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ough usually the aspect of financing of a military force is seen as "derivative," in the case of the States Army it played an important formative role, and influenced the peculiarities of the organisation also.
스테이트스 아미. 라는 네덜란드 육군. 만 보면, 즉 다섯개의 애드머럴의 해군 이야기 하는게 아냐 이건. 이 군대를 유지하기 위한 자금조달은 디리버티브, 파생적으로 보일지라도, 이것만을 위한 자금 조달 이라기 보다는, 원래의 돈에서 빼다 쓴다는거지. 얘들만을 위한 별도 자금 조달은 아니란거야. 그만큼 총체적으로 돈을 마련해서 얘들을 굴리는겨. 허나 이 국방이 핵심이야. 시작할때 플랑드르 군대가 6만으로 보고, 네덜란드 아미는 2만으로 봐. 그러다가 이후 전쟁시에는 10만 명 정도를 유지한 듯 보이고, 평시엔 5만 정도야. 저때는 수시로 전쟁이고, 10만 가까이는 유지를 한겨 전시에는.
프랑스 의 경우는, 네덜란드 프랑스 전쟁 1672년 때, 28만명이야. 얘들은 1689년엔 40만 으로 봐. 걍 전쟁에 미친겨 루이14세가. 돈도 없으면서 얜. 중세 영지들에서 바닥바닥 긁은겨. 프랑스가 당시 impôt 엥포 소득세. 타이 taille 라는 샤를7세가 상비군 위한 토지보유세, aides 에드 관세. 를 만들어 받는것도 15세기 지나면서 이게 본격적인거야.
저런건, 에드 라는 관세 빼고는, 엥포 니 타이 니 라는건, 영주 들이 내는겨 이건. 이 세금은 민들이 내는게 아녀. 얘들도 일본 오공오민 이니 하는것과 똑같은겨 이게. 민들은 계약에 의해서 농사를 짓고 영주가 계약에 의해서 취하고, 이 중에서 킹덤 중앙 코트에 내는겨. 영지인들이 중앙 코트에 직접 내는게 아냐. 이게 보방 때 직접세 개념으로 가는겨. 걍 매출의 십퍼. 이때부터 영주들이 반대로 해방이 되는겨. 자기들이 직접 안쪼아도 되고, 이러면서 중세 체제가 서서히 무너지는거야 이 세금때문에. 전쟁 때문에 중앙 코트가 세금을 쪼기 시작하면서. 프롱드 라는게 저 세금 에 대한 귀족들의 반란인겨 이게. 이 프랑스 는 그래서, 보방 의 설계도 대로 다시 요새들 구축하면서 노역 도 죄수들을 쓴거야 돈이 없으니까. 이런게 말이지, 정체성을 죽이는겨 멀리 보면. 죄수들이 대부분 민들 인거고, 돈 도 못받으면서 노역을 하게 되면서, 나라 에 대한 비난 이 쌓일 수 밖에 없어. 저런게 전파가 되는거고. 이런게 나중 프랑스 대학살로 이어지는겨 프랑스는.
네덜란드.는 저럴 수가 없었고. 저래서는 안된다는 걸 알아. 전쟁은 정체성의 싸움이야. 정체성 강한 애들이 이기는겨. 그게 로마야. 로마 군인이고, 로마 군인의 정체성은 당시 최고야. 로마인 이라는 국가 정체성이 있었어 이 로마가. 유일한거야 당대에. 강제 징집이 아냐. 전쟁나면 구역별 추첨으로 가야하고, 시민권이 없으면 군인이 못돼. 시민권 얻기 위해서 갈리안 게르만들이 이삼십년을 보조 군단병으로 근무를 해. 시민권을 얻기 위해서.
Though 16th-century armies were usually preponderantly mercenary armies, there often were elements of feudal levies and volunteers also. These were lacking in the States Army (the civic militia or Schutterij was not part of the army).
16세기도 용병 군대들이야. 16세기만이 아니라 중세 천년은 용병이여. 그 연장선이고. 돈을 어드래 구해? 중세적인 징수.야. 이건 영주가 돈을 마련해야해. 그래서 십자군 갈때 자기 땅 팔고들 가는겨. 전혀 민들과 상관이 없어 이게. 진짜라니까? 영지인들은 이미 계약으로 맺어진 사이인거고. 자기가 페이트론 하고 남은 돈으로 굴려 사람 모으는거야. 더하여 자원자들이야. Schutterij. 네덜란드 자원병을 스헤터레이. 라고 해. 얘들은 자기 마을 지키는 민병대여. 이건 아미.에 속하는게 아녀. 자치조직인겨.
중세.는 군역의 의무가 없어. 이것도 유럽 애들조차 중세를 잊어서 모두들 마치 지금도 유럽 중세가 군역이 있었는 줄 알어. 천만에. 그래서 한 사가가 말하는겨, 골때린다 중세에 군역이 있었다니. 어떻게 역사를 저딴식으로 서사하나 없던 일 주작질 하다니. 이 중세 유럽사가 정말 드러워진겨 프로테스탄트 들로 인해.
저 스헤터레이.는 별개고, 저건 관심이 없어 중앙 차원에선.
Apparently it never occurred to the authorities in the Republic to organize a volunteer or conscript army; mercenaries were the only feasible option. This had already been the case under the Habsburg rulers, when the States of the several provinces were asked to pay for the raising of the Habsburg armies, and played a role in their financial administration, like mustering.
자원병이나 징집 으로 네덜란드가 병사들을 조직하지 않았다 명확하게. 용병들만이 유일한 선택지였다. 공짜로 쓰면 안되는겨 모든 인간사는. 이건 유럽애들의 기본이야 수메르 역사 이후로 이건 기본 개념이야. 어떻게 인간들을 공짜로 써.
조선시대 상왕 태종때 경성 한양 성을 공짜로 쌓는겨 저들이. 조선 팔도 의 쌀 생산량 을 비율로 모집해서. 나중에 굶어서 죽은 사람들이 백여명이야 한양 에. 이들이 돈도 안줘 밥도 안줘.
당연해유. 원래 그랬슈 세계사를 보면 다 그래유.
거짓말 좀 그만해라. 일본도 돈을 줘 성을 쌓을땐.
조선 노비들. 노비여자들이 툭하면 강간 당하고 서얼이 넘쳐나걸랑 조선 팔도 양반집에. 그래서 본처가 학대해. 조선 노비 여자는 고소 권리가 없어. 노비를 죽여도 무죄야. 저런 이야기 하면 바로 들이대는 말들.
당시 모든 나라가 다 그랬슈. ㅋㅋㅋㅋ. 어디 보니까, 그리스 로마 신화를 봐유. 제우스가 모든 여자들 강간하는거. 쟤들 다 그래유. 원래 그랬슈.
참 끔찍한 애들이야. 거짓말좀 그만 좀 해라.
니덜이 미개한 이유야. 조선사 5백년 동안 당했으면 좀 깨시민이 되거라.
.
용병을 써야해. 저건 두가지 관점이야. 전쟁 경험 한 사람이어야 해. 자격이 있어야 해. 더하여 공짜로 쓰면 안돼. 지원군을 안 받는 이유야. 그건 한계가 있는겨 의욕만 앞세우면. 결국 난 공짜여 해댐시 오히려 선비질 하는거걸랑 전투에 임하면.
합스부르크 때 의 제도를 유지하는게, 각 주들에게 돈을 요구하는겨. 그래서 머스터링. mustering. 패스 머스터 pass muster 라고 해. 머스터 라 밀리터리 에서 깨진 말이야. 제대로 된 군대 병력 집단 인겨. 자격되는 부대 단위.의 잣대 를 통과 해야 하고, 그 자격대로 된 군대를 운영하는거야. 기본이 제대로 된 자격있는 병사들과 리더들.을 갖춰질때 머스터 를 패스 했다고 해. 이걸 꾸리기 위한 건, 돈이야 돈. 주들이 그만큼 돈을 내야해. 이중 가장 많은 할당이 홀란드 주.이고.
The authorities of the rebel provinces continued where they left of in this respect.[2] They were, however, content to limit their role to financial administration and the raising of the necessary money via the financing of a fiscal-military state (see the financial history of the Dutch Republic). The latter formed already a considerable burden on the public finances of the provinces in the time of Charles V,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early-modern institutions for the management of the public debt in which the Dutch had a pioneering role.
허나, 이 합당한 소대중대대대 마련을 위한 자금조달 기관 의 역할은 한정이 되었다는거지. 가장 큰 건, 중앙 코트에서 마련을 해야해. 즉 국방부 예산관리집행처.의 역할은 한계가 있다는겨. 국가 차원의 기재부, 국세청 의 역할이 궁극으론 중요한겨.
국가 차원에서 대규모의 돈을 마련해야 하고. 그럴려면, 국가 차원의 경제 가 좋아야 해. 거기서 세금을 많이 받을 수 있고, 더하여 얘들이 한게 국가차원에서 공기업 같은걸 만드는겨. 대표적인게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서인도 회사야. 더하여 국채 발행도 해야 하는거고. 더하여 만든게 그래서, 주식시장 이란겨.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라는게 결국 국가 회사이고, 이걸 통해서 자금 조달 하는게 결국 국가 수입으로 들어오는겨. 주식시장이란건, 기업이 저걸 왜 하니? 왜 주식시장에 참여 하겠니? 기본적인건, 유상증자 를 위해서 저게 좋은겨 원래 의 취지는. 공모 를 통해서 돈을 마련하고, 그에 대한 주식을 주는거야. 이건 이자가 안붙는겨.
지금이야 상장이 되면 이게 네임벨류 마케팅 꺼리 가 되어서 상장을 하는거걸랑. 더하여 저기서 돈놀이 하면서 회사 주주 가 평가 이익 이란게 발생해서 주식 거래를 통해서 떼돈을 버는거지만, 이건 기업차원에서는 주주들이 주식거래로 돈버는건 전혀 의미가 없어요. 주가가 올라서 회계에서 자본잉여금 이 증가 하는 허수 로 회계가 좋게 보일 뿐인거야. 저건 기업 운영하는데 실질적 으로 돈이 늘어나는게 아냐 저게.
가장 목적은. 유상증자 하면서 돈을 마련하는겨.
더하여, 거래소를 만들면 저걸 위해서. 거래 수수료 챙기는건 덤이 되는거고. 이건 그냥 사소한 덤이야 저 당시엔.
네덜란드가 한 짓이. 금융시장 을 활발하게 운영을 한거야. 지급보증 을 통해서, 국가간 거래의 국제상업은행을 통해서 국제 금융시장이 생겨. 이걸로 자금 조달을 하고 돈 빌려주고 이자 받고 못받으면 해당하는 원자재를 갖고 오는거고.
비셀방켄. 암스테르담 은행이야. 이게 공신력 있는 은행이 되는겨. 이게 머냐면, 피아트머니.로 가는 시작이야 이게. 유치한 금은. 만큼의 지폐 증서 를 써주는겨. 이런 은행은 제노바 베네치아 에 대륙에 소규모로 있었던거고, 이 북쪽에서 얘들이 대규모로 가는겨. 종이가 공신력 있게 되는 본격적 시작이야. 물론 당연히 불리온 코인.을 전제로 하는겨. 금은 예치를 전제 하는거고. 이전 화폐이야기 는 중요한 가장 쉬운 정리야 필독 하도록 해.
그리고, 은행이 돈 빌려주고 보험 하는거를 통해 돈을 벌게 하고, 이걸로 국가 차원에서 직접 은행을 운영하던 민간이 하던 돈 굴러가면서 국가가 흥하는거에.
The Amsterdam stock exchange is considered the oldest “modern” securities market in the world.[2] The Amsterdam Stock Exchange was established in 1602 by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Verenigde Oostindische Compagnie, or "VOC") for dealings in its printed stocks and bonds.[3] It was subsequently renamed the Amsterdam Bourse and was the first to formally begin trading in securities.
암스테르담 증권 거래소.가 1602년 에 세워져.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가 세워지면서 동시에 서는겨 이게. 그러면서 여기서 주식을 거래하게 되고, 채권을 거래하게 되는겨.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주식시장.이고 주식시장의 시작이야. 80년 전쟁 중간 휴식기때에 이걸 한거야 얘들이.
얘들이 금융시장에서 완전히 유럽의 중심이 된겨 저때. 저 네덜란드 황금시기 란건, 다른 르네상스니 골든에이지 라는것과 는 이게 차원이 달라.
금융시장 돌리는 한 축에. 다른 나라와 똑같이, 세금 걷는것과 돈 빌리는겨.
Provincial and municipal borrowers in these days issued three types of debt instrument:
- Promissory notes (called Obligatiën), a form of short-term debt, in the form of bearer bonds, that were readily negotiable;
- Redeemable bonds (called losrenten) that paid an annual interest to the holder, whose name appeared in a public-debt ledger (not as convenient as bearer bonds, but the bonds were still readily negotiable) until the loan was paid off;
- Life annuities (called lijfrenten) that paid interest during the life of the buyer, or nominee, whereas the principal is extinguished at his or her death (this type of debt was therefore self-amortizing)
얘들이 이때 국가 차원에서 발행하는게 세가지 형태의 채권이야. 이 전에는, 걍 전쟁하는 영주 애들이. 옆의 영주나 옆의 킹덤에게, 얼마 좀 꿔줄래? 나중에 갚을께 식이걸랑. 그러다 디폴트 선언하면 마는거고. 또는 카를5세때 벨저 가문 푸거 가문 은행에서 빌려서리 못갚고 망한 중세 은행들도 있고.
그리스도 기독교는 이자 장사하면 안되고 유대인이 했어? ㅋㅋㅋ. 말도 안되는 거짓말. 그럼 저때 저들은 이자도 생각 않고 걍 원금 빌려주는겨?
제발 거짓말좀 그만 하자
저건 상환 기간 에 이자율 에 발행 대상자 에 따라서 구분을 하고 공개 발행을 하는겨. 얘들이 지금 현대 금융시장을 만든겨 이게. 저런게 17세기 초여.
그리고 세금.
이 세금 이 깊게 디다 봐야 하지만. 구찮고. 이게 가장 중요한겨. 이 세금이란게 저 17세기 부터 이게 급등하는게 이놈의 세금 이란거야. 고대 로마 조차 세금이란게 10퍼여 많아봤자. 상속세 란건 없었어. 상속세란게 이때부터 생기는겨. 왜냐면, 차원이 다른 규모의 돈이 필요한겨. 차원이 다른 전쟁 때문에.
As Holland was the most important province, usually paying 58 percent of the total budget,[13] it is probably useful to concentrate the discussion on this province (also because other provinces modeled themselves on the Holland system). It based its fiscal structure on the system inherited from the Habsburg era, mentioned above, but extended it in important respects.
홀란드 주.가 전체의 58퍼를 차지하고. 이 세금이 얘들도 세분화 하면서, 어디서 걷어야 하나, 세목을 만드는겨. 관세 소득세 이런 직접세 가 이때 본격적으로 등장하는겨 이게. 세율이 더 올라가는거고. 이게 잉글랜드 뿐이 아니라 결국 다 할 수 밖에 없는겨. 직접세 라는게 이때 등장하는거야. 직접 민들 에게 세금을 걷는겨. 이게 중세 의 붕괴 란거야. 다이렉트 텍스. 라는 이 직접세가. 그러면서, 영주 라는 가운데 가 사라지는겨.
그러면서 또한. 재산세 라는게 등장하는겨. 재산 갖으면 세금 이란게. 이게 조세 정의 와는 다른거야. 돈을 어드래하면 더 걷을까 아 재산 많은 애들꺼 쪼자. 이때부터 유럽애들 세금이 올라가기 시작하고. 지금 유럽의 가장 큰 문제가 이놈의 세금이야. 일한것의 오십퍼 를 세금으로 바치는 나라야.
일을 하고 싶겠니?
애들이 미국으로 떠나는겨. 북유럽 애들은 젊은 애들이 떠나 자기 나라를.
옆집애가 롤스로이스 를 굴리면 뒤돌아서 욕해. 가진 애가 자랑질 하네. 저 북유럽도 시안하게 되어가는데.
그래서, 상속세 부터 얘들이 없애기 시작해. 스웨덴은 상속세 가 제로 야.
아일랜드가 겨우 숨통을 쉬게 된게. 세율을 확 내린겨. 기업들이 아일랜드로 몰린겨.
유럽은, 반드시 말야. 저 세금을 반드시 확 주저 앉힐 수 밖에 없어. 트럼프가 맞아.
.
바닥에는 제조 가 버텨줘야 해.
The explosive growth in capital accumulation directly led to an equally explosive growth in investment in fixed capital for industries related to trade. Technological innovations like the wind-driven sawmill (invented by Cornelis Corneliszoon), which significantly increased productivity in ship building, offered opportunities for profitable investment, as did the textile industries (mechanized fulling, new draperies) and other industries that made use of mechanization on the basis of wind power. This mechanization was based on yet another invention of Corneliszoon, for which he received a patent in 1597: a type of crankshaft that converted the continuous rotational movement of the wind (windmill) or river (water wheel) into a reciprocating one.
제조기술이 탁월해. 쏘밀.이 제재소.야. 풍력을 이용한 제재소. 통나무로 목재 만드는는겨. 이게 네덜란드 특허품이야. 더하여, 풀링. 옷감 때를 빼는 겨 이건. 원단 만들때 전혀 다른 차원의 원단이 되는거고. 이런 기계 도 네덜란드여. 크랭크샤프트. 풍력과 수력을 통한 기관도 네덜란드여. 이 다음에 나오는게 증기 이용한 기관 인거고.
Cornelis Corneliszoon van Uitgeest, or Krelis Lootjes (c. 1550 - c. 1600) was a Dutch windmill owner from Uitgeest who invented the wind-powered sawmill, which made the conversion of log timber into planks 30 times faster than before.
아우트헤이스트.의 코르넬리스 코르넬리손. 크레일리스 로우티에스. 저기서 중심인물이여 코르넬리스 코르넬리손. 북홀란드 아우트헤이스트 사람이고. 이 사람이 풍력 이용한 기관으로 톱 만드는거고, 풍력 이용한 샤프트 엔진을 만든겨.
Simon Stevin (Dutch: [ˈsimɔn ˈsteːvɪn]; 1548–1620), sometimes called Stevinus, was a Flemish mathematician, physicist and military engineer. He made various contributions in many areas of science and engineering,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He also translated various mathematical terms into Dutch, making it one of the few European languages in which the word for mathematics, wiskunde (wis and kunde, i.e., "the knowledge of what is certain"), was not a loanword from Greek but a calque via Latin. He also replaced the word chemie, the Latin calque for chemistry, by scheikunde ("the art of separating").
같이 언급되는게 시몬 스테이빈. 원래 플랑드르 사람이야. 네덜란드로 와서 네덜란드 인이 돼. 저때. 라이덴 대학. 이 라이덴 이 침묵 오렌지 가 만든 대학이야. 리더 란 이런 인간이 진짜 리더야. 대학 을 만드는거. 사유 는 대학 에서 시작하걸랑. 이 라이덴 이 헤이그 위 암스테르담 아래여. 북유럽에서 대학은 이 라이덴 대학 이야. 노벨상이 십몇명이냐 여기가. 이 사람이 또한 저 풍력 수력 이용한 기관의 특허 최초 자여.
Hans Lipperhey (1570 – buried 29 September 1619), also known as Johann Lippershey or Lippershey, was a German-Dutch spectacle-maker. He is commonly associated with the invention of the telescope, because he was the first one who tried to obtain a patent for it.[1] It is, however, unclear if he was the first one to build a telescope.
한스 리퍼헤이. 클레베 공국 사람인데 네덜란드로 왔어. Middelburg 1594년 24세때. 미델부르크.가 제일란트의 수도야. 이사람은 네덜란드 인간이여 여서 죽었어. 망원경 최초 특허권자야. 1608년에 받아. 갈릴레오가 이 소식을 들었어. 갈릴레오는 다음해 1609년에 천체망원경을 만들고.
The inventor is unknown although many claims have been made over the years. Several revolve around the spectacle-making centers in the Netherlands including claims it was invented in 1590 by Zacharias Janssen (claim made by his son) and/or Zacharias' father, Hans Martens,[6][7] claims it was invented by their neighbor and rival spectacle maker, Hans Lippershey (who applied for the first telescope patent in 1608),[8] and claims it was invented by expatriate Cornelis Drebbel who was noted to have a version in London in 1619.
망원경, 현미경, 이게 모두 네덜란드여 저때. 현미경도 누가 시작이야 의견이 많지만, 네덜란드 인들 중에 누구냐 의 문제여 이건. 저기에 망원경 시작 한스 리퍼헤이.도 주장되는거고. 자카리아스 얀센.은 아들이 우리 아빠가 시작했다는거고. 코르넬리스 드레벨.도 네덜란드 인간이야.
여기에 선박제조. 로 먹고 살고, 튤립.이 저당시 네번째 수출품목이야.
이놈의 네덜란드 황금시기란건 정말 어마어마한겨 이게.
저기서 나오는 돈들로, 총인구 얼마 되지 않은 애들이 저당시 잉글랜드 프랑스 스위든 을 상대를 한겨. 스페인한테서 초기에 버틴거고. 저건 상상을 초월하는 그야말로 기적적인 나라인데 그 내면을 디다보면 버틸 만한 이유가 있는겨 저때.
These financial institutions helped the Dutch Republic to "punch above its weight" in military matters. Without the international "open market" for professional soldiers the Republic, with its population of about 1.5 million in the 17th century, would simply have lacked the manpower base to compete with countries like Spain (10 million inhabitants in the period in question) and France (20 million).
저런걸로 버틴겨. 당시 인구가 네덜란드 끽해야 150만명. 스페인 1천만영. 프랑스 2천만명. 열배 스무배 의 나라들을 버틴겨 저들이.
The Great Divergence is a term made popular by Kenneth Pomeranz's 2000 book by that title, (also known as the European miracle, a term coined by Eric Jones in 1981.
그레이트 디버전스. 대분기 라는 용어이고, 에릭존스 가 쓴 개념을 케네뜨 포머랜츠.가 유행시킨건데. 저건 잉글랜드와 네덜란드 가 만든거고, 뒤에 애들은 따라온거야. 1990년 달러를 기준으로 한 인당 지디피.인데 저기서 잉글랜드가 압도적이걸랑 서기 1700년을 지나면서. 스페인은 의외로 항상 중간이야 금은 이 들어와도. 왜냐면. 전쟁하느라 돈을 쓰는 애들이야 얘들은.
저기에 네덜란드를 빼선 안돼.
저때 잉글랜드 보다 네덜란드여. 서기 1600년에서 1800년 까지는. 이때 네덜란드가 최고였어.
이 네덜란드는, 정말 그야말로 최고의 나라였던거고. 얘들이 현대 문명을 만드는 터를 닦아주고 간거야.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사306. 자포니즘1. 데지마, 우키요에, 이스틴거 (1) | 2020.03.24 |
---|---|
유럽사305. 17세기 현대 세금을 만든 네덜란드 (1) | 2020.03.23 |
유럽사303. 17세기 네덜란드 육군과 해군 ft.드 라우터 (2) | 2020.03.22 |
유럽사302. 네덜란드 람프야르 1672, 워터라인 (1) | 2020.03.21 |
유럽사301. 아르님. 30년 전쟁의 철새 반민족주의자 (2) | 2020.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