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이야기를 해야 하는데 말야. 걍 대충 꼭지도 아닌 꼭지만 드문드문 풀지만 말야.

 

애들이. 로마를 이야기 할 때도 무엇이 뽀인트 인지를 잘몰라. 

 

카이사르.란 인간이 어떤 의미인지를 몰라.

 

더하여 예수란 인간이 어떤 의미인지를 몰라. 

 

짐이 규정하길. 지금 이 문명은 카이사르 더하기 예수 라 했걸랑. 누가 먼저 씨부렸을 수도 있어. 

 

 

로마 이야기를 제대로 풀어야 하는데. 이건 니덜이 해봐. 

 

짐은 구찮으니까. 

 

 

 

로마 이야기를 제대로 하지도 않고. 로마 멸망 이야기를 하는거라 먼가 뜬굼없지만. 머 이전 이야기들로도 얼핏 로마를 보는데 정리가 그나마 대충은 되기도 할거야.

 

빨랑 얘를 정리하고 다시 중세 이후로 가야하걸랑.

 

본격적인 건 중세 말기 부터 터지는겨. 이때 걍 문명이 터져 터져. 여기의 핵심도 로마.를 이은 이탈리아야. 

 

이탈리아.를 모르면. 유럽사를 몰라. 

 

지금 이땅바닥에. 이탈리아를 아는 들이 단 하나가 없어. 

 

이탈리아.를 모르고 유럽사가 어떻니 저떻니 개소리 .

 

 

 

난 이땅바닥의 지식인 들을 경멸 혐오 멸시.해.

 

쟤들은 구데기야 구데기.

 

저 애들 대부분이 이념놀이에 환장하는 들이야. 

 

구데기 들 책이 서점을 도배하고 . 구데기 들 말이 미디어를 도배를 해. 이게 현실이야.

 

 

 

유럽사.를 모르면. 그건 인간이 아냐. 

 

동양사.는 역사가 아냐 그건. 유럽사에 비하면. 

 

더하여. 저 동양빠닥의 조선사.는 이건 중에 개도 아냐. 악취만 똥내만 풍기는 이야기 . 저따위 들을 지폐와 동전으로 모시는 이 조같은 조선민국. 

 

 

 

유럽사. 는 로마.를 이었을 뿐이야. 

 

즉 로마.를 모르면. 그건 인간이 아냐 그건. 

 

 

 

로마.는 눈물나 얘들은. 

 

로마.에 세상 모든 이야기가 다 있어.

 

그 로마가 망했대. 

 

이 로마.가 언제 망한거냐. 

 

망한거면 왜 망한거냐.

 

 

이게 지금도 논쟁거리야 이게. 지금도 그래. 대체 왜 로마가 망한거냐. 로마가 망하긴 한거냐?

 

 

우리네는 로마를 몰라 . 기껏 일본들이 에드워드 기번. 삼백년전에 쓴 것. 일어로 그걸 로마 쇠망사. 라고 번역한 전집을 이 일어를 번역해서리 로마쇠망사. 로 보다가. 시오노 나나미 할매가 로마인이야기 20세기 말에 쓴거 보면서. 저 일본 할매 로마 조또 모르민서 비잔틴 욕 하고 저 우익에 쩌든 일본가 뭔 로마 어쩌고. ㅋㅋㅋ

 

 

무식한겨 진짜.

 

로마사 이야기 남긴 역사가들. 

 

카이사르.

 

  • The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usually known in English as The Gallic Wars, seven books each covering one year of his campaigns in Gaul and southern Britain in the 50s BC, with the eighth book written by Aulus Hirtius on the last two years.
  • The Commentarii de Bello Civili (The Civil War), events of the Civil War from Caesar's perspective, until immediately after Pompey's death in Egypt.

Other works historically have been attributed to Caesar, but their authorship is in doubt: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기. 내전기. 저게 우리말로 저 라틴어 보면서리 언제 번역이 되어쓰까.
 
카이사르가 쓴걸로 추정되었다는 알렉산드리아 전쟁. 아프리카 전쟁. 히스파니아 전쟁. 은 번역은 되어쓰까 
 
 
Livy's History of Rome, sometimes referred to as Ab Urbe Condita,[i] is a monumental history of ancient Romebetween 27 and 9 BC.[ii]
 
리비우스.의 로마사. 일부 손실된. 로마사.의 기본 중 하나야. 이게. 이게 올해 에야 번역이 되었어. 라틴어 보고 이제서야. ㅋㅋㅋ. 그래도 그게 어디니
 
Sallust's account of the Catiline conspiracy (De coniuratione Catilinae or Bellum Catilinae) and of the Jugurthine War (Bellum Jugurthinum) have come down to us complete, together with fragments of his larger and most important work (Historiae), a history of Rome from 78 to 67 BC, intended as a continuation of Cornelius Sisenna's work.
 
살루스트(살루스티우스).  86 – c. 35 BC. 카틸리나의 음모. 누미디아 왕 유구르타 와의 전쟁기. 그리고 히스토리아이. 
 
저딴건 번역이라도 되었으까?
 
 
Histories (Latin: Historiae) is a Roman historical chronicle by Tacitus. Written c. 100–110, 
 
The Annals (Latin: Annales) by Roman historian and senator Tacitus[1] is a history of the Roman Empire from the reign of Tiberius to that of Nero, the years AD 14–68.[2] 
 
The Germania, written by the Roman historian Publius Cornelius Tacitus around 98 ad and originally entitled On the Origin and Situation of the Germans (Latin: De Origine et situ Germanorum), 
 
타키투스.의 역사. 연대기. 게르마니아. 저거 각각 번역이 언제 되어쓰가. 저게 다 최근에야 번역이 된거다 저게.
 
De vita Caesarum (Latin; lit. "About the Life of the Caesars"), commonly known as The Twelve Caesars, is a set of twelve biographies of Julius Caesar and the first 11 emperors of the Roman Empire written by Gaius Suetonius Tranquillus.
The work, written in AD 121
 
수에토니우스. 의 12명 카이사르 이야기. 이것도 일본가 번역한 황제열전. 그걸 고대로. 그리고나서 제대로 12명의 황제들 어쩌고. 
 
  • Polybius (c. 208–116 BC) was a prominent Greek who figured strongly in the Achaean League. Upon being captured by the Romans and transported to Rome, Polybius took it upon himself to record the history of Rome in order to explain Roman tradition to his fellow Greeks. He wanted to convince them to accept the domination of Rome as a universal truth. His main work, Histories, is extant despite its being fragmented.
  • Diodorus Siculus was a Greek historian of the 1st century BC. His main body of work was the Bibliotheca, which consisted of forty books and was intended to be a universal history from mythological times to the 1st century BC. He employed a very simple and straightforward style of writing, and relied heavily on written accounts for his information, most of which are now lost. Often criticized for a lack of originality and deemed a "scissors and paste" historian, Diodorus endeavored to present a comprehensive human history in a convenient and readable form.
  • Dionysius of Halicarnassus (fl. c. 8 BC.) was a Greek historian and critic living in Rome. His major work was Roman Antiquities, a history of Rome from its mythical beginnings until the first Punic war, consisting of 20 books. Generally he is considered to be a less reliable source than most of the other historians, but he does fill in the gaps in Livy's accounts. Other works include: On Imitation, On Dinarchus, On Thucidides, and On the Arrangement of Words.
  • Pliny the Elder, uncle of Pliny the Younger, wrote in the 1st century AD. He was an officer in the Roman military who died in the eruption of Mount Vesuvius in 79 AD. His known works include Naturalis Historia, which is a collection of books on natural history, Bella Germanica, a 21 book history of the German wars which occurred during his lifetime, and a 31 book history of Julio-Claudian Rome.
  • Titus Flavius Josephus (born 39 AD) was a Jewish historian and apologist. His works include The Jewish War (75 to 79), Jewish Antiquities (93), The Life (95) and Against Apion(Publication date unknown). He was influenced by Thucydides and Polybius and was endorsed by the Emperor Titus. Though many critics thought that he was a traitor to his people, his writings show that he was a zealous defender of the Jewish faith and culture.
  • Appianus of Alexandria (c. 95–165) wrote in Greek his Romaiken istorian [Roman History], about half of which survives. This work is best known for its coverage of the Civil Wars of the late Republic (in his Books XIII to XVII). Appian addresses here the period roughly from 133 to 35 BC, i.e., from the reforms of Tiberius Gracchus to the death of Sextus Pompey.
  • Dio Cassius was a distinguished Greek senator. After establishing his political career, Dio Cassius began to write various literary works. His most famous and recognized work is called the Roman History, which consists of 80 books. This work is dominated by the change from a Roman republic to a monarchy of emperors, which Dio Cassius believed was the only way Rome could have a stable government. Today, the only surviving portion of the Roman History is the part from 69 BC to 46 AD.
  • In his 31 book history, sometimes translated as The Roman History or The Roman Empire, Ammianus Marcellinus described the time from the reign of Nerva to the Battle of Adrianople, though the first thirteen books are lost. Bringing into the remaining books his own personal experiences in military services, his writing had a unique descriptive quality, of the geography, the events, and even the character of the actors. There is an active debate about whether the intent of the history was a continuation of Tacitus.
  • The Scriptores Historiae Augustae is a compilation of biographies of the Roman emperors from 117 to 284. Though claimed to be written by several different authors, contemporary research has shown that it may have only been written by one writer. This one author may have had good reason to disguise his identity, since much of the information in the Scriptores has also been found to be very unreliable.
  • In Late Antiquity, a great quantity of breviaria, or short historical works, were published (see Aurelius Victor, Eutropius, Festus, Epitome de Caesaribus). They had a common source, the so-called Enmannsche Kaisergeschichte (Enmann's History of the Emperors), which is lost.
  • Zosimus was a pagan historian who wrote at c. 500 AD a history of Rome to 410 in six books. Although he couldn't be compared with Ammianus Marcellinus, his work is important for the events after 378.
  • The important histories of Priscus and Olympiodorus of Thebes are lost except for some fragments.
  • Velleius Paterculus was a Roman historian who lived from around 19 BC to after 30 AD. He wrote Historiae Romanae, which is a summary of Roman history from the founding of the city to 30 AD. Though almost all of his work is now missing, it is still a valuable source on the reigns of Augustus and Tiberius. He "represents the adulatory type of history condemned by Tacitus, who ignores Velleius, as do all ancient authorities".
 
 
다 쟤들이 기원전후.의 로마 역사가들이다 쟤들이. 
 
저 맨위의 폴리비우스. 그리스 사람이야. 아카디아. 
 

Territory of the Achaean League in 200 BC (excluding Boeotia).


포에니 전쟁.을 세 시기로 나누면. 
 
First Punic War (264–241 BC). 이건 한니발 아부지.가 시칠리아에서 로마랑 붙어서 지는거고
 
Second Punic War (218–201 BC). 한니발 아빠가 죽고 십년 후에. 한니발 나이 삼십.에 알프스 넘어 처들어오고 이탈리아반도를 15년동안 죽치고 약탈한거고. 그러다가 카르타고로 넘어가고. 
 
카르타고 아래 자마.에서 드뎌 붙는겨. 스키피오 와 한니발이. 
 
The Battle of Zama—fought in 202 BC near Zama (Tunisia)—marked the end of the Second Punic War
 
여기서 한니발이 막판에 배후 기습으로 져. 이미 지쳤어 이탈리아에서. 몸도 않좋아. 자마 전투.에서 카르타고는 항복을 해. 
 
카르타고.는 한니발.에 책임을 물어. 막막 죄를 뒤집어 씌우고. 한니발이 망명을 해 엄마의 도시 튀레. 지금 레바논의. 이때부터 떠도는겨. 에페수스. 터키 서남부. 이때 여긴 디아도코이. 후계자 전쟁의 후세대 애들 싸움이걸랑. 에페수스(소스) 셀레우코스 땅이고. 이 왕이 한니발 존경했는데. 막상 보니 별론거지 패잔병. 좋은 자린 안줘. 저기서 한니발이 용병을 하는겨 소위. 
 
셀레우코스 편으로 밑의 로도스섬 도시국가들과 전투하고 여기서 패해. 크레테로 도망가. 그리곤 다시 비튀니아. 킹덤으로 망명해. 비튀니아의 용병대장으로 왼쪽 페르가몬.과 전투하는겨.
 
저 위의 페라가뭄 킹덤(페르가몬). 오른쪽에 비튀니아.가 있잖오. 그 오른쪽에 폰투스 아르메니아 있고. 
.
 
당시 저 이오니아 근해 도시국가들은 로마쪽으로 기울었어. 페르가몬.도 로마에 고개숙였어. 
 
로마가 비튀니아 왕에게 압박해. 한니발 내 놓으라고. 한니발. 아 불쌍해. 자긴 로마에 넘겨질 수 없는거지. 그냥 떠나. 
 
한니발이 어드래 죽었는지 썰이 많아
 

Pausanias wrote that Hannibal's death occurred after his finger was wounded by his drawn sword while mounting his horse, resulting in a fever and then his death three days later.[49]Juvenal asserts that his death was at Libyssa on the eastern shore of the Sea of Marmara, after having taken poison, which he had long carried about with him in a ring.[50] Before dying, he left behind a letter declaring, "Let us relieve the Romans from the anxiety they have so long experienced, since they think it tries their patience too much to wait for an old man's death".[51]

In his Annales, Titus Pomponius Atticus reports that Hannibal's death occurred in 183 BC,[52] and Livy implies the same. Polybius, who wrote nearest the event, gives 182 BC. Sulpicius Blitho[53] records the death under 181 BC.[52]

 

말타려 오르다가 자기 칼에 베어서리 감염되고 열오르고 삼일후에 죽었다. 마르마라 해 동쪽해변 리뷧사. 이스탄불 맞은편. 에서 평소 반지에 넣고 다닌 독약을 먹고 죽었다. 

아티쿠스.는 기원전 183년.에 폴리비우스.는 기원전 182년에. 누구는 전181년에. 

 

해서 저즈음에. 걍 자살 한걸로 보는거지. 

 

아 안타까운 한니발. 

.

 

저 지도.는 기원전 200년 즈음인데. 

 

자마전투.가 저때걸랑. 저때 카르타고가 항복하고. 포에니전쟁.이 마무리 되는겨. 로마의 승리로. 

 

저 직전에 한니발이 이탈리아 반도에서 보급이 막히걸랑. 카르타고에서 오는. 로마가 육지에선 한니발에 전패지만 해상은 쥐었어. 한니발이 도움 청하는 곳이 그리스야. 해서 저때 그리스의 해상루트를 또한 막아 마케도니아와 전쟁하면서. 

 

그리스는 당시 마케도니아.의 세력이었던거고. 알렉산드로스 죽고 디아도코이.에 마케도니아.는 할배 섭정 안티파트로스.와 그 자식 캇산드로스.의 핏줄들. 그리고 안티고노스.의 자식들이 번갈아 지배하던 때걸랑. 저 에피루스.의 피루스(퓌루스)도 이태리 갔다가 잠시 하기도 하고. 

 

로마.는 저 그리스 땅에 관시미가 없었어. 로마.는 땅에 관시미가 없었어 원래. 저 제국은 의도치 않게 된겨. 막을라다가 처먹게 된거걸랑.

 

한니발이 처들어와서 결국 막다가 스페인땅에 나중 아프리카 도 처먹게 된겨. 

 

저때 마케도니아.가 한니발 편을 들걸랑. 이전엔 피루스.가 그리스 도시국가 타렌툼 요청으로 로마랑 싸우기도 하고. 

 

로마.는 외교로 다 해결할려 한겨 저길. 니덜 한니발 도와주지 마라 우리네 15년을 당했다 닝기리. 

 

당시 그리스.는 마케도니아 세력이라 여기에 반발해서리 애들이 동맹을 맺는겨. 짜잘한 도시국가들 각각은 안되걸랑. 이게 아이톨리아 동맹 league. 이고 아래 아카이아 동맹.이야. 스파르타.는 안껴 저기에. 

 

저 동맹들은 해서 초기엔 마케도니아에 대항 위해서 로마편을 드는겨. 나중 아테네가 배반 배신해서리 술라가 아네테를 박살을 내는거고. 로마애들은 배신엔 걍 일푼의 동정도 없어. 

 

그리고 저 아나톨리안의 이오니아 지역이랑 섬들. 더하여 저 페르가몬 까지 로마편이 된겨. 

 

이전 피루스.가 이탈리아 넘어올때는 남단 도시국가애들이 부른거고.

 

이제는 한니발.과의 동맹으로 마케도니아 가 도와주려는거고. 해서리 로마랑 이들이 전쟁하는겨. 초기엔 바다에서. 보급 막을라고. 이탈리아 들어오는.

 

한니발이 망명해서리 저 아나톨리아로 가서리 또 힘기르려는게 선한거지. 저 한니발이 끔찍한겨 로마인들에겐. 저 한니발을 없애기 위해서리 저쪽 전쟁에 개입을 하는거야. 

 

더하여. 마케도니아.는 안티파트로스의 핏줄들과 안티고노스의 핏줄들에 위에 뤼시마코스도 끼고 건너편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핏줄들도 넘봐. 거기에 위에서 갈리아 켈트족애들이 넘어와. 

 

마케도니아가 점점 쇠하는겨. 

 

이걸 눈치를 채고 또 바다건너 셀레우코스 핏줄애들이 그리스땅을 넘보는거고. 

 

해서 처음엔 로마가 마케도니아랑 싸우다가. 또 지나서리 마케도니아가 로마에 징징대는겨. 넘어오는 셀레우코스 때려줘 하민서리. 그러다 또 마케도니아 애들이 로마에 대들어 전쟁하고

 

이게 기원전 2백년 전후에서 한니발이 이태리 반도 떠나기 직전으로 부터 카르타고 갔다가 튀레 에페수스 크레테 비튀니아 가서리 왼쪽 해변에서 한니발 죽고 그다음 일이십년 까지의 상황이야.

 

 

카르타고.가 항복하고 또 힘을 키우는겨. 로마에 깨갱 하기 싫어.

 

스페인 반도의 한니발 핏줄들도 반기를 드는겨. 로마를 쫓아내자. 

 

그리스 땅도. 마케도니아.가 힘이 점점 없어지니까, 로마 동맹이었던 아이톨리아 아카이아 동맹애들도, 이젠 세력이 쎄진 로마에 반기를 드는겨.

 

동쪽 그리스에 가서 마케도니아 조지고. 로마에 대항하는 아카이아 동맹도 조지는겨. 

 

여기에서 인질로  잡혀온 인간이 저 폴리비우스.야 그리스사람이니까 폴리비오스. 하자. 

 

Polybius (/pəˈlɪbiəs/; Greek: Πολύβιος, Polýbios; c. 200 – c. 118 BC

지주. 에 지배층이야. 동맹의 군단장 급이야. 이사람이 그리스 인질 생활을 17년을 해. 

 

아 이 사람 이야기 할라다가 먼 이따위 이야길 하누.

 

로마의 힘.은 로마니제이션. 로마 동화정책. 이걸 지금 유럽 미국애들이 뺏겨서리 적용하는건데.

 

인질로 온 사람들을. 로마의 파트리쿠스. 즉 엘리트 집안들에서 살게 하는겨. 여기서 로마를 익히시고 본국에 가서 전파하쇼. 

 

엄청난 자신감이야 저건. 

 

저때 저사람이 로마.에서 로마를 직접 보는겨. 

 

대체. 왜 우리 그리스의 도시국가들은. 그 아카익 그리스. 이전의 일리아스 오뒷세이아의 그리스. 로마가 우러러 봤던 우리 그리스가 지금 왜 이리 되었는가. 마케도니아에도 멕히고 결국 로마에 짓밟히고 그이유는 멀까.

 

로마.가 대체 머냐 저거. 어떻게 저들이. 우리보다 역사가 후진 저들이. 피루스. 한니발. 을 이기고 지금 지중해를 제패했는가. 로마는 어떻게 저런 성공을 했는가. 아 로마 지금 여기가 우리네 아카이아 땅보다 사는 모습들이 어찌 이리 발달했나

 

직접 현장에서 보고 써댄게 폴리비오스.의 역사. 란 책이야. 

 

 

.

 

로마가 서쪽을 치는겨. 카르타고 를 아예 박살을 내기로 하는거지.

 
 
Third Punic War (149–146 BC). 
 
이게 굳이 포에니 전쟁 3차. 하는겨. 스키피오 아이밀라누스.가 직접 가서리. 카르타고 도시 를 아예 박살을 내. 도시를 아예 없애.
 
Publius Cornelius Scipio Aemilianus Africanus Numantinus (185–129 BC), also known as Scipio Aemilianus or Scipio Africanus Minor (Scipio Africanus the Younger), was a politician of the Roman Republic who served as consul twice, in 147 BC and 134 BC.
 
이 스키피오.는 작은 스키피오.야. 저 한니발과의 스키피오.의 장남이 사촌에게서 입양한 아들. 
 
이때 작은 스키피오. 옆에 붙어 있던 사람이 저 폴리비오스.야. 
 
 
 
 

In the words of Polybius:

Scipio, when he looked upon the city as it was utterly perishing and in the last throes of its complete destruction, is said to have shed tears and wept openly for his enemies. After being wrapped in thought for long, and realizing that all cities, nations, and authorities must, like men, meet their doom; that this happened to Ilium, once a prosperous city, to the empires of Assyria, Media, and Persia, the greatest of their time, and to Macedonia itself, the brilliance of which was so recent, either deliberately or the verses escaping him, he said:

A day will come when sacred Troy shall perish,
And Priam and his people shall be slain.

And when Polybius speaking with freedom to him, for he was his teacher, asked him what he meant by the words, they say that without any attempt at concealment he named his own country, for which he feared when he reflected on the fate of all things human. Polybius actually heard him and recalls it in his history.[11]

 

완전히 박살을 냈어 카르타고.를 헌데 원인제공은 카르타고가 한겨. 땅을 다 갈아버리고 소금을 뿌려. 불바다야. 그걸 스키피오가 보는겨. 

 

카르타고.는 로마 보다 백년 먼저 저 도시에 선 국가였어. 7백년된 도시국가이자 제국이야.

 

폴리비오스.가 인질이잖아. 스키피오.의 집안에서 거주하는겨. 스키피오.가 일종의 파트로누스.야 자긴 클리엔스.고. 

 

스키피오.가 불타는 카르타고를 보면서. 우는겨. 그러면서 한참을 생각에 잠기고 있어. 그러더니 그 입에서 노래가 한구절 그냥 무심결에 툭 티나오는겨 스키피오 입에서

 

그 날 언젠간 오겠지. 신성한 트로이가 멸망했듯이.

그리고 트로이왕 프리아모스.와 그의 민들이 노예가 됐듯이.

 

 

 

a day. 어떤 날이 올거란건. 이렇게 칠백년의 카르타고 가 무너지고 폐허가 되었듯이. 트로이가 이렇게 되었듯이. 우리네 로마 도 저리 되겄지. 하는거지

 

 

아 난 저 스키피오. 가 정말 멋진데 저 인간. 솔직히 카이사르 보다 더 멋져 이 스키피오들. 

 

 

아 참 쟤덜은 말야. 멋진들이 많아. 

 

 

이거 또 옆길로 새서리. 제목 언제 하냐 이거

 

 

쉼. 

 

저 명단에서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소스. 

Dionysius of Halicarnassus (Greek: Διονύσιος Ἀλεξάνδρου Ἁλικαρνασσεύς, Dionúsios Alexándrou Halikarnasseús, "Dionysios son of Alexandros of Halikarnassos"; c. 60 BC – after 7 BC) was a Greek historian and teacher of rhetoric, who flourished during the reign of Caesar Augustus. His literary style was Atticistic — imitating Classical Attic Greek in its prime.

 

이사람도 그리스 사람이야. 할리카르나소스.는 아나톨리아 에 있는 이오니아.야 이사람은 인질이 아냐. 그냥 로마로 이사해서 로마를 배운 사람이야. 라틴어를 배우고. 그리고 쓴 책이.

 

His major work, entitled Ῥωμαϊκὴ Ἀρχαιολογία (Rhōmaïkḕ Arkhaiología, Roman Antiquities)

 

로마 고대사.야. 

 

로마. 도시는 휘황찬란한겨. 하렘 들 처럼 그따위 이 아니라. 누구는 백만 누구는 백몇십만 하는 그 사람들이 활발하게 상업하면서리 교육. 의료. 복지에 목욕장에 닝기리
어떻게 이따위 로마냐. 를 원인분석을 또한 한겨 그리스 사람이.
저책. 번역된 거 없어. 

대부분 번역된게 없단다. 이땅바닥엔. 그리스 와 로마.는 

그리곤 일본가 번역한거 보고서리. 저따위 글들 다 보고서리 쓴 책들 보고. 일본 편협하네 닝기리 ㅋㅋㅋ. 
들이지 정말.

폴리비오스. 가 사마천 이랑 겹치는 인간이야. 

사마천.을 어찌 헤로도토스.에 비하냐. 삼백년 이전 사람이다 헤로 형은.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어찌 사마천 애의 사기를 비하냐. 그 광대한 넓이와 깊이의 이야기를. 

사마천이 저기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의 사가들에 비하면 걍 저기서 엔분의 일일 뿐이야. 
그 전하는 글의 깊이. 그 수준이. 저들 어느 개개인의 글 수준을. 사마천이 따라갈 수가 없단다. 
왜냐. 저때까지의 이야기가. 저들이 겪고 쌓여온 이야기가. 더 활발하고 더 깊걸랑. 
저때까지 사마천이 중국이 땅에서 겪은 이야기는. 걍 그건 콧털의 먼지야. 

우왕 사마천은 세계에서 최고 위대한 사가십니다. 


미쳐도 분수가 있지. 저따위 평한 책이 또 베스트 셀러야. ㅋㅋㅋ.


골때리는 나라야 .


아 증말 쟤덜 이야기 하다가 갑자기 빠꾸해서 동양 들의 현재상황을 보면. 욕밖에 안티나와.
.제목 쓰고 또 샜다. 항상 이렇지만. 
이제는 오래 타이핑질을 못하셔 짐께서.

 

.

로마 멸망 이란 글자가 떠오르니까니 갑자기 정체성.에 대한 생각이 들더라고. 

 

멸망한건 먼가. 국가란 먼가. 해서리 욕질밖에 안나오는데.

 

 

이념이 먼저인 들.

 

국가는 뒷전인 들.

 

로마.의 멸망을 그려보니 비교되는 여기

 

 

저들 정말 들이야.

 

이념에 환장한 분들. 반복되는 조선왕조 이념놀이 .

 

나중에 하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