한 학생들을 위한 거였걸랑. 학생들은 수업료 면제 를 즐겼지만 과거엔. 이젠 이런 혜택이 줄어들고 돈 내야 한다.
"Posh" is a Britishism for upper-class. A posh accent would be someone who talks like the public school products who live/frequent Sloan Square in London and use expressions like N-Double-O-C (not of our class).'
포쉬 액센트.라 그래. 영국애들 상류층 애들의 영어. 영국 영화를 보면 들을 수 있는 영어. 고급지걸랑. 해서 계급놀이에 환장한 들은 저거 인민들이 저따위 영어 못쓰게 해야 하는데. 하걸랑.
잉글랜드 사립학교 가서 저런 걸 아이에게 가르쳐 줘. 애비애미들은 돈 벌어서. 머가 달라도 달라 저게.
.
이 얘기 할라는게 아니라.
칼리지. 가 이게 유니버시티.와 의미구분이 그래서 없어진건데. 이건 말야. 리버럴 아트스.와는 좀 다르게 가 보려 한 개인이나 킹의 의도야. 이건 교황 차터.도 받는 곳은 받지만. 중심은 킹덤이야. 킹이 자기 땅에 자기만의 색깔을 입히고 픈거야. 해서 누구는 장학생 용으로 저리 만들기도 하고. 누구는 각 지역의 공무원 육성도 하려는 의도로 저 칼리지를 만들어. 과목은 7개의 아트스에서 비중을 달리할뿐 다 가르쳐. 저것도 잉글랜드 애들이 시작한거고 저게 미국 대륙에 퍼진거야.
칼리지.는 해당 지역민.에 방점이 있어. 유니버시티.는 영지들의 벽이 없어. 모든 영지인들을 모든 킹덤인들이 오는 곳이여. 칼리지는 해당 지역의 발전과 해당 지역민들의 육성.에서 시작한거야 이건.
Hortus deliciarum (Latin for Garden of Delights) is a medieval manuscript compiled by Herrad of Landsberg at the Hohenburg Abbey in Alsace, better known today as Mont Sainte-Odile
호르투스 델리키아룸. 아 증말 멋져 저건.
.
호르투스.가 가든. 정원. 로마때 빌라. 정원있는 집을 호르투스. 했어. 델리키아룸. 딜라이트. 딜리셔스. 맛있으면 기뻐.
저 미셸테오 쇅이 노싸노싸 하민서리. 델리샤 델리샤 하걸랑. 클럽에서 춤추는 여자를 보고. 맛있겄네 맛있겄네. 참음탕한 쉑인데 저게. 그리 해석하지 말고 기뻐 기뻐 라 해석해.
Grammar (at 12 o'clock) holds a book and a whip. The text reads: Through me all can learn what are the words, the syllables, and the letters.
Rhetoric (at 2 o'clock) holds a tablet and stylus. The text reads: Thanks to me, proud speaker, your speeches will be able to take strength.
Dialectic (at 4 o'clock) points with a one hand and holds a barking dog's head in the other. The text reads: My arguments are followed with speed, just like the dog's barking.
Music (at 5 o'clock) holds a harp, and other instruments are nearby. The text reads: I teach my art using a variety of instruments.
Arithmetic (at 7 o'clock) holds a cord with threaded beads, like a rudimentary abacus. The text reads: I base myself on the numbers and show the proportions between them.
Geometry (at 9 o'clock) holds a staff and compass. The text reads: It is with exactness that I survey the ground.
Astronomy (at 11 o'clock) points heavenward and holds in hand a magnifying lens or mirror. The text reads: I hold the names of the celestial bodies and predict the future.
12시 가운데가. 그래머.의 상징이야. 문법이라는 나를 통해서 모두 배울수 있단다. 단어들을. 모음으로 구분되는 음절들을. 세상의 다른 모든 알파벳들을. 워드.는 단어야. 의미를 나타내는 최소단위의 글자 세트. 레터.라는건 알파벳이야. 워드.보다 더 추상적이기도 하고. 다른 외국어 글자들도 포함한겨 저게. 레터.에서 리터러쳐.라는 문학이 나와. 그래머 여자.는 빨강옷을입고 책과 채찍을 든거야 양손에. 그래머. 문법이 책의 기본이자. 채찍이야. 채찍은 진도를 나가게 해주는 힘이야. 맞아야 돼 그래야 앞으로 나가는겨. 패야해 인간은 . 배울 학.이란 글자가 애를 선생이 패는 글자야 그게. 갑골문이.
2시는 수사학.의 여자야. 나.는 자존 자부심 생기는 스피커. 너의 말빨은 힘을 얻을꺼야. 인간은 말야. 말을 잘해야해. 글을 잘 쓰는거고. 세상빠닥에서 짐이 말빨이랑 글빨이 따라올 자가 없는데. 수사학의 대가신거지.
네시.는 짖는 개 대가리가 왼손으로. 다른 손이 상대를 가르쳐. 나의 논쟁은 스피디해. 개가 바로 짖어대는 것처럼. 다이얼렉틱. 대화 논쟁이란. 상대가 뭔 말을 하자마자. 그 빈 구석을 찾아 즉자적으로 깔아뭉게는겨.
다음 뮤직. 음악이야. 하플 켜고. 두 악기가 주렁주렁 있어. 나는 나의 아트를 가르치네 다양한 도구들을 사용하면서. 음악은 단지 음악감상하는게 아냐. 음악도 필수 학문이야. 사유.는 싸이키.라는 추상의 산물이야. 그 마음을 더 넓고 깊게 활용해야 온전하고 자유로운 인간이 되는겨. 그걸로 세상을 보고 익히는겨. 그러기 위해선 추상의 음악을 배워야만 하는거야. 음악은 뮤지션만 하는게 아냐. 뮤지션이 음악만 하는 는 듣볼거 없는 하치리일뿐이고.
아리스메틱.은 숫자. 넘버.야 어원이. 이걸 갖고 푸는겨. 나는 숫자들로 되어있다네 그 바닥은. 그 숫자들간의 비율을 보여준다네. 세상은 이 숫자들의 비율로 되어있는거야 이데아는.
지오메트리. 기하학. 점선면 들을 보는겨. 짝대기와 콤파스. 내가 땅을 측정하는데 정확해. 수학의 두 가지가 하나가 아리스메틱.이고 하나가 지오메트리야. 수학을 모르면 미개한겨. 이 수학 못하는 개 문꽈들이 적폐놀이 하면서 문명을 야만으로 빠꾸를 시키는겨. 아 끔찍한 들 .
어스트라너미. 천문학. 하늘의 특징된 것들을 가름해서 이름을 짓고 미래를 예측한다네. 하늘을 보고 시절을 파악해서 대비하는겨. 동양빠닥의 것과 차원이 달라 차원이. 규일영이란 망원경으로 하늘을 보는 그따위 소인배 을 하다니 하시는 영조대왕님의 말씀. 아 끔찍한거지.
.
Philosophy, the Queen, sits in the center of the circle. The three heads extending from her crown represent Ethics, Logic and Physics, the three parts of the teaching of philosophy. The streamer held by Philosophy reads: All wisdom comes from God; only the wise can achieve what they desire.
Below Philosophy, seated at desks, are Socrates and Plato. The texts which surround them state that they taught first ethics, then physics, then rhetoric; that they were wise teachers; and that they inquired into nature of all things.
저 가운데에 철학 퀸이 앉아계셔. 왕관을 가만히 보면. 머리가 세개야. 에띡스. 로직. 피직스. 윤리학 논리학 물리학. 피직스 란건. 이데아 에이도스. 퓌시스 휠레. 네이쳐 메터. 야. 퓌시스.는 이데아야. 관념의 이데아를 눈에 보이는 퓌시스란 이데아로 접근을 하는겨. 퓌시스가 네이쳐 이자 이데아야. 메터가 아냐 저건.
저 들고 있는 줄에 써있는 글. 모든 위즈덤은 신으로 부터 온다. 와이즈한 인간만이 바라고자 하는 것을 얻을 지니.
와이즈. 위즈덤. 위트 wit. 완전한 게르만 말이야. 노우 know 는 라틴어야 날리지. 아는것의 게르만이 만든겨. 가장 바닥을 아는겨. 그게 위즈덤. 지혜 란겨. 그 바닥을 알고자 하는 게 또한 위즈덤이야. 그 바닥이란건. 이데아 퓌시스 네이쳐. 이고. 이게 신 더 갓. 이란거야. 해서 모든 위즈덤은 신에서 온다.는거지. 아 어찌 이따위 해석을 하시냐 그래.
그 아래 두 사람이 앉아있어.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야. 그리고 그 원 삥둘려 글자가 있는겨. 그들이 가르친것. 첫째가 에띡스. 다음이 피직스. 다음이 레토릭. 무엇을 알기위해. 모든 것들의 네이쳐. 즉 이데아 이자 퓌시스.야
The large ring around the whole scene contains four aphorisms: What it discovers is remembered; Philosophy investigates the secrets of the elements and all things; Philosophy teaches arts by seven branches; It puts it in writing, in order to convey it to the students.
Below the circle are four men seated at desks, poets or magicians, outside the pale and beyond the influence of Philosophy. According to the text they are guided and taught by impure spirits and they produce is only tales or fables, frivolous poetry, or magic spells. Notice the black birds speaking to them (the antithesis of the white dove, symbol of the Holy Spirit).
그 아래에. 시인들과 매지션들.이 있어. 등등. 매직 이란 요술 마술이 아냐. 안보이는 이데아의 신비야. 신이고.
저게 리버럴 아트스.의 상징들이야. 저걸 가르치기 위해서. 유럽애들이 유니버시티.라는 만인을 위한 대학을 만들고. 거기 가기 전의 스쿨을 만들은거야.
쟤들 의 사유 수준과 말야. 이 조선 빠닥 동양 빠닥의 수준은 이건 우주의 양끝 차이일꺼야.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사36. 운요호사건과 정한론의 이유 (0) | 2018.12.15 |
---|---|
유럽사113. 카톨릭 종교개혁. 두 리포메이션의 경쟁 ft.미사 Mass (0) | 2018.12.13 |
32. 산티아고. 글라피라. 돈키호테 (0) | 2018.12.11 |
유럽사112. 디어크 빌럼스. Dirk Willems (0) | 2018.12.07 |
유럽사111. 에흐몬트 백작 라모랄 ft.스페니쉬 로드 (0) | 2018.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