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이라 잘못 번역한, 신학의 숨마. 정말 최고야 이건. 신학의 최고 절정. 이란 책이야. 어떻게 저런 작명을 하냐 말이야. 카톨릭에서 이걸 인정한겨. 줄여서 숨마. 모든 것 모든 학문의 최고야 이 토마스의 신학은.

Thomas Aquinas viewed theology, or the sacred doctrine, as a science,[66] the raw material data of which consists of written scripture and the tradition of the Catholic Church. These sources of data were produced by the self-revelation of God to individuals and groups of people throughout history. Faith and reason, while distinct but related, are the two primary tools for processing the data of theology. Thomas believed both were necessary—or, rather, that the confluence of both was necessary—for one to obtain true knowledge of God. Thomas blended Greek philosophy and Christian doctrine by suggesting that rational thinking and the study of nature, like revelation, were valid ways to understand truths pertaining to God. According to Thomas, God reveals himself through nature, so to study nature is to study God. The ultimate goals of theology, in Thomas's mind, are to use reason to grasp the truth about God and to experience salvation through that truth. The central thought is Gratia non tollit naturam, sed perficit. Grace does not destroy nature, but perfects it.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학, 즉 바칠만한 성스러운 가르침.을 싸이언스, 분별하는 이성의 학문.으로 바라보고, 그 원자료라는 물리적 자료들은 성서에 쓰여진 것과 카톨릭 교회의 전통들에 있고 이 자료들로 과학적으로 접근한다. 이러한 자료 재료들은 개인들과 집단의 사람들에게 역사를 통해서, 신이 스스로 드러내면서 생산된 것이었다. 믿음과 이성, 이 두개는 구분되는 거고 연관되는 건데, 신학의 자료들을 처리 가공하는데 중요한 두개의 도구이다. 토마스는 믿었다 믿음과 이성 은 필수불가결했다고, 아니 더가서 두개의 합체가 필요할 수 밖에 없었다고, 신에 대한 진짜 앎을 얻기 위해선. 토마스는 그리스 철학과 그리스도 교리를 섞어서, 합리적 사유방식과 네이쳐(레벌레이션, 계시. 신의 드러남)에 대한 연구 가 신에 대한 진짜들을 이해하는 타당한 방법들임을 제시했다. 토마스에 따르면, 신은 그 자신을 네이쳐 를 통해 드러낸다, 그래서 네이쳐를 연구하는것은 신을 연구하는 것이다. 신학의 궁극적 목적지들은, 토마스의 생각은, 이성을 활용해서 신에 대한 진짜를 파악하는 것이고, 그 진짜 리앨리티 진리를 통해서, 구원을 고통없음을 경험하는 것이다. 핵심 사상은, 그라티아 논 톨릿 나두람, 세드 페르피킷. 이다. 그레이스-신의 따뜻한 볕 쬐임을 통한 셀베이션, 고통에서 벗어나는 구원.은 네이쳐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네이쳐를 완전하게 한다.


신이 애초에 디잔인해서 심은 인간안의 네이쳐.를 퍼펙트 하게 하는게, 그레이스.고 이게 인간 삶의 목적 이란거야. 왜 사는가? 에 대한 토마스 아퀴나스 의 답이야. 지저스가 말해, 너에게 무슨 보상을 줄까? 낫띵 벗 유, 로어드. 멋진 말이야. 일관된 말이야 저게. 나의 네이쳐를 완벽하게 해달라. 나를 당신같은 신으로 만들어 달라. 토마스가 지저스에게 요구한 보상이야.

Revelation[edit]

Thomas believed that truth is known through reason (natural revelation) and faith (supernatural revelation). Supernatural revelation has its origin in the inspiration of the Holy Spirit and is made available through the teaching of the prophets, summed up in Holy Scripture, and transmitted by the Magisterium, the sum of which is called "Tradition". Natural revelation is the truth available to all people through their human nature and powers of reason. For example, he felt this applied to rational ways to know the existence of God.
Though one may deduce the existence of God and his Attributes (Unity, Truth, Goodness, Power, Knowledge) through reason, certain specifics may be known only through the special revelation of God through Jesus Christ. The major theological components of Christianity, such as the Trinity, the Incarnation, and charity are revealed in the teachings of the Church and the Scriptures and may not otherwise be deduced.[118]

토마스는 믿었다, 진짜, 리앨리티. 진리는 이성과 믿음 을 통해 알게 된다고. 이성으로 알게 되는 진짜는 내추럴한 드러남.의 진짜들을 알게 되는거고, 믿음으로 알게 되는 진짜는 슈퍼내추럴, 내추럴을 넘어서는 드러남.으로 새겨진 진짜.다. 슈퍼내추럴하게 드러난 것은 성령의 입김에 기원을 두고,(우리가) 활용할 수 있다 예언자들의 가르침을 통해서, 그리고 모아져 있다 성서로, 그리고 권위있는 교회조직에 의해 전해지고, 그런 전해짐의 쌓임은 트러디션, 전통 이라고 불려진다. 내추럴한 드러남은 (그리스도 유무포함) 모든 사람들에게 활용되는 진짜(리앨리티. 진리)다, 인간의 네이쳐와 이성의 힘을 통해 쓸수 있다. 예를 들어, 토마스는 느꼈다 이것을, 즉, 내추럴한 드러남의 진짜가, 합리적인 이성적 방법으로 활용되어서 신의 존재를 알게된다는 것을.
신의 존재와 신의 속성(하나, 진짜. 선. 힘. 지식)을 이성에 의해 연역적으로 대전제로 미리 도출할 지라도, 어떤 측면들은 지저스를 매개로 한 신의 특별한 드러남을 통해서만이 (귀납적으로) 알게 될 수 있다. 그리스도정신의 큰 줄기가 되는 신학적 구성들, 삼위일체, 생체육신화, 기부, 들은 교회와 성서의 가르침 속에서 드러난다. 그렇게 안되면, 연역적으로도 드러나지 못할 것이다.

신에 대한 진리. 지식.은 두가지 로 분리해서 숨어있어. 두가지 광맥이 굴이 전혀 달라. 하나는 내추럴하게 드러나있고, 하나는 슈퍼내추럴하게 드러나있어. 그 광맥만 각각 캐서 덮어진 흙을 들춰내면 레벌레이션. 드러나 나타나지는 겨. 내츄럴 한건 이성의 곡괭이. 내추럴을 초월한건 믿음의 곡괭이. 내추럴한건 신을 믿던 안믿던 모두가 찾아낼 수 있어. 슈퍼내추럴한건 믿음 이란 곡괭이로만 파낼수 있어. 이건 신의 도움이 필요한겨. 이건 성령의 입김에서 나오는겨. 이건 예언자들 말씀들, 성서에 모아져있고, 정통교회들이 간직해서 전해주는 전통 속 전설 신화적 이야기에 있어.

포인트는 저 내추럴을 초월하는 슈퍼내추럴의 진리여. 저걸 보려면. 믿음 이란 도구로 봐야되는데. 이건 내추럴의 영역이 아냐. 그렇다고, 내추럴한 진리를 파해치는 이성이란 도구를 배제하면 안돼. 여긴 이것도 같이 쓰이는겨. 그렇다고 이것만 있어도 안되고. 일단 기본은 이성이란 도구로 성서와 전통의 자료들을 보면서 일차적으로 드러내야 해 슈퍼내추럴한 진리를. 이 작업이 선행되지 않으면, 직관에 의한 연역의 대전제로 신의 존재 니 속성 을 이해할 수 없어.

이성주의자야 토마스 아퀴나스는.

Preserving nature within grace[edit]
Revealed knowledge does not negate the truth and the completeness of human science as human, it further establishes them. First, it grants that the same things can be treated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without one canceling the other; thus there can be two sciences of God. Second, it provides the basis for the two sciences: one functions through the power of the light of natural reason, the other through the light of divine revelation. Moreover, they can, at least to some extent, keep out of each other's way because they differ "according to genus". Sacred doctrine is a fundamentally different kind of thing from theology, which is part of philosophy (ST I. 1.1 ad 2).
Faith and reason complement rather than contradict each other, each giving different views of the same truth

그레이스 안에서 네이져를 간직하기.
드러나서 알게 된 것은, 부정하지 않아, 그 진리(진짜임, 리앨리티 임)과 인간적 지식의 완성화됨, 이란 두가지를. 오히려 그 앎으로 저 두개는 더 튼튼해져. 우선 그 앎은 저 두개(진리와 인문학의 완성, 신적 믿음과 인간적 이성)가 두가치 관점에서 다뤄지도록 해줘, 하나는 나머지 하나를 무시못하는 상태로. 이렇게해서 신에 대한 두 가지의 지식들이 있을 수 있어. 두번째론, 그 앎은 그 두가지 지식들을 위한 기반을 제공해. 하나는 내추럴한 이성의 빛의 힘을 통해서 기능하고, 다른 하나는 신성한 드러남의 빛을 통해서 기능해. 더가서, 그 둘은 적어도 어느 정도 더 뻗어나가면서, 각각의 길로 서로 배제하면서 자기껄 지켜나가, 왜냐면 그 둘은 타고난 것 자체로 달라. 성스런 가르침은 근본적으로 다른 거야 신학(신에 대한 앎).과는, 이 신학이란건 부분적으로 철학이야. 믿음과 이성은 서로 상충하는게 아니라 보완해준다 서로, 같은 진리를 다른 관점으로 제공하면서.

저 문장 자체론 저렇고, 믿음 과 이성. 의 계속되는 말이고, 슈퍼내추럴 과 내추럴 의 다른 측면이지만, 신에 대한 진리, 신에 대한 이야긴 저 두개를 포괄하는거고, 어느 하나만으론 절대로 부족한거고. 같이 쓰여져야 하고. 서로는 원래 태생적으로 다른 것이지만, 각각은 다른 관점을 제공하면서 서로서로 돕는 사이 이다.

Creation

As a Catholic Thomas believed that God is the "maker of heaven and earth, of all that is visible and invisible." Like Aristotle, Thomas posited that life could form from non-living material or plant life, a theory of ongoing abiogenesis known as spontaneous generation:

Since the generation of one thing is the corruption of another, it was not incompatible with the first formation of things, that from the corruption of the less perfect the more perfect should be generated. Hence animals generated from the corruption of inanimate things, or of plants, may have been generated then.[119]


창조. 카톨릭사람으로 토마스는 믿었다 신은 하늘과 땅의 메이커 라고. 보여지고 안보여지는거고. 아리형 처럼, 토마스는 말했다 생명은 무생물 물질 또는 식물에서 포름하면서 시작했던거라고, 이건 지금의 애바이오제너시스. 무생물기원 이론이고, 자발적 생성. 자연 발생설로 알려져 논쟁중인 아이엔지다.

하나의 생성은 다른 것의 손상이다. 그것은 첫번째 포메이션과 비호환되지 않는다, 호환된다, 덜 완벽함(완벽함이 덜한 존재)의 손상 파괴 에서 (별개의 다른존재.의)더 완벽함이 태어난다. 이렇게 동물들은 무생물적인 것들의 또는 식물들의 파괴에서 태어난 동물들은 그렇게 태어났을지도 모른다.

애니멀 이란 동물.은 아니마 아니무스. 라는 영혼 의 여자남자.인데. 이건 숨. 숨쉴때 숨이야. 아니모 가 나는 숨쉬다.여. 생명이란 영혼 이전에 숨쉬는거야. 이 숨쉬는 생명의 시작이 머냐는건데. 카톨릭 사람이 저따위 말을 하걸랑. 저건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이고. 생명의 기원인데, 바이오 제너시스. 생명에서 나와. 애바이오 제너시스. 무생물 에서 나와. 스폰테이니어스. 란건 자유의지고 자발적인겨. 자발적으로 자연스레 생겨 나온겨. 애바이오제너시스 와 상통해 이게.

바이오제너시스.는 이걸 끄집어낸 인간이 실험 오류로 끄집어 낸건데, 아마도, 니덜이 찾아보고. 모든 생명은 생명에서 나온거고 모든 세포는 세포에서 나온거고.

지금은 대게 저 애바이오.설 을 생명의 기원의 주류로 볼텐데.

동물의 세계에서도, 애미가 죽으면서 자식을 낳걸랑. 생명이란 게 파괴에서 나오는거고, 낳은 애미는 점점 인애니매이트, 숨이 없어지는 상태인 무생물적인 겨. 포름이 무너지면서, 완전함의 젊음이 더 레스. 줄어들면서, 완전함이 파괴가 되면서, 이게 다른 완전함을 낳는겨 새끼로. 완전함이 파괴가 되면서 또다른 완점함을 만들어 나가는겨.

최초의 생명도, 저런 관점으로 봐. 무생물적인 것에서, 생물이 시작한겨 이게.  그럴싸해. 아리스토텔레스.가 한 말이고, 요걸 지금도 써먹고, 토마스 아퀴나스도 저게 맞다며 인용해.

Additionally Thomas considered Empedocles's theory that various mutated species emerged at the dawn of Creation. Thomas reasoned that these species were generated through mutations in animal sperm, and argued that they were not unintended by nature; rather, such species were simply not intended for perpetual existence. That discussion is found in his commentary on Aristotle's Physics:

The same thing is true of those substances Empedocles said were produced at the beginning of the world, such as the 'ox-progeny', i.e., half ox and half man. For if such things were not able to arrive at some end and final state of nature so that they would be preserved in existence, this was not because nature did not intend this [a final state], but because they were not capable of being preserved. For they were not generated according to nature, but by the corruption of some natural principle, as it now also happens that some monstrous offspring are generated because of the corruption of seed.[120] 

더하여, 토마스는 엠페도클레스의 이론을 중요시 했다, 즉 다양한 변이들의 종들이 천지창조의 새벽에 나타난 거라고. 토마스는 이성으로 풀었다 이런 종들은 동물의 알(정자)를 통한 돌연변이들에서 시작한거라고. 그리고 주장했다 그 종들은 네이쳐가 의도 안한게 아니라고, 그런 다양한 종들은, 단지 영속적 영원한 존재를 향해서는 의도되지 않았을 뿐이라고(한 형태의 영속성을 유지 못하니 돌연변이될 수 밖에 없다. 네이처는 한 종의 영원성 지속성을 보장하지 않아 기본적으로. 보장되지 않는 영속성이 깨진 현상일 뿐이야. 즉 돌연변이도 이런 네이처의 특성에 의한 것이란거야). 그런 의견은 그의 아리스토텔레스의 피직스 에 대한 주석에 보인다.

같은 것이 엠페도클레스가 말했던 태초에 생산된 것들에게도 사실적이다. 황소 계통, 즉 반은 황소 반은 사람.에 대해서도. 그런 것들은 그런 존재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어떤 끝, 네이쳐의 마지막 상황 까지 이를 수 없었기 때문인데(네이쳐는 종의 영속성 영원성을 보장하지 않으므로), 이건 네이쳐가 이것을(그 마지막 상황을) 의도한게 아니라, 그러한 변이되어야만 했던 그들은 그렇게 유지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네이쳐에 따라서 태어난게 아니라 어떤 네추럴한 원리에 따른 파괴 훼손에 의해 그리 태어난거고(네이처의 지속성이 끝나면서 자연스레 다른 변이가 생겼다), 지금도 종종 발생한다 몇몇 괴물같은 것들이, 씨앗의 파괴때문에.

아 졸 그럴싸 한걸? 머 가타부타 설명이 필요가 없고.

Just war[edit]

See also: Just War
Augustine of Hippo agreed strongly with the conventional wisdom of his time, that Christians should be pacifists philosophically, but that they should use defense as a means of preserving peace in the long run. For example, he routinely argued that pacifism did not prevent the defence of innocents. In essence, the pursuit of peace might require fighting to preserve it in the long-term.[121] Such a war must not be preemptive, but defensive, to restore peace.[122]
Clearly, some special characteristics sets apart "war" from "schism", "brawling", and "sedition". While it would be contradictory to speak of a "just schism", a "just brawling" or a "just sedition" (the three terms denote sin and sin only) "war" alone permits sub classification into good and bad kinds. Curiously, however, Augustine does not work up a terminological contrast between "just" and "unjust" war.[123] Thomas Aquinas, centuries later, used the authority of Augustine's arguments in an attempt to define the conditions under which a war could be just.[124] He laid these out in his historic work, Summa Theologica:

  • First, war must occur for a good and just purpose rather than the pursuit of wealth or power.
  • Second, just war must be waged by a properly instituted authority such as the state.
  • Third, peace must be a central motive even in the midst of violence.[125]

정당한 전쟁. 히포의 오거스틴 이전썰. 선제적 전쟁이 아닌 방어적 전쟁이 정당하고 권위적 조직체가 해야 하는거고.

분명하게, 전쟁의 특징들을 그룹핑하면, 스키즘. 브롤링. 세디션. 인데. 스키즘은 대등한 집단이 떨어져 나가면서 전쟁하는거고, 세디션.은 이건 반란 이야. 권위에 대한 내부적 반란. 브롤링 은 흔한 전쟁이야 양 진영간의. 헌데 오거스틴 이 전쟁 을 말할 때는, 져스트 냐 언저스트냐, 정당하냐 부정당하냐 라는 단어는 쓰지 않았대. 그냥 전쟁을 회피해선 안된다고만 한거지. 토마스 아퀴나스는 오거스틴을 인용하면서, 져스트 한 전쟁의 조건을 규정한겨. 신학대전에,

첫째, 전쟁은 선하고 정당한 목적을 위해 벌어져야 한다. 부와 권력 추구를 위해서 보다는
둘째, 정당한 전쟁은 해야 한다, 최적으로 구성된 권위, 국가 같은, 에 의해서.
셋째, 평화가 핵심 동기여야 한다 폭력의 와중에도.

내전은 인정 안해. 오거스틴 이든 토마스든. 혁명따윈 개소리야. 아주 정확하게 맞는 깊은 진단이야 이건.

세상의 혁명, 세계사의 혁명 이란 이름의 내전 은 곧 카오스였고 무정부였고 잠시만의 배부른 돼지들만의 학살이었고. 아니면 배부른 돼지가 오랜 독재를 하는것 이 역사 의 가르침이야.

혁명 따윈. 없어. 세계사를 보니까.

미국독립혁명은 오거스틴 과 토마스 의 말에 벗어나지 않아. 둘 다 국가 라는 권위의 조직 이 해야 한다는거고, 쟤들은 정확히 국가 라는 사버린 을 갖춰서 독립전쟁을 한거야. 저건 정당한 전쟁이야.

유일하게 저걸 거스른듯 한게 메이지유신이지만. 이것도 더 보면 또한 토마스와 오거스틴의 정당성을 거스르지 않아. 대정봉환의 인간들은 덴노를 자기들 정당성으로 갖고 온 권위가 있는 세력이야. 일본애들이 엄청난겨 이게. 유일해 저 토마스 의 정당한 전쟁.의 테두리를 벗어나서 쟤들만의 나라를 업그레이드 한건. 이 일본 애들이, 앞으로 세상을 지배할 가장 어마무시한 애들이야.

무서운 애들이야 저들이.
.
저건, 자신에 대한 확실한 인정. 나는 열등하다. 라는 인식에서 나온겨. 유일해 이게. 열등함을 깨달은 유일한 사버린 단위의 애들이 일본애들이고, 다른 하나가 하와이야. 얘들은 그냥 확실하게 자기 사버린을 미국에게 줘.
.
School of Salamanca[edit]
Some 200 years later, the School of Salamanca expanded Thomas's understanding of natural law and just war. Given that war is one of the worst evils suffered by mankind, the adherents of the School reasoned that it ought to be resorted to only when it was necessary to prevent an even greater evil. A diplomatic agreement is preferable, even for the more powerful party, before a war is started. Examples of "just war" are:[citation needed]

  • In self-defense, as long as there is a reasonable possibility of success. If failure is a foregone conclusion, then it is just a wasteful spilling of blood.
  • Preventive war against a tyrant who is about to attack.
  • War to punish a guilty enemy.

살라망카 학파.
2백여년 후에, 살라망카 학파.가 토마스의 내츄럴 로. 와 정당한 전쟁.의 생각을 확장했다. 전쟁이란 인류가 겪는 가장 사악한것들 중의 하나라서, 저 학파의 사람들은 생각했다 더 거대한 사악함을 막기위해서 필요할때만 전쟁해야 한다고. 외교적 합의가 우선이어야 한다 더 강력한 집단도, 전쟁이 벌어지기 전에는. 정당한 전쟁의 예들은.

자기방어 가 되어야해, 합리적인 성공의 가능성이 있는한. 실패가 미리 예견된다면, 이때의 전쟁이란 단지 무의미한 피흘림이다.
참주 가 공격할 것에 대항한 방어적 전쟁.
유죄의 적을 벌주는 전쟁.

살라망카 학파.는 16세기에 르네상스때 생기는, 살라망카 유니버시티 의 학파야. 이 살라망카 대학.이 중세 대학 7번째고, 6번째가 팔렌씨아 대학이고. 둘다 스페인이고, 팔렌씨아 는 바야돌리드 대학에 합병되고, 살라망카 대학이 지금 현존하는 세계 3번째 오래된 대학이야.


A war is not legitimate or illegitimate simply based on its original motivation: it must comply with a series of additional requirements:[citation needed]

  • The response must be commensurate with the evil; more violence than is strictly necessary would be unjust.
  • Governing authorities declare war, but their decision is not sufficient cause to begin a war. If the people oppose a war, then it is illegitimate. The people have a right to depose a government that is waging, or is about to wage, an unjust war.
  • Once war has begun, there remain moral limits to action. For example, one may not attack innocents or kill hostages.
  • The belligerents must exhaust all options for dialogue and negotiation before undertaking a war; war is legitimate only as a last resort.

Under this doctrine, expansionist wars, wars of pillage, wars to convert infidels or pagans, and wars for glory are all inherently unjust.

전쟁은 발생하는 동기에 따라서 합법이냐 불법이냐 가 아니다. 반드시 다음의 조건들을 따라야 한다. 대응이 그 적이라는 악마에 맞는 정도여야 하고 필요 이상 가혹 폭력은 부정당한거고, 전쟁 선포를 해야하고. 사람들이 반대하면 불법이고. 사람들은 전쟁을 일으키는 정부를 뒤엎을 법적권리가 있고. 전쟁이 발생하면 모랄의 선이 있어서 무죄의 자들을 공격하면 안되고 인질 죽이면 안되고, 사령관들은 대화를 위해 모든 옵션을 다 해야 하고 전쟁전에 협상해야 하고 전쟁은 마지막 수단이어야 하고. 약탈을 위한 전쟁, 무신앙자나 페이건들을 개종하기 위한 전쟁, 잘난척 위한 전쟁은 그 자체로 부정당하다.

저런 전쟁의 명분과 선들이, 이게 아시아 역사의 전쟁들과 전혀 달라 이게. 이 동양쪽 전쟁과 서양쪽 전쟁의 저런 기본 마인드 차이가 완전히 둘이 달리 간거야. 이 아시아쪽, 동아시아쪽의 그야말로 학살을 위한 학살은 이게 엄청난겨 저 중국사가. 이전 썰. 이걸 팩트로 비교해서 말하는 애들이 없어. 기본 에띡스 가 이 아시아 역사에 없어 이게. 내 전쟁사들을 쭉 보고 확연하게 드는 결론이 저 이야기들이야. 유럽애들이 저런 것과, 칸트의 영구 평화론의 작은 책자를 다 가슴에 담고 익히고, 월드워 끝나고, 그냥 식민지들을 다 준거야. 어떤 병딱이 양키는 내셔널리즘 더 외쳐주고. 저 내셔널리즘 으로 아프리카 아시아 는 진짜 흑역사로 갔고, 아이앤지고 현재.

내셔널리즘 을 주창하는 지금도 여전히 하는 애들은, 그야말로 무지 그 자체야.

Nature of God[edit]

Thomas believed that the existence of God is self-evident in itself, but not to us. "Therefore I say that this proposition, "God exists", of itself is self-evident, for the predicate is the same as the subject ... Now because we do not know the essence of God, the proposition is not self-evident to us; but needs to be demonstrated by things that are more known to us, though less known in their nature—namely, by effects."[126]
Thomas believed that the existence of God can be demonstrated. Briefly in the Summa theologiae and more extensively in the Summa contra Gentiles, he considered in great detail five arguments for the existence of God, widely known as the quinque viae (Five Ways).
For detailed analysis of the five proofs, see Existence of God
For the original text of the five proofs, see Quinque viae

신의 네이쳐. 토마스는 신의 존재는 그자체로 자명하지만 우리에겐 그렇지 않다. 라고 믿었다. 그러므로 나는 말한다 이 명제를, 신은 존재한다, 그자체로서 자명하고, 서브젝트가 말한 것 은 서브젝트 와 같다(말하는 주어의 주장문 서술문이 곧 주어다. 주어 = 서술어) 지금 우리는 신의 에센스를 모르기 때문에, 그 명제(신은 존재한다)는 자명하지 않다 우리에겐. 그러나 검증될 필요가 있다 우리에게 더 알려진 것들에 의해, 비록 그 것들이란 것의 네이쳐는 덜 알려졌지만, 즉, 이펙트들. 낙인들 영향받아 찍힌 것들.(로 검증하면 된다)
토마스는 믿었다 신의 존재는 검증될 수 있다고, 숨마와 겐틸레스 에서. 아주 상세하게 다섯가지 주장들을 했다 신의 존재에 대해. 보다 자세한 다섯가지 증거들. 그 원전 텍스트.는 가서 찾아보고.

  • Motion: Some things undoubtedly move, though cannot cause their own motion. Since, as Thomas believed, there can be no infinite chain of causes of motion, there must be a First Mover not moved by anything else, and this is what everyone understands by God.
  • Causation: As in the case of motion, nothing can cause itself, and an infinite chain of causation is impossible, so there must be a First Cause, called God.
  • Existence of necessary and the unnecessary: Our experience includes things certainly existing but apparently unnecessary. Not everything can be unnecessary, for then once there was nothing and there would still be nothing. Therefore, we are compelled to suppose something that exists necessarily, having this necessity only from itself; in fact itself the cause for other things to exist.
  • Gradation: If we can notice a gradation in things in the sense that some things are more hot, good, etc., there must be a superlative that is the truest and noblest thing, and so most fully existing. This then, we call God
  • Ordered tendencies of nature: A direction of actions to an end is noticed in all bodies following natural laws. Anything without awareness tends to a goal under the guidance of one who is aware. This we call God[127]

신이 존재한다 라는 다섯가지 증거.
움직임: 어떤것들은 의심의 여지없이 움직여, 자기 자신의 움직임의 원인 없이도. 따라서, 토마스는 믿었어. 움직임의 원인들에 대한 무한한 연속의 체인은 있을 수 없어. 최초의 움직이에 하는 자.가 분명히 있어야 해, 이 자는 다른 어떤것에 의해서도 움직여지지 않아. 이 최초의 무버.가 우리가 이해하는 거야. 신. 이라고.

원인: 움직임의 사례처럼, 아무것도 그 자체로서 원인이 될 수 없어, 무한한 원인의 체인이란 불가능해. 첫번째 원인.이 있어야 해. 그걸 단지 갓, 신이라고 부를 뿐이야.

필수불가결한 존재.와 그 불필요함: 우리는 경험상 확실히 존재하지만 분명히 불필요한 것들 이 있다는걸 알아. 모든 것이 불필요할 수는 없어, 그렇다면 한번 낫씽이었으면 그럼 계속 낫씽이어야 하걸랑. 그러므로, 우리는 어찌할 수 없이 먼가는, 필수불가결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가정할 수 밖에 없고 이 필수불가함을 오직 그 자체에서 갖는거야; 사실상 스스로 다른것들을 위한 원인이 되는것으로 존재하면서.

네시서리 necessary 라는 말이 케도 cedo 에 낫이 붙은겨. 주고 피하고 물러나고 를 못해. 운명이야 명사형은. 그럴 수 밖에 없어. 세상에는 운명적인 필수적인 법에 의한 네시서리가 있고 경험상 언네시서리 한 것들도 있어. 하필 네시서리 의 것이 가장 바닥인 신의 존재.를 네시서리 해야한다며 논리를 끄잡어 내는게 억지스럽지만.

단계오르기: 우리가 것들에서 어떤 단계를 눈치챈다면, 즉 어떤것들은 더 뜨겁고 좋고 등등, 반드시 최상의 어떤 단계도 있어서 가장 진짜스럽고 고급진 것이 있어, 그렇게 가장 완전하게 존재하는게 있음에 틀림없어. 그걸 우린 신이라 불러.

네이쳐의 명령된 경향들, 행동 움직임들은 결국 끝을 향해 간다는 어떤 지정된 방향성이 있다는걸 알게돼 모든 몸의 것들을 볼때, 내츄롤한 법들을 따르면서. 모든 각각은 (그 방향성의 이정표들을 몰라도) 자각없이 어떤 끝을 향해 가는 경향이 있어, (자각없어서 눈치는 못채지만) 무엇인가의 가이드 하에. 이 무엇인가는 알아 그 길들을. 우리는 이 무엇인가를 신이라고 불러.

Concerning the nature of God, Thomas felt the best approach, commonly called the via negativa, is to consider what God is not. This led him to propose five statements about the divine qualities:

  • God is simple, without composition of parts, such as body and soul, or matter and form.[128]
  • God is perfect, lacking nothing. That is, God is distinguished from other beings on account of God's complete actuality.[129] Thomas defined God as the 'Ipse Actus Essendi subsistens,' subsisting act of being.[130]
  • God is infinite. That is, God is not finite in the ways that created beings are physically, intellectually, and emotionally limited. This infinity is to be distinguished from infinity of size and infinity of number.[131]
  • God is immutable, incapable of change on the levels of God's essence and character.[132]
  • God is one, without diversification within God's self. The unity of God is such that God's essence is the same as God's existence. In Thomas's words, "in itself the proposition 'God exists' is necessarily true, for in it subject and predicate are the same."[133]

신의 네이쳐.에 대해서, 토마스 는 자기가 최고의 접근법이라며, 공통적으로, 부정을 통해서, 도출해내는데.

신은 심플하다. 몸이나 영혼, 매터나 포름 따위의 부분들의 조합이 아냐.
신은 퍼펙트해. 낫씽이 부족해. 이런표현이 좋아. 부족한게 없는겨. 다른것과 구분되는 신의 특성은 완전한 존재야.
신은 무한해. 신은 유한 하지 않아 다른 것들이 물리적 지쩍 정서적 한계의 유한함과 달리. 이 유한함은 크기의 무한함 수의 무한함과 구분되는 유한이야.
신은 불변해. 신의 에센스 와 캐릭터 의 레벨에서, 변할 수가 없어.
신은 하나야. 신 그 자체 안에 나눠짐은 없어. 신은 하나 그자체야. 신의 하나, 신의 에센스, 신의 존재, 는 똑같은 정도의 의 다른 세 페르소나라는건데, 삼위일체 논쟁할때 논법을 이따위로 써먹는겨 짜증나게. 신은 존재한다.라는 그자체로 명제는 어찌할수없는 필요불가결한 참 이다. 왜냐면 이 명제 안에 주어 와 서술어 는 같기 때문에. 신이란 의미와 존재한다 란 의미가 같은 의미란겨.

물론, 당연히 먼 놈의 저따위 개소리다냐. 하면서 바로 칼들고 덤비는 스콧의 둔스.라는 스코티우스.가 토마스 죽고 바로 티나오는겨 프란체스칸.이. 저따위가 존재의 증명이냐 저따위가 신의 속성이냐. 존재 라는 것과 네이쳐의 저따위 속성이란게 구분이 되는거냐. 존재한다며 끌어내는 서술어랑 신의 네이쳐의 속성이 다섯 각각이 구분이 되냐 니는?

얘들은 어떤 거 머시기 자리 에 대한 숭배 숭상 질이 없어. 이게 또한 동양빠닥과 다른겨. 저긴 원탁의 기사로 가걸랑. 교회도. 동양빠닥의 예의 놀이의 그따위 피라미드에 갇힌 고개숙임이 없어. 동양에서 저러면, 적폐가 되는겨 이게. 그래서 지금도 조선민국은, 감히 어찌 우리 대왕님께 예의 없는, 무례한 짓이라며 분노하는거야 딱갈이 애들이. 북조선과 어법이 전혀 다른게 없어. 지금은 조선시대 육백년째걸랑 남조선 북조선이.

Nature of Sin[edit]

Following St. Augustine of Hippo, Thomas defines sin as "a word, deed, or desire, contrary to the eternal law."[134] It is important to note the analogous nature of law in Thomas's legal philosophy. Natural law is an instance or instantiation of eternal law. Because natural law is what human beings determine according to their own nature (as rational beings), disobeying reason is disobeying natural law and eternal law. Thus eternal law is logically prior to reception of either "natural law" (that determined by reason) or "divine law" (that found in the Old and New Testaments). In other words, God's will extends to both reason and revelation. Sin is abrogating either one's own reason, on the one hand, or revelation on the other, and is synonymous with "evil" (privation of good, or privatio boni[135]). Thomas, like all Scholastics, generally argued that the findings of reason and data of revelation cannot conflict, so both are a guide to God's will for human beings.

죄의 네이쳐. 히포의 오거스틴.을 따라서, 토마스는 죄를 이터널 로.에 반하는 하나의 말, 행동, 또는 바람.으로 규정한다. 토마스의 법적 철학에서 법에 대한 비유적인 네이쳐.를 표기하는 방식은 중요하다. 내추럴 로.는 이터널 로의 예시, 즉 구체화 이다. 내추럴 로.는 인간들이 그들 자신의 네이쳐(이성적인 것들)에 따라서 정하는 것.이고, 이성에 불복종하는 것은 내추럴 로 와 이터널 로 를 불복종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터널 로.는 논리적으로 내추럴 로(이성에 의해 정해진).또는 디바인 로(구약과 신약에 근거를 둔)의 수용함보다 앞 자리다. 다시 말해서, 신의 의지는 이성과 드러남까지 확장 될 것이다. 죄는 그 자신의 이성을, 그리고 드러남(계시) 를 파괴하는 것이고 악(선이 없음)과 같은 말이다. 토마스는 모든 스롤라들처럼 일반적으로 주장했다 이성이 발견한 것들과 드러남의 자료들은 상충할 수 없다고, 그 둘은 인간들을 위한 신의 의지로 가는 가이드라고.

Nature of the Trinity[edit]

Thomas argued that God, while perfectly united, also is perfectly described by Three Interrelated Persons. These three persons (Father, Son, and Holy Spirit) are constituted by their relations within the essence of God. Thomas wrote that the term "Trinity" "does not mean the relations themselves of the Persons, but rather the number of persons related to each other; and hence it is that the word in itself does not express regard to another."[136] The Father generates the Son (or the Word) by the relation of self-awareness. This eternal generation then produces an eternal Spirit "who enjoys the divine nature as the Love of God, the Love of the Father for the Word."
This Trinity exists independently from the world. It transcends the created world, but the Trinity also decided to give grace to human beings. This takes place through the Incarnation of the Word in the person of Jesus Christ and through the indwelling of the Holy Spirit within those who have experienced salvation by God; according to Aidan Nichols.[137]

삼위일체의 네이쳐. 토마스 의 삼위일체는 초기 교회 칼케돈 공회의 에서 정리되는 삼위일체 여 이건. 더하여 더 명확히 해. 페르소나 셋의 관계에 신경 꺼라. 아빠가 아들을 낳아. 페르소나 의 관계를 말하지 말라고 해. 그러면서 아빠가 아들을 낳고 이들이 성령을 생산해. 이건 바닥 실재 의 관계를 말하는겨 이건. 로마카톨릭의 삼위일체는 1215의 것이 제일 기준이야. 이 삼위일체 는 순서 이야기가 나오면서 필리오케 로 완전히 이건 억지 논리로 진행해. 저게 삼위일체야. 낳고 낳아지고 나오고 하면서 요것만 제외하고 서로 시작도 끝도 없다, 너무나 궁색하고 시안한 삼위일체가 된겨 1054년에서 시작하고 1215년에 마무리하는 로마카톨릭의 삼위일체는. 페르소나 의 관계로 저리 말하던가.

천년의 삼위일체 논쟁을 마무리하는것 치곤 너무나 저급해버렷어 저건.

Prima causa (first cause)[edit]

Thomas's five proofs for the existence of God take some of Aristotle's assertions concerning principles of being. For God as prima causa ("first cause") comes from Aristotle's concept of the unmoved mover and asserts that God is the ultimate cause of all things.[138]

프리마 카우사. 퍼스트 코즈. 제1원인. 일시무시일. 아리형 관념에서 갖고 왔는데, 저 언무브드 무버 는 아리스토텔레스 의 말이 아냐. 여기 학생애들의 후대 의 말이야.

Nature of Jesus Christ[edit]

In the Summa Theologica Thomas begins his discussion of Jesus Christ by recounting the biblical story of Adam and Eve and by describing the negative effects of original sin. The purpose of Christ's Incarnation was to restore human nature by removing the contamination of sin, which humans cannot do by themselves. "Divine Wisdom judged it fitting that God should become man, so that thus one and the same person would be able both to restore man and to offer satisfaction."[139] Thomas argued in favor of the satisfaction view of atonement; that is, that Jesus Christ died "to satisfy for the whole human race, which was sentenced to die on account of sin."[140]

지저스의 네이쳐. 삼위일체 정체나 지저스 정체. 논란 정리된 걸, 이사람이 다시 하는겨. 이게 로마 카톨릭 진영에서 독자적으로 이렇게 한 적이 없는겨. 이 로마카톨릭은 토마스 아퀴나스 가 이때 모든 걸 다 하는겨. 집대성하면서. 엄청난 인간이야. 헌데 자기만의 관점이 스민거고. 이 원죄.는 오거스틴 이 갖고 온걸 아주 대못질을 해버리면서 이놈의 원죄가 걍 그리스도 교리의 중심이 되어버린건, 오거스틴 과 토마스 아퀴나스여. 아담과 이브 이야길 걸고 넘어지면서. 더하여, 이런 원죄를, 지저스가 죽으시면서, 모든 인류를 위해 속죄 대속하고 만족시켰고 이 원죄를 원인으로 사형 판결을 받았다.는 이야기는, 성경에 없는 말이고, 토마스 아퀴나스 가 대문짝만하게 쓴겨 이걸. 원죄 이야긴 이 두 사람의 합작품이야.

Thomas argued against several specific contemporary and historical theologians who held differing views about Christ. In response to Photinus, Thomas stated that Jesus was truly divine and not simply a human being. Against Nestorius, who suggested that Son of God was merely conjoined to the man Christ, Thomas argued that the fullness of God was an integral part of Christ's existence. However, countering Apollinaris' views, Thomas held that Christ had a truly human (rational) soul, as well. This produced a duality of natures in Christ. Thomas argued against Eutyches that this duality persisted after the Incarnation. Thomas stated that these two natures existed simultaneously yet distinguishably in one real human body, unlike the teachings of Manichaeus and Valentinus.[141]

그리고, 토마스 가 네스토리우스 아폴리나리스 에우티케스 마니교도 발렌티누스 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하면서 삼위일체와 지저스의 정체성 의 제대로 된 이야길 하는건, 아주 정확하게 칼케돈 공회의 의 논법과 똑같아. 이전 길게 자세하고 이해되기 싶게 말해서 넘어감.

한글로 된 최고의 풀이들이 이전에 정리한, 삼위일체 시리즈와 이단 시리즈야. 저리 정리된건 없다. 누가 보겄냐마는.

Goal of human life[edit]

Thomas Aquinas identified the goal of human existence as union and eternal fellowship with God. This goal is achieved through the beatific vision, in which a person experiences perfect, unending happiness by seeing the essence of God. The vision occurs after death as a gift from God to those who in life experienced salvation and redemption through Christ.
The goal of union with God has implications for the individual's life on earth. Thomas stated that an individual's will must be ordered toward right things, such as charity, peace, and holiness. He saw this orientation as also the way to happiness. Indeed, Thomas ordered his treatment of the moral life around the idea of happiness. The relationship between will and goal is antecedent in nature "because rectitude of the will consists in being duly ordered to the last end [that is, the beatific vision]." Those who truly seek to understand and see God will necessarily love what God loves. Such love requires morality and bears fruit in everyday human choices.[150]

인간의 삶의 목적. 토마스는 인간 존재의 목적지 결승선을 신과 하나가 되고 영원한 동반자 관계되기.라고 했다. 이 결승선은 뷰티픽 비젼. visio beatifica 비시오 베아티피카. 이건, 명령형 이야. 아름다운 비전 이 아니고. 바라봄 이여 아름답구나! 행복하여라! 라는 말이야 라틴어가. 황홀의 감정을 그대로 쓴겨 토마스 아퀴나스는. 저 결승선 테이프를 끊은 사람은 볼 수 있는겨 신의 애퍼리션. 환영을. 신의 에센스 를 보면서 끝없는 행복감을 느끼는 개인의 체험이야.

이런 비젼은 죽음 후에 일어난다 신으로부터의 선물로, 지저스의 구원과 대속을 삶면서 경험했던 이들에게.
신과 하나되었다 는 결승선은 지구에서 개인의 삶에 관한 것들을 말하는거다. 토마스는 썼다, 개인의 의지는 옳바른 것들에 따라야 한다, 자선 평화 성스러움 등. 그는 이런 지향점을 행복에로의 길로 또한 봤다. 토마스는 모랄적 삶을 행복이란 이데아 주변에 배열했다. 의지와 결승선의 관계는 네이쳐 에서 앞자리에 위치한다. 왜먀면 의지의 청렴 결백이란 모랄은 그 마지막 끝, 즉 환상적인 애퍼리션의 비전체험.을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신을 진실로 이해하고 보고자 하는 자들은 반드시 신이 러브하는 것을 러브 할 것이다. 그러한 러브는 모랄.을 필요로 하고 매일의 인간으로서의 선택지들에서 열매를 품는다.

인간의 삶의 목적. 이 챕터가 말이 상당히 좋고 깊다.

이단은 넘어가자. 요문구 하나 For Jews, Thomas argues for toleration of both their persons and their religious rites.[152] 유대인들에게는, 그 사람들과 그들의 종교예배식들에 대해 관용하라고 주장한다.

나머지 죽음이후와 부활 은 철학 부분과 상당히 겹치므로 생략하자.

토마스 아퀴나스! 안녕~~

당신글 볼만은 했는데, 너무 아리형꺼 갖고 온거 같오

한번 내꿈에 방문하러 와앙~~

나도 당신이 느껴본 성령체험 좀 해보자~앙~~~

아이를아 은제 올거냐~~~앙~~~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