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 Dictionary | Approximate number of words | Notes | References |
---|---|---|---|---|
Korean | 우리말샘 (Woori Mal Saem, 2017) | 1,100,373 | Online open dictionary including dialects of South and North Korea. | [1] |
Turkish | Büyük Türkçe Sözlük | 616,767 | Online dictionary of the Turkish Language Association | [2] |
Swedish | Svenska Akademiens ordbok, Swedish Academy | ~600,000 | After having completed letters A through T SAOB included 470,000 words, but 600,000 words when the alphabet is complete in 2017. Svenska Akademiens ordlista, which includes only commonly used words, currently includes ~126,000 words after having added 13,500 and removed 9,000 in its latest edition, SAOL 14, plus an additional 200,000 still encountered words in earlier editions. | [3][4] |
Icelandic | Orðabók Háskólans | ~560,000 | 43,000 basic words and 519,000 compound words of which more than half are attested only once or don't get into print (“instant combinations”) | [5] |
Japanese | Nihon Kokugo Daijiten | 500,000 and more | [6] | |
Lithuanian | Lietuvių kalbos žodynas (Academic Dictionary of Lithuanian) | 500,000 and more | 22,000 pages in 20 volumes with quotations from all kinds of writing and dialect records between 1547 and 2001. Accessible online at www.lkz.lt. | [7] |
Norwegian | Norsk Ordbok | ca. 500,000 | [8] | |
Dutch | Woordenboek der Nederlandsche Taal | ca. 400,000 | The 43 volumes of the WNT (including three supplements) consist of 49,255 pages, describing Dutch words from 1500 to 1976. | [9] |
German | Deutsches Wörterbuch | 330,000 | 330,000 words in use since the mid-fifteenth century. — Duden's Großes Wörterbuch der deutschen Sprachecontains over 200,000 contemporary words.[10] | [11] |
Gujarati | Bhagavadgomandal | 281,377 | 2.81 lakh words and their meanings in 9 volumes. Also serves as an encyclopedia with almost 8.22 lakh words. | [12] |
French | Trésor de la Langue Française informatisé | 270,000 | ATILF[13] (Analyse et Traitement Informatique de la Langue Française – Computer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French Language)135,000 (Larousse Dictionnaire de français, published by Editions Larousse)[14] | [15] |
Italian | Grande dizionario italiano dell’uso | 260,000 and more | The number of "sayable and writable" word forms is estimated at over 2 million | [16] |
Czech | cs:Příruční slovník jazyka českého | 250,000 | Nine volumes of this dictionary were printed in years 1935-1957. They contain about 250,000 words, their meanings and example usage from literature. The dictionary is available online. | [17] |
English | Oxford English Dictionary, Second Edition | 171,476 | Oxford Dictionary has 273,000 headwords; 171,476 of them being in current use, 47,156 being obsolete wordsand around 9,500 derivative words included as subentries. The dictionary contains 157,000 combinations and derivatives in bold type, and 169,000 phrases and combinations in bold italic type, making a total of over 600,000 word-forms.[18][19]There is one count that puts the English vocabulary at about 1 million words — but that count presumably includes words such as Latin species names, prefixed and suffixed words, scientific terminology, jargon, foreign words of extremely limited English use and technical acronyms.[20] | [21][22] |
English | Merriam-Webster, Third Edition and Addenda Section | 470,000 | [23] | |
Danish | Ordbog over det danske sprog, Dansk Sprognævn | 200,000-300,000 | Dansk Sprognævn grows with 5,000 to 7,000 words a year | [24] |
Russian | Большой академ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The Great Academic Dictionary of the Russian Language) | 150,000 | [25] | |
Ukrainian | Словник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The Dictionary of the Ukrainian language) | 134 058 | The dictionary was finished in late 1970s - early 1980s | [26][27] |
Tamil | University of Madras Tamil Lexicon | 124,405 | The dictionary includes 124,405 separate entries. | [28] |
Portuguese | Grande Dicionário da Língua Portuguesa | 120,000 | The dictionary includes 120,000 separate entries, with 300,000 definitions. | [29] |
Slovene | Slovar slovenskega knjižnega jezika, Second edition, 2014 | 110,180 | The official dictionary of modern Slovene is Slovar slovenskega knjižnega jezika (SSKJ; Standard Slovene Dictionary). It was published in five volumes by Državna Založba Slovenije between 1970 and 1991 and contains more than 100,000 entries and subentries with accentuation, part-of-speech labels, common collocations, and various qualifiers. In the 1990s, an electronic version of the dictionary was published and it is available online. | [30] |
Spanish | Diccionario de la lengua española de la Real Academia Española, 23th edition, 2014 | 93,000 | [31] | |
Indonesian | Kamus Besar Bahasa Indonesia, 4th edition, 2008 | 90,049 | ||
Dutch | Van Dale, 14th edition, 2005 | 90,000 | [32] | |
Bulgarian | Dictionary of the Bulgarian Language(monolingual academic explanatory dictionary), (Многотомен) Речник на българския език in Bulgarian, in 15+ volumes | 119,200 and more headwords | This dictionary covers vocabulary from the last 150 years of the Bulgarian language and is compiled and edited by linguistics (primarily native lexicographers and lexicologists) from The Institute for the Bulgarian Language (part of the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It includes basic, commonly used, literary, colloquial, dialectical, archaic and obsolete Bulgarian words, as well as some specialized terminology. The latest volume (15th) published in 2015 ends with headwords beginning with the (Bulgarian Cyrillic) letter Р. | [33] |
Chinese | Zhonghua Zihai | 85,568 | Number of different characters in use throughout several millennia of written history. The Hanyu Da Cidian defines some 370,000 words. | [34][35][36] |
Malaysian | Kamus Dewan, 4th Edition, 2005 | 82,900 | ||
Catalan | Diccionari de la llengua catalana(Dictionary of the Catalan language of the Institute of Catalan Studies (DIEC)) | 69,988 | The dictionary includes 69,988 headwords and 132,343 definitions. | [37] |
Classical Latin | Oxford Latin Dictionary | 40,000 | Approximately 40,000 entries with 100,000 senses. | |
Esperanto | Plena Ilustrita Vortaro de Esperanto(Complete Illustrated Dictionary of Esperanto) | 16,780 |
각 나라 사전별 단어 수.를 나온 통계 위키 걍 하나 보니 저렇다. ㅋㅋㅋ. 우왕 우리네가 1백만개야 단어가. 1등이야 일등 전세계. ㅋㅋㅋ
얼마나 부끄러운지 아냐. 이땅바닥 조선 들.
얼마나 얼마나 망상병 허상병 에 걸린 줄 아냐 이땅 사족 들.
이땅은 조선이야 조선.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18&aid=0004162850
진성준 “박원순 옥탑방쇼? 조선 임금도 돌아다니며 민정 살폈다”
아니 . 우리네 시장님이 쇼를 한다뇨? 감히 우리네 시장님이. 서민 체험을 하시면서 고생 하시는데 감히 쑈라뇨? 조선임금님들이 변복하시면서 돌아다니면서리 민정 살피셨어. 우리네 시장님이 위대하신 조선 임금님들을 벤치마킹 하는 것도 모름서.
우리 시장님을 욕하는건. 위대한 조선 욕하는 친일 적폐세력 이여. 여전히 이 친일 적폐가 우리 조선민족 정기를 더럽히고 있당께.
조선 임금님들을 본받으시고. 위대한 조선 임금님을 좇아서리 민정 살피시는 우리네 시장님을 본받어.
.
옘병. 헌데 과연 조선때 왕들이 변복해서 민정을 살폈대?
검색 해보다.
.
일단 조선실록. 변복. 암행. 조선 임금. 조선 왕. 성종 영조 했다해서 해보니. 아 일일 확인 구찮아.
없어 없어.
요즘 웬만한건 다 있어 이너넷에.
.
조선 영조 대왕 때 한양 남산골에 사는 가난한 선비 장경문은 몰락한 정승의 후손으로 낡은 집 한 채에 의지해 간신히 연명해 가고 있었다. 어느 날 민생을 살피고자 암행길에 나섰다가 장경문의 비참한 생활을 본 임금은 사정을 딱하게 여겨 장경문에게 제주 목사의 벼슬을 내렸다.
기쁨도 잠시, 돈 한 푼 없는 장경문이 천릿길 제주도로 부임할 노잣돈이 있을 리 만무였다.
...
이런 글이 중복 되서 비스무레한 뉴스에 카피.
저건 배비장전. 이라는 소설에 나오는 이야기야. 배비장전 어떤 판을 본 줄 모르겠으나. 김경. 이야. 장경문도 아냐. 배씨가 비장 벼슬 사는 이야기. 걍 양반들 허섭하단 이야기.
소설이야 소설.
성종의 미행설화.
야이 . 구전 소설이야 소설.
이들은. 역사를 . 팩트로 안배우걸랑. 공부 안하걸랑. 걍 망상 이걸랑. 역사를 영화 드라마로 배우걸랑.
저 조선시대 영화 드라마. 저거 다~~~~야 조선 뽕질이야.
조선이 위대하다는걸. 인간들에게 세뇌질 시키는겨 저게.
맨날 반독재 데모만 해대면서리 술만 처먹는겨.
멀 아는게 잇니 아는게.
머리에 들은게 없어. 들어간건 오직 상대는 적폐 제국주의. 우리네는 정의 .민주. 이따위 이념 놀이 외엔 없어
저따위 애들이 지금 권력을 잡은겨 미디어를 잡은거고. 이게 문민정부 대민서리 특히 조선 띄우기가 절정인건데 지금.
쟤들은. 김영삼 묘는 가는겨. 자기들 이념이걸랑. 딴애들은 안가. 쿠데타 에 독재여.
쿠데타 나뻐 독재 나뻐. 민주가 정의야.
한심한겨 저게.
저 배비장전도 말야. 저 기사를 보믄. 배비장 이라는 역사적 인물이 그래서 생겼다. 역사적 인물이래. 소설속 인간을. 작자 보니. 명리학자야.
이 한무당 들 .
저따위 글들을 칼럼으로 똑같이 빼껴서리 써대고.
하니 당근 조선 왕들이 변복을 해서 민정을 살폈다는겨.
저따위 소설도. 결말은 말야. 그냥 임금이 자리 주는겨. 야 너 불쌍타. 관직 주께. 이따위 이 다야. 처먹고 살게 없걸랑. 사농공상 에 유교이념 정의 놀이 민주놀이 적폐놀이 하는게 왕조의 오백년이야. 처먹고 살게 없어. 그러니 어째. 자리 하나 잡으면 민들을 쪼는겨. 있을때 해처먹어야 해. 저 사람들이 먼죄야. 처먹고 살게 없는데. 그따위 체제.를 만든 그 저짝 위에 들부터 오백년 내내 통촉하옵소서 대는 그들이 천하의 개개끼들 아니냐? 걔들을 상징으로 지폐 동전으로 지금도 모시는거고. 쟤들 각각이 가 아니라. 쟤들은 조선 오백년 전체 대신 대간들을 상징할 뿐이야. 걍 평범한 애들이야. 쟤들이 이땅바닥에선 천재고 위인인거고.
Book III[edit]
- Who can be a citizen?
"He who has the power to take part in the deliberative or judicial administration of any state is said by us to be a citizen of that state; and speaking generally, a state is a body of citizens sufficing for the purpose of life. But in practice a citizen is defined to be one of whom both the parents are citizens; others insist on going further back; say two or three or more grandparents." Aristotle asserts that a citizen is anyone who can take part in the governmental process. He finds that most people in the polis are capable of being citizens. This is contrary to the Platonist view which asserts that only very few can take part in the deliberative or judicial administration of the state.[1]
- Classification of constitution.
- Just distribution of political power.
- Types of monarchies:
-
- Monarchy: exercised over voluntary subjects, but limited to certain functions; the king was a general and a judge, and had control of religion.
- Absolute: government of one for the absolute good
- Barbarian: legal and hereditary+ willing subjects
- Dictator: installed by foreign power elective dictatorship + willing subjects (elective tyranny)
Book IV
- Tasks of political theory
- Why are there many types of constitutions?
- Types of democracies
- Types of oligarchies
- Polity (Constitutional Government) – highest form of government
-
- When perverted, a Polity becomes a Democracy, the least harmful derivative government as regarded by Aristotle.
- Government offices
아리스토텔레스.의 폴리틱스. 시티즌 시민들은 누가 될수 있나. 당시 아테네.는 부모 모두 시민권자여야 아테네시민권을 받아. 플라톤은 이걸 찬성해. 플라톤은 로마식으론 파트리쿠스.야 귀족집안이야. 아리형은 마케도니아 촌놈이야. 아리 형은 이게 기분나쁜겨. 정책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사람이면 모두 시민권을 줘야 한다. 얜 이 이야길 하고픈겨 지 개인적인.
정치체제를 분류를 해.
컨스티튜션. constitution. 은 헌법. 이리 단순히 보는게 아니라. 같이 모여서. 만든겨. 이걸 법제화 한겨.
즉 같이 같이 만들었다. 에 방점이 있어.
Origin
Late Middle English: from Latin constitut- ‘established, appointed’, from the verb constituere, from con- ‘together’ + statuere ‘set up
독재.도 콘스티튜션의 콘스티뉴트.의 하나야.
저 컨스티튜션. 의 타입을 이 인간은 크게 세개에서 출발해서 6개 타입으로 보는겨
로얄티 왕정군주.에서 타이러니 참주. 파트리쿠스가 파트로누스.가 되서리 아리스토크라시 귀족들이 되어서 정치하는 아리스토크라시 에서 올리가르키.라는 과두 몇몇이 할 수도 있고. 그야말로 같이 모여서 권력꾸리는 체제에서 데모크라시 할 수도 있고.
데모크라시.는 저기서. 다수결 체제야. 이게 별게 아녀.
다수결. 이 옳으니?
망상이야 망상.
Book VII[edit]
- Best state and best life
- Ideal state. Its population, territory, position etc.
- Citizens of the ideal state
- Marriage and children
Book VIII[edit]
- Education in the ideal state
저 아리 형의 정치학 이나 제대로 읽어봐라.
다 걔들 사유의 확장에 따라서리. 걔들 수준에 따라서리. 한놈이 할 때가 있고. 민들이 수준이 높아져서리 민도가 높으면 데모크라시 도 하는거고.
이땅바닥의 민들의 수준이 어느정도 라 생각하는거냐?
이게 한심한거걸랑. 지들이 대단한 민족의 정기를 가진 음청난 위대한 선민들이란겨 이분들이.
누가 하던 어드래 하던 common good 공통의 선.으로 나아가기만 하면 되는겨.
단지 독재가 나뻐유. 민주가 좋아유.
그 단순한 이념놀이 이. 세계대전 이후의 모든 탈식민지국가들에서 겪은 피의 역사다. 민주 하다가. 모든 탈식민지들이 지금 저리 개거지로 산단다.
왜냐? 처칠의 말이걸랑. 쟤들은 아직 그따위 수준이 안돼. 하는겨 처칠이.
슬픈 말이지만. 맞는 말이걸랑.
헌데 저 아리스토텔레스.나 플라톤. 을 보면. 얘들도 공상 하걸랑. 결국 저래서 아테네 가 망하고 그리스 가 망한겨 로마에.
얘들은 실재감. 리앨리티가 떨어져.
저 니코마코스 윤리학이니 플라톤의 리퍼블릭.이 명작이라지만. 저것도 가만 디다보믄. 공상 이야. 정의가 어쩌니 저쩌니.
헌데 쟤들은 공상이고. 우리네는 망상이고. 넘어가고. 나중에 썰하던 말던.
.
해서 쟤들 말은. 대갈빡에 든게 없어서. 허상을 실재로 취해. 거짓말을 지가 거짓말이라고 인식도 못해. 지 말이 진실인줄 알어. 골때리.
저것들 이념놀이 하는 들 말글은 다 쌩거짓말이걸랑. 분노는 허상이고.
그래서 지금 국가 경제가 개판인겨 저게. 똑같은 적폐놀이 조선 오백년 개을 지금 신나게 하는거걸랑.
이건 조선민국이야.
비참해질텐데 이나라 곧.
니덜이 키운 애들이걸랑 저 이념에 환장한 들을.
이념에 죽고 이념에 사세유. 하는 허연도포자락 날리는 애들의 소설이. 그야말로 필독서에 고전이걸랑 이땅바닥에서.
죽어라 죽어라. 이념에 죽어라. 그럼 너를 열사로 모실지니.
남들은 몇천억 처먹어도 잘사는데. 그깟 얼마 처먹었다고 그르냐. 하민서리 엉엉 하는 거리에서 투쟁로 늙은 의 말을 봤는데 얼핏. 아 불쌍한겨 저따위 인생.
자기는 위대한 삶인줄 알아. 젊은 애들은 저따위 애들이 위대한 어르신인줄아라.
구데기 로 살아라 차라리. 아 정말 불쌍한 인생들이야.
.
눈물이나 눈물이. 쟤들이 너무나 불쌍해서. 저따위 늙은 들이 짐은 너무나 불쌍해.
완전 망상이야. 망상속의 인생 육칠십년이야 저게.
저따위 아니면. 삶의 원동력이 없는겨. 불쌍한겨. 헌데 저따위 걸 보고 또 애들이 숭상하면서 저따위 삶을 따라가는겨.
저게 조선이야 조선.
조선이여 조선이여 조선이라는 님이여. 위대한 조선민족이여.
.
어휘 수[편집]
1999년 국립국어원이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는 509,076개의 어휘가 수록되었으며, 2008년부터 국립국어원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는 표준국어대사전에는 2014년 현재 511,160개의 어휘가 수록되어 있다.[2]
비판[편집]
한글 위키 보믄. 저긴 표준국어대사전이 오십만개 어휘수. 하는데. 이전 사전 썰했지만.
이땅바닥 사전은. 그게 사전이 아냐.
쓰지 않는 단어들을 걍 때려 넣은겨. 저 프로젝트가 돈으로 오백억이냐 기억이 안나는데.
표제어. 라고 우리네는 그걸 어휘라고 샌거야 저게.
정의. 검색해보자
단어(47)
정의. 라는 표제어가 똑같은 한글 포함 정의 들어간 단어들이 47개야.
- [동사] 따뜻한 마음과 뜻이 서로 통하여 친하다.
- [동사]
명사
진리에 맞는 올바른 도리. 바른 의의. 이게 정의. 져스티스. 의 뜻이래.
진리. 는 머까
명사
참된 이치. 참된 도리.래
도리.는 머까
도리. 치니 단어. 112개
사람이 어떤 입장에서 마땅히 행하여야 할 바른길.
.
아 넘어가자. 일단 고어. 가 없는 사전은 저게 먼말인지 몰라.
저따위 표제어. 수가 많다는건. 거짓이야 거짓.
The Second Edition of the 20-volume Oxford English Dictionarycontains full entries for 171,476 words in current use, and 47,156 obsolete words. To this may be added around 9,500 derivative words included as subentries.
옥스포드 영어사전. 20권 짜리.가 단어 수가 17만개야. 이게 표제어야 우리식의. 4만여개는 안쓰는 단어래.
헌데 어드래 우리 말 수가 많겄냐 쟤덜보다.
단어들이 언제 터져 나오겄니.
중세 후기에. 막막 터지는겨. 사람들 사유가 터지면서. 쟤들이 산업혁명 까지 간 이유야.
그 단어들의 창작이 문명을 만든 거걸랑.
그건 로마.를 복원하면서리 그리스도 얹어서리 간겨 저게.
서기 천년 지나면서 글자들이 터져 나오는겨 저게.
중세 천년 할때
In the history of Europe, the Middle Ages (or Medieval Period) lasted from the 5th to the 15th century. It began with the fall of the Western Roman Empire and merged into the Renaissance and the Age of Discovery.
서로마 망하고. 그때부터 르네상스 까지를 중세 하면.
저 알프스 위에는. 로마에서 그동안 익힌 라틴어를 갈리아인들 게르만인들이 그걸 기초로 자기들 언어를 글자로 만드는겨. 로마는 체제가 무너졌지만. 로마는 재료가 돼. 어마어마한.
자기들 글자로 된 사유의 결과물들이 신화와 문학으로 만들어지는겨 10세기 전에.
중세 전반기는 로마를 익히는겨. 그리고 나서리 서기 1천년 지나면서리 자기들의 이야기를 자기들의 단어들로. 막막 써내려가는겨. 서로서로. 영지애들끼리 서로서로 겨누면서.
여기서 글자들이. 단어들이 서로 막막 터져 나오는겨.
사유가 터졌걸랑. 새로운 단어들을. 자기들이 만든 글자와 이전의 로마글자 그리스 글자와 합하는겨.
해서 12세기 이후로는 걍 막막 터지는겨. 올드 잉클리쉬란 이때 생기는겨. 올드 프렌치니 게르만이니.
셰익스피어도 그래서 셰익스피어야 나중에.
중세 끝물에는 더 터지는겨.
일본들이. 저 것들을 번역하는거야. 수많은 가타가나.가 그래서 나오는거고 새로운 단어들이.
이나라는 저게 없었어.
어드래 단어들이 쟤들보다 몇배가 많니
단어가 없어 표제어가 없어. 그래서 무식한건데 허상에 허세만 있고 망상만 하는건데
쉼
이전에 생물 분류학을 봐도. 다 일본가 만든 말이고 일본가 번역한거고. 저걸 우리네 사전에 한글발음으로 싣는겨. 생물학 화학 수학 언어학 물리학 머 다 다 다 모두 다 일본가 번역한 걸 우리네 사전에 실은거다
노랗다 노리무리하다 누렇다 푸러누렇다 누리뭉실두스리 하다. 이따위가 다 표제어 야 ㅋㅋㅋ
그래서. 오십만개니 백만개. 세계에서 단어들이 제일 많은 나라. 아 리 조선을 이은 이땅바닥은 위대한 나라
미쳐도 분수가 있는거지
해서 애들이 이건 다 정신병자 환자야 다. 모~두 다 니덜이 정신병자 자손들이야. 해서 가족부터 사회까지 개판인겨 이게.
니덜이 피해자야. 헌데 곧 니덜이 가해자가돼.
그따위 구조를 저따위 이념놀이 하는 들이 선두에 서서 발광을 하는겨. 눈물 뚝뚝 대민서리.
.
글자. 가 문명을 만들어.
글자. 가 사유를 더 확장하는겨.
글자. 는 거대한 우주크기의 무의식을. 의식화 하는 행위야.
그게 과학이고 그게 문명이야.
이땅바닥이 한무당 하는 이유야. 의식이 죽었어. 무의식. 원시 무의식의 나라야 이나라가. 논리가 없어. 이성이 없어.
.
페르시아. 투르크. 들이 다 이슬람이 드센 이유는.
글자야.
An abjad (pronounced /ˈæbdʒɑːd/[1] or /ˈæbdʒæd/)[2] is a type of writing systemwhere each symbol or glyph stands for a consonant, leaving the reader to supply the appropriate vowel. So-called impure abjads do represent vowels, either with optional diacritics, a limited number of distinct vowel glyphs, or both. The name abjad is based on the old Arabic alphabet's first four letters – a, b, j, d – to replace the common terms "consonantary", "consonantal alphabet" or "syllabary" to refer to the family of scripts called West Semitic.
라이팅 시스템. 글자 체계를 네 개로 분류해. 알파벳 계열 다음에. 아브자드. abjad. 아랍 알파벳 앞순서를 따서리 만든 단어야.
이들 글자는. 하나의 자음을 읽으면. 그 자음에 해당하는 모음을 그냥 알게돼. 그 모음 글자가 안 쓰여 있어도. 이들 글자는 프로토 시나이 카나안 우가릭. 빼고는 모두 오른쪽 에서 왼쪽으로 글쓰기를 해.
The Persian alphabet (Persian: الفبای فارسی, alefbā-ye fârsi), or Perso-Arabic alphabet, is a writing system used for the Persian language.
The Persian script is a type of the Arabic Script as the Arabic script took an influence from Avestan and the Pahlavi scripts. It is an abjad, meaning vowels are underrepresented in writing.
페르시안 글자들이. 이 아브자드.야. 아랍 글자와 상통해.
히브리글자도 이 아브자드.야
아랍의 무함마드.가 이슬람 세우면서 전쟁을 할때. 메카 위 메디나의 아랍부족애들이 상업권때메 이 무슬림들이랑 전쟁을 하는데. 메디나의 아랍애들과 연합하는게 유대인 상인들이야. 얘들은 같이 살은겨 원래. 무함마드 티나오기 전에는. 글자가 상통해. 아람어도 아브자드.야
아랍 무함마드.의 이야기는 글자화되서리. 아랍어야. 페르시아애들이 상대적으로 익히기 쉬운겨.
유대교.는 히브리어 같은 아브자드 이지만. 유대교.의 유대인들은 지들 민족만 믿는거야 얘드른 포교를 안해.
투르크. 저 터키에서 중앙아시아 스탄들은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빼고 다 투르크야. 저들은 페르시안 이란이고.
Aramaic 8 c. BCE
- Kharoṣṭhī 4 c. BCE
- Brāhmī 4 c. BCE
- Brahmic family (see)
- E.g. Tibetan 7 c. CE
- Devanagari 10 c. CE
- Brahmic family (see)
- Hebrew 3 c. BCE
- Pahlavi 3 c. BCE
- Avestan 4 c. CE
- Palmyrene 2 c. BCE
- Syriac 2 c. BCE
- Nabataean 2 c. BCE
- Sogdian 2 c. BCE
- Orkhon (old Turkic) 6 c. CE
- Old Hungarian c. 650 CE
- Old Uyghur
- Mongolian 1204 CE
- Orkhon (old Turkic) 6 c. CE
저 투르크.의 조상언어인 오르콘 비문.의 오르콘.글자. 는 시리아 글자 를 보고 쓴겨. 저거 보고 칭기스칸이 감동 해서리. 우리네도 글자 맹글자 해서리 저거 보고 맹근거고.
저 투르크 글자는. 해서리 그 무의식의 정서가 스민게. 결국 쟤들이랑 상통하는겨. 익히기가 쉬운겨. 저기에 라틴 알파벳 키릴 알파벳 그리스 알파벳이 섞여서리 독특한 투르크 글자가 만들어진거지만.
키릴 글자니 라틴 글자니 들어오기 전에. 저 투르크 라는 스텝 애들과. 페르시안들 스텝애들은. 오르콘 비문의 올드 투르크.로 자기들을 표현을 한겨. 나중에 러시아 애들이 지배를 할때 지들이 받은 키릴 문자를 쑤셔 넣걸랑. 그래도 그 바탕은 저 오르콘 비문의 글자들이야. 저 뿌리는 아브자드. 같은 체계야.
해서리 투르크 애들이. 이슬람. 이야기를 받아들이기가 쉬웠던거야.
대단한 짐만의 해석인거지.
.
우리네가 가장 슬픈 지경인건. 조선때 죽었걸랑 오백년을. 아무런 생각을 안했어. 구한말에 남의 문명은 오랑캐야. 문을 닫고 살았어 더 쎄게. 이때 번역을 안했어.
일본들이 번역한걸. 한글발음으로 익힌거고.
조선을 이은 한글사랑 민족사랑은. 그래서 저 한글발음 뒤의 일본가 번역한 한문을 쓰면 안된대.
무식해 지는거지.
글자가 문명을 만드는겨.
지금 이나라가 미개한 이유야.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전쟁사2. 로마, 땅에서 하늘로. 현실에서 관념으로 (0) | 2018.08.02 |
---|---|
유럽전쟁사1. 서로마에서 중세로 ft.지중해 해적 (0) | 2018.08.01 |
고대근동사44. 아랍과 페르시아. 투르크 페르시안들은 왜 이슬람인가 (0) | 2018.07.31 |
고대근동사43. 인도고대사 ft.아프가니스탄 (0) | 2018.07.30 |
고대근동사42. 로마. 가장 고귀한 베네치아.로 갔을 뿐 (0) | 2018.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