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비파 십자군.의 이름으로 프랑스 동남부의 알비.지역 사람들이 대학살을 당하는데.

 

종교개혁의 시작은 폴리시언. 7세기 아르메니아.에서 시작해서리 이게 유럽에 카타르파. 카타리즘. 으로 퍼지걸랑. 12세기부터. 

 

저게 일명 스콜라철학이 나오는 분기점이야.

 

중세의 철학을 교부철학과 스콜라철학으로 나누는데 말야. 

 

 

복잡하고 어려운듯 한 이야기를 짐이 쉽게 풀어주는그야. 걍 차근히 따라와봐

 

 

저게 왜 복잡하고 어렵게 보이냐면. 저 썰 푸는 이땅바닥의 지식인자연 들이. 지들이 모르는 것들을 어설프게 복붙질해서 아는마냥 대기 때문이야. 재네들 아는게 없어.

 

 

이땅바닥의 지식인자연하는 애들은 개무식한걸 확실히 인지하도록해.

 

그 바탕엔 저들 역사가 있걸랑. 쟤들 역사를 몰라. 똑같은 말의 되풀인데. 저 역사를 알라믄 고대 근동사를 알아야하고 그 이음을 이해를 해야해. 

 

이땅바닥의 조선분들은 그 단순한 이야기.를 벗어난 저 수많은 분수의 이야기를 이해를 할 수가 없어. 해서 걍 규정질 하는겨. 저거 적폐. 유럽 제국주의 일본 제국주의 나뻐. 조선만 디다 봐. 이 하는거걸랑.

 

 

이땅바닥 이야기는 단순해. 

 

해서 저 수많은 이들의 이야기를 접하면. 몰라. 이해를 할 수가 없어. 

 

이땅바닥의 단순하게 펼쳐진 이야기를 숭배하는 대갈빡이걸랑. 그 이상을 넘어서는. 이해를 못하는겨. 하물며 일본 이야기를 그래서 이해를 못해. 쟤들이 육십여개 영지들의 이야기걸랑 저게. 

 

삼국시대 세개 단순한 것 이상을 넘어가서리. 몰라 그 이상의 나뉨들의 이야기들은.

 

 

무식한겨 저들이. 저 들이 이념에 환장하는겨 그래서. 정의 민주 이 두글자 외엔 몰라. 단순하게 디파인하고 그거 벗어나믄 걍 적폐여  하는겨.

 

불쌍한겨 저게.

 

.

 

Patristics or patrology is the study of the early Christian writers who are designated Church Fathers. The names derive from the combined formsof Latin pater and Greek patḗr (father). The period is generally considered to run from the end of New Testament times or end of the Apostolic Age (

c.

 AD 100) to either AD 451 (the date of the Council of Chalcedon)[1] or to the Second Council of Nicaea in 787.

 

파트리스틱스. 패트롤로지.라는 교부철학. 교회 아부지들 이야기.는 끽해야 신약이 어느정도 코덱스로 나와서리 좀 보면서. 그게 서기 1백년이야 시작이. 신약이 마르코 마가 복음이 베드로 중심의 이야기가 처음 티나오는게 베드로 가 네오 만날때 전후야. 그리고 하나하나 편지들 더 붙어서리 서기 백년 전후에 코덱스로 나오는겨. 그때부터 서기 451년 정도. 까지의 신학에 대한 이야기가 교부철학이야. 누구는 한두명 더 너어서 787로 보는거고.

저건 한마디로. 교회 아부지들이. 교리를 다지는겨. 저들이 만든 이야기를 공의회.에서 써먹는겨. 

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the first seven ecumenical councils, include the following: the First Council of Nicaea in 325, the First Council of Constantinople in 381, the Council of Ephesus in 431, the Council of Chalcedon in 451, the Second Council of Constantinople in 553, the Third Council of Constantinople from 680–681 and finally, the Second Council of Nicaea in 787.

 

일명 공의회. 세계 교회회의. 에큐메니컬.이 땅이야. 지구. 이걸 세계. 전체.로 번역을 한겨. 다 나중에 만든말이야. 흔히들어본 니케아공의회 에페수스 공의회. 칼케돈 공의회 등등. 787년까지의 7개 공의회. 의 칙령들은 저 교부철학자 들이 배후에서 만든거야. 해서 저들을 교회 아부지. 하는거야. 
.스콜라 철학은 훨 늦게 나오는거야. 언제? 저 카타르파 알피바 왈도파(발도파). 하는 이단으로 규정되는 사람들이 나오면서 스콜라철학이 티나오는겨 이게.

Scholasticism is a method of critical thought which dominated teaching by the academics("scholastics", or "schoolmen") of medieval universities in Europe from about 1100 to 1700, and a program of employing that method in articulating and defending dogma in an increasingly pluralistic context.

 

12세기로 보는겨 시작을. 이런 사조들은 나중에. 근대에 와서야 정리 구분하는겨. 항상 이말을 갖고가. 당시에 쓰였냐 후대에 쓰엿냐.

 

폴리시언으로 시작해서리 수백년후에 유럽에 퍼진게 카타르파야. 이게 독일 저지대 건너 런던 까지 퍼져. 한쪽은 이탈리아 반도로 들어가고. 이게 프랑스 동남부에 퍼지는게 알비파 발도파야. 알비 지역. 왈도 지역.의 종교개혁의 시작.으로 봐 어떤 이들은. 

즉. 기존 카톨릭이나 오쏘독시를 달리 해석하고 행동하는 이들이 나타난겨. 
이에 대한 반박을 하는거야 카톨릭에서. 이게 스콜라철학이야. 

Peter of Bruys (also known as Pierre De Bruys or Peter de Bruis; fl. 1117 – c.1131) 

 

이전 썰한번 했던 프랑스 사람. 영어 브뤼.의 피터. 피에르 드 브뤼. 12세기 초야. 이사람이 왜 애들한테 세례하냐. 화체설. 빵이랑 와인을 상징화한 물건을 니덜이 주면 왜 그게 성체냐 . 죽은자를 위해 기도하는게 뭔 소용이냐.

 

태워죽여 저 사람을.

 

저 사람의 말에 반박하는 인간이 피에르 아벨라르.야 

 

Peter Abelard (/ˈæb.ə.lɑːrd/; Latin: Petrus Abaelardus or Abailardus; French: Pierre Abélard, 

pronounced 

[a.be.laːʁ]; 1079 – 21 April 1142) 

 

피에르 드 브뤼. 생년은 몰라. 저인간 화형당할때 아벨라르.는 사오십대야. 이 사람이 스콜라철학 시작이야. 초기사람이야 완전히.
스콜라.는 이때부터 스콜라 하는겨.

이 아벨라르.는 신학자 이전에 철학자 딱지를 붙여줘 사가들이.

  • Logica ingredientibus ("Logic for Advanced") completed before 1121
  • Petri Abaelardi Glossae in Porphyrium ("The Glosses of Peter Abailard on Porphyry"), c.1120
  • Dialectica, before 1125 (1115–1116 according to John Marenbon, The Philosophy of Peter Abelar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19]
  • Logica nostrorum petitioni sociorum ("Logic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our comrades"), c.1124-1125
  • Tractatus de intellectibus ("A treatise on understanding"), written before 1128.[20]
  • Sic et Non ("Yes and No") (A list of quotations from Christian authorities on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questions)[21]
  • Theologia 'Summi Boni',[22] Theologia christiana,[23] and Theologia 'scholarium'.[22] His main work on systematic theology, written between 1120 and 1140, and which appeared in a number of versions under a number of titles (shown in chronological order)
  • Dialogus inter philosophum, Judaeum, et Christianum, (Dialogue of a Philosopher with a Jew and a Christian) 1136–1139.[24]
  • Ethica or Scito Te Ipsum ("Ethics" or "Know Yourself"), before 1140.[25]
  •  
저때도 말이야. 글은 다 라틴어야. 교부철학도 다 라틴어야. 
 
아벨라르 글도 다 라틴어야. 로기카. 디알렉티카. 인텔렉티부스. 논리. 이성. 지성. 철학. 으로 접근을 하는겨. 에티카. 윤리는 모든 철학자의 주제야. 
 
 
윤리학이란건. 철학의 궁극적 주제야 이건. 이건 어떻게 살것인가 라는 거걸랑. 
 
 
이놈의 에티카. 에 대해서. 이땅바닥 만큼 패륜과 부도덕한 인간들이 넘실대는 이유가 말야. 에티카 에대한 근본적인 사유를 전혀 하지 않은 땅바닥이 이땅바닥이야.
 
 
공자 맹자 주자 밖에 모르걸랑. 이 유교.는 전혀 인간의 에티카. 를 고민하지 않아. 이게 웃긴건데. 지들만의 얄팍한 조폭들의 사유로 인간을 개돼지로 생산할 뿐인 에티카.가 유교 라는  놀음인거걸랑 이게.
 
 
칸트.의 궁극적 퀘스천도 에티카야.
 
 
스피노자도 그 궁극은 에티카.야. 이게 윤리학이야.
 
 
답? 
 
 
없어. . 유교 놀이하는 선비 들의 조폭 은 개 윤리학만 양산할 뿐인거고. 그래서 이땅바닥이 허섭한 이념놀이 에 환장하민서리 조선시대로 돌아갈뿐인거고.
 
 
쟤들은 그따위 허섭한 윤리 에티카 잣대를 들이대지 않아 
.
 
저 칸트의 답도. 스피노자의 답도. 하나는 보편성이야. 
 
 
너만의 니덜만의 잣대로 상대는 적폐 니는 정의. 
 
 
그건 이 들아. 악마들이나 하는 짓이야 그게. 이 들아.
 
 
 
완전히 내로남불 이념놀이하는 분들. 쟤들 눈깔에 니덜은 야만도 보통 야만이 아냐. 미개해도 미개한겨. 그게 구한말 외국애들의 공통적인 말이야. 전 세계 바닥에서 어찌 이따위 미개한 나라가 있는가. 
 
 
저런건 안알려줌. 저런건 백인우월주의 시선. 
 
 
조선은 위대해. 유교는 도덕적이야. 그 후손인 우리는 전세계를 이끌 대단한 삼한의 한민족. 우리민족끼리.
 
 
 
 

 

Sic et Non, an early scholastic text whose title translates from Medieval Latin as "Yes and No", was written by Peter Abelard.

 

저 아벨라르.의 글중에 시크 에트 논. 이란 글이 있어. 라틴어야. 번역을 예스 앤드 노. 

 

우리말로 긍정과 부정. 이리 번역하는데. 문제는 저 책을 번역한 한글책이 없어. ㅋㅋㅋ. 

 

 

 

허섭한건데 이땅바닥은. 머 똑같은 말의 되풀이라 말야.

 

 

In Sic et Non, Abelard presents 158 questions that present a theological assertion and allows its negation.

The first five questions are:

  1. Must human faith be completed by reason, or not?
  2. Does faith deal only with unseen things, or not?
  3. Is there any knowledge of things unseen, or not?
  4. May one believe only in God alone, or not?
  5. Is God a single unitary being, or not?

The prologue frames the text as a professor's guide, "Aristotle, the most clear-sighted of all the philosophers, was desirous above all things else to arouse this questioning spirit ...".

 

쉼. 

 

Sic. 시크. 라는 건 라틴어야. 이건 뜻이. 

Latin, literally ‘so, thus’. 그래서. 야. ㅋㅋㅋ. 이게 예스.야. 라틴애들은 예스 를 시크. 라 한겨.

 

예스. 란 말은 영어야. Old English gēse, gīse, probably from an unrecorded phrase meaning ‘may it be so’.

 

라틴어가 없어지고 올드영어.가 이긴겨 저 단어는. 

 

예쓰. 한다는건. 그 질문이. 사실과 맞다는 거야. 그말이 그거 같아. 란 말이야. 그말이 그 사실과 같다.라는 말이야. 노.는 같지 않다 란 거야. 

 

아벨라르.가 158개의 질문을 자기가 던지고. 그것에 대한 답을 찾는거야. 저게 애들 시험문제로 낸겨 아벨라르가. 일단 질문 자체가 멋진거야. 질문을 할 줄 알아야 하는거야. 이땅바닥은 질문 조차 없는 땅바닥이걸랑. 

 

인간의 믿음. 이란것이 이성. 리즌. 라티오. 로 완전히 닿을 수 있는거냐?

믿음. 신앙이란 것은 보이지 않는 것만이 대상인거냐?

보이지 않는 것을 안다는 것이 가능한거냐?

인간은 신만을 믿어야 하냐?

신은 홀로 전체인 존재 인거냐?

 

 

저것에 대한 시크 그리고 논. 그렇다 아니다. 를 답하는겨. 논리를 들어서. 

 

 

아 음청난겨 저런 질문과 답을 찾는 과정이.

 

헌데 이 책이 번역된게 없어.

.

 

저런 질문이 나오게 한 인간들이 저 카타르파를 시작으로한 피에르 드브뤼.니 알비파 왈도파 하는 이들이걸랑. 이들이 저 질문을 하게끔 해준겨. 

 

 

즉 이전엔 신에 대한 이야기를. 교부들이. 신약과 구약을 바탕으로 더 풀었을 뿐이고. 해서 교부철학 하고 가름을 했어.

 

헌데 이것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하게끔한겨 저들이. 

 

저건 단지 예수냐 예수의 하나님은 구약이 맞느냐 틀리냐.의 문제가 아니라. 신에 대한 사유야. 더 갓. 그리고 결국 이 세상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사유고 철학이야. 

 

즉 더가서. 이 세상의 진짜.는 무엇인가. 란 거야. 그 진짜.를 단지 신. 더 갓. 로어드. 라는 단어를 썼을 뿐인거야. 

 

 

저 질문이 좋다 나쁘다. 또는 저 질문에 대한 나름 아벨라르.의 논리가 적절하다 아니다.를 떠나서 말야. 저것도 결국 아벨라르 개인의 잣대에 근거한 예 그리고 아니오 걸랑.

 

 

정당.하다 란 말을 정의롭다.란 말을 쉽게 쓰는데 우리네들은.

 

저게 어떤 말인지는 이전에 갑골문과 신화를 예를 들어서리 같은 말 반복은 넘어가고. 가서 복기하고.

 

Origin

Late Middle English: via Old French from Latin justus, from jus ‘law, right’.

 

저 로. 법. 에 맞으면. 시크. sic . 이고 예쓰.야. 라틴어 유스. 영어의 로. law. 

 

Origin

Old English lagu, from Old Norse lag ‘something laid down or fixed’, of Germanic origin and related to lay.

 

로.라는 법.은 영어고. 노르족 게르만족 애들 말에서 영어로 진화한거고. 레이. 놓여진거고. 누가 놓았어? 더 갓. 신이야. 저게 천리야. 

 

라이트. right

Origin

Middle English: from Old French reule (noun), reuler (verb), from late Latin regulare, from Latin regula ‘straight stick’.

 

저건 룰. rule. 자야. 잣대. 곧은 막대기야. 그거에 의해 좌지우지 다스리는게 룰.이고. 신이 놓인 잣대는 곧다. 직선이다 란 추상을 쓴겨. 

 

몰라. 저게. 먼지. 그게 그노시스.야 . 안다. 라는건 저 신이 놓은 잣대.를 아는거걸랑. 헌데 몰라. 저게 먼지. 

 

저게 무얼까. 를 저리 생각을 하고 저마다 사유를 한거걸랑.

 

아벨라르.는 자기만의 이성으로 자기가 나름 보편적이다 라고 생각한 잣대를 만들어서 저 질문을 하고 답을 하는거걸랑.

 

 

저런 사유들이 너무 멋지단 말이지.

 

저 사유의 역사 가. 쟤들 지금 문명을 만든거야. 

 

저건 이황의 천명신도니 천명구도니. 인의예지 를 사단으로 해서리 칠정그리고 발광하민서리 애들 수준의 말장난 과는 전혀 차원이 다르걸랑 저게.

 

저런게 얼마나 무섭냐 하면 유길준의 서유견문 을 보면. 저 인의예지신의 잣대로 이들은 저 서구 문명을 해석을 하는겨. 저 해석의 판 이상이 없는겨. 

.

 

저 궁극적 잣대.는 몰라.

 

해서리 말야. 로마법.이란건 다른게 아니라. 판례법 모음이야 그게. 

 

The Corpus Juris (or Iuris) Civilis ("Body of Civil Law") is the modern name[1] for a collection of fundamental works in jurisprudence, issued from 529 to 534 by order of Justinian I, Eastern Roman Emperor. It is also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Code of Justinian, although this name belongs more properly to the part titled Codex Justinianus.

 

코덱스 유스티니아누스. 얘가 비잔틴에서. 이전 서로마까지 포괄하는 판례들을 다 모은게 저 법전이야. 민법전.으로 번역을 하지만. 이걸 나중 나폴레옹이 본거고. 이걸로 시민법을 만드는데. 넘어가고. 

우리네는 성문법 이 앞선거고 불문법.이 후진거라 생각하는데
불문법.이란건 단지 판례들 모음이야. 어떤 범죄는 몇년 어떤건 무슨 형. 이따위는 위험한거라는겨. 그 당시 상황에 맞는 이야기들을 그때의 죄.에 적절한 형.을 배심원들이 유무죄정해서리 판결할 수 밖에 없는거걸랑.
왜냐믄. 그 이야기에 대한 죄.를 잣대질 하는 것 자체도 물론이거니와. 유죄라도 그걸 얼마 형량 규정질 하는건 위험한거걸랑. 
저기서 정당.하다 정의.롭다. 라는 건. 그 성문법.에 근거하는겨 저게. 즉 법전.이 하나님인겨.
해서리. 이땅바닥 예전에 어떤 대법관누구가 은퇴를 하는데. 법전이 하나님입니다. 하는 말 옌날에 씨부리며 하는 말 기억이 나는데 그게 저 말이걸랑.
법전이 하나님 일 수가 없어. 
인간들이 정의롭다 정당하다. 져스트. 란 잣대의 근거는 법전에 두는거걸랑. 아니란거야 불문법주의에 바탕을 두는 영미애들은. 당연히 맞아 이 관점이. 얘들은 앞선애들이야 그래서.
보편적인 도덕성에 잣대를 둔다? 이 만큼 개소리가 없는겨 이게. 
그나마 보편성이 드러난 것은. 저 신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찾은게 그나마 나은거야. 
그 보편성에 의한 탐색의 결과물이 머냐? 라고 칸트에게 묻는다면. 칸트의 답은. 그냥 보편성을 구현하라. 일 뿐이야. 

넘어가고.
해서 저 정당하다 정의롭다. 의 그 진짜 잣대인 직선의 잣대. 그게 실재. 리얼. 리앨리티. 란 거걸랑. 
이걸로 자연과학자들이 티나오는겨. 해서 뉴턴의 과학이 브리튼 섬에서 나오는겨. 여기서밖에 나올수가 없어. 브리튼 애들이 제일 앞선애들이야. 제일 현실적 실재적인 애들이걸랑. 
허공에 뜬 공상질의 최고는 대륙이걸랑. 그중에 최고의 환상가들은 프랑스야. 데카르트가. 저기서 나오는거고. 밭을 제공한겨.
그 뉴턴의 과학이 실재인줄 알았어.
헌데 양자역학이 티나와 . 
전자가 입자냐 파동이냐. 이 세상의 시선으로 디다보면 이것들이 눈치를 채서리 자기들 세상을 안보여주고 입자인척하고. 아 저것들이 안보네. 하면 파동 행세를 하고. 

Jacques Marie Émile Lacan (/ləˈkɑːn/;[3] 

French: 

[ʒak lakɑ̃]; 13 April 1901 – 9 September 1981) was a French psychoanalyst and psychiatrist who has been called "the most controversial psycho-analyst since Freud".[4] 

 

자크 라캉. 논쟁적인 인간인데. 나중에 더 썰하고.

 "there is no absence in the Real."[45] Whereas the Symbolic opposition "presence/absence"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something may be missing from the Symbolic, "the Real is always in its place."[60] If the Symbolic is a set of differentiated elements (signifiers), the Real in itself is undifferentiated—it bears no fissure. The Symbolic introduces "a cut in the real" in the process of signification: "it is the world of words that creates the world of things—things originally confused in the "here and now" of the all in the process of coming into being."[62] The Real is that which is outside language and that resists symbolization absolutely. 

 

결국 정당하다. 정의롭다. 의 그 근거.는 이 세상의 제일 바닥원리걸랑. 그걸. 리앨리티. 실재. 한는겨. 라캉.은 리앨리티.랑 리얼.이란 구분하는데. 넘어가고. 라캉.에 의하면 더 리얼. the Real. 이야. 진짜 세계야. 저 리얼한 세계는 공백이 없어. 노우 피셔 fissure. 틈이 없어. 
우리는 상징. 이미지. 로 저 리얼한 세계. 진짜 세계를 접하걸랑. 헌데 이따위 상징.은 컷.들 이걸랑. 끊긴 단위들이야. 한장 두장 끊긴 걸로는 저 진짜 세계를 이해하긴 무리야. 저 진짜 리얼한 세계.는 저리 끊긴 세상이 아냐. 저기서 한두개 눈에 띄는것만 드러내 보여주걸랑. 
이 인간은. 저 리얼한 세계는. 글자화된 언어들 words 의 세계란겨. 이게 우리가 감각으로 느끼는 세상을 만든거란 거걸랑.  해서 이 인간은. 상징.은 관시미가 없어. 먼가 말들이 중요해. 표현되지 않은 말.이외의 것들은 우리가 보는 세상과 연관된게 없어.
심리학의 주류.는. 결국 이 드러난 세상은. 진짜가 아니라. 저 배후에 먼가 리얼한게 있다는겨.
이건 심리학의 주제만 이 아니라 모든 사유. 모든 철학의 주제야. 그리고 결국 자연과학의 주제야 이게. 저걸 달리들 표현한 것 뿐이고. 
칸트의 물자체.도 그따위 말일 뿐이야. 
헌데 저 진짜 세계.는 몰라. 먼지. 
저런 라캉이야기는 어떻게 쓰이는거냐 살면서. 나중에 썰하고..
해서 이땅바닥의 정의.니 정당하다 부당하다 하는 이념놀이 따위는 정말 개 똥구데기 수준인거고. 해서 쟤들이 구현하는 정책들이 사람들 죽이는겨 결국은.

우리네가 뇌세포를 십프로 사용한다느니. 거 이전 인간게놈에서 코드화된 이중구조는 2프로야. 나머진 몰라. 안써. 쓰는지 안쓰는지도 몰라. 
저걸 더 이상의 영역으로 인간들을 사유하게 끔 한거야. 그 촉매제일 뿐이야. 그리스도 란 것. 신약이란 것 구약이란것. 그리고 신이란 것.

유교.는 저따위 질문도 답도 공자 사후 2천오백년간 안한겨. 그 한 수준도 허섭한거고. 그게 문명이 개 야만이 된 이유야 중국이 들이나 여기 조선바닥이나. 그나마 카피해서 이 하는거고. 

.

 

저게 교부철학이고 스콜라 철학이야. 이 것에 대한 빌미?는 또한 소위 이단자들이 제공한겨. 또한 그 유럽전쟁들에서 나오는겨 질문과 답들이.

 

저들은 생생하게 살아왔어 한편으론 비참했지만. 역동적이야. 

 

헌데 저건 말야. 결국 고대 그리스 철학의 변주야 저게.

 

 

아리스토형이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그랬잖냐? 기억에? 아 기억 가물한데.

 

그리스 철학은 소크라테스 전과 후로 나눈다 했걸랑. 이 전엔 뜬구름잡는 소리. 세상이 무언가 뭐로 되어있나. 에서 현실적 세상으로 돌아온게 소크라테스 부터다 했걸랑. 그걸 다시 플라톤이 하늘로 갔다가 아리스토가 땅으로 내려온거걸랑.

 

 

저걸 다시 신약 그리스도 를 통해서 말야. 하늘로 중세 천년 갔다가 거기서 열매 따서리 땅으로 내려온게 중세 이후의 지금이야. 

 

점점 올라갔다 내려오다 를 반복하면서. 그 운동장이 점점 넓어지고 딴 열매들이 더 많아지는 것일 뿐이야.

 

저 세계를 . 저 신의 세계를. 저 사유의 세계를 무시한 들이 마르크스.이고 니체야. 

 

 

허섭한 저따위 마르크스.가 통하는게 야만적인. 역사 없는 사유없는 들이 신봉질 하는거고. 

 

역사가 없어도. 인정하는 애들은. 바로 따라가서리 잡걸랑. 그게 북유럽이야. 얘들 역사 얕아 이전에서들 봤겠지만. 얘들은 서기 천년 이전에는 원시 부락들이야. 핀란드는 19세기부터 역사를 지들 역사를 시작하는겨.

 

얘들은 인정을 했어. 자기들이 너무나 야만이었던걸.

 

먼저 인정했던 이들이 갈리아 라는 켈트 라는 프랑스 땅 인간들이야. 잉글랜드의 켈트인 게일인들이었고.

 

다음에 또 인정해서 받아들인 애들이 게르만이야.

 

 

현황 파악을 현실 인정을 먼저 하는 애들은. 따라가는겨 바로.

 

 

헌데 자뻑하는분들. 개미개한 들이 위대한 줄. 여전히 말야. 이들에게는 발전이 진보가 없는겨 그러면서 지들은 진보 타이틀 취하는겨.

 

이게 똑같이 저 베네수엘라야. 볼리바르 환상에 빠져서리 우리 볼리바르 중심의 남미 민족 위대해 .

 

저게 체게바라 니 피델 카스트로 니.

 

저게 이슬람 아랍들에 이슬람 이란 들에 투르크 분들인거고

 

투르크 들이 아르메니아인을 백오십만명을 학살했어. 20세기에. 투르크 민족주의 . 

 

민족 민족 개 대는 들 치고. 

 

공통점. 현실인식이 없어. 인정을 못해. 

 

토마스 아퀴나스. 제목 박았으니.

 

Saint Thomas Aquinas OP (/əˈkwnəs/; Italian: Tommaso d'Aquino, 

lit. 

'Thomas of Aquino'; 1225 – 7 March 1274) was an Italian[7][8] Dominican friar, Catholic priest, and Doctor of the Church. 

 

도미니칸 프라이어.야 메디칸트. 탁발수도회. 도미니코 수도회.는 저 알비파 십자군때 생긴거라 했잖오.

 

He was the foremost classical proponent of natural theology and the father of Thomism; of which he argued that reason is found in God. His influence on Western thought is considerable, and much of modern philosophy developed or opposed his ideas, particularly in the areas of ethics, natural law, metaphysics, and political theory. Unlike many currents in the Church of the time,[10] Thomas embraced several ideas put forward by Aristotle—whom he called "the Philosopher"—and attempted to synthesize Aristotelian philosophy with the principles of Christianity

 

딴건 둘째 치고. 이사람의 글들은 엄청난겨 그 양이나 질이나. 철학자야. 신학자 이전에. 윤리학 자연과학. 형이상학. 정치학. 

 

서양철학은 저 스콜라철학에서 나온겨. 여기서 산업혁명이 그래서 나온겨 이게.

 

The works of Aquinas can be grouped into six categories as follows:

  1. Works written in direct connection to his teaching
    • Seven systematic disputations, on:
      • Truth;
      • The union of the Verb;
      • The soul;
      • Spiritual creatures;
      • Virtues;
      • God’s power; and
      • Evil.
    • Twelve quodlibetal disputations;
  2. Philosophical commentaries
  3. Lesser tractates and disputations
    • Five polemical works;
    • Five expert opinions, or responsa;
    • Fifteen letters on theological, philosophical, or political subjects;
    • A collection of glosses from the Church Fathers on the Gospels (Catena aurea)
  4. Systematic (main) works (Summa Theologiae, Summa contra Gentiles, Scriptum super Sententiis)
  5. Biblical commentaries (including commentaries on Job, Psalms and Isaiah, Canticles and Jeremiah, John, Matthew, and on the epistles of Paul);
  6. Liturgical works
 
이사람의 책들은 또한 엄청나. 저게 단지 고리타분한 신학 이 아냐.

 

Works in chronological order[edit]

Title Date
De fallaciis ad quosdam nobiles artistas 1245-1246
Commentary on the Prophet Jeremiah (Expositio in Jeremiam prophetam) 1248-52 (under Albert Magnus)
De propositionibus modalibus by 1251
On the Principles of Nature (De principiis naturae ad fratrem Sylvestrum) c. 1255
On Being and Essence (De ente et essentia, ad fratres socios) 1252-1256
Contra impugnantes Dei cultum et religionem 1256
Commentary on the Sentences of Peter Lombard (Scriptum super libros Sententiarum) 1252-1256
Two Sermons from MS Florence [Principium (?)] 1256 (?)
Disputed Questions on Truth (Quaestiones disputatae de Veritate) 1256-1259
Commentary on the Gospel of St. Matthew (Expositio in evangelicum s. Mattaei) 1256-1259 or 1269-1272
Literal Commentary on Job (Expositio in Job ad litteram) 1260
Commentary on Boethius's Book De hebdomadibus (Expositio in librum Boethii De hebdomadibus) c. 1260
Commentary on Boethius's Book On the Trinity (Expositio super librum Boethii De Trinitate) by 1261
De articulis fidei et Ecclesiae sacramentis, ad archiepiscopum Panormitanum c. 1261
De emptione et venditione ad tempus 1262
Summa contra Gentiles (Tractatus de fide catholica, contra Gentiles [contra errores infidelium]) 1261-1263
Against the Errors of the Greeks, to Pope Urban IV (Contra errores Graecorum, ad Urbanum IV Pontificem Maximum) 1263
Sermon on the Holy Eucharist preached in Consistory before Pope Urban IV and the Cardinals 1264
Officium de festo Corporis Christi, ad mandatum Urbani Papae IV 1264
On the Reasons of the Faith against the Saracens, Greeks and Armenians, to the Cantor of Antioch (De rationibus fidei contra Saracenos, Gracos et Armenos, ad Cantorem Antiochiae) 1261-1264
The Golden Chain (Glossa (expositio) continua in Mattheum, Marcum, Lucam, Joannem [Catena aurea]) 1263ff.
Responsio ad fr. Joannem Vercellensem, Generalem Magistrum Ordinis Praedicatorum, de articulis CVIII ex opere Petri de Tarentasia by 1266
Disputed Questions on the Soul (Quaestiones disputatae de Anima) 1267
On Kingship, to the King of Cyprus (De regno [De regimine principum), ad regem Cypri) 1267
Expositio in Dionysium De divinis nominibus by 1268
Expositio super primam decretalem "De fide catholica et sancta Trinitate" et super secundam "Damnamus autem" 1259-1268
Disputed Questions on the Power of God (Quaestiones disputatae de potentia Dei) 1259-1268
Commentary on Aristotle's Posterior Analytics (In libros posteriorum Analyticorum expositio) c. 1268
Commentary on Aristotle's De anima [On the Soul] (In libros De anima expositio) c. 1268
Commentary on Aristotle's On Sense and What Is Sensed (In librum De sensu et sensato expositio) c. 1268
Commentary of Aristotle's Memory and Recollection (In librum De memoria et reminiscentia expositio) c. 1268
De substantiis seperatis, seu de angelorum natura, ad fr. Reginaldum, socium suum carissimum c. 1268
De secreto by 1269
Disputed Questions on Spiritual Creatures (Quaestiones disputatae de spiritualibus creaturis) 1266-1269
De perfectione vitae spiritualis 1269
Commentary on the Book Of Causes (Super librum De causis expositio) by 1270
On the Unity of the Intellect against the Averroists (De unitate intellectus, contra Averroistas) 1270
De perfectione vitae spiritualis 1270
Contra pestiferam doctrinam retrahentium pueros a religionis ingressu 1270
Sermons from MSS Madrid and Sevilla 1270
Two sermons from MS Paris 1270
Sermon on Christ the King from MS Soissons 1270
Commentary on the Eight Books of Physics (In octo libros Physicorum expositio) 1268-1271
De regimine Judaeorum, ad Ducissam Brabantiae 1270-1271
De aeternitate mundi, contra murmurantes 1271
Responsio ad fr. Joannem Vercellensem, Generalem Magistrum Ordinis Praedicatorum, de articulis XLII 1271
De motu cordis, ad Magistrum Philippum 1270-1271
De mixtione elementorum, ad Magistrum Philippum c. 1271
Responsio ad lectorem Venetum de articulis XXXVI [two versions] c. 1271
Commentary on the Prophet Isaiah (Expositio in Isaiam prophetam) 1256-1259 or 1269-1272
Four Exordia (Prothemata) of sermons from MS Angers 1269-1272
De forma absolutionis, ad Generalem Magistrum Ordinis 1269-1272
De occultis operationibus naturae, ad quendam militem ultramontanum 1269-1272
De sortibus ad Dominum Jacobum de ... (?) 1269-1272
Quaestiones disputatae de unione Verbi incarnati 1269-1272
Disputed Questions on Evil (Quaestiones disputatae de malo) 1269-1272
Disputed Questions on the Virtues (Quaestiones disputatae de virtutibus) 1269-1272
Commentary on the Gospel of John (Expositio in evangelium Joannis) 1269-1272
Commentary on Aristotle's Meteorology (In libros Meteorologicorum expositio) 1269-1271, 1269-1272 or 1272-1273
Commentary on Aristotle's On Interpretation (In libros Peri Hermeneias expositio) 1269-1272
Commentary on the Twelve Books of Metaphysics (In duodecim libros Metaphysicorum expositio) 1270-1272
Commentary on the Ten Books of [Nicomachean] Ethics (In decem libros Ethicorum expositio) 1271-1272
Commentary on Aristotle's Politics (In libros Politicorum expositio) 1271-1272
Quaestiones de quodlibet I-XII 1256-1259, 1269-1272
Summa Theologica 1265-1273
Commentary of the Epistles of St. Paul (Expositio in s. Pauli Epistolas) 1259-1265 and 1272-1273 (?)
Commentary on the Psalms of David (In Psalmos Davidis expositio) 1272-1273
Commentary on Aristotle's On the Heavens and Earth (In libros De caelo et mundo expositio) 1272-1273
Commentary on Aristotle's On Generation and Corruption (In libros De generatione et corruptione expositio) 1272-1273
Lenten Sermon-Cycle delivered at Naples (57 vernacular sermons, e.g., On the Two Laws of Charity and the Ten Commandments [De duobos praeceptis caritatis et decem legis praeceptis]; Devotissima expositio super symbolum apostolorum; Expositio devotissima orationis dominicae) 1273
Devotissima expositio super salutatione angelica 1269-1272 or 1273
Compendium of Theology (Compendium theologiae ad fratrem Reginaldum socium suum carissimum) c. 1273 (?)
To Bernard, Abbot of Monte Cassino (Ad Bernardum, abbatem Cassinensem) 1274

Works of uncertain date[edit]

De iudiciis astrorum, ad quendam militem ultramontanum
De modo studendi
Commentary on the Song of Songs (Expositio in Canticum Canticorum)
Commentary on the Lamentations of Jeremiah (Expositio in Threnos Jeremiae prophetae)
Hymn: "Adoro te"
Hymn: "Concede mihi misericors Deus"
Hymn: "Tantum Ergo" from Pange Lingua, a Mediaeval Hymn
Quaestio disputata utrum anima coniuncta cognoscat seipsam per essentiam
Disputed Questions o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Quaestiones disputatae de immortalitate animae)
Responsio ad lectorem Bisuntinum de articulis VI
Three sermons from MS Paris
Three sermons from MS Venice

Works of uncertain authenticity[edit]

De demonstratione
De instantibus
De natura accidentium
De natura generis
De natura materiae et dimensionibus interminalis
De quatuor oppositis
De natura verbi intellectus
De principio individuationis
Sermon: Beata Virgo nec originale nec mortale nec veniale peccatum incurrit, 1269-1272 or 1273

우리네는 말야. 쟤들을 몰라도 너무나 몰라. 

 

저 책들 중에서 번역된게 몇퍼일까.

 

나중에 하자.

 

 

14th-century image of a university lectur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