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ponisme[a] is a French term that refers to the popularity and influence of Japanese art and design in western Europe in the nineteenth century following the forced reopening of trade of Japan in 1858.[1][2]
Japonisme was first described by French art critic and collector Philippe Burty in 1872.
자포니즘. 이란 말은. 서기 1872년, 프랑스 예술 비평가 필립 뷔흐티.가 잡지에 기고하면서 쓴 용어야.
He contributed to the art magazine Gazette des Beaux-Arts since its foundation in 1859,
이사람이, 가제트 데 보자흐. 굿 아트 가제트.여. 가제트. 라는게, 16세기에 베네치아 에서 시작된 신문 인겨. 저게 우리식 월간 미술.이야.
In early modern Europe, the increased cross-border interaction created a rising need for information which was met by concise handwritten news-sheets. In 1556, the government of Venice first published the monthly notizie scritte, which cost one gazette, a small coin.[7] These avvisi were handwritten newsletters and used to convey political, military, and economic news quickly and efficiently to Italian cities (1500–1700)—sharing some characteristics of newspapers though usually not considered true newspapers.[8] However, none of these publications fully met the classical criteria for proper newspapers, as they were typically not intended for the general public and restricted to a certain range of topics.
서기 1556년에 베네치아 공화국.에서 싸구려 동전 하나에 팔던 월간 소식지.야. 베네치아어로 gazeta 가제타. 였다가 이탈리아러 gazetta 가제타 가 되고 불어로 가제트.가 된겨. 이건, 프린트 가 아녀. 아비지. avivisi 라는 손편지.야. 아비지 라는게 경고, 알림, 이야.
유럽 리터러쳐 를 보면, 중세에, 와보, 냐 내 기억이 가뭇 한데, 멀 번역한건지 몰라도, 초기엔 저걸 기와 돌판에다 쓰고 팔어. 저것만 뻬껴쓰는 직업이 있는거고. 돌판이 종이보다 더 싼거고.
.
서기 1872년 에야 나온 말이고, 저건 예술 중에, 미술 이야기 하면서 비흐티.가 쓴겨. 저건 미술 이야기야 시작이.
浮世絵(うきよえ)とは、江戸時代に成立した絵画のジャンルのひとつ。大和絵の流れを汲む、当代の風俗画で、題材は、美人画、役者絵、名所絵、春画など多岐にわたる。
現在では変化・消失した名所、人々の生活や生業、文化などを伝える歴史資料としても活用されている。
우키요에. 부세회. 일본어는 회.화. 할 때 회.고 이 회화 란 말도 일본말이야. 에도시대 17세기 부터의 그림양식이야. 대화회. 야마토에. 의 전통을 이어서 나온건데. 이 야마토에. 란건 14세기 헤이안시대 말에 나온거고, 이건 당화, 당나라 망하고 그 그림양식을 이어 받은겨. 당화 를 이은 일본애들의 야마토에.야
絵巻物(えまきもの)は、日本の絵画形式の1つで、紙もしくは絹・麻を水平方向につないで、長大な画面を作り、情景や物語などを連続して表現したもの。「絵巻」とも言う。絵画とそれを説明する詞書が交互に現われるものが多いが、絵画のみのものもある。
야마토에. 그림양식으로 그린 작품들.을 에마키모노. 회권물. 이라고 해. 이건 비단, 마,에 수평방향, 즉 가로로 길게 연속으로 그린 그림 작품 이란거고. 얘들도 설명을 못하는데, 권 이잖냐. 둘둘말이란겨 저게. 그림 둘둘말이 작품. 기 니까.
絵因果経(えいんがきょう)は仏伝経典の代表的なものの1つである『過去現在因果経』の写本の一種で、巻子本の下段に経文を書写し、上段に経文の内容を説明した絵画を描いたもので、日本において平安時代以降盛行する絵巻物の原初的形態とみなされている[1]。
야마토에.의 저 에마키모노 최초 작품을, 나라시대 8세기.꺼로 보이는, 지금 일본애들 국보.이고, 회 인과경. 에인가쿄우. 불경 과거현재인과경.을 그림을 그리고 아래 불경을 한자로 쓴겨. 이게 야마토에 의 원시화풍으로 보고,
平安時代になると、『枕草子』『伊勢物語』『源氏物語』『宇治拾遺物語』などの物語絵や、説話を題材とした絵巻が制作されるようになった
헤이안시대때, 이때 나온 모노카타리 들로 보이는 침초자, 마쿠라노소우시, 이세모노카타리, 겐지모노카타리, 우지슈이 모노카타리. 를 그림 그린 화풍이 야마토에.이고 작품들을 에마키모노. 라고 해. 마쿠라노소우시, 나 겐지모노카타리.는 뇨보 라는 여방. 방 독자적 있는 여자 가 쓴 수필 에 소설 이야. 엄청난겨 이건. 서기 천년 이야 저게. 어마어마어마해. 특히나 저 겐지모노카타리. 저건 인류 소설 탑 텐에 반다시 넣어야 하는겨.
이세물어.가 겐지물어에 언급이 돼. 즉 겐지물어보다 오래된게 이세물어야. 이건 작자미상이고.
,
저 야마토에, 대화회.를 이어서 에도때 나오는게, 부세회.라는 우키요에. 야. 뜬 세상 그림. 부세 라는 우키요 라는게,
- 1.(多くの用字は「憂世」、平安期から室町期まで)憂悩の世界。つらい世の中の意味であり、仏教において、...
- 2.(浮世、江戸期以降)
- 3.生死無常で不安定な世界。この世、現世。語義1から裏返って、そうであるならば享楽的に生きるべきとの意を含む。
일본애들은 번뇌 가 아니라 우뇌.야. 근심걱정의 세상. 불교 용어갖고 온거고. 에도 이후에 유행된 말이란거야. 이건 세속, 현재세상 을 의미하는 말이야. 불교 용어인겨. 저건, 뜬 구름 덧없다며 이상향 을 그리는게 아녀 저게. 당시 에도 시대를 그린 사진 이여 저게.
소재가 미인화, 역자회. 명소회. 춘화. 역자 라는게 야쿠사이, 라는, 배우 들의 모습이야. 가부키 하는 연극배우.
현재에는 사라진, 옛날 명소들, 사람들의 생활상, 직업들, 문화 등 에도때 이야기를 저 그림, 우코에로 지금 보게 된다는거지.
에도 라는게, 역시나, 상인들의 시대야. 전쟁이 사라졌어. 이에야스 가 완전한 평화를 위해서 걍 정치체제를 철저히 짜 놓고 뒈졌걸랑. 사무라이들이 직업을 다 잃은겨 이게. 전쟁이 없는겨. 어쩌겠어? 칼 버리고, 장사 를 하는 상공인들이 에도때 터지는겨. 예술이 터져나오고, 연극의 시대야 에도가.
조선 이란 것과 이게 비교가 안되는겨.
우리네는, 일본이랑 마치, 메이지때 역전이 된 줄 아는데.
천만의 말씀이다. 일본애들 보다, 기본 저때 3백년 이 일단 뒤진 거고. 더하여, 조선 오백년 동안 바악바악 지웠잖니. 오백년이란건 완전히 사람을 벌레 로 만드는 시대걸랑. 이게 말이야, 천년이 훨씬 넘게 뒤진겨 조선 땅이.
더하여, 저 겐지모노카타리 만 봐도. 저게 서기 천년 전후. 같은 직업 뇨보 가 쓴 침초자 마쿠라노소우시.가 서기 1003년 이 찍였어 이건. 겐지모노카타리는 대략 1008년 으로 봐. 이게 원고지로 몇매냐 이게. 写本・版本により多少の違いはあるものの、おおむね100万文字・22万文節[17]400字詰め原稿用紙で約2,400枚[18]に及ぶ。 원고지 빽빽하게 2400매야. 번역본이 1400페이지 로 두권. 줄여서 열권 으로 나왔어 이것도 서기 2천년이 지나서. 한글로는. 일본어로 된겨 저게. 한글 최초소설 홍길동전이 몇페이진줄 아냐.
이게, 비교가 안되는겨 이게.
.
저 에도때 그림들, 부세회 라는 우키요에 그림봐라. 저거랑 조선 오백년의 그림을 보고, 저게 말이지, 비교가 안되는겨.
이 조선 오백년 허섭들 땅이 된겨 이게. 이게 현재 아이엔지.이고. 이 조선들은, 메이지 때 역전이 된 줄 안다니까 ? ㅋㅋㅋ.
In 1543, the history of direct contacts between Japan and Europe began with the arrival of storm-blown Portuguese merchants on Tanegashima. Six years later the Jesuit missionary Francis Xavier landed in Kagoshima. At first Portuguese traders were based in Hirado, but they moved in search of a better port. In 1570 daimyō Ōmura Sumitada converted to Catholicism (choosing Bartolomeu as his Christian name) and made a deal with the Portuguese to develop Nagasaki; soon the port was open for trade. In 1580 Sumitada gave the jurisdiction of Nagasaki to the Jesuits, and the Portuguese obtained the de facto monopoly on the silk trade with China through Macau.
포르투갈.의 종자도에. 안토니오.와 페이쇼토 등 세명이 1543년.에 표류해. 이들은 말라카 에서 온겨. 뻥쟁이 핀토는 자기가 먼저 일본 갔었다 주장하는거고. 6년후 1549년 에 사비에르가 가고시마.에 도착을 해. 이때는, 포르투갈 수행단들과 같이 오는겨 사비에르는. 그래서, 히라도.에 포르투갈의 팩토리 를 두는겨. 규슈 서북쪽 끝 섬에. 다이묘 오무라 스미타다.가 일본 최초의 그리스도 전향 다이묘.야. 나가사키 를 연겨 이사람이. 제수이트 들에게. 포르투갈이 독점권을 얻은거고, 마카오 를 통해서 중국 비단 도 얘들이 거래를 하는겨 여기로.
마카오 에 포르투갈이 간게 1512년 이고, 전쟁 하면서, 포르투갈이 마카오.에 공식적으로 자리잡은게 1557년 이야. 이전엔 전쟁하면서 버틴거고. 공식적인 팩토리는 나가사키 가 훨 빠른겨.
Firearms seem to have first appeared in Japan around 1270, as primitive metal tubes invented in China and called teppō (鉄砲 lit. "iron cannon") seem to have been introduced in Japan as well.[2]
Istinggar is a type of matchlock firearm built by the Malays of Indonesian archipelago. The firearms is a result of Portuguese influence to local weaponry, particularly after the capture of Malacca (1511).[1] Before this type of gun, in the archipelago already existed primitive long gun called bedil, or Java arquebus as the Chinese call it.
The knowledge of making firearms in the archipelago came after the middle of 15th century. It was brought by the Islamic nations of West Asia, most probably the Arabs. The precise year of introduction is unknown, but it may be safely concluded to be no earlier than 1460.[8]:23 Before the arrival of the Portuguese in Southeast Asia, the Malays already possessed primitive firearms, the Java arquebus.[9] This firearm has a very long barrel (up to 2.2 m in length), and during the Portuguese conquest of malacca (1511), it is proven to able to penetrate a ship's hull to the other side.[10] However the lock mechanism of the gun is very crude.[9]
저때 종자도 조총 을 갖고 온게, 아키버스 가 아녀. 이스틴거.Istinggar 라는 매치락 화승총을 같은데. 이건 유럽 발명품이 아냐. 아키버스라는게 이탈리아 전쟁 시작하면서 티나온 거지만, 이전엔 수총 이란게 있었어. 일본도 화약을 알게 된게 서기 1270년 으로 봐. 원시적인 철포. 수총이 있던겨.
그러다가, 포르투갈 말라카 있던 이들이 왔는데, 이들이 갖고 온건 이스틴거 라는게, 이건 이슬람 애들이, 그중 아랍족들이 갖고 잇었다는겨. 어떻게 이게 아랍애들에게 시작했는지 몰라 이건. 서기 1460년 즈음에 나온걸로 봐 유적을 보면. 포르투갈이 1499년 바스코다가마 때 동남아시아를 가는데, 이미 말레이들이 원시적인 수총을 갖고 있었던거야. 이걸 자바 아키버스 라고 불러. 자기들 아키버스 따서. 이건 길어 총구가. 2.2 미터야. 포르투갈이 말라카 를 서기 1511년에 정복했는데, 포르투갈 배가 총격을 당했다고 하고. 허나 대게 원시적 이란거지.
그리고, 포르투갈인들이. 고아 와 말라카 에 정착해서 서기 1513년 부터 여기서 독자적으로 총을 만든겨. 이게 이스틴가르 야. 즉 이스틴거. espingarda 포르투갈애들이 얘들 총이 에스핀가르다 라고 소리듣고 이리 쓰다가 이게 이스틴거.가 된겨. 이건 포르투갈이 고아 말라카 에서 저당시 아랍족들의 총과 결합되서 만들어진 총이야. 자바 아키버스 가 이스틴거.가 된겨. 이걸 종자도 로 갖고 간거야. 그리고는 다이묘 가 직접 아키버스 를 구입을 하면서 전해진겨.
出島(でじま)は、1634年江戸幕府の外人流入防止政策の一環として長崎に築造された人工島。扇型で、面積は3,969坪(約1.5ヘクタール)[1][2]。1636年から1639年まで対ポルトガル貿易、1641年から1859年までオランダ東インド会社(AVOC、アムステルダムに本部のあるVereenigde Oostindische Compagnie)を通して対オランダ貿易が行われた。出島全体は1922年(大正11年)10月12日、「出島和蘭商館跡」として国の史跡に指定されている[3]。
데지마. 를 만든건, 서기 1634년.에 지시 를 한거고. 2년 후에 완공이 되어서. 1636-39, 3년간 포르투갈 이 썼다가. 얘들이 쫓겨난거야. 그리고 1641-1859년 까지.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가 독점을 한겨.
출도.야, 출구 섬. 이야. 이건 인공섬이여. 일본땅에 들어오면 안돼 네덜란드애들은. 여기에 물건 놓고 가는겨
이에야스.는 히데요리 죽는 오사카 전투. 1615년. 이 진짜 에도의 시작인거야. 다음해 1616년에 죽는거고. 아들 히데타다. 가 하고, 다음 장자 가 3대 이에미쓰.야. 얘가 1623년 19세에 오르고, 가장 문제가 저 그리스도 인겨. 사비에르 1549년 이후 칠팔십년 동안 그리스도 가 난리인겨, 특히나 저 규슈, 나가사키에. 이걸 이미 히데요시 가 봤어. 야 저 그리스도 저걸 어쩌냐 저거. 유럽에선 세속권력 위가 교황이야. 똑같어 여기도. 그리스도 가 세속을 무시하게 돼.
This Sakoku Edict (Sakoku-rei, 鎖国令) of 1635 was a Japanese decree intended to eliminate foreign influence, enforced by strict government rules and regulations to impose these ideas. It was the third of a series issued by Tokugawa Iemitsu[citation needed], shōgun of Japan from 1623 to 1651. The Edict of 1635
쇄국령.이라는게 얘가 1623년 부터 칙령을 발표하는거야. 이건 그리스도 종교 믿지 말란겨. 일차적으로 영주들은 금지야. 이걸 세번 발표하는겨. 1635년 까지.
.
1634년.에 데지마 를 만들라고 지시하면서, 앞으로 포르투갈 인들은 저기에만 있어라 라고 하는거고, 그리스도 전도를 금지를 하는겨. 십자가형 도 막막 시켜 어기는 자들을. 선교사들도 죽여. 데지마 건립되고 1636년에는 여기로 만 들어오는거고.
島原の乱(しまばらのらん)は、江戸時代初期に起こった日本の歴史上最大規模の一揆であり、幕末以前では最後の本格的な内戦である。島原・天草の乱、島原・天草一揆[1]とも呼ばれる。寛永14年10月25日(1637年12月11日)勃発、寛永15年2月28日(1638年4月12日)終結とされている。
바로 터진게 시마바라의 난. 이야. 1637년 12월 에서 다음해 4월. 5개월 전쟁에 그리스도 들이 4만 가까이가 다 죽어.
그리고 1639년 에 포르투갈 을 다 쫓아낸거고. 데지마를 닫은겨. 그리고선,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가 독점을 한거야 1641년.에
William Adams (24 September 1564 – 16 May 1620), known in Japanese as Miura Anjin (三浦按針: "the pilot of Miura"), was an English navigator who, in 1600, was the first Englishman to reach Japan during a five-ship expedition for a private Dutch fleet.
제임스 클라벨.이 1975년 에 쓴 영미권 필독서 쇼군.의 모델 윌리엄 아담스.가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배로 왔걸랑. 이에야스 의 세키가라하 에 오사카전투도 다 보고, 이에야스 죽고 죽은겨. 미우라 안진 으로 개명하고. 네덜란드 에 대한 인상이 좋은겨.
After obtaining this trading right through an edict of Tokugawa Ieyasu on 24 August 1609, the Dutch inaugurated a trading factory in Hirado on 20 September 1609. The Dutch preserved their "trade pass" (Dutch: Handelspas) in Hirado and then Dejima as a guarantee of their trading rights during the following two centuries that they operated in Japan.
포르투갈.은 사비에르 를 앞세워서 히라도 에 팩토리를 두고. 네덜란드 는 이 윌리엄 아담스 덕으로 히라도에 들어간거고. 데지마 를 세울때도 네덜란드 는 같이 들어갔다가. 시마바라 난으로 네덜란드 만 독점권을 갖은겨.
왜냐면, 윌리엄 아담스.의 네덜란드 는, 칼뱅이여. 프로테스탄트고. 로마 카톨릭이아녀. 제수이트 가 아녀. 상대적으로 좀 가벼운겨 저런 꼴통짓을 안한다고 본거고 윌리엄 아담스를 봐보니까. 그래서 이사람때문에, 이전에 잉글랜드도 자리를 잡아. 잉글랜드 국적에 프로테스탄트 는 좀 가벼운겨. 그러면서 나중엔 저사람 덕으로 죽고서도 네덜란드 는 독점권을 쥔거야.
저때 네덜란드 를 통해 들어오는건. 도자기여 유럽에. 자기 라는. 조선 도공들 기술이 스민.
네덜란드가 당시 17세기 유럽의 최고야. 이 최고의 유럽 문물이 저때부터 데지마로 들어가는겨. 이게 난학 이란건데.
그림은, 자포니즘 이란 말이 나오게 되는건, 이전에 깔아준게 저 도자기 고, 페리 흑선 이 오면서, 이때 일본 그림들이 유럽에 들어간거야. 거의 동시에 유행한겨 이 자포니즘 이라는건. 이걸 고흐.와 드가.가 자기들 그림에 스미면서 더 유명해진거고.
우키요에란건, 저 네덜란드 그림들이 2백년동안 스며서 업그레이드된 일본 그림인거고, 일본에 스민 유럽그림들이 저 막부말에 유럽으로 들어가면서 유행이되서 자포니즘 이란게 생긴겨
다음으로 넘기자.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사308. 16세기 포르셀린. 세라믹 포터리 (1) | 2020.03.25 |
---|---|
유럽사307. 자포니즘2. 네덜란드와 일본. 일중무역 (1) | 2020.03.25 |
유럽사305. 17세기 현대 세금을 만든 네덜란드 (1) | 2020.03.23 |
유럽사304. 17세기 네덜란드라는 그야말로 기적 (1) | 2020.03.22 |
유럽사303. 17세기 네덜란드 육군과 해군 ft.드 라우터 (2) | 2020.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