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회. order 라는건 그래서 원칙적으론 사제가 아냐. 사제. 제사를 예식 의식을 주관하는 종교적 리더걸랑. 

 

 

레이어티. laity. 평신도 층에서 신빨이 쎈 이들이 지들끼리 막막 맹그는겨 이걸.

 

laity, 

Lay people, as distinct from the clergy.

 

사람들이 모여서 신.을 예찬하고 죄.를 씻는 의례를 하는 교회. 모이는 곳.을 별도로 어느 종교나 혼자.또는 모여서 독실하게 신앙생활을 하고 싶은겨 모든 종교는. 해서 저 독고다이 신앙이즘. 

 

Monasticism (from Greek μοναχός, monachos, derived from μόνος, monos, "alone") or monkhood is a religious way of life in which one renounces worldlypursuits to devote oneself fully to spiritual work. 

 

하는 모나스티시즘. 은 모든 종교에 다 있는데. 로마 카톨릭에선 그걸 일반적으로 abbey 라 한 거고 이걸 수도원 하는거지 우리말로. 여기에 남자수도원장 애봇. 여자수도원장 애비스.를 두는거고.

 

즉 저 애비.라는 수도원은 교황 산하의 공적기구야. 

 

저건 다이오시스. diocese 라는 교구.의 짱인 주교. 대주교. 의 관리 권한 밖이야. 교황 직속이야. 중세에는. 헌데 이게 지금은 대주교.의 관리 아래 두는거지 현대와서는.

 

 

저들 수도사들은 교회의 사제들을 통해서 신을 접하는 것을 거부하고 직접 신과 맞다이 하겠다는 거걸랑. 이들은 주교니 대주교니 건들 수가 없어. 추기경도 권한 밖이야 오직 교황이야.

 

이 수도원들이. 애초에는 황제나 왕이나 높은 귀족들이 은퇴해서 따로 건물을 짓고 신앙생활을 했던거지. 즉 건물을 세울려면 돈이걸랑 뭐든지. 돈 많은 이가 건물 세우고 자리 잡는겨. 맘 맞는 사람들이 따라오고.

 

더하여 교황이 따로 따로 떨어져 있는 이들 다 모여서 신앙생활 니덜끼리 해라 하는거고.

 

이 모임. 이 수도회. order. 모여서 생활하는 폐쇄된 공간이 수도원 abbey. 또는 모나스터리. monastery.  모나스터리. 란 수도원은 탁발수도회 공간보다는 독고다이 수도회의 공간이겄고.

 

모든 수도회.는 교황으로 부터 인증.을 받아야 해. 

 

 

그러다가. 평신도 층에서 하나둘. 사제 아닌 사람들이 독자적으로 모이기도 하는겨. 자기들 돈으로 세우거나, mendicant 멘디컨트. 탁발 구걸하면서리 최소생계 유지하면서리 검소한 건물에서 지내는거지. 또는 자기들만의 포교방식을 원하는 이들이 곧 사제들이 독자적으로 나가서리 만드는거고 교황승인 요청하는거고.

 

order. 

 

A society of monks, nuns, or friars living under the same religious, moral, and social regulations and discipline.

 

자기들 자체적.으로 모여있으니 무엇보다 규칙 규율이 쎄야해. 해서 order 한거겠지.

 

Middle English: from Old French ordre, from Latin ordo, ordin- ‘row, series, rank’.

 

어떤 규칙들 원칙들을 따라야하고 그러기 위해선 서열이 명확해야해. 그 원칙의 바닥은 신.이고. 해서 저 오어더.란 이름을 박았을테고. 저 규율을 어기면 제명인거지 바로.

 

 중세에 이름있는 수도회.를 들면. 성 아우구스니투스 수도회.

 

The Order of St. Augustine (Latin: Ordo sancti Augustini, abbreviated as OSA; historically Ordo eremitarum sancti Augustini, OESA, the Order of Hermits of St. Augustine), generally called Augustinians or Austin Friars (not to be confused with the Augustinian Canons Regular), is a Catholic religious order. Although more ancient, it was formally created in the thirteenth century and combined several previous Augustinian eremeticalorders into one.

In its establishment in its current form, it was shaped as a mendicant order, one of the four great orders which follow that way of life.

 

이들은. 처음엔 멘티컨트 오어더. 탁발 수도회였어. 여기저기 있던 이들을 모아서리 1244년에 생긴거고. 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원래 마니교 신자였걸랑. 이 마니교 자료가 많이 없어. 이 아우구스티누스.가 마니교를 왜 나왔나 하민서리 마니교 욕하는 글을 써서리 그걸로 마니교에 대해 알게 돼. 

 

The Order of Saint Benedict (OSB; Latin: Ordo Sancti Benedicti), also known – in reference to the colour of its members' habits – as the Black Monks, is a Catholic religious order of independent monasticcommunities that observe the Rule of Saint Benedict. 

 

성 베네딕트 수도회. 

c.

 AD 529; 1489 years ago. 제일 오래된 수도회 중에 하나야. 이 수도회는 독고다이 관상 수도회고.

 

The Order of Friars Minor (also called the Franciscans, the Franciscan Order, or the Seraphic Order;[1] postnominal abbreviation O.F.M.) is a mendicant Catholic religious order, founded in 1209 by Francis of Assisi. 

 

제일 많이 알려진 성 프란치스코 스도회. 아 이 사람 일생은 특히 찐하게 볼 만해. 나중 영어위키 보도록 해. 돈  많은 실크 상인 집의 자식이야. 

Saint Francis of Assisi (Italian: San Francesco d'Assisi), born Giovanni di Pietro di Bernardone, informally named as Francesco (1181/1182 – 3 October 1226),[2] was an Italian Catholic friar, deacon and preacher

 

이 아시시의 성자 프란치스코. 를 저기 보면 프라이어 프레테.하는 수도사. 디콘. 그리고 설교사 하걸랑. 프리스트 가 아녀 이사람은. 즉 사제인 클러지 clergy. 가 아닌겨. 헌데 저 디콘 deacon 이 사제냐 아니냐. 클러지냐 아니냐 도 논쟁  하는거지. 해서 결국 이 디콘.도 사제다 사제역할 할수 있다. 예식 주관할수 있다 하는거겠지.만 

 

 

The Order of Preachers (Latin: Ordo Praedicatorum, postnominalabbreviation O.P.), also known as the Dominican Order, is a mendicantCatholic religious order founded by the Spanish priest Dominic of Caleruega in France, approved by Pope Honorius III via the Papal bullReligiosam vitam on 22 December 1216.

 

저 다음에 나온 수도회가 토미니코 수도회. 설교수도사들의 수도회야. 거리 돌아다니면서 설교를 하는거지. 이 성 도미니코.는 사제였어. 뛰쳐나와서 대여섯명이랑 설교수도회를 만든거지.

 

저 수도회 .order 의 조직들 역시 무시를 못하는거지. 저 수도회 이름으로 또 유럽 전역에 퍼지는거고. 지금은 세계적으로 퍼지는거고. 너 어디 수도회 소속이냐 하는거고. 다른 수도회 욕할 것 없다가 그 사보나롤라.때 저 두개 수도회가 붙었던거고.

 

 

저 수도회 건물들에 또한 벽화 그리고 성상들 생기면서 미술사에서 한 자리 또한 하는거고.

 

프란치스코. 수도원의 프레스코 벽화가 그래서 유명해지는거고. 본질적으로 돈이 없걸랑. 그러니 다른 고풍스런 성당과 달리 그림을 막막 그려야 하는겨 모자이크같은거 할 여력도 없고 하면 안되고. 해서 프레스코 벽화 양식이 생기면서리 화가들이 걍 막막 그려야 되는겨. 수용성 물감으로 마르기 전에. 그러니 당근 그림이 시원시원 하게 되는거지. 그러다가 아 저렇게 그리고 표현하는게 훨 나은데? 하는거고

 

 

vows of poverty, chastity, and obedience

 

청빈. 순결. 복종. 을 맹세하걸랑. 순결은 남녀 교접 안하겠다는거고. 복종은 그리스도에 대한 거겠지. 절대적인.
.십자군 전쟁 때 저 수도회의 이름으로 나오기 시작하는게 기사단.이야 우리말로. 이게 영어로는 밀리터리 오어더.야. Military order . 이걸 기사단 이리 번역한건데. 수도회.는 수도회인데 군바리 수도회 걸랑. 

military order (Latin: Militaris ordinis) is a chivalric order with militaryelements. Western military orders were originally established as Catholicreligious societies; the first orders originated during the medieval Crusadeswith the stated purpose of protecting Christians against violent persecution by Islamic conquests in the Holy Land, which later evolved into serving as a standing army that defended the Kingdom of Jerusalem.

 

저길 보믄. 일종의 쉬벌릭 수도회. 말탄 병사인 기사들의 수도회의 일종이다 하걸랑. 하기사 수도사인데 말이 없는 병력도 있을테니 통칭하는거겠지 밀리터리 군바리 수도회.로. 헌데 대게 이 군바리 수도회는 기사들의 수도회.에 인거지. 병기 들은 수도사인데 대게 말은 타걸랑.

 

chivalric order, order of chivalry, order of knighthood or equestrian order is an order, confraternity or society of knights[1] typically founded during or in inspiration of the original Catholic military orders of the Crusades (circa 1099-1291), paired with medieval concepts of ideals of chivalry.

 

저 기사들의 수도회.를 영어로는 쉬벌리. 나이트. 이퀘스트리언. 하는데. 하여튼 이런 기사들의 수도회.가 저 십자군 예루살렘 가는 때인 1099년 부터 2백년 동안 특히 생겼다 하는거걸랑.

 

chivalry

Middle English: from Old French chevalerie, from medieval Latin caballerius, for late Latin caballarius ‘horseman’ (see chevalier).

 

쉬벌리.라는 기사는 프랑스말에서 왔대. 말탄 사람. 이 어원.
knight.

Old English cniht ‘boy, youth, servant’, of West Germanic origin; related to Dutch knecht and German Knecht. knight (sense 2 of the noun) dates from the mid 16th century; the uses relating to Greek and Roman history derive from comparison with medieval knights.

 

나이트.라는 기사는 올드 영어야. 소년. 노예. 가 어원이고. 

 

해서 영어 계통은 나이트 하는거고. 프랑스어 스페인어 애들은 대게 쉬벌리.해 스페인의 엘 시드의 노래.나 돈키호테는 주로 쉬벌리. 해. 

 

저 에쿼스테리언. 하는 건 고대 로마땐 기사를 equites 에쿠이테스. 했걸랑. 안쓰는 말이고 잘.

 

고대 로마의 군단.도 주축은 저 기사들인 에쿠이테스.인거고. 이 기사에 딸리는 보병들이 있는거고. 딸리는 말꾼과 하인이 있걸랑. 전쟁할때 여분의 말도 끌고 가야하고 기사들의 짐도 싣고 가야하고. 즉 기사 하나에 딸린 병사와 하인들이 열명 내외인거지.
해서 기사 십명 이다 하면 병력을 대게 백명 보믄 돼. 대충.
해서 기사.가 저들을 또한 먹여야 하걸랑. 말 밥도 줘야 하고. 
저따위 기사가 일본들 사무라이랑 아주 똑같어. 일본 사무라이가 11세기에 본격등장하걸랑. 그때 고려는 무인시대 무신시대 하민서리 그야말로 선비 사. 인 무사.란 말은 유자들한테 뺏기면서 동시에 머저리들이 고려 권력 처먹고부터 이땅은 죽어나간건데. 넘어가고.

해서 막부 말에. 일본애들 사무라이.를 보고. 서양애들이 이해하기  쉬운겨. 
사무라이? 어 나이트네 우리네? 어 쉬벌리네? 일본의 여러 현들? 머여 이거 신성로마제국의 영지들이랑 아주 똑같네? 천황은 교황. 쇼군은 황제네? 오잉 싕기한데?
.십자군 전쟁은 또한 저 밀리터리 오어더.라는 기사단들의 이야기야. 
얘들은 일단 laity 레이티. 평신도야. 사제가 아냐. 헌데 다들 그리스도야. 성지 수복하러 온겨. 우리도 수도사. 하겄슈. friar 프라이어 하겄슈. 몽크 는 아니유. 몽크 처럼 면벽수도는 아닝께롱. 탁발 비슷 움직이면서리 신이랑 만나겄슈.
즉 저들은 똑같이 청빈 순결 복종 을 맹세를 하는겨.
저 기사단들. 특히 템플기사단. 성요한기사단 이야기는 눈물나는거지 저거. 
아 생각만 해도 눈물나.
더이상 몬쓰겄어 오늘은. 

 

 

 

Knights Templar or simply as Templar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