Девичий перепляс, Ансамбль Локтева, MAIDEN DANCE, Loktev ensemble
데비치 페레플랴스. 소녀들 페레플랴스. 페레플랴스 가 러시아 민속춤.이야.
The Polovtsian Dances, or Polovetsian Dances (Russian: Половецкие пляски, tr. Polovetskie plyaski from the Russian "Polovtsy"—the name given to the Kipchaks and Cumans by the Rus' people) form an exotic scene at the end of act 2 of Alexander Borodin's opera Prince Igor.
Пляска половецких девушек 플라스카 폴라벳스키흐 데부셰크. 폴라벳시안 댄스. 폴라벳스키 지역인들의 춤.이야. 페레플랴스. 플라스카. 가 민속춤이고. 데비치. 데부셰크.가 girls maiden 소녀, 메이든 이야. 이 메이든 이란 말은 시녀 가 아니라, 시집안간 어린 여자 야.
폴라벳스키. 가 쿠만족 Cuman 이야. 투르크 스텝이고. 쿠만들을 폴라벳시안 이라고 한거야. 류릭 후손들 루스 들이 쿠만과 킵차크들을 폴라벳스키 라고 한거야.
그림을 못붙이는데. 저건 퍼블릭용이라. 1030년 즈음의 쿠만이 볼가강 하류에 있는거야. 카스피해 바로 위야. 흑해 북쪽 걸쳐있는 이들은 Pechenegs 페체네그.야 투르크여 얘들도. 페체네그 위에 키예프 루스.들이 있고. 코카서스 지역에, 알란족이 산맥 가운데 남북오세티아 지역에 있는거고. 얘들은 이란어족이고. 오른쪽 체첸 다게스탄 에가 카자르 Khazars 가 있어. 이 위 카스피해 해변에 쿠만이 있고 이 위에 볼가 불가르.가 있어. 모두 투르크여. 11세기에 아직 몽골애들 오기 전이고. 요 쿠만인들이 폴라벳스키. 폴라벳시안 이라고 하는겨. 저 춤은 루스 들이 아니라 이 쿠만인들에 킵차크인들의 춤이야. 당시 쿠만은 킵차크와 동맹인거고 이 지역에서.
투르크 라는게, 아사나씨.가 몽골고원에 세운 돌궐이 잖아. 이 아사나씨가 아랄해 에 있던 씨디언.인 이란어족이야 원래. 이들이 유연 지배하에 있어서 이 이란어족 이 유연족 화 된거야. 유연 이란건, 흉노가 동한때 완전히 쫓겨나서 서쪽으로 가고 빈 준가리아 자리에 들어온 이들이고 동호의 가지.이고 선비아래 있었다가 여기로 와서 사오세기 2백년간 몽골 주인고원 주인이 된거야. 흉노 빈자리를 그냥 앉은겨. 그리고 6세기에 이 유연을 엎은게 아사나씨의 두 형제 부민 과 이스타미.야. 부민이 동돌궐. 이스타민이 서쪽으로 가서 서동궐. 인 투르크 의 시작이 되는건데. 이들은 유연화 된겨 이란인들이. 투르크 의 시작은 이란어족 이다 라고 말을 안해. 유연족화 되어서, 흉노의 동호의 선비의 유연의 투르크 로 보는겨. 피 가 중요한게 아냐. 말글 이 중요한겨 어디쪽 말글을 사용하게 되었는가. 말글 이야 언어 언어.
언어 로 디엔에이 유전자가 바뀌는겨. 디엔에이 바꾸고 싶으면 언어 를 잘하면 돼. 훌륭한 나만의 명제야.
6세기 중반부터 돌궐국이 전 스텝에 저리 들어서는겨. 이때부터 투르크여. 유라시아스텝에 기존 이란어족 이 있고 이 투르크가 또한 스텝이 되는겨.
그리고 돌궐국이 흩어지걸랑 당나라 세우자 마자 당태종에 고종이 하서주랑 타고 끝까지 와서 조져. 이 당나라가 엄청난 나라야 이게. 그러면서 저 돌궐 애들이 흩어지면서 벼라별별별 투르크 언어족들이 이후 조오올라게 티나오는겨. 투르크 역사가 조오올라게 복잡한듯 보이는거야.
가장 먼저 티나오는게, 카자르 khazars야. 얘들이 7세기 에 티나와. 그래서 10세기 지나면서 저리 카스피해 서쪽 안쪽 해변 깊숙히 자리잡는겨 이 카자르 들이. 그리고 8세기에 등장하는게 킵차크 이고 오구즈 투르크여. 이 오구즈 가 카스피해 아랄해 주변에 자리를 잡아. 다음이 저 쿠만이 이 오구즈 위와 왼쪽으로 자리를 잡고. 10세기에 둘이 연합체를 꾸리는거고. 페체네그 가 흑해에 등장하는겨. 더하여 루스 들이 노브고로드 에서 키예프 로 내려오면서 이 루스 들이 카자르 와 싸우고 다음 12세기 오면서 킵차크 와 쿠만 동맹체와 전쟁을 하는거고. 이러다가 칭기스칸이 13세기에 저길 다 접수하는겨.
아래 투르크는 셀주크가 오구즈 에서 나와서 죽 코라산 넘어 이란고원넘어 자식들이 셀주크 를 세우고, 이어서 아랄해 아래 콰리즘 샤.가 들어서는겨. 11세기에. 이것도 칭기스칸이 콰리즘 샤 접수하시고, 셀주크도 망하고 콰리즘 샤의 아들 지랄왕 자랄앗딘이 인도갔다 술탄이랑 싸우고 서요 도 지배하기도 하고 도망하면서 엄청난 인간이 이 자랄 앗딘인지 지랄 앗딘이야.
할때. 볼가 불가르 는 볼가강 중류에 있던 투르크야. 이 아래에 쿠만족 있는거고 쿠만 아래에 카스피해변왼쪽에서 코카서스까지 카자르 들이 처박혀 있던겨. 저 왼쪽 흑해 해변은 페체네그 이고. 이 위가 루스 들이고. 카자르 들은 짜지고 저 깊숙히 처박혀 들어간겨.
그리고 루스 들이 11세기 12세기에 쿠만 킵차크 와 상시적으로 부딪치는거야.
요때 루스 들이 저들을 폴라벳스키 라고 부르면서 처들어가는겨. 할때 저 폴라벳스키 댄스 라는건, 알렉산데르 보로딘. 1833 – 1887 이 19세기에 작곡한 오페라.에 나오는 댄스야.
Prince Igor (Russian: Князь Игорь, Knyaz' Igor') is an opera in four acts with a prologue, written and composed by Alexander Borodin. The composer adapted the libretto from the Ancient Russian epic The Lay of Igor's Host, which recounts the campaign of Rus' prince Igor Svyatoslavich against the invading Cuman ("Polovtsian") tribes in 1185.
이 오페라 제목이. 크냐즈 이고르. 이고르 군주 이고. 이 이고르는 류릭 올렉 이고르의 그 이고르 가 아니라 12세기의 루스 군주 이고르.야. 이사람도 류릭 다이너스티 이고. 저 지역들이 모두 지금 우크라이나 동북쪽 이야. 여기서 오른쪽에 있는 킵차크-쿠만 이라는 폴라벳스키 를 치러 가는겨. 그럴때 저 노래를 부르면서 춤추는 사람들은, 폴라벳스키 라는 쿠만킵차크족 여인들이야. 걸 메이든 들이고, 우리 칸 이시여 저 루스 들을 막으세요 라는겨. 헌데 저게 또한 19세기엔 러시아 것이 된겨 어차피 쿠만-킵차크 라는 폴라벳스키 들은 모두 러시안들이 되었걸랑.
이고르.가 폴라벳스키 를 치러 가는 저 전쟁에서, 폴라벳스키 가 이겨.
저게 현대화 된게 지금 저 러시아 민속춤 이라는 데비치 페레플랴스.라는 소녀들의 춤.이야. 이건 플라스카 폴라벳스키흐 데부셰크 라는, 보로딘 오페라 의 폴라벳스키 처녀들의 것이 업그레이드 된거야.
아 걍 저 춤 하나 먼가 하고 봤다가, 쓰잘덱 없는 말로 길어져버림
Князь Игорь хор и половецкие пляски .크냐즈 이고르 코르. 이. 폴라벳스키에 플랴스키. 이고르 군주. 라는 오페라. 에서의. 콰이어(춤댄스 무리)들과 폴라벳스키 춤.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2. 인간과 초인. 생명력 야성 리비도 네이쳐 (1) | 2020.05.18 |
---|---|
261. 램머무어의 신부, 루치아 (1) | 2020.05.11 |
259. 인형 4. 적폐를 최애하는 폴란드의 최고 명작 (1) | 2020.05.10 |
258. 인형 3. 19세기 가장 위대한 명작 (1) | 2020.05.09 |
257. 인형 2. 도나 도나, 날기 를 거부하고 도살되는 송아지들 (1) | 2020.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