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cero was born in 106 BC in Arpinum, a hill town 100 kilometers (62 mi) southeast of Rome. He belonged to the tribus Cornelia.[13] His father was a well-to-do member of the equestrian order and possessed good connections in Rome. However, being a semi-invalid, he could not enter public life and studied extensively to compensate. Although little is known about Cicero's mother, Helvia, it was common for the wives of important Roman citizens to be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the household. Cicero's brother Quintus wrote in a letter that she was a thrifty housewife.[14]
키케로. 기원전 106년생. 로마태생이 아냐. 로마에서 동남쪽 백키로인 아르피눔.태생이야. 아버지가 기사계급.이야. 에쿠이테스. 즉 원로원계급이 아냐. 그래도 인맥이 좋은 집안이야. 엄마가 검소했어. 엄마가 만든 인간이야 키케로.
저 로마사.를 제대로 정리를 한 게. 없어 이땅바닥에.
예전 띄엄띄엄 애들 쓴거 보믄 모두 나나미 할매의 로마인 이야기.를 복붙질 한거걸랑. 헌데 나나미 할매도 거 보믄 그게 애매하게 정리한게 많아. 이전 썰했듯이 쏘키.socii 와 무니키피움.은 같은 레벨의 분류가 아닌거야. 그런걸 자기 나름 소키랑 무니키피움이 대등한 다른 유형인듯 정리하걸랑.
그래도 저 나나미 할매의 로마인 이야기.는 꼭 보도록 해. 15권짜리.
저거 읽지 않은 인간은. 인간이 아냐.
ローマ人の物語(1992 - 2006年 新潮社 全15巻/2002 - 2011年 新潮文庫 全43巻)
로마인 이야기. 로마진노모노카타리.
RES GESTAE POPULI ROMANI. 레스 게스타이 포풀리 로마니. 로마 사람들의 한 일. Res gestae (Latin "things done")
로마인들이 한 일. 로마인들의 업적.
Res Gestae Divi Augusti (Eng. The Deeds of the Divine Augustus) is the funerary inscription of the first Roman emperor, Augustus, giving a first-person record of his life and accomplishments.[1]
신성한 아우구스트의 업적록. 이란 글이 있어. 레스 게스타이. 한 일.
15년간 쓴겨.
그리고 나서리. 로마를 다시봐. 정리를 해보고. 영어 위키.로.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와 이탈리아 글은 다 번역이 되어있어. 잘 번역되었어. 모든 글을 다 보도록 해
- 『ルネサンスの女たち』(1969年 中央公論社/1973年 改版1996年 中公文庫/2012年 新潮文庫) ※第2巻 르네상스의 여인들. 아 짐은 이건 안봤어. 본다 본다 했는데 못볼거 같아.
- イザベッラ・デステ、ルクレツィア・ボルジア、カテリーナ・スフォルツァ、カテリーナ・コルネールの女性4名の生涯を描いた連作。
- 『チェーザレ・ボルジア あるいは優雅なる冷酷』(1970年 新潮社/1982年 改版2013年 新潮文庫) ※第3巻. 체사레 보르자. 이건 봤어. 꼭 보도록 해.
- 『神の代理人』(1972年 中央公論社/1975年 改版1996年 中公文庫/2012年 新潮文庫) ※第6巻 신의 대리인. 교황들 네명 이야기야. 이것도 봤어. 꼭 보도록 해.
- 『愛の年代記』(1975年 新装版2003年 新潮社/1978年 改版2002年 新潮文庫)사랑의 연대기. 이건 지금 처음 보는 목록이네. 하튼 봐라.
- 『海の都の物語 ヴェネツィア共和国の一千年』(1980 - 81年 中央公論社(正・続)/1989年 中公文庫(上・下)/2009年 新潮文庫 全6巻) ※第4・5巻 바다의 도시이야기 베네치아 공화국. 아 이건 꼭 봐라덜. 베네치아 위대한 나라다. 헌데 짐은 이건 못봤다. 니덜은 봐라 꼭. ェネツィア共和国の一千年の興亡。伊題 STORIA della REPUBBLICA di VENEZIA
- 『サロメの乳母の話』(1983年 中央公論社/1986年 中公文庫/2003年 新潮文庫)살로메의 유모이야기. 이것도 안봤다. 니덜은 꼭 봐라
- 『コンスタンティノープルの陥落』(1983年 新潮社/1991年 改版2009年 新潮文庫)콘스탄틴 함락 이야기. 이건 봤다. 영역도 되어있다. 저 로마인 이야기 전체 영역이 되었다. 이것도 꼭 봐라.
〔英訳〕The Fall Of Constantinople (2005.7) ISBN 1932234179- 1453年、最後の東ローマ帝国皇帝コンスタンティヌス11世と、その首都コンスタンティノープル攻略に燃えるオスマン帝国皇帝マホメッド2世との戦いを描く。
- 『ロードス島攻防記』(1985年 新潮社/1991年 改版2009年 新潮文庫)
〔英訳〕The Siege of Rhodes (2006.11) 로도스 섬 공방전. 이것도 봤다. 꼭 봐라. - 『レパントの海戦』(1987年 新潮社/1991年 改版2009年 新潮文庫)레판토 해전. 이것도 봤다. 니덜도 꼭 봐라.
〔英訳〕The Battle of Lepanto (2007.1) ISBN 1932234330 - 『わが友マキアヴェッリ フィレンツェ存亡』 (1987年 中央公論社/1992年 中公文庫/2010年 新潮文庫 全3巻) ※第7巻 나의 친구 마키아벨리 피렌체 존망. 이것도 볼라다 못봤다. 니덜은 꼭 봐라
- ※は『塩野七生ルネサンス著作集』に収録。(全7巻、2001年 新潮社/2008 - 2012年 新潮文庫)。伊題 SCRITTI SUL RINASCIMENTO
- 『緋色のヴェネツィア 聖マルコ殺人事件』(1988年 朝日新聞社/1993年 朝日文芸文庫)
- 『銀色のフィレンツェ メディチ家殺人事件』(1990年 朝日新聞社/1993年 朝日文芸文庫)
- 『黄金のローマ 法王庁殺人事件』(1992年 朝日新聞社/1995年 朝日文芸文庫)위의 비색의 베네치아 은색의 피렌체 황금의 로마 에서의 살인사건. 다 있다. 볼라다가 안봤다 구찮아서. 니덜은 꼭 봐라.
- 『三つの都の物語』(1999年 朝日新聞社)、上記三部作を合本。
- 『ローマ人の物語』(1992 - 2006年 新潮社 全15巻/2002 - 2011年 新潮文庫 全43巻)로마인 이야기.가 저 이야기들 후에 나온거다. 걸작이다 이책.
- 『ローマ亡き後の地中海世界』(2008 - 2009年 新潮社 上・下/2014年 新潮文庫 全4巻)로마 망한 후의 지중해 세계. 상하 두권으로 되어있다. 야 이거 명작이다. 이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보다. 니덜은 꼭 봐라.
- 「ローマ人の物語」のその後(西ローマ帝国終焉以降)を描く。羅題 DE MARI POST DELETAM ROMAM
- 『十字軍物語』(2010 - 2011年 新潮社 全4巻)십자군 이야기. 세권으로 번역되어 나왔다. 이거 명작이다. 짐의 십자군 시리즈.를 먼저 보고 서리 이 세권을 꼭 봐라. 짐의 십자군 시리즈.가 아직 마무리를 안했는데. 저 십자군 이야기를 빼고 그 주변 이야기를 썰하셨는데 저 이야기를 중간에 쏘옥 넣으면 된다. 나나미 할매도 모르는 십자군시리즈의 짐 이야기를 보고서리 저 십자군이야기. 꼭 봐라. 저거 모르면. 인간이 아니다 니덜은. 문명인이 아니다 니덜은.
- 『皇帝フリードリッヒ二世の生涯』(2013年 新潮社 上・下)황제 프리드리히2세의 생애. 시칠리아의 그 프리드리히2세. 쿠르드 살라딘 조카의 상대. 짐은 안봤다 니덜은 봐라.
- 「世界の驚異」と言われたシチリア王兼神聖ローマ皇帝の生涯。羅題 De Imperatoris Friderici Secundi Vita
- 『ギリシア人の物語』(2015 - 2017年 新潮社 全3巻)그리스인 이야기. 3권까지 나왔나 보다. 몇권 더 나올지 모르겠다. 짐은 안봤다. 니덜은 꼭 봐라.
- 古代ギリシア人の歩みを描く。表紙の彫像はそれぞれテミストクレス、ペリクレス、アレクサンドロス大王。
イタリア関連[編集]
- 『イタリアだより 君知るや南の国』(1975年 文藝春秋)
- 『イタリア共産党讃歌』(1976年 文藝春秋)
- 『イタリアからの手紙』(1981年・改版2003年 新潮社/1997年・改版2016年 新潮文庫)
- 『イタリア遺聞』(1982年 新潮社/1994年・改版2009年 新潮文庫)
- 『マキアヴェッリ語録』(1988年・改版2003年 新潮社/1992年・改版2009年 新潮文庫)
- 『ルネサンスとは何であったのか』(2001年 「塩野七生ルネサンス著作集 第1巻」 新潮社/2008年 新潮文庫)
- 『ローマの街角から』(2000年 新潮社)
- 『ローマ人への20の質問』(2000年 文春新書)
- 『痛快!ローマ学』(2002年 集英社インターナショナル)
- 改題『ローマから日本が見える』(2005年 集英社/2008年 集英社文庫)
随筆 その他[編集]
- 『サイレント・マイノリティ』(1985年 新潮社/1993年・改版2009年 新潮文庫)
- 『男の肖像』(1986年 文藝春秋/1992年・改版2017年 文春文庫)
- 『男たちへ フツウの男をフツウでない男にするための54章』(1989年 文藝春秋/1993年・改版2017年 文春文庫)
- 『再び男たちへ フツウであることに満足できなくなった男のための63章』(1991年 文藝春秋/1994年・改版2018年 文春文庫)
- 『人びとのかたち』(1995年 新潮社/1997年・改版2006年 新潮文庫)。映画エッセイ集
- 『日本人へ-リーダー篇』(2010年 文春新書)
- 『日本人へ-国家と歴史篇』(2010年 文春新書)
- 『生き方の演習 若者たちへ』(2010年 朝日出版社)
- 『想いの軌跡 1975-2012』(2012年 新潮社/2018年1月 新潮文庫)。エッセイ集成
- 『日本人へ-危機からの脱出篇』(2013年 文春新書)
- 『逆襲される文明 日本人へⅣ』(2017年 文春新書)
The equites (/ˈɛkwɪtiːz/; Latin: eques nom. singular; sometimes referred to as "knights" in modern times) constituted the second of the property-based classes of ancient Rome, ranking below the senatorial class. A member of the equestrian order was known as an eques (plural: equites)
고대그리스.의 희극 작가 아리스토파네스.의 작품중에 소크라테스 .라고 쓴 구름. 말고 에쿠이테스. 라는 기사. 란 희극이 있어. 이사람 희극들은 천병희가 다 번역했어. 읽도록 해. 천병희의 삼사십권 되는 그리스 번역물들 다 봐라. 고대 그리스 로마 전체 글들의 천분의 일 정도 지만. 저 삼사십권되는거라도 읽어라. 저거 모르면 말야. 그건 인간이 아냐. 걍 구데기들의 이념놀이나 하며 살어.
저건 제일계급인 원로원 다음 계층이야. 얘들이 나중에 상업으로 빠져. 얘들이 로마 속주에서 세금 대행하는 일을 하면서리 세금 걷는 총액의 일프로.를 먹어. 물론 계약제지. 이걸 나중에 로마가 국세청을 만들면서 직접 챙기는겨.
해서 이 에쿠이테스.라는 기사계급이. 돈을 쌓는겨. 부유한 층이 많아. 애들을 공부를 시켜서리 정계에 진출을 시키는겨. 거기서 나온 인물이 바로 키케로.
저 에쿠이테스.가 나중에 나이츠. 쉬벌리. 라는 중세 기사가 되는거고 에쿠이테스.란 말을 대체하는겨.
기사.를 할라믄 기본적으로 말이 있어야 하고 중장비를 갖춰야 하고 여분의 말도 있어야 하고 그걸 끌고다니는 노예들도 있어야 하고 말을 먹여야 하고 그 말 먹이는 사람들도 먹여야 하고. 해서리 돈이 있어야 해. 해서리 돈을 벌어야 해.
He came from a wealthy municipal family of the Roman equestrian order, and is considered one of Rome's greatest orators and prose stylists.[2][3]
키케로.는 뮤니시펄 부유한 뮤니시펄 가족. 무니키피움. 즉 로마 외의 도시.를 총칭하는 말이야 무니키피움.은. 시오노 나나미의 분류는 잘못된거야.
즉 걍 촌놈 출신이라는겨. 주류가 아냐.
로마인들을 계층적으로 분류할때. 이게 일관되게 분류된게 딱히 없어.
이걸 어드래 봐야 하냐면. 짐이 보란 데로 보면 돼.
Patronage (clientela) was the distinctive relationship in ancient Roman society between the patronus (plural patroni, "patron") and their cliens(plural clientes, "client"). The relationship was hierarchical, but obligations were mutual. The patronus was the protector, sponsor, and benefactor of the client; the technical term for this protection was patrocinium.[1] Although typically the client was of inferior social class,[2] a patron and client might even hold the same social rank, but the former would possess greater wealth, power, or prestige that enabled them to help or do favors for the client. From the emperor at the top to the local municipal person at the bottom, the bonds between these groups found formal expression in legal definition of patrons' responsibilities to clients.[3]
파트로누스 클리엔스. 후견인제도. 페이트로니지. 저걸 왜 파트로네스. 번역 했는지 몰겄는데. 파트로네스.는 여자 파트로누스 일뿐이야.
로마는 저 씨족들 가문들의 파트로누스.들이 자기들이 거느리는 클리엔스. 를 먹여주고 후원해주는 집단들로 운영이 되는겨. 이전 썰.
해서 저 파트로누스. 는 대게 원로원 계급이라는 제일지배계급으로 보면 돼. 이게 일본들의 클랜.인 오다 가문 도쿠가와 가문인거고 그 가신들이 클리엔테스.이고 그 가신들이 또한 각각 파트로누스.가 되서리 지들의 클리엔테스를 조직하는거고.
Patronus and libertus[edit]
When a slave was manumitted, the former owner became their patron. The freedman (libertus) had social obligations to their patron, which might involve campaigning on their behalf if the patron ran for election, doing requested jobs or errands, or continuing a sexual relationship that began in servitude. In return, the patron was expected to ensure a certain degree of material security for their client. Allowing one's clients to become destitute or entangled in unjust legal proceedings would reflect poorly on the patron and diminish their prestige.
노예들.이 돈을 갚으면. 리베르투스. 라는 해방노예.가 돼. 즉 로마시민 키비스 로마니.가 되는겨. 이들은 시민이 되서리 그 주인 가문의 클리엔테스.가 되는겨.
해서리 말야. 클리엔테스.가 지금 클라이언트.란 말로 쓰지만. 이 클라이언트.란 말은 그 듣는 입장에선 깊이 생각해 보면 거부감 있는 말이야. 즉 자기한테 돈주는 클라이언트를 은근히 지 아래로 두고 자기를 위에 두는 말이걸랑. 해서리 생각있는 양키들은 클라이언트란 말을 쓰겠니 안쓰겠니.
The plebs were, in ancient Rome, the general body of free Roman citizens who were not patricians, as determined by the census. The precise origins of the group and the term are unclear, though it may be that they began as a limited political movement in opposition to the elite (patricians) which became more widely applied.[1]
플레브스. 파트리쿠스.
플레브스. 는 파트리쿠스.들에 맞서는 층이야. 파트리쿠스.는 지배계급 엘리트 층이야. 즉 원로원층과 부유한 기사계급이겄지. 여기에 맞서면서 민들의 권위를 갖고 오려는 계층이 플레브스.야. 호민관.이 그래서 나오고 호민관 출신이 나중 콘술 집정관이 되기도 하고, 사법에서 배심원 판결하는걸 이전 원로원층만 구성되는걸 점점 기사계급에 일반 민들도 구성을 하도록 싸우는겨 몇백년간을.
he Conflict of the Orders, also referred to as the Struggle of the Orders, was a political struggle between the Plebeians (commoners) and Patricians (aristocrats) of the ancient Roman Republic lasting from 500 BC to 287 BC, in which the Plebeians sought political equality with the Patricians. It played a major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Constitution of the Roman Republic. Shortly after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this conflict led to a secession from Rome by Plebeians to the Sacred Mount at a time of war. The result of this first secession was the creation of the office of Plebeian Tribune, and with it the first acquisition of real power by the Plebeians.
저 계급충돌이 기원전 5백년 공화정 시작하면서 이탈리아 반도내의 폴리스 들과 싸우면서, 그러다가 전390년 갈리아애들에게 로마 약탈 당하고 그러면서리 플레브스.들이 파트리쿠스들의 권력을 갖고 가기 시작해.
파트리쿠스.나 파트로누스.나 어원은 같어. 파테르. 파트르
Origin
Middle English: from Old French, from Latin patronus ‘protector of clients, defender’, from pater, patr- ‘father’.
다 파더. father. 부계 계통. 이게 페이트론. 후원이고. patriot 패트리오트 애국자. patriotism 애국. 하는게 다 저 파테르. 파트르. 파더 . 아부지.야. 아부지.가 권력이고 지배층이야. 보호해주는거고.
The patricians (from Latin: patricius) were originally a group of ruling class families in ancient Rome. The distinction was highly significant in the early Republic—but its relevance waned after the Conflict of the Orders (494 BC to 287 BC), and by the time of the late Republic and Empire, membership in the patriciate was of only nominal significance.
After the Western Empire fell, it remained a high honorary title in the Byzantine Empire. Medieval patrician classes were once again formally defined groups of leading burgess families in many medieval Italian republics, such as Venice and Genoa, and subsequently "patrician" became a vague term used for aristocrats and the higher bourgeoisie in many countries.
저 플레브스.의 상대어인 파트리쿠스.는 나중에 귀족 아리스토크랫.이 되고 부르조아 가 되는겨.
파트리쿠스.가 파트로누스. 이고. 파트리쿠스.란 말을 쓸때는 상대어를 플레브스.로 쓰는거고. 파트로누스.란 말을 쓸때는 상대어를 클리엔테스. 를 써.
클리엔테스.와 플레브스. 는 달라. 그 어감이. 어느 부분이 다른가는. 니덜이 찾아봐. 니미 지미 모든걸 다 먹여 줘야 하냐.
The Optimates (/ˈɒptəmɪts/; Latin: optimates, "best ones", singular optimas; also known as boni, "good men") were the traditionalist Senatorial majority of the late Roman Republic.
Opposed by the Populares which favoured the cause of the plebeians (the commoners), the Optimates wished to limit the power of the popular assemblies and the Tribunes of the Plebs, which were open to the plebeians; and to extend the power of the Senate, which was viewed as more dedicated to the interests of the patricians (the aristocracy) who held the reins of power. In particular, the Optimates were concerned with the rise of individual generals, who backed by the tribunate, the assemblies and their own soldiers could shift the power away from the Senate and aristocracy.
비슷한 말이 또한. 옵티마테스. 와 포풀라레스.
옵티마테스. 는 베스트원스. 옵티말. 최적의. 즉 잘난 좋은 인간들. 이고.
포풀라레스.는 플레브스.라는 민들. 권력 아랫층들을 지지하는 이들이야. 포플라레스.는 그래서 플레브스 자체 일수도 있고 파트리쿠스 파트로투스.가 포풀라레스. 일수도 있어.
마찬가지로 플레브스.가 옵티마테스 일 수도 있어.
플레브스 이면서 옵티마테스.를 지지하면 옵티마테스 인거지. 조또 없으민서리 재벌 없애고 권력 없에서리 해처먹자 라는 짓 안하고 나도 열심히 살아서리 파트리쿠스 가 될껴 저 인간 문명사를 인정해야 해 옵티마테스 짱 하면 옵티마테스 인거지.
하튼 옵티마테스.는 그래서 대부분 원로원층들이 다수였다는 거고.
포풀라레스. 에서 포풀리즘 나오는거고. 이게 결국 프롤레타리아 하는거고.
프롤레타리아.
Mid 17th century: from Latin proletarius (from proles ‘offspring’), denoting a person having no wealth in property, who only served the state by producing offspring, + -an.
오프스프링. 들만 생산하는걸로 그 도시국가에 기여하는겨. 만 까는겨. 가진 건 없어. 그럼 배우면서리 온전함을 위하여 출발은 못하고. 걍 문명을 엎어버리면. 천국이 온다 하는거지.
옵티마테스.들꺼를 뺏아서리 나눠주면 민주 평등 이 되는거지.
포플라레스. 인겨 저게. 민들을 위한답시고. 로마의 포플라레스.는 그런 포플라레스.가 아냐.
로마애들은. 야 그 민도. 민들의 수준이. 이건 차원이 달라. 옵티마테스. 애들의 말글은 이건 차원이 달라 이건.
지금 애들 오레이션. 이라고 기념일 마다 내는 글 들의 그 수준이. 이건 2천년 전 로마애들 수준의 발톱 때도 안되고, 페리클레스 의 글 을 논할 수 조차 없어 워낙 비교가 되야 말이지 이게 .
저 삼일선언문과 그 이전 백오십년전의 양키들 독립선언문과. 그걸 비교를 해봐 비교를.
저게 수준이 말야 저게. 아 넘어가자.
.
위대하냐. ㅋㅋㅋ. 얼마나 까막눈에 글을 읽을 능력이 없고 말을 이해할 능력이 없으면 저 따위 개을 대대손손 가르치냐 그래.
.
이태리에 돌아다니면 어디서나 보이는 문장 spqr.
유럽의 지금 도시들이 다 저 spqr을 모방한거다
맨홀뚜껑. 함부르크 시청. 암스테르담. 바젤. 브레멘. 더블린. 런던. 체코의 올로모츠. 스페인 발렌시아. 다 저놈의 spqr 의 카피고 r 떼고 지들 도시 이니셜 박다
SPQR is an initialism of a phrase in Latin: Senātus Populusque Rōmānus ("The Roman Senate and People", or more freely as "The Senate and People of Rome";
Classical Latin:
[sɛˈnaː.tʊs pɔpʊˈlʊs.kᶣɛ roːˈmaː.nʊs]), referring to the government of the ancient Roman Republic, and used as an official emblem of the modern-day comune (municipality) of Rome. It appears on Roman currency, at the end of documents made public by inscription in stone or metal, and in dedications of monuments and public works, and it was emblazoned on the vexilloids of the Roman legions.
The phrase commonly appears in Roman political, legal, and historical literature, such as the speeches of Cicero and Ab Urbe Condita Libri ("Books from the Founding of the City") of Livy.
세나투스 포풀루스퀘 로마누스. 로마의 원로원 과 사람들.
할때 포풀루스.가 저 포풀라레스. 야.
The title's date of establishment is unknown, but it first appears in inscriptions of the Late Republic, from c. 80 BCE onwards. Previously, the official name of the Roman state, as evidenced on coins, was simply ROMA. The abbreviation last appears on coins of Constantine the Great (ruled 312–337 CE), the first Christian Roman emperor.[citation needed]
저게 언제부터 쓰여진건지는 몰라. 기원전 80년 경에 처음 보여 쓰여진게. 이때부터 쭉. 이전에는 공식 이름이 로마. 야 그냥. 동전을 보면. 마지막 쓰여진건 콘스탄티누스.때로 본다는데.애매. 하고.
키케로.의 연설에서 보이는거지.
쉼.
파트로누스 클리엔테스파트리쿠스 플레브스옵티마테스 포풀라레스
저건 한묶음으로 이해를 해야 해.
포풀라레스. 가 민들을 지지하는 파.야 이걸 번역을 민중파. 하는건데. 걍 포풀라레스. 로 박아둬.
이 민중파. 포풀라레스. 는 파트리쿠스 도 포풀라레스. 할 수 있는겨. 원로원 계급이면서 민중파가 있는겨. 그 대표적 인간이 마리우스.
Gaius Marius[nb 1] (/ˈɡeɪəs
가이우스 마리우스. 콘술 이란 집정관을 7번 했어. 이 사람이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고모부야. 카이사르의 고모. 즉 카이사르의 아버지의 열살 어린 누이동생 율리아 julia 의 남편이야.
민중파.인 포풀라레스.의 핵심이야 로마사에서. 원로원파. 즉 옵티마테스 의 거두인 술라.가 나중 이탈리아로 들어오면서 숙청되는게 이 마리우스파야. 그 마리우스.의 조카가 카이사르.이고
카이사르.가 나중에 사람들 시선을 받으면서리 역사에 등장하는 건 마리우스를 꺼내서리 로마인들의 시선을 끄는거걸랑. 로마시민들의 무의식을 지배했던게 마리우스야. 카이사르.는 마리우스의 후광일 뿐인거지. 헌데 저따위로 역사에 등장하는 카이사르.는 대단한겨. 어드래하믄 사람들에게 시선을 받을까
On his return to Rome, he was elected military tribune, a first step in a political career. He was elected quaestor for 69 BC,[30] and during that year he delivered the funeral oration for his aunt Julia, and included images of her husband Marius in the funeral procession, unseen since the days of Sulla.
술라.가 죽고 카이사르가 로마로 돌아오걸랑. 그리고 밀리터리 트리뷴. 이면 레가투스 라는 군단장 바로 아래.야. 그리고 나이 31살에 콰이스토르.에 당선이 돼. 이걸 번역을 감찰관이니 재무관이니 하는데. 재무관은 켄소르.가 맞고 이건 일본들 말대로 회계관.이 맞아. 숫자를 알아야 정치를 하는겨. 정치의 기본은 경제야 경제의 기본은 회계야. 회계를 모르면 정치를 하면 안돼.
재무제표 모르면, 정치하면 안돼. 계정 모르면 식자연 하면 안돼. 최소 b/s p/l 은 만들 줄 아는 가 정치를 해도 하는겨.
이딴 면에서 보면. 이땅바닥에 개거지 구데기 들이 정치를 하는건데. 아 끔찍한겨 이거. 회계를 몰라 경제를 몰라 멀 아는게 있어
그러타고 고대 그리스를 알어 고대 로마를 알어 고대 근동을 알어 고대 이집트를 알어
머 아는게 있어
그러타고 유럽 중세를 알아 유럽 근현대사를 알어
걍 대갈빡에 있는건 조선왕조 위대해. 민주 정의 평등 평화. 이따위 이념 글자들 외엔
아는게 없어 아는게.
저딴 들이 이땅바닥에서 숭배질 받으면서리 신앙이 돼.
참 골때리는 나란데 여기가.
저때 돌아와서리, 저 31살때에 고모 율리아.가 죽었어. 장례식때 추도사를 카이사르.가 하는겨.
마리우스와 율리아 사이엔 아들 하나가 있었는데 이미 죽었걸랑 자살했어. 남은 핏줄이 카이사르. 인거지 조카인.
이때 마리우스.의 이야기를 꺼내는거걸랑. 우리 고모의 남편. 포풀라레스의 상징 마리우스.
이때 사람들이. 카이사르.를 알게 되는겨. 아, 마리우스. 아 마리우스의 피가 카이사르에게 흐르는구나. 카이사르.가 우리 플레브스.라는 민들을 대변할 자야.
카이사르.가 영특한겨. 이 인간이 사람 마음을 읽을 줄 알아. 정치인이야 완벽한.
Homo novus (or: novus homo, Latin for "new man"; plural homines novi) was the term in ancient Rome for a man who was the first in his family to serve in the Roman Senate or, more specifically, to be elected as consul. When a man entered public life on an unprecedented scale for a high communal office, then the term used was novus civis (plural: novi cives) or "new citizen".[1]
키케로를 호모 노부스. 라 해. 원로원 가문이 아닌 집안에서 처음 원로원에 들어가거나 콘술이 되는 사람을 호모 노부스. 뉴 맨. 신참자. 라 하는겨.
키케로.는 무니키피움. 즉 족보가 없어. 로마 태생도 아니고 원로원 집안도 아냐. 걍 돈만 좀 있어. 공부 하고. 변호사를 하는겨. 피고인을 대변을 해. 로마에서 변호사.는 무료변론이야. 승소를 하면 변호사 에게 나중에 죽을때 유산으로 승소료를 줘. 키케로가 돈을 많이 벌었어 그래서. 별장도 고급빌라를 해변이랑 로마 시내에 사기도 하고.
저 키케로의 남겨진 글들은 대부분 이 가 지 변론 한 거를 지가 명문이랍시고 퇴고하면서 남긴겨. 다 누구누구를 위한 변론. 지뻑질 하면서 남긴겨.
원로원에 가서도 지가 연설한걸 오 명연설 하민서리 나중 지가 역시 가감해서리 마치 원로원에서 연설한것마냥 따로 남기기도 하고.
저 키케로의 글들을 나중 르네상스 때에 베네치아 인쇄소에서 처음 찍을때 유럽에 뿌리는겨.
키케로를 쳐대는데. 아 내 보기엔 별로고 키케로는.
오히려 세네카가 좋아.
아 글고 카이사르. 가 최고야.
로마에서 명장면들이 많아. 그 중의 하나. 키케로 와 카이사르 가 원로원에서 붙는겨. 아 이거 죽여줘.
그 중심인물
Lucius Sergius Catilina, known in English as Catiline (/ˈkætəlaɪn/; 108–62 BC), was a Roman Senator of the 1st century BC best known for the second Catilinarian conspiracy, an attempt to overthrow the Roman Republic and, in particular, the power of the aristocratic Senate.[1] He is also known for several acquittals in court, including one for the charge of adultery with a Vestal Virgin.
루키우스 세르기우스 카틸리나. 키케로가 두살어려. 카이사르는 키케로보다 여섯살 어려.
집안이 파트리쿠스.야 가문이 쎄. 콘술도 배출했어. 포풀라레스 라는 민중파가 아냐. 소키들의 전쟁 이라는 소셜 워.라는 이탈리아반도 내전에서도 로마를 위해 싸웠어. 그리고 술라가 들어와서리 민중파 숙청할때는 술라편이여. 키케로의 나중 고소장에 의하면 처남매부 지간이던 그라티디아누스.도 민중파라고 죽였다해.
Catiline is also accused of murdering his first wife and son so that he could marry the wealthy and beautiful Aurelia Orestilla, daughter of the consul of 71 BC, Gnaeus Aufidius Orestes. In the early 70s BC he served abroad, possibly with Publius Servilius Vatia in Cilicia. In 73 BC, he was brought to trial for adultery with a Vestal Virgin, a capital crime. The Vestal, Fabia, was a half-sister of Cicero's wife, Terentia. Quintus Lutatius Catulus, the principal leader of the Optimates, testified in his favor. Catiline and Fabia were acquitted.[6]
He was praetor in 68 BC, and for the following two years was the propraetorian governor for Africa.[7] Upon his return home in 66 BC, he presented himself as a candidate for the consular elections, but a delegation from Africa appealing to the Senate, indicting him for abuses, prevented this as the incumbent consul, Lucius Volcatius Tullus, disallowed the candidacy.[8][9] He was finally brought to trial in 65 BC, where he received the support of many distinguished men, including many consulars.[7] Even one of the consuls for 65 BC, Lucius Manlius Torquatus, demonstrated his support for Catiline.[10] Cicero also contemplated defending Catiline in court.[11] Eventually, Catiline was acquitted. The author of Commentariolum Petitionis, possibly Cicero's brother, Quintus Cicero, suggests that Catiline was only acquitted by the fact that "he left the court as poor as some of his judges had been before the trial,"[12] implying that he bribed his judges.
카틸리나.는 지 마누라랑 아들도 죽였다고 피소돼. 콘술의 딸 이쁘고 돈 많은 오레스틸라.랑 결혼할라고. 키케로의 마누라의 배다른 누이랑은 간통을 해서 또 고소당해. 무죄선고 받지만 여하튼 키케로.가 이 가틸리나.를 싫어했어.
프라이토르.로 선출되서리 아프리카에 총독으로 2년 있어. 그리곤 콘술 집정관에 출마를 하는겨. 헌데 북아프리카의 이전 속주민들이 카틸리나.를 고소를 하는겨 저 2년 총독질 하면서리 뒷돈 받았다고.
저따위 짓들이 흔해 로마때. 속주민들이 총독을 고소를 하는겨 임기끝나면. 즉 총독이 속주에 가서리 맘대로 못해 뒤에 나중 고소당할까봐. 여하튼간에 그래도 선거운동해. 속주 껀은 무죄를 받아. 카틸리나가 배심원들에게 뇌물을 줬다 하는 말도 있어.
During 64 BC, Catiline was officially accepted as a candidate in the consular election for 63 BC. He ran alongside Gaius Antonius Hybrida, whom Sallust suspected may have been a fellow conspirator.[13] Nevertheless, Catiline was defeated by both Cicero and Antonius Hybrida in the consular election, largely because the Roman aristocracy feared Catiline and his economic plan.[14]
그리고 다음해 기원전 64년에 집정관에 출마를 하는겨. 당선되면 다음해 전63년에 집정관 콘술을 하는거지. 여기에서 키케로.한테 져.
집안이 점점 쪼들어가걸랑. 빚을 많이 졌어 이 카틸리나.가 . 해서리 골수 술라파 골수 옵티마테스.가 포플라레스 파로 옮기는겨. 무상분배. 토지 몰수해서리 민들에게 나눠주겠소. 빚 청산 해주겠오. 모든 빚 탕감.
야 이 지금 이 조선땅에선 환영받을 민주 투사 셔 저 카틸리나.가 ㅋㅋㅋ
,
낙선이 되고, 자기 뜻대로 안되니까. 음모를 꾸미는겨.
카이사르.는 빚을 즐겼걸랑. 아 증말 카이사르는 골때리는 인간인데. 정말 전무후무한 인간이야 이 카이사르는.
카이사르.는 채권자가 오히려 빌어 채권자가 오히려 다른 채권자에게 보증을 서줘. ㅋㅋㅋ.
카틸리나.는 빚에 치인 인간이야.
The second Catilinarian conspiracy was a plot, devised by Catiline with the help of a group of aristocrats and disaffected veterans, to overthrow the Roman Republic in 63 BC. Cicero exposed the plot, which forced Catiline to flee from Rome.
두번째 카틸리나 음모설. 첫번째 인 이전 콘술 암살설은. 지금 사학자들은 동의 안해. 관여 안 된 듯. 정리했어.
키케로가 콘술이 된 전 63년. 카틸리나와 몇몇 베테랑 퇴역 군인들이 쿠데타를 모의해.
정황이 뚜렷한겨
키케로.가 연설하면서. 원로원 최종권고.
Senatus consultum ultimum ("final decree of the Senate" or Final Act, often abbreviated SCU), more properly senatus consultum de re publica defendenda ("decree of the Senate about defending the Republic") is the modern term (based on Caesar's wording at Bell. Civ. 1.5) given to a decree of the Roman Senate during the late Roman Republic passed in times of emergency.
세나투스 콘술툼 울티뭄. 을 내미는겨. 즉 특별법으로 해서리 저거 죽여라. 하는거지. 이 공화정의 폐해 중 하나야. 재판도 없이 원로원이 저 세나투스 콘술툼 울티움.을 발동하는겨 심심하믄. 여기에 대빵이 키케로여. 키케로는 공화정.을 핑게로 이 는 독재를 한겨 이거. 얘가 말빨이 좋걸랑 아무도 얘 말빨을 못이겨. 카이사르 외엔.
연설을 격정적으로 하는겨. 연설문을 보면 말야 글을 보면 말야 그 감정을 느낄 수가 있어 짐의 수준이 되면.
논리보다 감정이야.
애들 선동질하는 애들 특징이야 저게. 이 들이 말야 결국 인간들을 죽여온게 이게.이 들이 알흠다운 추상명사 날리면서리 인간들 개돼지로 맹글면서리 정작 세상을 피바다로 맹글어 온거지. 그게 지금 여전한 이땅바닥이고.
- 2The First Oration - Oratio in Catilinam Prima in Senatu Habita
- 3The Second Oration - Oratio in Catilinam Secunda Habita ad Populum
- 4The Third Oration - Oratio in Catilinam Tertia ad Populum
- 5The Fourth Oration - Oratio in Catilinam Quarta in Senatu Habita
저걸 안먹혀서리 각각 네번을 하는겨. 날짜와 장소를 달리하면서.
Also remembered is the famous exasperated exclamation, O tempora, o mores! (Oh, what times! Oh, what behaviour!).
첫번째 오래이션.이야.
쿠오 우스퀘 탄뎀 아부테레, 카틸리나, 파티엔티아 노스트라?
저때 카틸리나.가 원로원에 참석을 해. 자긴 쿠데타 계획 없담시롱. 대놓고 말하는겨.
카틸리나 이 라마. 니 대체 언제까지 우리가 참아줘야 하냐? 니 우리를 조롱해대는 그 미친 을 언제 까지 할꺼냐? 니가 거기 앉아서리 아닌 척 하면서 뻔뻔하게 있지만 그 위선의 끝은 어디냐? 아닌척 거들먹 거리면서 거기 앉아있는데 언제 끝나냐?
오 템포라, 오 모레스. 아 지금이 어떤 시대인데, 저따위 행동을 해대다니.
Catiline was present when the speech was delivered. He replied to it by asking people not to trust Cicero because he was a self-made man with no family tradition of public office, and to trust himself because of the long experience of his family. Initially, Cicero's words proved unpersuasive.[7] Catiline then ran from the building, hurling threats at the Senate. Later he left the city and claimed that he was placing himself in self-imposed exile at Marseille, but really went to the camp of Manlius, who was in charge of the army of rebels. The next morning Cicero assembled the people, and gave a further oration.
카틸리나가 키케로의 연설이 끝나고는 반박을 해. 저 키케로 말 믿지 말아라. 저는 호모 노부스. 촌놈이 콘술이 된 주제에 변호사질로 인간들 감정 긁어대면서리 돈 번다. 나를 믿어라. 나는 파트리쿠스다. 집안 자체가 로마에 헌신한 집안이다. 키케로의 말은 아무런 설득력이 없다.
하고는 건물을 떠났어. 나중엔 로마를 떠나. 마르세유 로 튀었어.
저게 유명한 키케로의 연설 첫번째야.
그리고 나서리. 계속 퍼붓는겨. 망명한 저 카틸리나.를 죽여야 한다.
저것에 반대한 인간이 바로 카이사르야.
IT 1 becomes all men, conscript fathers, who deliberate on dubious matters, to be influenced neither by hatred, affection, anger, nor pity. The mind, when such feelings obstruct its view, can not easily see what is right; nor has any human being consulted, at the same moment, his passions and his interest. When the mind is freely exerted, its reasoning is sound: but passion, if it gain possession of it, becomes its tyrant, and reason is powerless. 1 I could easily mention, conscript fathers, numerous examples of kings and nations, who, swayed by resentment or compassion, have adopted injudicious courses of conduct; but I had rather speak of those instances in which our ancestors, in opposition to the impulse of passion, acted with wisdom and sound policy. 2 In the Macedonian War, which we carried on against king Perses, the great and powerful state of Rhodes, which had risen by the aid of the Roman people, was faithless and hostile to us: yet, when the war was ended, and the conduct of the Rhodians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our forefathers left them unmolested, lest any should say that war was made upon them for the sake of seizing their wealth, rather than of punishing their faithlessness. Throughout the Punic Wars, too, tho the Carthaginians, both during peace and in suspensions of arms, were guilty of many acts of injustice, yet our ancestors never took occasion to retaliate, but considered rather what was worthy of themselves, than what might justly be inflicted on their enemies. 3 Similar caution, conscript fathers, is to be observed by yourselves, that the guilt of Lentulus, and the other conspirators, may not have greater weight with you than your own dignity, and that you may not regard your indignation more than your character. If, indeed, a punishment adequate to their crimes be discovered, I consent to extraordinary measures; but if the enormity of their crime exceeds whatever can be devised, I think that we should inflict only such penalties as the laws have provided. 4 Most of those, who have given their opinions before me, have deplored, in studied and impressive language, the sad fate that threatens the republic; they have recounted the barbarities of war, and the afflictions that would fall on the vanquished; they have told us that maidens would be dishonored, and youths abused; that children would be torn from the embraces of their parents; that matrons would be subjected to the pleasure of the conquerors; that temples and dwelling-houses would be plundered; that massacres and fires would follow; and that every place would be filled with arms, corpses, blood, and lamentation. But to what end, in the name of the eternal gods! was such eloquence directed? Was it intended to render you indignant at the conspiracy? A speech, no doubt, will inflame him whom so frightful and monstrous a reality has not provoked! Far from it: for to no man does evil, directed against himself, appear a light matter; many, on the contrary, have felt it more seriously than was right. 5 But to different persons, conscript fathers, different degrees of license are allowed. If those who pass a life sunk in obscurity, commit any error, through excessive anger, few become aware of it, for their fame is as limited as their fortune; but of those who live invested with extensive power, and in an exalted station, the whole world knows the proceedings. Thus in the highest position there is the least liberty of action; and it becomes us to indulge neither partiality nor aversion, but least of all animosity; for what in others is called resentment, is in the powerful termed violence and cruelty. 6 I am indeed of opinion, conscript fathers, that the utmost degree of torture is inadequate to punish their crime; but the generality of mankind dwell on that which happens last, and, in the case of malefactors, forget their guilt, and talk only of their punishment, should that punishment have been inordinately severe. I feel assured, too, that Decimus Silanus, a man of spirit and resolution, made the suggestions which he offered, from zeal for the State, and that he had no view, in so important a matter, to favor or to enmity; such I know to be his character, and such his discretion. Yet his proposal appears to me, I will not say cruel (for what can be cruel that is directed against such characters?), but foreign to our policy. For assuredly, Silanus, either your fears, or their treason, must have induced you, a consul-elect, to propose this new kind of punishment. Of fear it is unnecessary to speak, when, by the prompt activity of that distinguished man our consul, such numerous forces are under arms; and as to the punishment we may say, what is indeed the truth, that in trouble and distress, death is a relief from suffering, and not a torment; that it puts an end to all human woes; and that, beyond it, there is no place either for sorrow or joy. 7 But why, in the name of the immortal gods, did you not add to your proposal, Silanus, that, before they were put to death, they should be punished with the scourge? Was it because the Porcian Law 2 forbids it? But other laws forbid condemned citizens to be deprived of life, and allow them to go into exile. Or was it because scourging is a severer penalty than death? Yet what can be too severe, or too harsh, toward men convicted of such an offense? But if scourging be a milder punishment than death, how is it consistent to observe the law as to the smaller point, when you disregard it as to the greater? 8 But who, it may be asked, will blame any severity that shall be decreed against these parricides of their country? I answer that time, the course of events, and fortune, whose caprice governs nations, may blame it. Whatever shall fall on the traitors, will fall on them justly; but it is for you, conscript fathers, to consider well what you resolve to inflict on others. All precedents productive of evil effects have had their origin from what was good; but when a government passes into the hands of the ignorant or unprincipled, any new example of severity, inflicted on deserving and suitable objects, is extended to those that are improper and undeserving of it. The Lacedæmonians, when they had conquered the Athenians, appointed thirty men to govern their state. These thirty began their administration by putting to death, even without a trial, all who were notoriously wicked, or publicly detestable—acts at which the people rejoiced, and extolled their justice. But afterward, when their lawless power gradually increased, they proceeded, at their pleasure, to kill the good and bad indiscriminately, and to strike terror into all; and thus the State, overpowered and enslaved, paid a heavy penalty for its imprudent exultation. 9 Within our own memory, too, when the victorious Sulla ordered Damasippus, and others of similar character, who had risen by distressing their country, to be put to death, who did not commend the proceeding? All exclaimed that wicked and factious men, who had troubled the State with their seditious practises, had justly forfeited their lives. Yet this proceeding was the commencement of great bloodshed. For whenever any one coveted the mansion or villa, or even the plate or apparel of another, he exerted his influence to have him numbered among the proscribed. Thus they, to whom the death of Damasippus had been a subject of joy, were soon after dragged to death themselves; nor was there any cessation of slaughter, until Sulla had glutted all his partizans with riches. 10 Such excesses, indeed, I do not fear from Marcus Tullius, or in these times. But in a large state there arise many men of various dispositions. At some other period, and under another consul, who, like the present, may have an army at his command, some false accusation may be credited as true; and when, with our example for a precedent, the consul shall have drawn the sword on the authority of the senate, who shall stay its progress, or moderate its fury? 11 Our ancestors, conscript fathers, were never deficient in conduct or courage; nor did pride prevent them from imitating the customs of other nations, if they appeared deserving of regard. Their armor, and weapons of war, they borrowed from the Samnites; their ensigns of authority, for the most part, from the Etrurians; and, in short, whatever appeared eligible to them, whether among allies or among enemies, they adopted at home with the greatest readiness, being more inclined to emulate merit than to be jealous of it. But at the same time, adopting a practise from Greece, they punished their citizens with the scourge, and inflicted capital punishment on such as were condemned. When the republic, however, became powerful, and faction grew strong from the vast number of citizens, men began to involve the innocent in condemnation, and other like abuses were practised; and it was then that the Porcian and other laws were provided, by which condemned citizens were allowed to go into exile. This lenity of our ancestors, conscript fathers, I regard as a very strong reason why we should not adopt any new measures of severity. For assuredly there was greater merit and wisdom in those, who raised so mighty an empire from humble means, than in us, who can scarcely preserve what they so honorably acquired. Am I of opinion, then, you will ask, that the conspirators should be set free, and that the army of Catiline should thus be increased? Far from it: my recommendation is, that their property be confiscated, and that they themselves be kept in custody in such of the municipal towns as are best able to bear the expense; that no one hereafter bring their case to the senate, or speak on it to the people, and that the senate now give their opinion that he who shall act contrary to this will act against the republic and the general safety. 12 Note 1. Delivered in the Roman senate in 63 B.C. Reported by Sallust. Translated by John S. Watson. Of this speech, the only one by Cæsar now extant, Froude says it “was not an imaginary sketch of what Sallust supposed him likely to have said, but the version generally received of what he actually did say, and the most important passages of it are certainly authentic.” [back]Note 2. The Porcian Law, enacted A. U. C. 454, provided that no one should bind, scourge, or kill a Roman citizen. [back]
https://www.bartleby.com/268/2/19.html
카이사르.의 글은 나중에 아우구스투스.가 성인으로 올리면서리 다 없앴걸랑. 갈리아 원정기.랑 내전기 단 두개 만 남기고. 해서리 카이사르의 말과 글은 편지와 딴이들 인용에서 전해지는데, 아 인류사에서 제일 아까비인겨. 특히 카이사르의 연애편지들은 최고의 작품일틴데말야.
야 이 들아. 감정을 자제하고 이성을 갖어라 이 원로원 덜아. 이성이 감정의 지배를 받으면 그건 인간이 아니라 개돼지 다
이 로마를 전하기 위한 그 수많은 피비린내나는 역사속의 선조들을 배워라. 그 선조들이 니덜 처럼 상대는 적폐요 니는 정의요 해대민서리 서로들 죽고 죽였나 이 덜아.
니덜이 사람냐 개돼지 냐
감정에만 치우쳐서리. 오직 상대를 못죽여 안달해대는
품을 줄 알아라 상대를.
하는 말씀이야 카이사르님의 말은. 아 예전이면 번역 좀 하겠는데, 이젠 힘이 없어 짐께서.
영어공부는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의 이야기를 영역한게 있어. 그거 보고 철저하게 번역하면서 공부를 하도록 해. 할배 할매들은 특히나 더 해. 나중에 유럽에서 환생해야지. 이 이념놀이 땅바닥에서 혹 재수조케 인간으로 다시 환생을 해도 얼마나 조깐냐 여기에 다시 산다는건 끔찍한겨. 죽기전에 영어 공부해서리 다음 생엔 라티니나 게르만이나 켈트로 태어나서리 돈 많은 집안의 자식으로 태어나서리 햄뽂으미 살어. 그럴려면 늦은게 아냐 지금부터라도 하나하나 번역하면서 공부해.
Each consul was accompanied in every public appearance by twelve lictors, who displayed the magnificence of the office and served as his bodyguards. Each lictor held a fasces, a bundle of rods that contained an axe. The rods symbolized the power of scourging, and the axe the power of capital punishment. When inside the pomerium, the lictors removed the axes from the fasces to show that a citizen could not be executed without a trial. Upon entering the Comitia Centuriata, the lictors would lower the fasces to show that the powers of the consuls derive from the people (populus romanus).
콘술.은 항상 12명의 릭토르.가 따라다녀. 이 릭토르. 경호원.들이 각각 들고 있는게 파시즈.fasces 야.
가운데 도끼 상징을 여러 막대기로 감싼거야. 도끼는 여신.을 상징해. 권력이고 정의의 상징이야 패시즈. 파스키스. 저게 나중 무쏠리니 파시즘.이야 무솔리니 이는 로마의 겉만 취한 유치한 고.
According to Livy, it is likely that the lictors were an Etruscan tradition, adopted by Rome.[6] The highest magistrate, the dictator, was entitled to twenty-four lictors and fasces, the consul to twelve, the proconsul eleven, the praetor six (two within the pomerium), the propraetor five, and the curule aediles two.
리비우스.에 의하면. 경호원 릭토르.들은 각각 저걸 들고다니는데. 저건 로마 위의 에트루리안 관습에서 따온거 같다. 딕타토르.란 독재관에겐 24명의 릭토르가 저걸 들고 경호를 한다. 콘술은 열두명. 프로콘술은 12명. 프라이토르는 여섯명. 등등.
나중에 카이사르.가 독재관이 되는데. 저 파스키스.를 들고 다니며 졸졸 경호하는 릭토르. 제도를 없애. 나 카이사르가 뭔 죄를 졌다고 니덜이 나를 경호를 해.
경호원 없이 다닌겨 카이사르는.
로마 시내를 낮에는 수레를 끌고 못다녀. 수레 움직이려면 밤에 움직여야해. 상인들이 물건을 밤에 로마에 들여. 낮에는 다들 걸어야해. 여자들 빼고. 카이사르는 마차도 안타고 다녔어. 똑같이 걸었어 로마 시민들이랑 같이. 여자들은 마차를 타고 다녀.
카이사르는 릭토르. 라는 경호원들을 없애면서, 원로원 애들에게 서명을 받았어. 약속을 했어. 테러 하지 않겠다고. 카이사르에게 충성하겠다고. 로마인들에겐 서명 약속은 신에게 하는게 아냐. 저건 인간 대 인간 의 약속이야. 어기면 그앤 인겨
그리고 혼자 자유롭게 다닌겨.
The Death of Caesar, Jean-Léon Gérôme, 1867
According to Eutropius, around 60 men participated in the assassination. He was stabbed 23 times.[103]
저기가 폼페이우스 테아트룸. 극장 옆이야. 수십명이 칼을 들고 미친거야 저게. 에트로피우스에 의하면 60명이 관여했다 저기 현장에서 칼 든 들이 누군 이십여명 누군 삼십여명 해. 하튼 이삼십명이 갑자기 칼을 빼내서리 쑤신겨 한 사람을.
나중에 노예가 몰래 가서리 자기 주인 시체를 수습하는겨. 총 23방 찔린겨. 헌데 다 자잘자잘하게 찔린거고 한 방만 제대로 찌른겨.
암살의 원인을 공화정 닫고 제정 어쩌고 두려움 해 대지만. 다 개소리야.
걍 나눠받는거 소외 된 들. 더하기. 열등감 에 쪄든 들 의 합작품이야 저게.
세상 문명사.에서. 저리 수십명이 칼들고 한 인간을 암살한 사건은 저장면이 유일해.
그만큼 카이사르는 엄청난 인간이야.
The assassination of Julius Caesar was the result of a conspiracy by many Roman senators led by Gaius Cassius Longinus, Decimus Junius Brutus Albinus, and Marcus Junius Brutus.[1][2]
저기서 브루투스.가 두명인데. 카이사르의 애인 세르빌리아.의 아들 브루투스.는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저 마르쿠스 브루투스.는 엄마 세르빌리아.가 아껴서리 카이사르한테 부탁 열라 하걸랑. 이가 폼페이에 붙어서리 져도 카이사르가 제일 먼저 챙겨줘 행여 죽을까봐.
애가 못나도 못난 야 이 마르쿠스 브루투스.가
이가 삼촌이 소카토 걸랑. 대카토 소카토 . 마누라 클라우디아.도 이 소카토 쪽이야 애비가. 카이사르.가 웬수야. 마누라는 더해. 카이사르에 대한 분노질만 부추기는겨 이불속에서.
이 에겐 정치제도니 인간이니 몰라 이거. 걍 사상의 우두머리 개 포장 하지만. 얘는 자기 삶이 쪽팔린겨. 엄마때메 살아남았어 반군인데. 살아남은게 쪽팔려. 전형적인 맘마보이야. 헌데 집안은 마누라도 자기도 소카토.이고 파트리쿠스야. 반민중파야. 그 가운데에서 애가 열폭질만 하다가 저기에 가담을 한겨.
브루투스 너마저! 할때의 브루투스.는 저 세르빌리아 의 아들 마르쿠스 브루투스.가 아냐.
저 데키무스 유니우스 브루투스 알비누스.라는 데키무스 브루투스야. 카이사르가 갈리아 원정하면서부터 따라다닌 참모야. 나중에 카이사르가 죽고. 여사제에게 남긴 유언장에 제일이 아우구스투스라는 옥타비아누스.고 다음 계승권자가 이 데키무스 브루투스.야.
완전한 자기 수족이걸랑. 지 서운하다고 가담한겨. 나중에 유언장에 자기에 대한 믿음을 알게돼. 도망다니다가 갈리아 사람들한테 죽어.
저들이 말야 저리 칼들고 신나하면서도 당황하다가 말야. 사람들에게 연설을 해.
카이사르 독재자요! 로마 공화정을 말살하려는 인간이었소!! 우리가 죽였소!! 우리는 자유요.
로마시민들이 . 갑작 스런 일에 당황할거 아냐. 아 또 내전인건가. 카이사르가 죽다니. 다들 조용한겨. 그리고 다들 집에 들어가서리 문을 꼭꼭 잠가. 그 사이에 카이사르의 노예 세명이 시체를 몰래 갖고오는겨
According to Plutarch, after the assassination, Brutus stepped forward as if to say something to his fellow senators not involved in the plot; they, however, fled the building.[25] Brutus and his companions then marched to the Capitol while crying out to their beloved city: "People of Rome, we are once again free!". They were met with silence, as the citizens of Rome had locked themselves inside their houses as soon as the rumour of what had taken place had begun to spread. According to Suetonius, all the conspirators made off, and he (Caesar) lay there lifeless for some time, and finally three common slaves put him on a litter and carried him home, with one arm hanging down.[26]
그리고 진정이 되서리 다시 이들이 연단에 서.
우리가 자유인이 되었다니까!!
로마시민들이, 눈에 불이 번쩍하는겨. 몰려가서리 저 들 다 죽여 하는겨
아폴로 신전으로 도망가는겨 저 들이.
.
카이사르.를 암살할라므는 저리 이삼십명이 국회의원 애들이 칼들고 쑤셨어야할 정도로 대들어야만 했던거지.
하튼 걍 그런줄 알어.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근동사24. 페르시아에서 오스만투르크 ft.시베리아 (0) | 2018.07.10 |
---|---|
12명을 뽑아보자 ft.카틸리나 키케로 (0) | 2018.07.07 |
일본사33. 코사크 카자크 ft.훈족 몽고족. 아키야마 요시후루 (0) | 2018.07.05 |
고대근동사22. 민족이 아닌 국가 ft.연평해전 추모 (0) | 2018.07.01 |
고대근동사21. 이집트와 로마를 카피한 미국 이란 나라 ft.미국 문장 (0) | 2018.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