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林芙美子] ナポリの日曜日

 

하야시 후미코.의 기행문 중에 나폴리의 일요일. 이란 글이 있어.

 

저 글이 1936년인가 나왔나 아사무사 한데. 3년전에 나폴리 간 걸 쓴걸로 짐이 기억이 나는데.

 

나폴리.가 이태리 남부에 윗쪽 해안가걸랑. 서부. 위로 더 쭉 가면 로마고.

 

 

 

저기서 하야시 후미코.가 나폴리 해안 언덕에서 차를 마시는겨. 그런데 저 아래 항구에서 음악소리가 들려오기 시작하는거지.

 

젊은 애들 몇몇이. 바이올린에 비올라에 스네어드럼을 켜고 울리면서리 걸어 올라오는겨.

 

화창한 일요일이야. 1930년대 초야.

 

 

거리 양옆으로 건물들이 쭉 있잖아? 사람들이 다 나오는겨. 빨래하는 아줌마 너는 아줌마 터는 아줌마 아이들. 

 

창문 앞으로 고개 내밀면서 박수치고 음식 던지고 꽃을 던져.

 

 

 

하야시 후미코.가 그러는거지.

 

아 우리네 일본사람들도 저 정도는 아니어도, 전쟁전에는 샤미센 키는 소리 비와 소리. 들리면서 웃고 떠들던 사람들이었는데 거리가 이리 살벌 스산하냐 이거.

 

 

헌데 저 하야시 후미코 가 본 나폴리.는 저 이탈리아 에서  후진 곳이야 

 

나폴리는 킹덤이었걸랑 오랫동안. 공화국도 아니었어. 이태리 북부의 코무네의 자치경험도 없어. 깝깝한 나라였어. 에스파냐 핏줄이 프랑스 핏줄 쫓아내고 자리잡았걸랑 또한.

 

프랑스가 깝깝한 곳이라 했잖냐. 에스파냐는 더 깝깝한 곳이었걸랑.

 

그래도 나폴리의 1930년이 저런 모습이었던거야 어느 일요일에

.

 

 

헌데 저게 저당시 이태리 사람들의 사는 모습이었걸랑.

 

 

이태리 중세 르네상스 절정 시대가 레오10세 교황이걸랑. 이 교황이 축제를  좋아해. 사육제니 바쿠스제니 하면 직접 나가. 

 

사람들이 말야. 교황 옷을 입고 추기경 옷을 입어. 그리스도의 나라에서 모든 그리스 신들의 분장을 하면서 놀아. 그걸 교황이 웃으면서 즐겨. 저때가 1520년 전후야.

 

.

 

예전에 저 글을 보면서도 들던 생각이지만

 

대체 조선의 밤거리나 조선의 낮거리는 어땠을까 하는거지.

 

 

 

로마의 저따위 축제가 있었나. 아 이건 너무 높은 잣대지만.

 

 

 

조선에 음악이 어딨니 음악이. 나중 후기에 판소리 해 댄다. 

 

조선에 문학이 어딨니 문학이. 걍 종로 거리 몰래 모여서리 숙향전따위 말글 주워듣는게 다지 노인네 앞에서.

 

 

 

아  슬픈겨. 저따위 조선을 지폐와 동전으로 여전히 모시는 이땅바닥.

.

 

저 해적 이야기나 일단 짚어야 해.

 

 

가급적 총론만 정리하려 하걸랑. 아 한단어 나오면 자꾸 파들어가서 문젠데 이거. 

 

우리네는 전체이야기.를 전혀 몰라. 다들 파편적으로만 주워들어서리 결국 나중엔 아무것도 얻는게 없게되는데.  주워듣는것도 제대로 주워듣게끔 썰해주면 또 몰라. 

 

다 사기니 이땅바닥 모든 말글은.

 

위키 영어.를 자주 보도록 해. 짐의 대부분 쏘스는 위키 영어야.

 

 

The traditional "Jolly Roger" of piracy

 

Piracy is an act of robbery or criminal violence by ship or boat-borne attackers upon another ship or a coastal area, typically with the goal of stealing cargo and other valuable items or properties. Those who engage in acts of piracy are called pirates. The earliest documented instances of piracy were in the 14th century BC, when the Sea Peoples, a group of ocean raiders, attacked the ships of the Aegean and Mediterranean civilizations. 

 

 

The practice of attacking and robbing ships at sea.

 

piracy. 파이러시. 는 바다에서 배들을 공격하고 약탈하는 행위. 해적질. 바다해.
저따위 짓들을 하는 애들을 해적. 파이레이트스.

pirates 라 한다. 

 

Middle English: from Latin pirata, from Greek peiratēs, from peirein ‘to attempt, attack’ (from peira ‘an attempt’).

 

그리스말 페이라테스.가 처음 나오고 다음 라틴어 피라타.가 나왔다. 페이라. 먼가를 얻기위해서 하는 짓. 어택. 공격.에서 나온 말이다.

 

고대 그리스 에게해애서 전1400년에 나온말이면 저때도 해적이 있었다는거 걸랑.

고대 로마때도 이 해적 이야기가 나와. 특히 남단. 저 북아프리카에서 올라오은 애들이걸랑. 저 땅도 고대로마 땅이걸랑. 페니키아를 먹었잖니. 포에니전쟁. 카르타고가 튀니지 부근이걸랑. 

 

솔루션을 내. 저 카르타고를 중심으로 한 북부를 농경지대로 맹글어. 거기 원주민들에게 농업을 가르쳐. 아 니네 약탈 그만하고 우리가 갈키는 농업 배워서리 이걸로 먹고살어 앞으로 좀.

 

The term Saraceni may be derived from the Semitic triliteral root srq "to steal, rob, plunder", and perhaps more specifically from the noun sāriq(Arabicسارق‎), pl. sariqīn (سارقين), which means "thief, marauder, plunderer".[7] Other possible Semitic roots are šrq "east" and šrkt "tribe, confederation"

 

사라센. 이란 말이 중세에 본격적으로 티나와. 원래 이말이 없어졌걸랑. 중세에 유럽사람들은 저 무슬림이니 무어니 베두인이니 아랍인이니 걍 다 사라센 이라 통상 했어. 
저 사라센. 이란 말은. 훔치다. 강탈하다. 약탈하다. 도둑. 약탈자. 습격자. 란 뜻이 원어걸랑. 
아주  안좋은 말이야 저게. 

 The Saracens were named in the Roman administrative document Notitia Dignitatum—dating from the time of Theodosius I in the 4th century—as comprising distinctive units in the Roman army. They were distinguished in the document from Arabs.[10]

 

저 말이 4세기 공식 문서에도 있지만. 2세기 글에도 보이고 하지만. 그리고 잊혀진 말이야. 사백년을.

 

 

저 사라센. 이 본격적으로 티나오는겨. 샤를마뉴.가 죽고 8백년 초반부터.

 

  Muhammad, 622–632

  Rashidun Caliphate, 632–661
  Umayyad Caliphate, 661–750

 

무함마드(아랍어 마호메트.영어 무함마드) 가 나이 40인 610년에 메카 근처 히라동굴에서 천사 가브리엘 보고. 아라비아 반도를 다 돌면서 이슬람으로 만들고. 이스라 미라지.라는 하늘여행을 하는게 620년이야. 여기서 10년 만에 천사 가브리엘을 다시보고. 여서 아브라함 모세 예수님이랑 얘기도 하셨어. 믿어 믿어 쫌. 천국이랑 지옥도 보셔. 그리고 2년후 622년에 메디나.로 수도를 정하고 12년 후에 가셔.

 

그리고 음청난 사람 대상 카라반의 아들 아부 바쿠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네 칼리프가 30년동안 라시둔 칼리프체제. 정통 칼리프체제를 하고. 바누 우마이야 들이 우마이야 칼리프체제를 90년 이어서 해.

 

무함마드의 히라동굴 610년 부터 우마이야 750년 까지 140년을 저리 이슬람화 하는겨. 위의 비잔틴제국은 시리아땅 다 뺏기고 아나톨리아 왼쪽으로 몰려. 점점. 그리고 우마이야 때는 저 마그레브.라는 아프리카 서북부를 먹고 지브롤터 건너서리 이베리아반도를 먹어. 

 

얘들은 저 피레네 넘어서리 프랑스 땅까지 진출을 해 저때. 저때 프랑크 족들이 한창 통일하는 중이었을때 얘들 우마이야 애들이 넘어가서 덮치는겨. 대표적 전쟁이 피레네 바로 넘어서의 툴루즈. 그리고 올라가서 프랑스 서북부 투르. 이때 얘들을 몰아내는게 카를 마르텔. 샤를마뉴(카를대제)의 할아버지야.

 

그리고 샤를 마뉴가 통일을 하고 황제가 돼. 우마이야 무슬림들은 빠꾸해서 에스파냐 땅까지만 관리해. 

 

아  샤를 마뉴 땜에. 샤를 마뉴의 할배 카를 마르텔 땜에 저 유럽땅을 이슬람 못한겨. 글고 샤를 마뉴  무셔. 저기서 막힌겨 무슬림이. 왼쪽은 프랑스 접하는 피레네산맥에서. 오른쪽은 비잔틴의 콘스탄티노플에 막혔어. 

 

아 헌데. 샤를 마뉴가 죽었네. 814년.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는게 지중해의 해적이야. 

 

아 저  잊혀진 저 중동 애들 저거. 막막 할거 아녀? 무슬림인지 이슬람인지 그따위 슬람은 몰라 아직 일반적으론. 걍 무어인 베르베르인이야 깜댕이들이야 걍. 아 이거 어째 옛날 생각나네

 

아 사라센. 저  약탈자들. 사라센. 사백년전의 그애들.

 

 

저 아프리카 북부. 특히 가운데 중심으로 저 툭티나온 튀니지 카르타고 중심으로 서쪽 저기서 심심하믄 올라오는겨 이들이. 이들이 이때부터 천년을 저짓을 해.

 

.

이베리아반도는 저때 750년 전부터 알 안달라스. Al-Andalus (Arabicالأنْدَلُس‎, trans. al-ʼAndalusSpanishal-ÁndalusPortugueseal-ÂndalusCatalanal-ÀndalusBerberAndalus), also known as Muslim SpainMuslim Iberia, or Islamic Iberia

 

무슬림 스페인. 무슬림 이베리아. 이슬람 이베리아. 시대 해. 쫓겨나는 1492년까지 8백년가까이를. 저기 넘어가기 시작한건 서기 7백년 직후니까. 

 

쟤들은 저기서. 우마이야 왕조의 바누 우마이야 들은 거의 다 죽이걸랑 압바스 애들이. 살아남은 이들이 북아프리가 해변건너서리 원래있던 에미르. 수장 쫓아내고 자기가 직접 하는거지. 

 

저기서 우마이야 핏줄이 서기 천년 막 지나기까지 250년을 하고. 나머지 300백년은 주로 아래 베르베르족 이슬람이 지배를 해. 레콩퀴스타로 카톨릭들이 점점 내려오면서 이베리아 반도 아래 그라나다.의 무슬림들이 주로 2백년을 버티는겨. 즉 1200년 대는 이베리아의 주도권은 에스파냐의 카톨릭들에게 넘어왔어. 이들이 남은 삼백년동안 서서히 그라나다의 무슬림들을 쫓아내면서 동시에 유럽에 눈을 돌리는거야. 

 

유럽에 눈을 돌릴때 가장 욕심 부리는 곳이 이탈리아야 교황이 있는. 교황의 세를 엎는 자가 유리하걸랑.

 

저때 압바스.왕조.의 무슬림들은 바그다드로 옮기고 거기서 이슬람 황금시대 를 열고

 

또한 우마위야 왕조의 쫓겨난 무슬림들은 저기 이베리아반도에서 역시 이슬람 황금시대 를 열어. 

 

여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그리스도인 유대인 들이 같이 살았걸랑. 지즈야.라는 인두세 만 따로 좀 더 내고 했지만. 해서 우마이야 때의 알 안달루스를 모범사례로 보기도 해.

 

얘들 다음의 오백년은. 주로 아래 모로코.에서 나온 베르베르 무슬림왕조들이 세력을 잡는거지


압바스가 오른쪽 바그다드로 갔어. 상대적으로 북아프리카에 압바스의 영향력이 줄어들어. 그래서 여 북아프리카에서 또다른 무슬림왕조들이 독립해서 생기는겨. 이때 알리 따르는 시아파가 서기도 하고. 또다른 수니 왕조가 서기도 하고. 여기는 원조 아랍사람들이 아니걸랑. 베르베르족 예전 그 원시인이란 이름 유래 나온. 아프로아시아족이야. 셈족의 아랍과 유대인은 아니지만.
.
무슬림의 원조는 아랍족이야 아랍인들. 
아랍인이 아닌 부족들. 특히 저 베르베르족들.이 주류가 아니걸랑. 나름 차별좀 받을라나. 주로 이 마그레브 쪽들의 무슬림들이 본격적으로 바다를 건너서리 지중해 북쪽을 약탈을 해. 천년을.

특히 어디겠어. 이탈리아야. 에스파냐.는 같은 무슬림 알안달루스 걸랑. 이탈리아로 가는겨. 가끔 북부로 가고. 가끔 프랑스 남부쪽 마르세유 니 니스.니 또 가고.


이 약탈의 역사가 음청난겨 이게.




쉼.

 

저 해적의 해럴드리. 문장.은 지중해의 무슬림 해적과 전혀 상관이 없어. 

 

Jolly Roger is the traditional English name for the flags flown to identify a pirate ship about to attack, during the early 18th century (the later part of the Golden Age of Piracy).

 

졸리 로저. 라는 해적깃발. 인데. 이건 로드아일랜드 가다가 잡힌 영국사람의 이야기.로 해서 나온 그림이걸랑. 즉 저때의 해적은 유럽애들이야. 한자동맹 맺을때 그 북유럽의 해적과 왼쪽 프랑스 해변의 해적들. 이 또한 윗쪽에서 해적질 한거고. 무슬림 해적은 지중해에서 논거고.

 

저 해골과 십자뼈 상징은 오히려 지중해에서 몰타기사단 배에 꽂은겨 ㅋㅋㅋ. 

 

해적질하는데  무슨 깃발을 올려. 몰래 몰래 가는건데. 오히려 이태리니 유럽애들 깃발 그려서 가지 같은편인척 접근해서리 배나 항구 접근해서 약탈을 해야 하는데.

 

해서 저따위 상징의 이야기는 걍 소설이야 소설.

 

 

 

 

In 937, Irish pirates sided with the Scots, Vikings, Picts, and Welsh in their invasion of England. Athelstan drove them back.

 

유럽은 저당시 아일랜드 스콧랜드 해적들. 바이킹들. 브리튼의 픽트족들. 웰시족들.이 주로 잉글랜드 땅에 해적질 하고. 즉 잉글랜드 외엔 원시인들땅인겨 상대적으로. 먹고살게 없는겨. 해서 해적질을 하는겨.

 

The Slavic piracy in the Baltic Sea ended with the Danish conquest of the Rani stronghold of Arkona in 1168. In the 12th century the coasts of western Scandinavia were plundered by Curonians and Oeselians from the eastern coast of the Baltic Sea. In the 13th and 14th century, pirates threatened the Hanseatic routes and nearly brought sea trade to the brink of extinction. 

 

북해지역은. 슬라브족 해적들. 얘들은 동유럽이잖오. 얘들은 5세기에 저 엘베강 동쪽 저쪽 에 폴란드 동남부였걸랑 엘베강 서쪽은 게르만이고. 여기서 전후좌우로 퍼진겨 10세기까지. 얘들이 동유럽이랑 그리스 북부를 점령질하는거고. 

 

이 슬라브가 또한 먹고살게 없으니. 해적질을 주로 북해에서 하는겨. 얘들 때메 생긴게 한자동맹이고 또한. 바이킹은 저짓하다가 정신차리고 북유럽 문명 흡수하기 시작한거고.

 

 

 

쟤들을 킹덤이나 공후백자남 작령들이 해군을 유지 하기 벅차니까. 배가진 사람들에게 특허장을 줘. 니들은 배를 약탈을 해도 된다. 공인된 해적이야. 해적을 막아라 니덜이.

 

privateer is a private person or ship that engages in maritime warfare under a commission of war.[1] The commission, also known as a letter of marque, empowers the person to carry on all forms of hostility permissible at sea by the usages of war, including attacking foreign vessels during wartime and taking them as prizes. 

 

얘들이 바다의 용병인겨. 유럽은 또한 용병시대걸랑. 육군의 용병 하면 스위스용병이야. 그 산악지대 먹고살게 없걸랑. 용병으로 먹고사는겨. 

 

이들 바다의 용병 해적을 프라이빗티어. 하는겨. 이걸 한문으로 사략. 사적 노략질. 로 번역했는데  의미없는 번역이고. 중국들이 한거같은데.

 

이 중 대표적인 인간이 바로 프란시스 드레이크.야 스페인 무적함대니 하미 부슨 인간. 

 

 
저 네덜란드에서도. 스페인에서도 저런 공인된 해적을 썼어. 오스만 제국도 지들은 해적이 아니란 거지. 제국에서 공인했다 하이레딘 바바로싸. 바바로싸 하면 붉은 수염이야.
 
 
헌데 결국 저 공인된 해적이나 일반 해적이나 다를게 없다는거지 나중엔.
 
특히 저 지중해의 저 무슬림 해적들은 걍  해적 그 자체야. 저 바바로싸만 프라이비터.가 아니라 천년의 세월동안 지들은 저들이 프라이비터.라는 공인용병이라 하겠지만. 걍  산적이고 해적이야 저건.
 
 
저 해적애들이 나중 메메드2세나 바예지드.나 해군사령관으로 임명하걸랑. 무슬림 애들이 더 열심히 죽이고 노략질 하는겨 바다에서. 아  해적 열심히 하믄 사령관 시켜주는구나.
 
 
저 수백년 동안 노략질과 납치질을 해. 납치를 해서 노꾼으로 노예로 써 유럽인들을.
 
또한 돈이야. 돈을 주면 풀어줘. 즉 납치질이 돈이야. 많이 납치할 수록 돈이 돼.
 
돈벌이는 노략질 납치질 외엔 없어. 노략과 납치와 사람팔이로 먹고사는겨 북아프리카 사라센들이.
 
 
저들 대부분은 민들이야. 귀족들은 거의 없어. 다 힘없는 도망갈 곳 없었던 민들이야.
 
 
이때 저사람들을 구출하는 사람들이 나타나. 돈거래로. 

 

The Royal, Celestial and Military Order of Our Lady of Mercy and the Redemption of the Captives (Latin: Ordo Beatae Mariae de Mercede Redemptionis Captivorum, abbreviated O. de M.), also known as the Mercedarians, is a Catholic mendicant orderestablished in 1218 by St. Peter Nolasco in the city of Barcelona, at that time in the Principality of Catalonia (Crown of Aragon), for the redemption of Christian captives

 

일명 구출기사단. 말이 기사단이지. 헌금 모아서 바다건너서 돈 주고 델꼬오는겨.

 

이사람들의 이야기도 백부작 대하드라마야.

 

 

기사단 말고 수도회의 이름으로도 한 조직이 나와

 

The Order of the Most Holy Trinity and of the Captives (Latin: Ordo Sanctissimae Trinitatis et captivorum), often shortened to The Order of the Most Holy Trinity (Latin: Ordo Sanctissimae Trinitatis), or Trinitarians, is a Catholic religious order that was founded in the area of Cerfroid, some 80 km northeast of Paris, at the end of the twelfth century. From the very outset, a special dedication to the mystery of the Holy Trinity has been a constitutive element of the Order's life.

 

일명 구출 수도회. 삼위일체 수도회로 알려졌어.

 

크리스천이던 안크리스천이든 델꼬 오는겨 돈 모아서.

 

저 헌금내역 구출한 사람들 기록이 다 있는겨 저게. 수천명인지 수만명인지. 

 

 

저기서 구출된 사람이 그 유메이나한 돈키호테.의 세르반테스야. 

 

Miguel de Cervantes Saavedra[b] (/sərˈvæntz/;[3] 

Spanish: 

[miˈɣel de θerˈβantes saaˈβeðɾa]; 29 September 1547 (assumed) – 23 April 1616 N.S.)[4] was a Spanish writer who is widely regarded as the greatest writer in the Spanish language and one of the world's pre-eminent novelists. His masterpiece Don Quixote has been translated into more languages than any other book except the Bible.

 

 

이 사람이 참여한 전투가 레판토 전투.야 그리스의 그 코린토스. 코린쓰 들어가는 숙 들어간 만 입구. 이 레판토 전투에서 베네치아을 중심으로 한 유럽애들이 오스만 해군을 이기는겨. 스페인 연합이지만 저기서 중심은 베네치아야. 베니치야들도 이겼지만 전력손실 음청났고. 허나 이때부터 또 잠시 사라센이 주춤하지만.

 

The Battle of Lepanto was a naval engagement that took place on 7 October 1571 

 

24살에 참전해. 저 해전에서 왼팔을 다쳐서 못쓰게 돼. 세르반테스는 신에게 감사해. 오른손이라도 쓸수 있어서 나중에 돈키호테를 쓸 수 있었걸랑. 

 

저때 다쳐서 이태리의 병원에서 치료를 하고. 다시 군인 생활을 해. 

 

저때 포로로 잡혀간 사람이 저 세르반테스.야. 돈키호테의 작가. 

 

After the Battle of Lepanto, Cervantes remained in hospital in Messina, Italy, for about six months, before his wounds healed enough to allow his joining the colours again.[22] From 1572 to 1575, based mainly in Naples, he continued his soldier's life: he participated in expeditions to Corfu and Navarino, and saw the fall of Tunis and La Goulette to the Turks in 1574

 

그리고나서리 군인 생활을 계속해. 그러다 에스파냐 해변에서 운항중에 무슬림 해적애들 습격으로 포로가 돼. 

 

 he was taken to Algiers, which had become one of the main and most cosmopolitan cities of the Ottoman Empire, and was kept there in captivity between the years of 1575 and 1580.[25] After five years as a slave in Algiers, and four unsuccessful escape attempts, he was ransomed by his parents and the Trinitarians and returned to his family in Madrid

 

저때부터 5년을 알제리에서 노예생활을 한겨. 구출해준 이들이 구출 수도회.야. 그리고 25년 후에 나오는게 돈키호테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