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일때 소아시아의 나라들 중 몇개만 보면. 

아나톨리아. 소아시아. 의 고대 지명이야. 저 지명은 일리아스 오뒷세이아.에 찍히는겨. 저 지명을 고대 그리스 로마 까지 계속 써. 눈여겨 보도록 해. 저 지명을 모르면. 고대 이야기를 이해하기 어려워.

 

왼쪽 트라케. 로마에와서 트라키아. 아래 트로아드. 트로이전쟁의 일리아스 일리온 이야. 뮈시아. 뤼디아. 르퓌기아. 뤼키아. 팜퓔이아. 킬리키아. 카다도키아. 이런 지명들은 고대그리스 작품에 자주 등강해.

 

섬이름 레스보스. 키오스. 사모스. 낙소스. 로도스. 퀴프루스. 

 

exonym. 엑소님. 땅 이름 이야기.는 매우 중요해. 지도를 자주 보도록 해. 

 

저기서 흑해 접하는 아래에 비튀니아. bithynia 가 있고 오른쪽 팜플라고니아. 폰투스.가 있어. 폰투스 옆에 아르메니아. 가 있어. 

 

팜플라고니아.에 n 글자 위 삐쭉 티나온 곳이 시노페 sinope . 고대 그리스의 번창했던 해상 물류도시야.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는 저 에개해 섬들과 이오니아 및 지중해 접하는 해변 뿐만 아니라 흑해를 둘러싼 해변 곳곳에 있어. 위에 안보이는 곳도. 하튼 저 시노페.

 

히타이트가 망하고 기원전 1100년. 저들 지역 곳곳에 킹덤들이 있었던겨 소소한. 그리고 그리스 미케네 문명이랑 이전의 크레테 문명이 없어지고 다크 에이지. 어두운 시대. 문명 파괴된 시대가 지나고. 기원전 8백년부터 그리스 아카익 시대야. 다시 보여. 이때 저 지중해 해변과 흑해 해변들에 그리스 도시국가들이 서는겨.

 

그리고 해변 이오니아 도시국가들에 저기 뤼디아. 카리아 의 킹덤들이 그리스 도시국가들과 전쟁하다가 협상하면서 서로 인정하고 살고. 그 와중에 오른쪽에서 아케메네스의 페르시아 애들이 서진하면서 저 모든 지역을 페르시아가 점령하고 그리스 도시국가들도 다 점령하면서 그리스 페르시아 전쟁이 발발하는데.

 

The Bithynians were incorporated by king Croesus within the Lydian monarchy, with which they fell under the dominion of Persia (546 BC), and were included in the satrapy of Phrygia, which comprised all the countries up to the Hellespont and Bosporus.[1]

 

비튀니아.는 페르시아 아래 뤼디아 킹덤의 크로이소스.에 점령되다가 페르시아에 먹히고. 페르시아는 아래 프뤼기아.의 사트팝.에게 이 지역을 다스리게 했다는거지. 

 

그러다가. 알렉산드로스 가 넘어오기 직전에 독립해. 일단 지역이 페르시아 본토 메소포타미아에서 멀어. 알렉산드로스가 부하시켜서리 전투하는데 이들도 이겨. 비튀니아.는 알렉산드로스 애들이 그냥 지나가면서 독립을 유지해. 나중 디아도코이 후계자 전쟁들 싸움에 뤼시마코스 안티고노스 셀레우코스의 애들을 다 이겨. 그리스의 수중에 안들어가. 

 

그러다가 로마가 넘어오면서 로마와는 푀더라티. 동맹국이 돼. 

 

Bas (Greek: Βᾶς; c. 397 BC – 326) was the first independent ruler of Bithynia. He ruled for fifty years, from 376 to 326 BC, and died at the age of 71.

 

비튀니아.의 첫번째 왕을 바스.로 봐. 즉 비튀니아 킹덤은 기원전 376년에 시작하는겨.

 

Nicomedes IV Philopator (Greek: Νικομήδης) was the king of Bithynia from c. 94 BC to 74 BC.[1] He was the first son and successor of Nicomedes III of Bithynia and Nysa[2] and had a sister called Nysa.[3]

 

마지막 왕을 니코메데스 4세로 봐. 기원전 74년. 3백년 동안 있었어. 

 

이 인간이 카이사르.가 이오니아 섬에 반란 진압위해 사절로 배 요청하러 비튀니아 보낼 때. 시간 보내면서 같이 논 인간이야. 해서 카이사르가 게이 라고 소문 났던. 

 

이 니코메데스.가 오른쪽 폰투스.의 미트리다스.와 대적을 하는겨. 자기 힘으로 안되니 로마 군단을 부추겨. 당시 아나톨리아 서쪽은 로마의 우산에 들어갔어. 안 대들겠다고. 헌데 유일하게 뻣댄 나라가 저 폰투스였어. 그 옆에 아르메니아와 함께. 

 

비튀니아 와 로마의 연합군이 폰투스를 치는겨. 이걸 미트리다테스.가 이겨. 

 

아나톨리아의 그리스 도시국가들도 미트리다테스.를 지지해. 로마가 싫어. 이미 로마는 그리스.를 다 점령했걸랑. 이전 썰했듯 그 빌미는 그리스가 준겨. 그 시작은 한니발전쟁 이전에 그리스에서 부른 피루스 가 코끼리들과 넘어와서리 이탈리아를 누빈거고. 한니발때도 한니발 지원하려는 시도도 하고. 이걸 해상에서 다 막아 로마가. 

 

로마의 복수야. 옆에 그리스가 자기 편이어야 로마의 안보가 유지된다는걸 알게돼. 

 

그리스 본토는 이런 로마가 싫어. 미트리다테스.가 로마를 이긴걸 알게돼. 기쁜겨. 본토도 로마를 지지해. 

 

술라가 아나톨리아 가기 전에. 아테네를 쑥대밭으로 만드는겨. 원래 로마는 아테네에게 완전 자치권을 부여했어. 그리스.는 로마의 선생님이야 함부로 안했어. 헌데 배반 배신은 용서가 안돼. 

 

로마가 도시를 완전히 개걸레로 만든게 세 개야. 아테네. 카르타고. 누만티아

 

The Numantine War[1] (from Bellum Numantinum in Appian's Roman History) was the last conflict of the Celtiberian Wars fought by the Romans to subdue those people along the Ebro. It was a twenty-year conflict between the Celtiberian tribes of Hispania Citerior and the Roman government. It began in 154 BC as a revolt of the Celtiberians of Numantia on the Douro. The first phase of the war ended in 151, but in 143, war flared up again with a new insurrection in Numantia. 143 to 133 BC

 

한니발의 거점이야. 포에니 2차 지고. 카르타헤나의 한니발 사람들이 반란을 일으키는겨 이베리아 반도에서. 셀티베리안 전쟁. 

 

The First Celtiberian War (181–179 BC) and Second Celtiberian War (154–151 BC) 

 

삼십년을 하는겨. 그리고 마지막이 저 누만티아 전쟁.

 

After suffering pestilence and famine, most of the surviving Numantines committed suicide rather than surrender to Rome. 

 

마지막에 남은 사람들은 다 자살해. 아 음청나 저들. 

 

이얘길 왜하냐. 

 

쉼. 
하튼 비튀니아.는 페르시아와 상관이 없어. 원래 아나톨리아 인들이야. 
그 오른쪽 아르메니아. 
지금 지도에서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 남부에 국가가 셋이야.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그 위는 러시아 땅이고. 
아르메니아.인들은 인도유러피안.의 큰가지야. 오른쪽 아제르바이잔.은 투르크 애들이야. 위 조지아.인들은 코카서스인종이야. 인도유러피안이 아니야. 
아르메니아인들은 인도유러피안이지만 페르시안이 아니야. 별개야. 유럽인도 아니야. 완전 별개의 인도유러피안이야. 헌데 그 문화 습성은 페르시안과 통해. 
이들은 페르시안과 같이 스텝에서 내려온 애들이야. 해서 문화가 상통한겨. 페르시안은 아니지만 페르시안과 비슷해. 
얘들이 터키땅에서 쫓겨서리 오른쪽 자그마하게 자리잡은겨 세계대전 끝나고. 
세계1차대전때. 일명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 대학살. 일백만에서 백오십만명을 죽인걸로 봐 투르크들이. 
당시 오스만제국은. 기존 왕족은 저 전쟁에 관시미가 없었어. 연합 국회로 다스린겨 오스만을. 헌데 민족주의가 등장하는겨 여기에. 

Young Turks (Turkish: Jön Türkler, from French: Les Jeunes Turcs)[citation needed] was a Turkish nationalist party in the early 20th century that consisted of Ottoman exiles, students, civil servants, and army officers.[1]

 

이들이 젊은 투르크들. 이라는 투르크 민족주의자 모임.을 만들어. 이들이 그래서 만든 당이 

 

The Committee of Union and Progress (CUP) (Ottoman Turkish: İttihad ve Terakki Cemiyeti إتحاد و ترقى جمیعتی‎), later Party of Union and Progress (Ottoman Turkish: İttihad ve Terakki Fırkası‎, Turkish: Birlik ve İlerleme Partisi) began as a secret society established as the "Committee of Ottoman Union" 

시유피. CUP. 통일과 진보의 당. 
 
이들이 1차대전에 적극 뛰어드는겨. 이 잡다한 민족들 말고 투르크.를 부흥하자. 돌궐족 위대한 우리민족. 개혁으로 뭉치자. 
 
 
저따위 말이 듣기좋걸랑.
 
우리민족. 프로그레스 진보. 개혁.
 
 
 
아름답잖냐?
 
 
 
저들이 결국 음청난 인간들을 학살하는겨 그 결과는. 
 
 
 
아주 또~옥 같애. 
 
 
 
세상이 말야. 결국은 저 유니온 과 프로그레스. 라는 영원한 평화를 위해서 왔던거고 가는건데. 저건 저따위로 내세우는 이념이 아냐 이 들아.
 
그렇게 가기위해서. 메소포타미아와 고대이집트 부터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를 거치면서 답을 찾으면서 험난하게 갔던겨. 
 
 
저따위 단순한 세포질로 선동하는건. 다시. 원래 스텝. 원래 야만으로 돌아가는 것 이상은 없어.
 
저따위 선동질.은 아무런 사유가 없어. 인간사가 단순한줄 알아. 
 
 
아~~무런 생각이 없는겨 저따위 말들은. 저따위 이념들은.
 
 
 
저따위 을 이땅바닥이 지금 하는겨. 이제서야. 
 
 
남들은 다 했걸랑 해봤걸랑.
 
 
 
헌데 이땅바닥은 조선왕조 오백년 동안. 가만히 있어라. 나무 공자불 나무 주자불 나무 유교불 만 하면 알흠다운 지들만의 하렘에서 일부다처하면서 예의 핑게로 계급놀이하면서 살아와서리. 아무것도 해본것이 없고 아무런 생각도 한 적이 없는겨.
 
 
그저 반일 반미. 양키 따라하는 이승만 일본 따라하는 박정희 개개끼. 반 이승만 반 박정희. 저 두 이름만 뽀개면. 아름다운 세상인거지 
 
 
 
그걸 이제서야 하는겨. 쟤들 수천년 전 수백년 전에 이미 다 해본걸.
 
 
아냐 우리네는 달러. 이 하는겨. 멀 아는게 있나.
 
.
아르메니아 인들이 위 러시아에 붙을까봐, 아예 다 죽이는겨.
 
The Armenian Genocide (Armenian: Հայոց ցեղասպանություն,[note 3] Hayots tseghaspanutyun), also known as the Armenian Holocaust,[9] was the Ottoman government's systematic extermination of 1.5 million Armenians,[note 2] mostly citizens within the Ottoman Empire.[10][11]
 
민족의 이름으로. 혁명의 이름으로. 우리가 정의야. ㅋㅋㅋ.
 
 
개미친들인거지. 
 
 
내는 부끄럽지만. 우리 당원들은 당당하게 끈질기게 계속 이념 하십시오.
 
 
흑흑흑흑. 님이 가시면 우리들은유. 흑흑흑.
 
 
.
 
코메디야 코메디.
 
.
 
저게 말야. 정말 나쁜겨. 저런식으로 또 지난 알흠다운척 미디어로 도배를 해. 저게 또옥 같은 반복이야 저게. 
 
 
죽어야 사는 나라야 이건. 
 
 
참 시안한 역사놀이만 하는겨. 결국 이념놀이에 허우적 대는 인간들을 계속 죽으라 하는겨. 
 
애들이 저따위를 보고 자라는겨. 
 
 
 
 
정신 차려라 정신.
 
.

비튀니아.는 저러고 없어져. 폼페이우스가 미트리다테스.를 추격하고 얜 자살하고. 그러면서 폰투스.는 프로빈키아.로 직접 편입을 해 로마가. 비튀니아.는 폰투스 총독이 다스리면서리 없어져.

 

The Kingdom of Pontus or Pontic Empire was a state founded by the PersianMithridatic dynasty,[1][2][3][4] which may have been directly related to Darius the Greatand the Achaemenid dynasty

281 BCE–62 CE

 

폰투스.는 페르시아애들이 지배하면서 그 스트랍. 총독이 나중 알렉산드로스 오고 디아도코이 후계자 전쟁할 때 얘들이 독립해서 왕조를 이룬겨. 

Mithridates I Ctistes (in Greek Mιθριδάτης Kτίστης; reigned 281–266 BCE), also known as Mithridates III of Cius,[1] was a Persiannobleman and the founder (this is the meaning of the word Ctistes, literally Builder) of the Kingdom of Pontus in Anatolia.[2][3]

 

창립자 미트리다테스 1세.는 알렉산드로스.가 헬레스폰트 넘어올때 태어난 걸로 봐. 얘가 나중 셀레우코스 애들에 버티고 얘가 왕조를 세워. 페르시안 귀족인거야 이들 폰두스 왕국은.

 

페르시안이야 이들은. 나중 로마 프로빈키아.로 편입되면서리 없어지는겨 역사에서. 

 

 

 

 

아르메니아는. 역사가 깊어. 반 호수 van. 호수 근처야. 저 호수가 유프라테스 강 주 발원지야. 티그리스에도 건너건너 흘러. 

 

860 BC – 590 BC. 위 스텝에서 왔을껴. 아래 메데 왕국에 먹혀. 메데왕국은 페르시아에 먹히는거고.

 

The Satrapy of Armenia (Armenian: Սատրապական Հայաստան Satrapakan Hayastan; Old Persian: Armina or Arminiya), a region controlled by the Orontid Dynasty(Armenian: Երվանդունիներ Yervanduniner; 570–201 BC) was one of the satrapies of the Achaemenid Empire in the 6th century BC, which later became an independent kingdom. Its capitals were Tushpa and later Erebuni.

 

해서 페르시아.의 스트랍. 총독이 다스리는겨. 프로빈키아. 인거지. 페르시아의 속주였다가. 알렉산드로스가 넘어오면서 그리스 속주가 돼. 그래도 스트랍.은 오론티드 왕조.를 시키는겨. 

 

알렉산드로스 가 왔을때 아르메니아.는 바로 항복해. 이들에게 페르시아 본국과의 협상을 시키기도해. 그리스에겐 대들지 않았어. 

 

Starting from 301 BC Armenia is included with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the Seleucid Empire, but it maintained a considerable degree of autonomy, retaining its native rulers. 

 

후계자 셀레우코스 들은 아르메니아.를 속주에 포함시켰지만 자치권을 전적으로 주었어. 

 

The Kingdom of Armenia, also the Kingdom of Greater Armenia,[3] or simply Greater Armenia (Armenian: Մեծ Հայք Mets Hayk;[4] Latin: Armenia Maior), was a monarchy in the Ancient Near East which existed from 321 BC to 428 AD. Its history is divided into successive reigns by three royal dynasties: Orontid (321 BC–200 BC),[5][6] Artaxiad (189 BC–12 AD) and Arsacid (52–428).

 

디아도코이. 후계자 전쟁 때 킹덤을 세워. 자치권을 전적으로 부여받고 셀레우코스 속주에 있다가. 독자적 킹덤이 되는겨 다른 왕조로. 그러다가 왼쪽 로마 오른쪽 페르시아 애들 속속 나오는 파르티아 사산 둘 사이에서 불안한거지. 초기엔 로마 속주. 그 다음엔 비잔틴과 사산으로 나뉘어 관리되다가 해서리 계속 속주로 가다가 지금 아르메니아 하는겨.
이들은 그래서 페르시아 바로 오른쪽 접하거니와 오랜 속주였걸랑. 페르시아와 비슷한겨 습성은. 
왼쪽 폰투스.도 페르시아 여서리. 로마랑 싸울때 아르메니아 좀 도와줘 한거고. 헌데 아르메니아.는 기본적으로 판세를 읽을 줄 아는 사람들이걸랑.
저들은 . 네로. 를 좋아했어. 네로 죽을때 슬퍼했고. 

 

In 301, Tiridates proclaimed Christianity as the state religion of Armenia, making the Armenian kingdom the first state to embrace Christianity officially.[1]

 
아르메니아.는 서기 301년에 기독교.를 국가 종교로 공인해. 로마 보다 빨라. 
 
Abgar V is claimed to be one of the first Christian kings in history, having been converted to the faith by Thaddeus of Edessa, one of the seventy disciples.[16][17]
 
아르메니아의 왕은 기독교왕 처음 세대야. 예수때 아르메니아의 왕은 예수님이랑 편지도 주고받으셨대
 
The church historian Eusebius records that the Edessan archives contained a copy of a correspondence exchanged between Abgar of Edessa and Jesus.[18] The correspondence consisted of Abgar's letter and the answer dictated by Jesus.

 

조지아 Georgia. 는 코카서스인종인데. 봐줄건 저기 콜키스. colchis. 그 황금양모피. 이야기의 종착역이자 이아손의 아르고호 원정단 목표지점이 저기야. 흑해 동쪽 접하는.

 
여기도 로마와 페르시아 에서 갈팡질팡하는거고. 아르메니아와 같이.
 
 

쉼.

 
아 이 얘기 할랐던게 아닌데. . 슬라브 해야 하는데.
 

<  ^  > 9 AD -- Maximum: Augustus' Conquest of Germany.

Rome's efforts to put Mithridates back in his place were hampered by civil strife at home between the populists led by Marius and the aristocrats led by Sulla. However, the latter defeated Mithridates in 85 BC, and the Eastern frontier was restored by 81 BC. But Mithridates had not given up, and Sulla's successor Pompey was sent East again. By 66 BC, the Roman victory was complete: Mithridates committed suicide, the coast from Pontus to Syria (inclusive) was annexed to Rome, and the interior reduced to vassalage. In the West, Pompey's rival Julius Caesar (nephew of Marius) made even more spectacular gains during his military appointment, conquering all of Gaul by 51 BC and even raiding Britain. By this time the republican system was clearly breaking down as rival generals sought absolute power, or a share in it. The civil wars of 49-30 BC ended with this absolute power in the hands of Octavian, great-nephew and adopted son of Caesar. In 27 BC the Senate bestowed upon him the honorary title Augustus. As the first Emperor of Rome he was careful nevertheless to maintain the institutions of the Republic, and the fiction of their role in government. Legally, he was merely the Princeps, the first citizen, and so this system is called the Principate. No mere politician, Octavian finished the job begun by his predecessors by annexing or reducing to vassalage all of the land south of the Danube and Rhine, East of the Euphrates, and North of the Sahara. His most ambitious project was to conquer Germany, which seemed well in hand by 9 AD. 

 

 

In 375, the Visigoths, fleeing the Huns who had invaded Europe from central Asia, were allowed to settle south of the Danube. Poorly treated, they revolted in 378 and destroyed the Imperial army sent against them. With Roman subjects unwilling to serve in the army, the Empire took to replacing them with German tribes en masse, starting with the Visigoths themselves.  In 395, Theodosius the great, the last Emperor of the East and West, died, dividing the Empire between his two sons. Taking advantage of the situation, the Visigoths revolted again in 395, invaded Italy and sacked Rome in 410. Meanwhile, Vandals and Sueves had invaded across the Rhine, and Britain had rebelled. The Empire in the West had recovered somewhat by 420, but was economically crippled when the Vandals took Africa in the 430s. Under their last great general Aetius, the West had just enough strength to repel the Huns from Gaul in 451, with help from its German allies. After that it went into terminal decline, and by 476 had almost no territory outside Italy. In that year the last Western Emperor, by chance named Romulus, was deposed by his military commander Odovacer. Like his predecessors in the job for two decades, Odovacer was of German origin, and now titled himself King of Italy. Odovacer claimed to govern in the name of Emperor Zeno in the East. The East had always been the richer half, and had  survived the Germanic and Hunnic invasions mostly unscathed. At first Zeno did not accept Odovacer's offer, but in 480 he granted him the title of Patrician, and from 483 he allowed the Senate in Rome to nominate one of the two Consuls, as it had done under the Emperors. This curious state of affairs around 485 is indicated by the colours of the above map. 

Odovacer's kingdom is coloured pale red: although it was in fact the successor to the Western Roman Empire, it did not claim to be such.

 But it is 

also stippled purple because it was nominally part of a united Empir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