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International Version
God said to Moses, "I AM WHO I AM. This is what you are to say to the Israelites: 'I AM has sent me to you.'"
New Living Translation
God replied to Moses, "I Am Who I Am. Say this to the people of Israel: I Am has sent me to you."
English Standard Version
God said to Moses, “ I AM WHO I AM.” And he said, “Say this to the people of Israel: ‘ I AM has sent me to you.’”
Berean Study Bible
God said to Moses, “I AM WHO I AM. This is what you are to say to the Israelites: ‘I AM has sent me to you.’”
New American Standard Bible
God said to Moses, "I AM WHO I AM"; and He said, "Thus you shall say to the sons of Israel, 'I AM has sent me to you.'"
King James Bible
And God said unto Moses, I AM THAT I AM: and he said, Thus shalt thou say unto the children of Israel, I AM hath sent me unto you.
Christian Standard Bible
God replied to Moses, "I AM WHO I AM. This is what you are to say to the Israelites: I AM has sent me to you."
Good News Translation
God said, "I am who I am. You must tell them: 'The one who is called I AM has sent me to you.'
Holman Christian Standard Bible
God replied to Moses, "I AM WHO I AM. This is what you are to say to the Israelites: I AM has sent me to you."
International Standard Version
God replied to Moses, "I AM WHO I AM," and then said, "Tell the Israelis: 'I AM sent me to you.'"
NET Bible
God said to Moses, "I am that I am." And he said, "You must say this to the Israelites, 'I am has sent me to you.'"
New Heart English Bible
And God said to Moses, "I AM THAT I AM," and he said, "You shall tell the children of Israel this: 'I AM has sent me to you.'"
GOD'S WORD® Translation
God answered Moses, "I Am Who I Am. This is what you must say to the people of Israel: 'I Am has sent me to you.'"
JPS Tanakh 1917
And God said unto Moses: 'I AM THAT I AM'; and He said: 'Thus shalt thou say unto the children of Israel: I AM hath sent me unto you.'
New American Standard 1977
And God said to Moses, “I AM WHO I AM”; and He said, “Thus you shall say to the sons of Israel, ‘I AM has sent me to you.’”
Jubilee Bible 2000
And God answered unto Moses, I AM THAT I AM. And he said, Thus shalt thou say unto the sons of Israel: I AM (YHWH) has sent me unto you.
King James 2000 Bible
And God said unto Moses, I AM THAT I AM: and he said, Thus shall you say unto the children of Israel, I AM has sent me unto you.
American King James Version
And God said to Moses, I AM THAT I AM: and he said, Thus shall you say to the children of Israel, I AM has sent me to you.
American Standard Version
And God said unto Moses, I AM THAT I AM: and he said, Thus shalt thou say unto the children of Israel, I AM hath sent me unto you.
Douay-Rheims Bible
God said to Moses: I AM WHO AM. He said: Thus shalt thou say to the children of Israel: HE WHO IS, hath sent me to you.
Darby Bible Translation
And God said to Moses, I AM THAT I AM. And he said, Thus shalt thou say unto the children of Israel: I AM hath sent me unto you.
English Revised Version
And God said unto Moses, I AM THAT I AM: and he said, Thus shalt thou say unto the children of Israel, I AM hath sent me unto you.
Webster's Bible Translation
And God said to Moses, I AM THAT I AM: And he said, Thus shalt thou say to the children of Israel, I AM hath sent me to you.
World English Bible
God said to Moses, "I AM WHO I AM," and he said, "You shall tell the children of Israel this: 'I AM has sent me to you.'"
Young's Literal Translation
And God saith unto Moses, 'I AM THAT WHICH I AM;' He saith also, 'Thus dost thou say to the sons of Israel, I AM hath sent me unto you.'
이땅바닥은 번역이 개판이잖냐. 이게 언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허섭한건데. 왜냐면 인류 문명사를 전혀 모르걸랑.
저 언어족에 대한 이해가 선행이 되어야해 이게.
우리가 신. 이란 말로 옮기는거걸랑. 하나님.은 걍 구한말에 들어오면서 인격화해서리 주작해서 만든 말이고. 저건 잘못 번역한겨 저거.
세상 어디에서도. 신.을 하나님. 이라고 번역 비스무레 한 곳은 없어. 하나님.이라고 쓰는 곳은 없어. 구약 신약의 로어드. 갓. 야훼 의 다른 이름들을 써 원니스 이로 번역을 어디서 하니 그렇게.
모세가 이집트에서 사람 죽이고 도망나와서리 시나이반도 로 추정되는 미디언족의 이드로 네로 가서리 거기 호렙산에서 기도를 했는지 하튼 있을때 신을 만나.
모세가 그러는겨. 애들 만나면. 니를 머라고 소개해야 하냐
갓.이 말했다. 저 영역에서 갓. 이라고 썻어. 아이 엠 후아이엠. 저것도 아이 엠 댓 아이엠. 이게 어감이 약간 달라. 넘어가고. 또 어디는 아이 엠 후 엠.
애들 만나면 말해라. 아이엠 이 나를 너에게 보냈다고.
신. 이라는 나. 는. 아이엠 후아이엠. 인데. 나를 너에게 보낸 존재가. 또한 아이엠. 이야.
야 저 말이 골때리는겨.
하나님이 모세에게 대답하셨다. "나는 곧 나다.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르기를, '나'라고 하는 분이 너를 그들에게 보냈다고 하여라."
새번역.
하느님께서는 모세에게 "나는 곧 나다." 하고 대답하시고, 이어서 말씀하셨다. "너는, 나를 너희에게 보내신 분은 '나다.' 하고 말씀하시는 그분이라고 이스라엘 백성에게 일러라."
공동번역.
하나님이 모세에게 이르시되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니라 또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같이 이르기를 스스로 있는 자가 나를 너희에게 보내셨다 하라
개역개정
저걸 저리 한글로 번역을 하는데. 일단 저따위 높임말 .은 딴나라들 글에 저따위 존칭 번역은 역시나 없어. 저게 문제인건데. 저들 신. 로어드. 앞에 저들이 썰. 썰. 하고 님님 대지도 않거니와.
쟤들 영역과. 저 한글 번역이. 저게 딱 맞냐?
달라. 넘어가고.
저 이전에 모세가 말야. 나무가 불이타는 걸 봐.
여호와의 사자가 떨기나무 가운데로부터 나오는 불꽃 안에서 그에게 나타나시니라 그가 보니 떨기나무에 불이 붙었으나 그 떨기나무가 사라지지 아니하는지라
개역개정.
야훼의 천사가 떨기 가운데서 이는 불꽃으로 그에게 나타났다. 떨기에서 불꽃이 이는데도 떨기가 타지 않는 것을 본
공동번역
New International Version
There the angel of the LORD appeared to him in flames of fire from within a bush. Moses saw that though the bush was on fire it did not burn up.
New Living Translation
There the angel of the LORD appeared to him in a blazing fire from the middle of a bush. Moses stared in amazement. Though the bush was engulfed in flames, it didn't burn up.
American Standard Version
And the angel of Jehovah appeared unto him in a flame of fire out of the midst of a bush: and he looked, and, behold, the bush burned with fire, and the bush was not consumed.
두개만 갖고오면. 이땐 로어드. lord 야. 야훼.를 로어드라 영역한거고. 딴영역은 여호와. 야훼. 하는거고. 즉 야훼 할때는 대게 로어드. 라 영어를 써.
The name of God most often used in the Hebrew Bible is the Tetragrammaton(YHWH יהוה). It is frequently anglicized as Jehovah and Yahweh and written in most English editions of the Bible as "the Lord" owing to the Jewish tradition viewing the divine name as increasingly too sacred to be uttered. It was thus replaced vocally in the synagogue ritual by the Hebrew word Adonai (“My Lords”), which was translated as Kyrios (“Lord”) in the Septuagint, the Greek version of the Hebrew scriptures.[1]
성경에서. 영역 갓. 이란 단어는. 히브리어.를 이전 썰한 테트라그라마톤. YHWH. 네개로 조함한 글자. 감히 이름을 못불러. 저 네글자. 를 번역한게 갓. 이야. 이 테트라그라마톤.이 구약에서 신을 칭할때 제일 많이 나오는단어야.
The seven names of God that, once written, cannot be erased because of their holiness[5] are the Tetragrammaton, El, Elohim, Eloah, Elohai, El Shaddai, and Tzevaot.[6] In addition, the name Jah—because it forms part of the Tetragrammaton—is similarly protected.[6] Rabbi Jose considered "Tzevaot" a common name[7] and Rabbi Ishmael that "Elohim" was.[8] All other names, such as "Merciful", "Gracious" and "Faithful", merely represent attributes that are also common to human beings.[9]
갓.의 이름들이 구약에서 일곱개. 가 나오는거야. 저 테트라그라마톤. 네글자로 된것 포함해서리. 엘로힘 엘로하이 등등. 이전 썰.
The Tetragrammaton first appears in Genesis[16] and occurs 6828 times in total in the Stuttgart edition of the Masoretic Text.
저 YHWH 란 단어가 창세기에 처음 티나오고. 마소레틱 텍스트. 타나크의 히브리어 아람어 텍스트 가장 권위있는 7세기 10세기 버전에 저 단어가 6828번 나온다는거지.
The Hebrew scholar Wilhelm Gesenius [1786–1842] suggested that the Hebrew punctuation יַהְוֶה, which is transliterated into English as Yahweh, might more accurately represent the pronunciation of the tetragrammaton than the Biblical Hebrew punctuation "יְהֹוָה", from which the English name Jehovah has been derived.
저 YHWH 를 영어로. yahweh. 라고 번역한겨. 야훼.로 읽는거고. 이게 1800년대 전후야. 이게 얼마 안된겨.
이전엔 jehovah. 이리 라틴어로 번역한겨. 저 라틴어로 쓴걸. 우리가 여호와. 라고 읽는겨.
니덜 이따위 말 처음 들어볼껴. 이건 신학교에서도 안알켜줄꺼야 아마도.
우리네 번역하는 말. 뿐이 아니라 대게 모든 말글 보면 말야 막막 같이 써는겨 이리써도 되유 저리 써도 되유
이전 썰했던 유대 유다. 이 구분도 짐이 걍 대충 보믄. 없어. 왜 유대 인지 유다 인지. 언제부터 유대 고 언제부터 유다 인지. 저게 전혀 다르걸랑. 왜냐믄. 저때 역사를 제대로 모르는겨 저 지식인 자연하는 애들이.
His proposal to read YHWH as "יַהְוֶה" (see image to the left) was based in large part on various Greek transcriptions, such as ιαβε, dating from the first centuries CE but also on the forms of theophoric names
그리스어론. 저게 야브. 하는데. 이들은 퀴리오스.라 번역을 해. 넘어가고.
.
저 당시.는 구약 나오고 지저스 나오실때. 저리들. 그리스 말하는 사람들은 야브. 라틴어 말하는 사름들은 여호바. 여호아. 예호아 한겨. 먼 원니쓰 어쩌고 가 머냐 그거.
.참 일단 저 떨기나무. 떨기.
영역으로 보면. 걍 부쉬. 부쉬야 부쉬. 대체 떨기나무란 건 머야.
The Hebrew word used in the narrative, that is translated into English as bush, is seneh (סנה səneh), which refers in particular to brambles;[2][3][4] seneh is a biblical dis legomenon, only appearing in two places, both of which describe the burning bush.[3] It is possible that the reference to a burning bush is based on a mistaken interpretation of Sinai (סיני Sînāy), a mountain described in Exodus 19:18 as being on fire.[3][5] Another possibility is that the use of seneh (סנה) may be a deliberate pun on Sinai (סיני), a feature common in Hebrew texts.[6]
저걸 히브리어 세네.를 번역한 거래 부쉬. 소위 관목. 덤불.
bush
A shrub or clump of shrubs with stems of moderate length.
부쉬.는 그냥 적당한 길이로 된 줄기들을 가진 슈러브.또는 슈러브 뭉치들.
Origin
Middle English: from Old French bos, bosc, variants of bois ‘wood’, reinforced by Old Norse buski, of Germanic origin and related to Dutch bos and German Busch. The sense ‘uncultivated country’ is probably directly from Dutch bos.
저건 올드 프렌치.에 노르족언어에 덧치 독일어.등등이야. 즉 이건 라틴어.나 그리스 어가 아냐. 알프스 이북에서 나중에 로마 이후에 얘들이 만든 단어야.
shrub
A woody plant which is smaller than a tree and has several main stems arising at or near the ground.
슈러브. 라는건 땅바닥에서 나오는 여러 줄기들을 가진 식물이야. 크기 일반 나무보다 작아. 이걸 슈러브. 하는데.
Origin
Old English scrubb, scrybb ‘shrubbery’; compare with West Flemish schrobbe ‘vetch’, Norwegian skrubba ‘dwarf cornel’, also with scrub.
저 단어는. 올드 영어. 서쪽 플레미쉬. 노르웨이말. 등에서 나온말이야.
저게 머냐면. 부쉬. 가 슈러브. 야. 걍 같은 말의 다른 단어야 저게. 뿌리가 다른겨 언어들이.
로마가. 망하고 저 게르만들의 여러 애들이 자기들 부락민 말들을 라틴화해서리 이전 쓰던 구어들을 글자화 한겨. 같은 사물이나 추상에 대한 자기들 말의 다른 표현일 뿐이야 저게.
영어를 그리 봐야 해.
생각하다 할때 말야.
think
Origin
Old English thencan, of Germanic origin; related to Dutch and German denken.
reason
Origin
Middle English: from Old French reisun (noun), raisoner (verb), from a variant of Latin ratio(n-), from the verb reri ‘consider’.
저 띵크. 란 말은 게르만이 어원이고. 리즌. 이란 말은 라틴어야. 라틴어를 프랑스 갈리아애들이 쓰고 그게 영어로 넘어온겨. 저 두개가 그래서 다 같이 영어에서 띵크. 리즌.
저게 같은 말이야. 정의가 다를 게 없어요.
해서 칼융 인터뷰 보면. 칼융은 저 think 라는 말을 자주 써. 리즌 이란 말보다. 영어가 프랑스 독일어 에서 어원을 달리한 다른 표현들의 같은 말일 뿐이야.
프랑스 계통애들은 리즌. 을 쓰는거고. 독일애들 계통 영어는 띵크.를 쓰는겨 지들 집단 무의식에 의해서. 저 기원 이라는 건 엄청난겨 저 힘은. 우리네는 언어를 감히 주작질로 개인이 막막 쓸 수가 없어. 집단적으로 서로 납득이 되기 때문에 쓰는겨. 그 어긋남에서 웃음 개그가 나오는거고.
.
해서 저건 걍 관목. 일 뿐이야. 즉 저걸 덤불. 이라 하는겨. 떨기.가 다른게 아니라. 우리네 한떨기 두떨기. 하는 그 덩어리. 의 의태어 야 저게. 먼 떨기나무 어쩌고 해서 그따위 나무가 따로 있는게 아냐. 저건 번역 드럽게 한겨.
Burning bush. Painting from Hermitage Museum, Saint Petersburg
즉 말야. 키보다 작은. 줄기 형태로 된 나무들의 걍 총칭. 일 뿐인겨 부쉬.나 슈러브.나
저기에 속하는 나무들 종류가 또한 많겠냐 안많겠냐?
저 레반트의 관목 과 다른 지역의 관목은 그 나무가 다르겄지 더군다나.
쟤들이 지정한 관목.을 저들은 세네. 라고 했는데. 저건 성경의 저기에만 나오는 말이고. 몰라 저게 먼지. 저걸 걍 버닝부쉬. 불타는 관목. 으로 영어로 해석했다는겨. 세네. 는 시나이.의 펀놀이. 음운놀이 로 쓴 말인 듯.으로 보이고.
저 지역에 타는 관목은 가시있는 관목덩어리형상 이라는겨. 해서 굳이 무슨 나무 하면 가시나무 하는게 더 나을지도.
떨기나무. 는 걍 작은나무숲. 이란 의미야. 개나리 나팔꽃 하는 그따위 지정된 이름이 아냐.
.
Kyrios or kurios (Ancient Greek: κύριος,
translit.kýrios) is a Greek word which is usually translated as "lord" or "master".[1] In religious usage, it is sometimes translated as God. It is used in the Septuagint translation of the Hebrew Bible and the Greek New Testament.[2][3][4][5] Kyrios appears about 740 times in the New Testament, usually referring to Jesus.
그리스어로. 로어드.하는 주님. 은 퀴리오스. 쿠리오스. 구약의 70인번역. 신약의 그리스 텍스트. 알렉산드리아 텍스트겄지. 여기에 퀴리오스. 신약에서 지저스 예수를 지칭할 때 이 퀴리오스.를 740번 썼대.
god
Origin
Old English, of Germanic origin; related to Dutch god and German Gott.
갓.이란 말은 게르만 말이야.
lord
Origin
Old English hlāford, from hlāfweard ‘bread-keeper’, from a Germanic base (see loaf, ward). Compare with lady.
로어드. 란 말은. 원래 의미가 사람에 쓴겨. 이것도 게르만어야.
A man of noble rank or high office; a nobleman.
지도자 동지야. 밥 주는 . 빵가지고 있는.
.
갓.이나 로어드. 나 이따위 말은. 뒤에 나오는겨.
언제 나올까? 조오오온나게 뒤에.
Latin deus consistently translates Greek θεός theos in both the Vetus Latina and Jerome's Vulgate. In the Septuagint, Greek theosin turn renders Hebrew Elohim (אֱלוֹהִים, אלהים).
원래 그리스나 로마의 신. 테오스. 를 맏아서리 데우스. 한겨. 이게 신에 대한 일반 명사야. 그러다가 유대교 애들 보고서리 네글자를 야브. 여호아. 라고 읽어준거고. 아니면 퀴리오스. 한겨.
이전 글자 이야기 썰할때. 저 알프스 이북에 영프독은 라틴어를 이제야 지들이 익혀서리 지들만의 글자를 만드는겨. 게르만은 좀 달라. 얘들은 지들게 찐하게 있었던거에 라틴어를 써먹어.
해서 지들만의 언어로 된 글자로 된 서사시. 글자의 조합이 시작하는건 시야 시. 그 서사시가 티나오는게 서기 일천년. 1000년 직전이야. 얘들은 이때에야 라틴어를 찐하게 습해서리 지들 언어로 글을 쓰기 시작한겨.
저 갓. 로어드. 란 말은 저때 나오는겨.
쟤들은 늦어. 헌데 빠른겨. 그 이전의 수천년 야만의 역사에 비하면.
그 이유는 로마야 로마. 로마가 뿌린걸 쟤들이 나름 배우는겨. 로마가 있엇기 때문에 이제야 그 걸 바탕으로 . 문명을 만든겨. 저 사오백년 만에. 그게 끽해야 로마 문명 재건이야. 서기 일천년전후는. 저게 말야. 중세 르네상스 지나면서 이제는 로마 이상으로 날라가는거야 저게.
쉼.
Adonai (אֲדֹנָי,
lit."My Lords") is the plural form of adon ("Lord") along with the first-person singular pronoun enclitic.[n 4] As with Elohim,
The singular forms adon and adoni ("my lord") are used in the Hebrew Bible as royal titles,[39][40] as in the First Book of Samuel,[41] and for distinguished persons.
아도나이. 나의 주님들. 아돈. 이 로어드.야. 이건 우가릭에서 온듯한데. 몰라. 우가릭은 아람어 아람족 옆동네. 한데 이걸 엘로힘 대용으로 단수형으로 불러 나의 주님.
나의 주님. 오마이갓. 의 원칙적으로 쓰인 단어는. 아도니. 히브리성경에 쓰였대.
해서리. 아도나이 아도니. 막막 했겄지. 말하기 쉬워서리 또한.
하튼 오마이갓. 오마이로어드. 는 후대에 쓰는겨. 저 알프스 이북애들 입을 통해서리. 얘들이 신약 전파하면서 이걸 쓰는거고. .
불가타 성경.도 신은 다 데우스. deus. 야
The Vulgate (/ˈvʌlɡeɪt,
불가테이트. 불가타 성경. 서기 382년에 나온겨. 베투스 라티나 가스펠. 올드 라틴어로 된 텍스트를 수정한겨. 이 올드 라틴어판은 지금 없어.
여기서 갓.은 데우스.
The City of God Against the Pagans (Latin: De civitate Dei contra paganos), often called The City of God,
히포의 아우구스틴이 쓴 신의 도시. 도 라틴어야. 신의. 데우스.의 데이. 일 뿐이야.로마 가 망했어도. 다 라틴어야. 중세에 저들 언어들이 자리잡기 전까지는.
살리크법. 의 그 살리안 족이 만든 법. 서기 5백년도. 이게 지금 있어. 이것도 라틴어야. 헌데 프렌치가 간혹 섞인겨. 그러다가 사오백년 지나서리 프렌치가 자리를 잡는겨 라틴어화 된 프랑크애들 글자가.
The Romance languages (also called Romanic languages or Neo-Latin languages)
- Ibero-Romance: Portuguese, Galician, Mirandese, Asturian, Leonese, Spanish (Castilian), Aragonese, Ladino (Judaeo-Spanish);
- Occitano-Romance: Catalan/Valencian, Occitan (langue d'oc), Gascon;
- Gallo-Romance: French/Oïl languages, Franco-Provençal (Arpitan);
- Rhaeto-Romance: Romansh, Ladin, Friulian;
- Gallo-Italic: Piedmontese, Ligurian, Lombard, Emilian-Romagnol;
- Italo-Dalmatian: Italian, Tuscan and Corsican, Sassarese, Sicilian, Neapolitan, Dalmatian (extinct in 1898), Venetian, Istriot;
- Sardinian;
- Eastern Romance: Daco-Romanian, Istro-Romanian, Aromanian, Megleno-Romanian.
로마.가 저 유럽을 지배하면서. 쟤들 언어가 라틴어를 바탕으로 글자화 되는겨. 자기들 언어를.
저기서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로망스. 등등 저 언어들이 다 지금도 대부분 써 지역별로.
게르만 독일어는. 자기들 문자가 있었어. 이걸 룬 문자
Runes are the letters in a set of related alphabets known as runic alphabets, which were used to write various Germanic languages before the adoption of the Latin alphabet and for specialised purposes thereafter.
The earliest runic inscriptions date from around 150 AD.
서기 150년도에도 보여. 헌데 이게 다 라틴화 되는겨. 저 문자는 안써 그래서. 스웨덴에서 장식체로 쓰고.
사가. 라는 바이킹 이야기는 올드 노르족언어고. 이 노르족 언어이자 글자.의 시작은 저 룬 문자야. 이건 지금 노르웨어로 전혀 다르게 변형 되어서 노르웨이언어로 독자적 쓰는거고. 이전 썰.
Most German vocabulary is derived from the Germanic branch of the European language family.[citation needed]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amount of loanwords from other languages, in particular from Latin, Greek, Italian, French[70] and most recently English.[71]
게르만 독일의 어휘들도. 결국 다 라틴어 그리스어 에서 갖고 오는겨. 그 옆 프랑스. 영어 에서도 가져다 자기들 단어화 해서 쓰는거고. 그리스어를 라틴어화 한 것으로 프랑스어 영어가 나오고 그걸 게르만애들이 자기들 것 화 하고.
The absence of Frankish literature sources suggests that the Frankish language was forgotten rather rapidly after the early stage of the dynasty.[15] Hen believes that for Neustria, Burgundy and Aquitania, colloquial Latin remained the spoken language in Gaul throughout the Merovingian period and remained so even well in to the Carolingian period.[15]
프랑스.는 메로빙거 시작할때. 보믄 없어. 즉 다 라틴화된겨. 자기들 언어가 있었어. 헌데 라틴화 된겨. 자기들 언어는 지워지고 대체가 되면서 라틴어에서 자기들의 언어가 다시 나오는겨 그게 프렌치야.
The Carolingian Renaissance was the first of three medieval renaissances, a period of cultural activity in the Carolingian Empire.
서기 칠백년대에서 팔백년대의 카롤링거 왕조의 르네상스. 라 하지만. 이때 이야기들도 다 라틴어야. 라틴어를 배워야해. 세상은 로마의 라틴어야. 저길 바탕으로 자기들의 언어가 라틴이랑 섞이면서 구어가 바뀌고 코멩멩이 하민서리 자기들 글자가 나오는겨.
Vulgar Latin or Sermo Vulgaris ("common speech") was a nonstandard form of Latin(as opposed to Classical Latin, the standard and literary version of the language) spoken in the Mediterranean region during and after the classical period of the Roman Empire.
저때 저 알프스 이북의 라틴어.를 불가르 라틴. 이라해.
불가르. 란건. common. 공통의. 하지만 이건 널리 쓰이는겨. 코무네 코무니즘 꼬뮤니즘의 그 카먼이야. 이건 민들에 해당하는 말이야. 나쁘게는 저속한겨. 통속적인겨.
고급진게 아냐. 저것의 반대말이 그래서 클래식 라틴.이야. 키케로 카이사르 세네카 비르길리우스 의 글들은 클래식컬 라틴이야.
It is from Vulgar Latin that the Romance languages developed; the best known are the national languages Italian, Spanish, Portuguese, Romanian, and French.
라틴어가 알프스를 넘어서리. 자기들이 쓰던 구어로 라틴어를 말하는겨. 글은 잘 몰라. 걍 귀로 들은걸 자기들만의 인식된 틀로 의사사통을 해. 이태리 반도도 마찬가지고. 저기서 가까운 이탈리아는 원래 라틴어를 더 현대화 한것이고. 스페인 포르투갈 로망스. 프랑스말.은 자기들 이전의 구어에 불가르 라틴이 섞이면서리 서기 천년 전후에 저들 각각의 말글이 자리를 잡아.
불가타 성경 할때 불가타. 가 저 불가르. 야
영어. 잉글리쉬. 도
Old English was first written using a runic script called the futhorc, but this was replaced by a version of the Latin alphabet introduced by Irish missionaries in the 9th century.
얘들도 게르만이걸랑. 앵글로 섹슨. 켈트가 문명 자체가 진거야. 힘이 약해서 진게 아니라 문명이 약해. 언어도 켈트가 약한겨. 게르만에 먹힌겨 그래서. 얘들도 자기들 룬문자.인 푸토륵.이 있었어. 똑같애 독일게그람이랑. 이걸 버리고 라틴어를 바탕으로 잉글리쉬 만든겨. 단어들은 라틴어 및 아래 대륙에서 갖고 오는거고.
해서 굳이 저리 불가르 라틴어에서 영어 와 독일어 는 빠졌지만. 다 똑같애.
쟤들은 로마 멸망 이후. 사오백년 로마화가 찐하게 지들 스스로 되면서리. 그이후 사오백년은 자기들 말글을 만들어서 쓰기 시작한겨.
즉 중세 천년이란건 말야. 자기들 각각이 로마 배우기 더하기 익히기 더하기 표현하기. 이게 중세 천년이야.
여기에 더하여서. 더하기가 되서리. 고대 로마 그리스 이집트 가 못한 산업혁명을 한겨.
쟤들한테 먼 친로마파 친 무슨파 적폐 해대는 애들이 있니?
적폐 적폐. 친일파 친미파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전사8. 프랑스와 독일 ft.베르됭 조약. 아키탄 (0) | 2018.08.09 |
---|---|
유전사7. 리투아니아 리보니안 (0) | 2018.08.08 |
유전사6. 12세기 전쟁 ft.스칸디나비아. 플랜태저넷 (0) | 2018.08.06 |
11. 중세천년, 하늘을 맘껏사유하고 땅에 내려오다 ft.중세의 기간. 로마니까 (0) | 2018.08.06 |
유럽전쟁사5. 로마약탈 1084 ft.작센 살리안 (0) | 2018.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