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세식 변기 의 네가지 흔한 타입 인데. 저기서 중요한건 말야, 변을 내보내고 나서, 그릇안에 물을 다시 채워넣는거야. 왜? 냄새 를 물로 막는겨 빠져나간 배출구 에서 나오는 냄새 를. 이게 가장 중요한겨. 안에 파이프를 저리 휘게 만든 이유는, 휘어진 부분까지만 물이 차도록 함이야. 3번 그림은 두번을 막는겨 그래서. 이중 냄새막 이야.
A siphon (from Ancient Greek: σίφων, "pipe, tube", also spelled nonetymologically syphon) is any of a wide variety of devices that involve the flow of liquids through tubes. In a narrower sense, the word refers particularly to a tube in an inverted "U" shape, which causes a liquid to flow upward, above the surface of a reservoir, with no pump, but powered by the fall of the liquid as it flows down the tube under the pull of gravity, then discharging at a level lower than the surface of the reservoir from which it came.
사이폰. 이라고 해. 사이폰의 원리. 그리스말 파이프 튜브 이고. 높은 위치의 물탱크 의 물을 낮은 물탱크로 옮길때 유 자형 파이프 로 연결하면 물이 파이프 를 따라 위로 갖다 아래로 흘러. 중력의 법칙으로. 어릴 때 장난 많이 치는건데. 반대로 물이 위치 가 같아지면 더이상 안흐르고 멈추는겨. 저게 휘어지는 지점 부터 위치가 같아지면서 더이상 물이 안 흐르는겨. 이걸로 냄새를 막는겨 물이 장벽 역할 을 해서. 저 물을 그래서 채우는겨. 니덜이야 아 걍 물이 채워지는가부다~~ 하겄지.
Sir John Harington (also spelled Harrington, baptised 4 August 1560 – 20 November 1612), of Kelston, but baptised in London, was an English courtier, author and translator, popularly known as the inventor of the flush toilet.[1] He became prominent at Queen Elizabeth I's court, and was known as her "saucy Godson", but his poetry and other writings caused him to fall in and out of favour with the Queen. His best-known work today, A New Discourse of a Stale Subject, called the Metamorphosis of Ajax (1596) is a political allegory and a coded attack on the monarchy. His New Discourse described a forerunner to the modern flush toilet that was installed at his house at Kelston.
수세식 변기 를 처음 만든 사람은, 존 해링튼. 프랜시스 드레이크 아들뻘이고 당대여. 엘리자벳 1세 코트 시인이고 발명가. 엘리자벳이 갓 이 갓머더 여. 엘리자벳 이 자식이 없고 막막 대모 역할 한거고. 쏘시 갓선. 버르장머리없는 갓썬. 이란거고. 시와 글로 퀸 눈에 들다가도 밉보이다. 그의 뉴 디스코스 에서 서술한 변기 가 근대 수세식 변기 의 창시자 로 보인다. 이걸 그는 소머셋 켈스톤 에 설치 했다.
Harington was born in Kelston, Somerset, England, the son of John Harington of Kelston, the poet, and his second wife Isabella Markham, a gentlewoman of Queen Elizabeth I's privy chamber. He had the honour of being accepted as a godson of the childless Elizabeth, one of 102
이사람은, 엄마 가 엘리자벳 의 베드체임버 여. 침실이불자리 챙겨주는. 이걸 젠틀우먼 이라고해. 엘리자벳 의 갓썬 이 102명 이래.
존 해링튼 은 변을 물의 압력으로 씻겨 내리는 변기 를 만든겨. 그런데 물을 채운다는 건 생각을 못한겨. 냄새 무지 나.
수세식 변기를
A flush toilet (also known as a flushing toilet, water closet (WC)
플러쉬 토일렛. 이라고 해. WC 는 워터 클로짓. 의 약자 라지만, 원래는 와쉬 다운 클로짓. 씻어내리는겨. 19세기 말에 등장한 단어고. 플러쉬 라는게 flow gush 플로우 거쉬 의 blend 블렌드 합성어여. 거쉬 가 쏟아붓고 쏟아내는 게르만 말이야. 흘러서 쏟아 내버리는거야.
From Middle French toilette (“small cloth”), diminutive of toile (“cloth”), from their use to protect clothing while shaving or arranging hair. From its use as a private room, toilet came to refer euphemistically to lavatories and then to its fixtures, beginning in the United States in the late 19th century
토일렛 이란건 원래 고급진 말이야. 16세기 프랑스에서 나온거고. 작은 옷. 작은 헝겊 이야. 드레스 옷 이 아니라 얼굴 에 옷 입히는겨 화장 하면서. 불어에 엣테 ette 붙으면 작고 귀여운겨. 이 의미가, 레버러토리, 이건 라틴어여 씻는다 wash 의. 이걸로 가서리 19세기 말 부터 변기 화장실로 된거야 단어가. 예전 고급짐 은 지워지고. Latrine 래트린. 레버러토리. 다 씻는다는 말이고, 워내 저런 말이 변소 란 단어여.
A toilet service is a set of objects for use at the dressing table. The term is usually reserved for large luxury sets from the 17th to 19th centuries, with "toilet set" used for later or simpler sets.
토일렛 서비스. 이게 17세기-19세기 까지의 럭셔리 한 화장품 도구 셋트 야. 여자들의. 거울부터 있는 화장 도구 야. 토일, 토일렛 이란게 불어 이고, 17세기 의 화려함 은 프랑스 여 파리 이고. 찰스1세 와 제임스2세 가 파리 있을때 여자들이 여기서 토일렛 서비스 를 들고 런던 가는겨.
토일렛을 일본애들이 그래서 화장실 로 번역을 번역을 했던겨. 이게 죽은 의미의 토일렛을 지금 쓰는겨 조선은. 일본은 걍 변소야
昭和になると「ご不浄」から「お手洗い」「化粧室」と次第に表現がより穏やかなものが使われるようになった。戦後は「トイレ」や「W.C.(water closet の頭文字)」など外国語に由来する表現や男女を示すピクトグラムでその場所を表したりすることも増えた。
메이지 다음 타이쇼 에 쇼와 때 늦게 화장실 했던거고
조선말은 일본말이고 그것도 죽은 일본말 ㅋㅋ.
참 불쌍한 나라야 이땅은
Alexander Cumming FRSE (sometimes referred to as Alexander Cummings; 1733 – 8 March 1814)[1] was a Scottish watchmaker and instrument inventor, who was the first to patent a design of the flush toilet in 1775, which had been pioneered by Sir John Harrington, but without solving the problem of foul smells. As well as improving the flush mechanism, Cummings included an S-trap (or bend) to retain water permanently within the waste pipe, thus preventing sewer gases from entering buildings.[2][3] Most modern flush toilets still include a similar trap.
존 해링튼. 의 수세식 변기, 플러싱 다음에 냄새 막는 에스자 트랩 의 파이프 로 사이펀 원리 비슷하게 이용해서 트랩. 물을 가두면서 냄새를 막는겨 파이프 안에서. 이걸로 최초 특허를 받아 1775년 에. 알렉산더 커밍. 스콧 시계제조업자.
During the Neolithic era, humans dug the first permanent water wells, from where vessels could be filled and carried by hand. Wells dug around 6500 BC have been found in the Jezreel Valley.[2] The size of human settlements was largely dependent on nearby available water.
A primitive indoor, tree bark lined, two-channel, stone, fresh and wastewater system appears to have featured in the houses of Skara Brae, and the Barnhouse Settlement, from around 3000 BCE, along with a cell-like enclave in a number of houses, of Skara Brae, that it has been suggested may have functioned as an early indoor Latrine
신석기 시대, 인간이 우물을 파서, 고정적인 변소를 만들어서 채워지면 손으로 버려. 기원전 6500년 유적이 재즈릴 계곡 마기도 라는 갈릴리 사마리아 사이 평원에 있고. 원초적인 집안 화장실.이 기원전 3천년.에 있어. 스카라 브레이, 반하우스 유적지. 이게 모두 스콧 오크니섬 의 유적지거든. 이 브리튼 에서 존 해링튼 에 알렉산더 커밍(스)의 수세식 변기 가 괜히 나온게 아녀 이게. 여기서 나온건 물로 씻어 내리는 변기야. 변을 수로에 보고 이 수로의 물이 씻어내는거고.
인더스문명이 하수도 설계를 한거로 봐. 이건 지워졌어. 인도는 똥천지가 된거고. 인도유럽피안의 동쪽애들이 오면서.
In Roman civilization, latrines using flowing water were sometimes part of public bath houses. Roman latrines, like the ones pictured here, are commonly thought to have been used in the sitting position. The Roman toilets were probably elevated to raise them above open sewers which were periodically "flushed" with flowing water, rather than elevated for sitting. Romans and Greeks also used chamber pots, which they brought to meals and drinking sessions.[34] Johan J. Mattelaer said, "Plinius has described how there were large receptacles in the streets of cities such as Rome and Pompeii into which chamber pots of urine were emptied. The urine was then collected by fullers." (Fulling was a vital step in textile manufacture.)
The Han dynasty in China two thousand years ago used pig toilets.
로마 에서도 일종의 수세식 이야. 저런 플러슁 에 에스트랩은 아니지만, 앉아서 변을 보면 이 변이 하수구 물로 그냥 쓸려 내려가는거고. 또한 체임버 팟. 요강 이여. 플리니우스 가 썼다, 로마와 폼페이 같은 도시들의 거리들에는 거대한 용기가 있었고 거기에 사람들이 요강을 비우다. 거리는 깨끗한겨. 조선 은 거리에 똥을 싸고 ㅋㅋㅋ. 이 조선 이란 곳은 그야말로 기괴한 곳인데. 위대한 조선 이라는. ㅋㅋㅋ. 오줌을 풀러들 이 수집해. 풀링 이 세탁 하는일이고 세탁업자가 오줌을 쓰는거고.
한 나라는 2천년 전에 돼지 화장실 을 사용했다. 변소간 의 똥이 돼지우리로 가는 설계도여. 이게 2천년 지나 청나라 거리 이고 웨스턴 애들이 보는. 길에 똥을 누면 돼지가 먹는다. 19세기 말에. 이게 조선 이고. 아 조선은 똥천지.
그럴리가유!! 우리 위대한 중국님과 우리 위대한 조선 이유!! 똥천지라뉴!! ㅋㅋㅋㅋ.
김홍도 의 그림들은, 사기다 사기.
조선 은 거짓 말 을 안하면 하루라도 살 수가 없는 종족이야
이게 지금 저 조선 애들이고 이땅의.
야 증말 드럽지 않냐. 저 조선 민족 애들이 요즘 하는 짓들 참 추 하지 않냐 추 하다 추 해. 우리가 조구기여 우리가 추미추미 . ㅋㅋㅋ.
똥이야 똥.
하루라도 거짓을 하지 않으면 똥 쌀때 피나는 애들이 이 조선 오백년 을 잇는 애들이지.
어떻게 저렇게 거짓 을 그냥 공개적으로 하까. 와 지나가다 또 테레비 보니, 쪼만한 사학팔이 가 먼 유럽 강의를 하대? 중세 유럽은 거지였슈! 신대륙 발견했슈! 공짜로 노다지를 얻었슈! 명나라 정화 보슈! 중국 삼대 발명품 보슈! ㅋㅋㅋ.
야 저런 걸 공개적으로 어떻게 저런 방송을 내보내는지.
저걸 이삼분 보는것도 고문인데
테레비가 볼 게없으니.
정말 얼마나 무식한 소리냐. 헌데 저런걸 자랑스레 강의를 하고, 듣는 애들은 감동을 하나봐 ㅋㅋㅋ.
쟤들은, 중국 이야긴 우리 중국 이고, 일본이 잘난 듯 한 이야긴 얼굴에 똥을 씹어.
중국이 대단한 듯 보이면 자랑스러운거봐. ㅋㅋㅋ 참 시안 한 조선 들에 사학팔이 들이야. 야 걍 중국사랑 합치고 자치구 로 들어가겠다고 해 ㅋㅋㅋ.
In ancient Rome, the Cloaca Maxima, considered a marvel of engineering,[citation needed] disgorged into the Tiber.
Public latrines were built over the Cloaca Maxima
The Roman Empire had indoor plumbing, meaning a system of aqueducts and pipes that terminated in homes and at public wells and fountains for people to use. Rome and other nations used lead pipes; while commonly thought to be the cause of lead poisoning in the Roman Empire, the combination of running water which did not stay in contact with the pipe for long and the deposition of precipitation scale actually mitigated the risk from lead pipes.[31][32]
Roman towns and garrisons in the United Kingdom between 46 BC and 400 AD had complex sewer networks sometimes constructed out of hollowed-out elm logs, which were shaped so that they butted together with the down-stream pipe providing a socket for the upstream pipe.
다른 곳 이야기 갖고 오면, 이놈의 로마 는 상수도 하수도 의 나라잖니. 이걸 에도 이전 전국시대 에 일본애들은 상수도를 써. 에도 는 상수도 의 나라야. 골때리는겨 일본애들이. 조선 을 일본이 처먹고 처음 으로 상수도를 만들어. 이런거 얘기하면 적폐가 돼.
로마 는 상수도 로 집마다 탕이 있고 공중목욕탕 이 또한 있어.
클로아카 막시마. 거대한 하수구 야. 로마 도시 바닥의 하수구 설계 가 티베르 강으로 빠져 나가는겨. 래트린즈 변소들은 이 하수구 체계 위에 세워진 것이다. 변을 보면 이 하수구를 통해서 물이 흐르고 빠져 나가서 바다로 가는겨. 이 파이프 가 모두 연결이 되서 한편으로는 이걸로 병이 크게 돌았을 수도.
영국 의 로마 마을들과 요새들도 복잡한 하수구 네트워크 를 갖았고.
With the fall of the Western Roman Empire, these communal toilet systems fell into disuse in Western Europe, though continued in the Eastern Byzantine Roman Empire, with records of toilet pipes being renewed, and sewers repaired
로마 가 망하고 저 하수구 시스템이 잊혀졌어. 비잔틴 에서는 사용을 계속 해.
Garderobes were toilets used in the Post-classical history, most commonly found in upper-class dwellings. Essentially, they were flat pieces of wood or stone spanning from one wall to the other, with one or more holes to sit on. These were above chutes or pipes that discharged outside the castle or Manor house.[35] Garderobes would be placed in areas away from bedrooms to shun the smell[36] and also near kitchens or fireplaces to keep the enclosure warm
가더로브. 로브 가 드레스 옷 이고, 가더 가 지킴이야. 구석 옷장 이 화장실이 된건데. 상류층 거주지에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화장실 형태여. 평평한 바닥 나무판 조각 이 있는겨. 벽 과 벽 을 잇는 돌판 이나. 이걸 드러내서 일을 보는건데. 이게 슈트 나 파이프 로 연결이 되어서 집 밖으로 타고 가서 버려지는 구조 의 설계여. 가더로브 는 침실 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냄새 때문에, 또는 부엌 이나 화로 근처에.
더하여 체임버 폿 이라는 요강. 을 쓰지만. 그리고 이것을 로마 처럼 거두는 시스템도 있지만
In medieval European cities, small natural waterways used for carrying off wastewater were eventually covered over and functioned as sewers. London's River Fleet is such a system. Open drains, or gutters, for waste water run-off ran along the center of some streets. These were known as "kennels" (i.e., canals, channels), and in Paris were sometimes known as “split streets,” as the waste water running along the middle physically split the streets into two halves. The first closed sewer constructed in Paris was designed by Hugues Aubird in 1370 on Rue Montmartre (Montmartre Street), and was 300 meters long. The original purpose of designing and constructing a closed sewer in Paris was less-so for waste management as much as it was to hold back the stench coming from the odorous waste water.
로마 가 다 지워진건 아녀. 자연적은 물들 천들을 하수구 시스템으로도 써. 런던의 리버 플릿 도 그런 시스템이다. 거리 따라서 하수구 가 있고 이걸 복개 공사 덮는겨 냄새나니까. 파리 도 그런 디자인 1370년.
저게 다 병행을 해. 그러다 엘리자벳1세 때 플러싱 수세식 변기 가 나오고. 이거 에스트랩 의 냄새막는 특허가 나와.
豬廁,古稱圂廁、圂、豕牢、溷軒,又稱帶廁豬圈、連茅圈、茅圈,是指在同一地同時作養豬和廁所之用,豬廁所養的豬往往以人的糞便為食糧,亞洲不少地區都有使用豬廁的傳統,至今仍可在朝鮮半島的一些農村及印度部分地區可見
조선애들의 로망. 중국몽의 저측. 돼지 측간. 혼측. 혼. 시뇌. 혼헌. 다 돼지 글자고. 조선반도 의 농촌에서 인도 부분 지구가견.
극동은 이게, 웨스턴 이야기 보다가 극동을 보면,
이건 머 짐승도 아니고 벌레사야 이게.
상수도 하수도 를 몰라. 19세기 말까지 도. 이전 썰. 중국사 수도 옮기는 이야기. 먹는 물이 없어. 옮기는겨 수도를 도성을. 똥냄새 오줌냄새. 고려 개성 에서 조선 한양 으로 옮긴 이유는 먹는 물이 없어서 개성을 버린겨 . 이런 이야기 꼬투리 하나 하는 애 있나 없나 모르고 관심도 없고. 먼놈의 주역 오행의 집터 놀이는 덤이고. 이들은 점치기 오컬트 없으면 하루라도 살수없는 애들이거든.
인간이니 저것들이.
그리곤 21세기 대낮에도. 위대한 조선 .
참 머들의 나라지 이게.
망해라 망해라 얼렁 얼렁 망해라. 인류 를 위해서 이런 애들은 정말 지워져 줘야해.
내셔널리즘 은 핵무기 보다도 독이야.
내셔널리즘 은 만악의 근본이다
내셔널리즘 은 열등함 애들의 프로젝션 이고
내셔널리즘 으로 거대한 전쟁을 일으킬테고
내셔널리즘 으로 열등한 애들은 지워질게다
웨스턴애들이 월드워 두번으로 내셔널리즘 애들에게 그냥 공짜로 줬거든. 다시 당할거거든. 두번째는, 지우기 하는겨. 교육이 안돼니. 지우는게 낫지.
내셔널리즘 은 니르바나 로 가는 길이다 ㅋㅋㅋ
국뽕. 먼놈의 케이 머시기 시리즈.
참 한심한 미개한 벌레들이지 저게.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8. 엘러리 퀸 ft.와이의 비극 (0) | 2020.09.15 |
---|---|
337. 불교 6. Avidyā 아비댜, 애브스트랙트 는 알수없다 인간의 안테나로는 (3) | 2020.09.14 |
335. 불교 5. 철학이 신앙으로 둔갑하다 (0) | 2020.09.06 |
334. 불교 4. 전혀 다른 스키즘 (2) | 2020.09.02 |
333. 불교 3. 타파스 와 서퍼링, 고통을 견디냐? (2) | 2020.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