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단장죽이기. 를 읽다. 마무리가 좀 걸리다.
하루키껀 옌날에 해변의 카프카,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르. 두개만 읽었었다. 두 책의 냄새가 비슷했다.
이인간껀 읽으면 뇌가 맑아지는 느낌. 뇌를 꺼내서리 빨래하는 기분이 든다.
팔이년생 김지영인가. 작가 약력에, 몇페이지를 보다가 덮어서리 던져버리다.
팔이년생 김지영만 삶이 고달프냐. 팔이년생 김지형군은 더 골치아픈게 인생살이다. 이땅의 페미 전세계 페미 중에 제일 후진 페미. 하기사 전세계 문명사 중에 제일 후진 땅에서, 모든 이야기들이 다 후질 뿐이고, 개중 하나일 뿐이고.
이땅바닥의 문제는, 리퍼블릭 오브 조선.
징돌이 징순이만 양산하다 조선시대 오백년이. 그 후예들의 나라 리퍼블릭 오브 조선. 조선애들 상징을 지폐로 모시는 애들. 자기의 추악한 이데아를 떠받들고 화풀이는 딴데 하는 후진 족속들
.
소설. novel. 소설이란 무엇인가.
Mid 16th century: from Italian novella (storia) ‘new (story)’, feminine of novello ‘new’, from Latin novellus, from novus ‘new’. The word is also found from late Middle English until the 18th century in the sense ‘a novelty, a piece of news’, from Old French novelle (see novel).
new story. 먼가 새로운 이야기다. 이전에 있지 않았던 최근의 또는 지금에 나온 이야기.
A novel is any relatively long, written work of narrative fiction, normally in prose, and typically published as a book.
prose. 산문
Written or spoken language in its ordinary form, without metrical structure.
위드아웃 metrical 구조. metrical은 머냐
metre. meter. 길이의 기본단위인 미터. 에서, 리듬의 기본단위란 개념을 만든다. 시의 리듬. 운율
The rhythm of a piece of poetry, determined by the number and length of feet in a line.
메트로놈. 박자 맞추는 그 기계. 그 미터. 먼가 일정해야 한다. 일관되어야 한다.
그따위것이 없는 without metrical structure . 그것이 prose 산문의 형식이다.
prose 의 어원
Middle English: via Old French from Latin prosa (oratio) ‘straightforward (discourse’), feminine of prosus, earlier prorsus ‘direct’.
직선으로, 직접적으로, 솔직하게 걍 쓰는거다. 그게 프로우즈. prose. 그게 소설이다 이야기다.
.
이야기가 힘이다. 개인인든 집단이든 국가단위이든.
그림, 소설, 시, 조각, 건물, 등등, 모두 이야기의 일부이다. 이야기를 그림이란 이미지로 표현한 것일 뿐이다.
하루키의 기사단장죽이기. 그 그림 하나의 이야기를 푼것이 하루키 소설이다.
언어라는 건 그림이다.
영어만 본 이는 영어가 그림언어란다.
.
영어만 그림언어겠니? 세상의 모든 언어는 그림언어다.
영어 어순이 svo 주어 서술어 목적어다. 영어는 말하는 자 주어가 중심이다. 말하는 입장에서 세상을 그린다. 해서 이 관점으로 서양애들 그림이 원근법이 발달했다 란 썰도 있다. 걍 하나의 썰일뿐.
저따위 관점에서 한글 뽕빨이 나온다. 한글이 과학적이다 한글은 위대하다. 아 짜증나는거다
이땅바닥엔 존문가만 널렸다. 전문가가 없다.
머금은 말이 그어지는 글이 되다. 세상에 글자들이 나타난다.
처음에 나오는 글자들은, 어떤 형식일까?
시. poem. 시다. 시 詩.
시란 무엇일까,
갑골의 시. 말하다 더하기 절 사 寺, 절이 지금 절이 아니다. 석가모니가 기원전 오백년사람. 그 이전에도 절이 있었다. 갑골은 기원전 천년 이전. 죽은 사람 묘. 그 죽은사람을 모시는 사당이 옛날 절이다. 그 절에서 말하다. 어떤 말을 했을까?
진언을 하는거다. 산왕대신 산왕대신 산왕대신, 이름을 부르는거다. 그러다가 산신님이 이러저러했었다 metrical 단위로 노래를 하는거지.
죽은 사람이나 귀신에 대한 말이 시 poem. 이다
서양의 포임 poem
Late 15th century: from French poème or Latin poema, from Greek poēma, early variant of poiēma ‘fiction, poem’, from poiein ‘create’.
create. 먼가를 맹글다 새롭게. 그 감정의 표현으로 써서.
헤시오도스의 신통기니, 일리아스니 다 시다 시. 소설이 아니다 prose 산문이 아니다.
이야기가 글로 써진 형식의 시작은 시.
그러다 로마에, 소설의 형식을 띈 이야기가 나온다.
페트로니우스.의 사티리콘, 아풀레이우스.의 황금당나귀. 등등
로마가 유럽을 처먹고, 프랑크왕국이 오세기에 서면서 로마를 흡수하고 내쫓다.
로마 이전을 고대. 그 이후를 근대라 한다면. 근대 이야기의 형식은 시일까 소설일까.
이것도 시. poem.이다
고대영어 old english 텍스트 중 긴 이야기로 알려진 베오울프. Beowulf, c. 700–1000 AD (date of poem), c. 975–1010 AD (date of manuscript). 이것도 시. epic poem 서사시.
샤를마뉴가 프랑스 독일땅을 통합하다. 그때 나오는 이야기. 롤랑의 노래. 이것도 시.
스페인이 국토수복전쟁하며 무슬림 몰아낼때 나오는 이야기. 엘시드의 노래. 이것도 시.
유럽 최초의 소설. 1605년 1615년 1,2로 나온 세르반테스 돈키호테로 보다.
최초의 소설은 그럼 무엇?
인도 딘딘.의 다샤쿠마라차리타. 인도 바나바따.의 까담바리. 칠세기.에 나온 범어로 된. 것도 보지만.
일본. 겐지모노카타리. 겐지이야기. 무라사키.가 1021년 이전에 쓴 이 장편소설을 최초의 소설로 본다.
이런 일본에게 노벨 문학상이 두 개 뿐이믄, 저들이 열받겄니 안받겄니
문장의 구조. 주어동사목적어. svo. 주어목적어동사 sov 의 차이 나는 언어들.
A paper by Murray Gell-Mann and Merritt Ruhlen, building on work in comparative linguistics, asserts that the distribution[clarification needed] of word order types in the world's languages was originally SOV. The paper compares a survey of 2135 languages with a "presumed phylogenetic tree" of languages, concluding that changes in word order tend to follow particular pathways, and the transmission of word order is to a great extent vertical (i.e. following the phylogenetic tree of ancestry) as opposed to horizontal (areal, i.e. by diffusion).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e most recent ancestor of[all?] currently known languages was spoken recently enough to trace the whole evolutionary path of word order in most cases.[8]
A strong similarity exists between the linguistic tree and the genetic tree.[9] It is not always easy to find the basic word order of S, O and V. First, not all languages make use of the categories of subject and object. In others, the subject and object may not form a clause with the verb. If subject and object can be identified within a clause, the problem can arise that different orders prevail in different contexts. For instance, French has SVO when the object is a noun, but SOV when the object is a pronoun and VSO for questions; German has verb-medial order in main clauses, but verb-final order in subordinate clauses. In other languages the word order of transitive and intransitiveclauses may not correspond. In still others, the rules for ordering S, O, and V may exist, but be secondary to (and often overruled by) more fundamental ordering rules – e.g. for considerations such as topic–comment. To have a valid base for comparison, the basic word order is defined[by whom?] as:
- syntax
- clause
- S and O must both be nominal arguments
- pragmatically neutral, i.e. no element has special emphasis
While the first two of these requirements are relatively easy to respect, the latter two are more difficult. In spoken language, there are hardly ever two full nouns[clarification needed] in a clause; the norm is for the clause to have at most one noun, the other arguments being pronouns.[citation needed] In written language, this is somewhat different, but that is of no help when investigating oral languages. Finally, the notion of "pragmatically neutral" is difficult to test. While the English sentence "The king, they killed." has a heavy emphasis on king, in other languages, that order (OSV) might not carry a significantly higher emphasis than another order.
If all the requirements above are met, it still sometimes turns out that languages do not seem to prefer any particular word order. The last resort is text counts, but even then, some languages must be analyzed as having two (or even more) word orders.
.
잠시만 쉬자.
.
하루키.가 하늘에서 떨어진 존재가 아니란다
.
Constituent word orders[edit]
Word order |
English equivalent |
Proportion of languages |
Example languages |
|
---|---|---|---|---|
SOV | "She him loves." | 45% | Proto-Indo-European, Sanskrit, Hindi, Ancient Greek, Latin, Japanese | |
SVO | "She loves him." | 42% | English, French, Hausa, Indonesian, Malay, Mandarin, Russian | |
VSO | "Loves she him." | 9% | Biblical Hebrew, Arabic, Irish, Filipino, Tuareg-Berber, Welsh | |
VOS | "Loves him she." | 3% | Malagasy, Baure, Proto-Austronesian | |
OVS | "Him loves she." | 1% | Apalaí, Hixkaryana | |
OSV | "Him she loves." | 0% | Warao |
Frequency distribution of word order in languages
surveyed by Russell S. Tomlin in 1980s[10][11] (
)
These are all possible word orders for the subject, verb, and object in the order of most common to rarest (the examples use "she" as the subject, "ate" as the verb, and "bread" as the object):
- SOV is the order used by the largest number of distinct languages; languages using it include Korean, Mongolian, Turkish, the Indo-Aryan languages and the Dravidian languages. Some, like Persian, Latin and Quechua, have SOV normal word order but conform less to the general tendencies of other such languages. A sentence glossing as "She bread ate" would be grammatically correct in these languages.
- SVOlanguages include English, the Romance languages[disputed – discuss], Bulgarian, Macedonian, Serbo-Croatian,[12] Chinese and Swahili, among others. "She ate bread."
- VSO languages include Classical Arabic, the Insular Celtic languages, and Hawaiian. "Ate she bread" is grammatically correct in these languages.
- VOS languages include Fijian and Malagasy. "Ate bread she."
- OVS languages include Hixkaryana. "Bread ate she."
- OSV languages include Xavante and Warao. "Bread she ate."
.
고대영어. old english.를 언제 어디까지인지 찾아보기 구찮다. 얘들 보믄 주절엔 svo 가 종속절엔 sov가 보이기도 하단다.
저 어순의 차이로 여러 썰들이 있다
허나 학실한건. 우리말은 상대 중심이란것. 영어는 말하는자 중심이란것.
일본애들은 상대 중심이라해도, 기본 바탕은 온갖 교류의 역사를 바탕으로, 그리고 데지마의 숨구멍 열어서리 네덜란드 난학을 계속 받으면서리 과학이 발달하다. 그 주어의 궁극적 실재가 무엇이냐를 파고들다. 그 바탕에 상대 중심의 언어를 쓴다
이땅은, 그따위의, 실재에 대한 접근이 없는 무지한 족속의 성리학 유자님들 덕택으로, 상대 만 중시하다
해서, 미드를 봐도, 법정 미드의 프레임이 범죄라는 현상의 바닥인 실재를 파고드는 시나리오다. 이게 낯선거라 이땅 인간들에게. 법정미드가 안뜨는 이유다 그래서.
크리미널 마인드. 를 한드로 각색을 하다. 그게 자연스럽겄니? 오백년동안 그따위 과학적 사유를 하지 않은 인간들에게?
.
이땅의 이야기는 솔직하지 못하다.
이땅의 소설은 재미가 없다 너무나.
조선왕조 오백년, 표정을 없앤 시대. 말할줄 모르고 글쓸줄 모르다. 위선만 깔리다. 모든 이야기들이 허상이다. 아무리 솔직하려 해도 그 파는 깊이가 약하다 얕다.
쎈 이가 안나온다.
어떤 빙딱이 회고록을 썼나 보다. 사실을 왜곡했단다. 보지 말란다. 책으로 내면 벌금을 물리겠단다.
리퍼블릭 오브 조선.
조선왕조들을 여전히 지폐로 떠받드는 ㅂㅅ들의 나라.
사실이란 무얼까?
조선실록이 사실의 바탕이냐? 실록대로 썰 안하면 사실 왜곡이냐? 실록의 사관이 쓰는 감정의 시선으로 바라보지 않으면 사실 왜곡이냐?
김부식의 삼국사기. 의 글 외로 썰하면 사실 왜곡이냐?
니가 주장하는 사실. 이 사실인거냐?
다수결이 사실. 이다라고 하면 그게 사실인거냐?
정신이 아프면, 걍 ㄷ져라
.
이땅은 후지다 ㅈㄴㄹ
'사전 dictionary for this si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코마코스 윤리학 1.을 배워보자 (0) | 2018.01.02 |
---|---|
죄는 없고 벌만 있다 (0) | 2018.01.02 |
이거이 우리말 진짜 사전이다 3 ft.게르만여인들 (0) | 2018.01.01 |
이거이 우리말 진짜 사전이다 2 (0) | 2018.01.01 |
이거이 우리말 진짜 사전이다 1 (2) | 2018.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