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lagius (c. AD 354 – 418) was a theologian who advocated free will and asceticism. He was accused by Augustine of Hippo and others of denying the need for divine aid in performing good works. They understood him to have said that the only grace necessary was the declaration of the law; humans were not wounded by Adam's sin and were perfectly able to fulfill the law without divine aid. Pelagius denied Augustine's theory of original sin. His adherents cited Deuteronomy 24:16 in support of their position. Pelagius was declared a heretic by the Council of Carthage (418). His interpretation of a doctrine of free will became known as Pelagianism.  

 

펠라기우스. 브리튼 태생이야 구체적으로 몰라 다 지워져서. 이 영국이란 나라의 저력인데 이 펠라기우스.같은 이들이 있어서 뒤에 로저 베이컨.에 오컴의 윌리엄 이 나오걸랑. 토마스 아퀴나스보다 먼저여 로저베이컨은. 

.

 

펠라기우스.가 아주 독특한 사람이야 생각이. 이 서쪽에서 지금도 여전히 달라. 동쪽교회진영에선 관심도 없는 주제였고 오히려 로마카톨릭의 저 오거스틴 때문에 논쟁에 휘둘렸지만. 이게 소위 원죄. 오리지널 씬. 이란거고, 이것과 같이 엮이는게 신의 그레이스. 라는 은총 이야. 일본애들이 번역한 은총. 신의 따뜻한 햇볕. 고통을 제거해주는 구원의 빛. 

 

히포의 오거스틴.도 354년 생으로 봐. 둘이 동갑이여. 제롬이 일곱살 많아. 

 

로마가 비지고쓰족 알라릭에 약탈당하는게 서기 410년 이야. 저때 펠라기우스.가 로마에 있었걸랑. 56세. 로마의 최고직 인간 코트에서 누리고 있다가 로마약탈로 바다건너 카르타고 에 간겨. 여기 옆에 히포의 오거스틴 동갑내기가 있던거고. 

 

이 펠라기우스 가 오거스틴 을 만나면서 저때, 다른 생각이 생기고 이걸로 이단 이 되면서, 그리스도 교회 진영에서 프로테스탄트 진영에서도 이단이야 이사람은. 루터가 티나올때 로마 카톨릭을 펠라기우스 와 엮으면서 이단이라 하걸랑. 니덜 하는짓이 펠라기우스 생각과 다를게 없다며. 

 

Caelestius (or Celestius) was the major follower of the Christian teacher Pelagius and the Christian doctrine of Pelagianism, which was opposed to Augustine of Hippo and his doctrine in original sin, and was later declared to be heresy.  

 

카일레스티우스. (켈레스티우스) 펠라기우스 를 따라다니던 사람이야. 같이 이단이 되는건데. 저들이 저때 북아프리카로 가서 오거스틴의 이야길 접하고 펠라기우스 가 다른 주장을 한거야. 스토리를 죽 보면. 

 

지금 어떤 이들은, 펠라기우스 가 당시 오해되었다며, 극단적 주장은 잘못 이해 된거고, 오쏘독스 일 뿐이었다고 말하지만. 오쏘독스 는 맞아. 헌데 오역은 아냐. 펠라기우스 는 지금도 교회진영들 은 인정 안해 대부분에서는. 

.

 

그런데 저 지점이 문제가  많아 이게. 왜냐면 토마스 아퀴나스.가 이게 문제여. 이 토마스 아퀴나스 는 두 가지가 문제여 이건. 로마 카톨릭 입장에서. 삼위일체 와 원죄. 1215의 라테르노 공회의의 삼위일체 를 토마스 아퀴나스.가 숨마 테오로기아 에서 인용하면서 아예 대못을 박고 이걸 따르는거지만 계속. 로마카톨릭의 삼위일체는 이건 문제야. 프로테스탄트 애들도 대충 넘어가는거고.

 

The Shield of the Trinity or Scutum Fidei (Latin for "shield of faith") is a traditional Christian visual symbol which expresses many aspects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summarizing the first part of the Athanasian Creed in a compact diagram. In late medieval Europe, this emblem was considered to be the heraldic arms of God (and of the Trinity).  

 

삼위일체.가 7개 초기 공회의에서 결론난 그 삼위일체.는 오소독스 꺼야. 여기서 필리오케 문제로, 그리고 아들. 을 끼어 넣으면서 떨어져 나간 큰 이유가 된거걸랑. 그리고 이 로마카톨릭은, 삼위일체 방패여. 얘들도 딱히 이걸 마치 저 초기 공회의와 입장이 다르지 않다며 저걸 제대로 말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말이야. 내가 보기엔  심각한겨 저건. 

 

그렇다고 저 삼위일체 방패.를 저게 로마카톨릭.의 삼위일체 그림이요, 라고 공회의 수준이나 교황이 선포한 것도 아니고. 저걸 그냥 헤럴드리로 서로들 쓰는겨. 저 삼위일체 를 가만 보면  웃긴겨 저게. 

 

삼위일체 방패.는 저들이 정리한 삼위일체 천년의 결론과도 전혀 맞지 않아. 저건 공인을 할수 없는 이미지야. 저걸 지들도 알아.

 

로마카톨릭 에 아주 정통한 인간에게 물어봐, 당신들 삼위일체 가 칼케돈 공회의 의 그거요? 

 

로마카톨릭은 1215년 라테르노 공회의 에서 정리를 해. 

.

 

The main achievement of the Shield of the Trinity diagram is to transfer a large part of the essential "mystery" or "paradox" of the Christian doctrine of the Trinity from the realm of complex verbal philosophical abstractions and esoteric theological vocabulary to the realm of simple logic, as presented in the relatively easily graspable form of a concrete and conveniently compact visual diagram. It is remarkable as a basically successful attempt, roughly 800 years old, to represent a complex set of abstract concepts in precise graphic form (as opposed to many of the near-contemporary attempts of Joachim of Fiore and Raymund Lull, which were not so successful). Thus it is perhaps one of the oldest widely attested "graphs", in the sense of graph theory (technically, it is a complete graph on 4 vertices, the same as the vertices and edges of a tetrahedron).  

 

삼위일체 방해.란 그림은 삼위일체 란 것의 본질적인 미스테리. 파라독스 의 대부분이라며 전해졌어. 여러 상징들로. 8백년 된겨 저게. 12세기 에 처음 등장한 듯 보이고. 헌데 저것에 대한 어떤 권위부여도 없으면서 저걸 다들 쓰고, 삼위일체를 가르칠때 저게 대표적 상징이야 이 로마카톨릭이. 프로테스탄트나 앵글리칸은? 

 

 

 

 

Unlike some other logical or mathematical constructs sometimes offered as analogies for the Trinity (such as the Venn diagram and the cube viewed by inhabitants of a two-dimensional plane[6]), the Shield of the Trinity does not too easily lend itself to interpretations that are non-orthodox from the traditional mainstream Christian point of view.  

 

지금 삼위일체 방패.는 저게 삼위일체 이야기를 서로 같이 그린건데 말야. 저건 페르소나 를 그린게 아니라 바닥의 실재 를 그린거야. 저건 쟤들이 저 글에서, 논-오소독스. 가 비 정통적인 쪽의 삼위일체 란거지 저게 오소독스 교회 의 영어가 아냐. 오소독스 란 동방카톨릭으로 저걸 썼으면 저사람은 잘못 쓴거고. 

 

오소독스 처치.에선 저 삼위일체 방패 를 쓸 수 없어. 오소독시 는 성부가 성자를 낳은거고, 성부가 성령을 낳은겨. 이 이상 진도 안나갔어 쟤들은. 쟤들은 초기 공회의 칼케돈으로 정리 끝났어. 오소독시 는 저거 쓰면 안돼 저 삼위일체 방패. 가서 쓰지 말라고 해 혹 쓰는 애들 있으면.

 

로마 카톨릭은 저걸 써도 돼. 왜냐면. 

 

The Fourth Lateran Council (1215) adds: "In God there is only a Trinity since each of the three persons is that reality — that is to say substance, essence or divine nature. This reality neither begets nor is begotten nor proceeds; the Father begets, the Son is begotten and the holy Spirit proceeds. Thus there is a distinction of persons but a unity of nature. Although therefore the Father is one person, the Son another person and the holy Spirit another person, they are not different realities, but rather that which is the Father is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ltogether the same; thus according to the orthodox and catholic faith they are believed to be consubstantial."[80]

 

얘들은 저 필리오케.로 인한 선후문제 누가 낳느냐, 이걸 1215년 4차 라테르노 공회의. 로마카톨릭 만의 회의야 이젠. 이때 이걸 정리한겨. 동서교회 분리하고 160년 만에. 저건 낳고 낳여지고 만들고 만들어지는 선후 문제야. 이것때문에 오소독스와 헤어진겨 명분은. 이때 얘들이, 리앨래티, 실재. 바닥. 은 어느 누구도 낳고 낳여지고 나오고 하지 않다. 이걸 1215년에야 정리한겨 로마 카톨릭만. 

 

이건  중요한 말이야. 

 

얘들이 말을 아주 교묘하게 대충 쓰는데 이게. 카톨릭 사이트 원래껄 갖고 오면 저당시의 공회의 자료결론을

 

https://catholicism.org/lateran-iv.html

Chapter I. The Catholic Faith

Firmly we believe and we confess simply that the true God is one alone, eternal, immense, and unchangeable, incomprehensible, omnipotent and ineffable, Father and Son and Holy Spirit: indeed three Persons but one essence, substance, or nature entirely simple. The Father from no one, the Son from the Father only, and the Holy Spirit equally from both; without beginning, always, and without end; the Father generating, the Son being born, and the Holy Spirit proceeding;  

 

이게 저때 1215년.의 결론의 시작이야. 

 

아빠 아들 성령 은 세가지 페르소나.지만 하나의 엣센스 서브스턴스 네이쳐 에 완전히 단순한 하나의 덩어리로 되어있단겨. 아빠는 아무도 부터도 아냐. 아들은 오직 아빠로 부터. 성령은 둘다로 부터 똑같이 나오는겨. 

 

그러면서, 시작이 없고, 끝도 없고, 아빠는 낳고, 아들은 태어나고, 성령은 나오고. 

 

저러면서, 아주 매우 중요한건, 저 낳고 낳여지고 나오고,를 저 문구에선 마치 바닥 실재 의 관계도 로 말한거야. 이건 역시 토마스아퀴나스 가 확인을 한겨. 아퀴나스 는 페르소나의 관계를 따지지 말라고 했어. 즉 저 낳고 낳여짐은 실재 관계란거야. 이런면에서 본다면 삼위일체는 아주 매우 잘못된 그림이야. 그래서 얘들이 이걸 공인을 안하는거야. 미스테리 파라독스 어쩌고 하는거고. 

 

헌데 저문장 결론에서는 1215에. 저게 속모습이냐 겉모습 이냐 를 정리를 못한거야 얘들이, 이렇게도 저렇게도 할 수가 없어 저걸. 천년간 그렇게 되어온걸 저들이 어찌할수 없어. 무엇보다 성경에 온니 비같튼 썬 이라며 독생자 이야기가 낳오고 성령이 프러시드, 나오고 하는게 찍혔걸랑. 저 관계도를 저들이 어떻게 부정을 한단 말이니.

 

 

 

교묘한겨 저게. 저리 걍 뭉뚱그려 애매하게 말하고 입싹 닫은겨. 말이 안되는겨 저게 뭔 말이냐고. 시작은 처음도 끝도 없는 각각이 낳고 나오고 만들고. 

 

어느누구도 낳고 낳여지지 않아. 이건 리앨리티 야. 이게 시작도 끝도 없는 셋이야. 그리고 낳고 낳여지고 나오고.는 저건 페르소나 야. 이렇게 명확하게 말하기가 싫은겨 쟤들이. 오소독시는 저런 말을 안써. 시작과 끝이 각각 없다 는 말은 없어초기 일곱개 공회의에. 단지 저 순서만 쓴겨 아빠가 성자와 성령을 낳는겨. 그리곤 셋이 본질이 같다. 분명히 이런 선후를 만들었어. 이걸로 필리오케 를 쑤셔넣어서 둘이 헤어진거고. 

 

저것에 대한  구차한 변명을 쟤들이 1215년에 저렇게 두리뭉술하게 해버린겨. 페르소나 가 낳고 낳여지고 나오고. 라고 분명하게 쓰던가. 위키영어 해설된 저 백과사전도 말이 안되는겨 낳지도 낳아지지도 않으면서 뜬굼없이 아들만 낳고 아들은 낳여지고 성령은 둘에 똑같이 둘에서 나오고. 말이 되냐고 먼 신비함도 아니고 역설도 아니고. 

 

저건 천년간의 논쟁을  무의미 하게 정리한겨. 

 

.

삼위일체방패는 바닥 실재 측면에선 로마카톨릭이 써도 돼. 저런 관계를 페르소나 라고 한다면. 헌데 딱히 페르소나끼리 저렇다 라고 말도 못하는겨 쟤들이. 

 

.

 

토마스 아퀴나스 는 페르소나의 관계에 대해 논하지 말라고 했어. 즉 낳고 낳여짐 은 바닥 실재를 갖고 말한거야. 이게 로마 카톨릭에서 1215년에 이걸 쓴거야. 이걸 아퀴나스가 인용한거고. 

 

The Father from no one, the Son from the Father only, and the Holy Spirit equally from both; without beginning, always, and without end; the Father generating, the Son being born, and the Holy Spirit proceeding;    

 

이 말로 퉁친겨 1215년에. 시작도 끝도 없는데 아빠가 낳고 아들은 태어나고 아빠로 부터. 성령은 나오고 둘에게서. 

 

얘들이 1054년에 저 순서 문제를 일으키고 160년동안 문제가 있는 걸 안거야. 저게 공회의들 끝나고, 우리의 다짐 하면서 똑같이 넣는 문구가 아냐. 가장 중요한겨 저게. 문제가 되었던거야 160년 동안. 그러면서 시작도 없고 끝도 없다는 말과 함께 오직 예외사항, 아빠가 낳고 아들은 오직 아빠한테서만 태어나고 성령은 둘다에서 똑같이 나오고.

 

완벽한 개소리야. 시작도 없고 끝도 없다는 말을 넣지 말던가. 그냥 영원하기만 하면 돼. 이 영원하단걸 알렉산드리아의 아따나시오스 가 이걸 넣으면서 이것 갖고 오고, 하면서 순서 문제가 저때 생긴겨. 초기 공회의들에선 저런 건 문제제기를 안했어. 

 

말도 안되는겨. 신비롭지도 않고 역설도 아니고. 페르소나 의 관계로 순서를 말해도, 실재 의 성격을 건드리지 않는겨. 로마 교리단에 전화해서 바꾸라고 해

.

 

펠라기우스.는 원죄.와 이것과 엮이는 그레이스. 은총 이야. 서기 410년 후에 카르타고 가서 성 오거스틴.의 원죄 이야길 보고 반박하면서 태어난 이야기야.

 

이 펠라기우스 의 글들은, 없어 이게 지금. 담나티오 메모리아이 를 시켜서리 다 지워졌고, 대부분은 히포의 오거스틴.이 펠라기우스 욕질 하면서 그 글들에서 남은겨 이게. 펠라기우스 가 먼 얘기를 한건가는. 

 

카르타고 에서 오거스틴의 원죄 를 보고 먼 개소릴 해대냐 하고는 예루살렘으로 가서 성 제롬.을 만나. 제롬은 오거스틴을 아끼는 사람이고 아주 친해. 헌데 제롬한테 가서 오거스틴을 비난한거야 원죄에 대해. 이게 소문이 나고, 제롬도 머라고 하고, 해서 이걸로 예루살렘에서 주교가 공회의를 소집을 해. 무죄야. 워낙 말을 잘하고 학식이 깊어. 그러다가 오거스틴이 지가 따로 카르타고 지역의 공회의를 해서 이단을 선언한거야. 이건 오거스틴이 주최한 지역 공회의의 이단 이야. 

 

Pelagius was born about 354-360. He is said by his contemporaries, such as Augustine of Hippo, Prosper of AquitaineMarius Mercator, and Paul Orosius, to have been of British origin.[2] Jerome apparently thought that Pelagius was Irish, suggesting that he was "stuffed with Irish porridge" (Scotorum pultibus praegravatus).[3] He was tall in stature and portly in appearance. Pelagius was also highly educated, he spoke and wrote Latin and Greek with great fluency and was well versed in theology. His name has traditionally been understood as a Graecized form (from pélagos, "sea") of the Welsh name Morgan ("sea-born"), or another Celtic equivalent.[4]

Pelagius became better known around 380 when he moved to Rome.[5] There he enjoyed a reputation of austerity; he also corresponded with St. Paulinus of Nola.[6] Pelagius became concerned about the moral laxity of society. He blamed this laxity on the theology of divine grace preached by Augustine, among others. He began to teach a very strict, rigid moralism, emphasizing a natural, innate human ability to attain salvation.[7]

When Alaric sacked Rome in 410, Pelagius and his follower Caelestius fled to Carthage, where he continued his work.[5] He was in Jerusalem by 415.  

 

펠라기우스.는 브리튼 태생으로 보여져 왔다. 성 제롬은 아이리쉬 라고 확실히 생각했다, 펠라기우스가 아이리쉬의 포리지. 밀을 먹는걸 보고. 키가 크고 통통했다. 높은 교육을 받았고,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매우 유창하게 말했고, 웨일즈 이름 모르간. 바다출생.의 그리스어 펠라고스. 바다. 로 알려지다. 

 

26세 즈음에 로마로 가서. 서기 380년. 금욕적이고 졸 검소에 모랄로 유명한겨. 놀라 의 파울리누스.와도 사귀고. 이사람은 로마 콘술 대행 이었고, 정치를 끊고 그리스도가 되서 주교도 햇어. 지금 성인이고. 사회의 모랄적 방탕함에 걱정하고, 이건 오거스틴 의 은총에 대한 신학 설교에 따른 문제 로 여기고 욕질을 하다. 그러다가 로마 함락당하고 카일레스티우스 와 함께 카르타고 를 갔다가, 서기 415년에 예루살렘으로 간겨. 즉 카르타고에서 사오년 있던건데. 

 

오거스틴.이 펠라기우스 를 높이평가했어. 그러다가 사이가 틀어진겨 이게. 아마 저때 건너가서 후반에 부닥친걸로 봐.

 

In these, he strongly affirmed the existence of original sin, the need for infant baptism, the impossibility of a sinless life without Christ, and the necessity of Christ's grace. Augustine stands as an important source on the life and theology of Pelagius, and wrote about him extensively.  

 

오거스틴과는 저기서, 글을 보고 논쟁하면서, 원죄에 대한 확신을 더 쓰고, 저당시 열받은 오거스틴이 펠라기우스 학설을 인용하며 욕질하는겨. 저건 아마 후반에 그랬을껴. 예루살렘가서는 오거스틴이 자기 칭찬한 글들 보여주면서 펠라기우스가 자기 변호를 하걸랑. 

 

Pelagius soon left for Palestine, befriending the bishop there. Jerome, who also lived there, became involved, as well. Pelagius had criticized his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Ephesians.[6] Jerome wrote against Pelagius in his "Letter to Ctesiphon" and "Dialogus contra Pelagianos." With Jerome at the time was Orosius, a visiting pupil of Augustine, with similar views on the dangers of Pelagianism. Together, they publicly condemned Pelagius. Bishop John of Jerusalem, a personal friend of Pelagius, called a council in July 415. Church sources claim Orosius' lack of fluency in Greek rendered him unconvincing and John's Eastern background made him more willing to accept that humans did not have inherent sinfulness, yet the council rendered no verdict and passed the controversy to the Latin Church because Pelagius, Jerome, and Orosius were all Latin.  

 

예루살렘 와서 제롬과 부닥치고, 오로시우스.가 공개적으로 비난을 하고. 교회에서 공회의를 소집해. 헌데 오로시우스 가 갈리시안 이야. 포르투갈 위에서 온 사람이걸랑. 그리스어를 잘 못해. 저긴 그리스어의 땅이고. 펠라기우스는 유창하게 하고. 더하여, 당시 저 동쪽에서는 원죄 에 대해, 깊게 생각 안한거야. 저따위 원죄 개념, 아담과 이브의 사과 로 인간이 죽음 을 운명적으로 맞게 되고 이게 모든 인간에게 유전이 된 거는, 오거스틴 이 저당시 창조 한 거야.. 뜬굼없는 소리여 저때 예루살렘 주교진영에겐. 이게 지금도 그래서 저런 원죄개념은 지금도 오소독시 진영엔 없어 저따위 원죄는. 

 

혐의 없어. 풀려나. 라틴교회에서 다루려면 다뤄라. 펠라기우스 제롬 오로시우스 는 모두 로마 카톨릭의 적을 둔 인간들이걸랑. 

 

A few months later in December of 415, another synod in Diospolis (Lydda) under the bishop of Cæsarea was called by two deposed bishops who came to the Holy Land. However, neither bishop attended for unrelated reasons and Orosius had left after consultation with Bishop John. Pelagius explained to the synod that he did believe God was necessary for salvation because every human is created by God. He also claimed that many works of Celestius did not represent his own views. He showed letters of recommendation by other authoritative figures including Augustine himself, who for all their disagreements, thought highly of Pelagius' character.

The Synod of Diospolis therefore concluded: "Now since we have received satisfaction in respect of the charges brought against the monk Pelagius in his presence and since he gives his assent to sound doctrines but condemns and anathematises those contrary to the faith of the Church, we adjudge him to belong to the communion of the Catholic Church."  

 

바로 몇달 뒤 같은 해에. 디오스폴리스. 텔아비브 밑이여. 여기에 로마 카톨릭 교회에서 하는겨. 여기 주교가 콜당해서 또 열려 공회의가. 저것들 우리 로마카톨릭에서 다루란다. 전직 두 주교가 소집요청한겨. 헌데 현직 주교 어느누구도 참석을 안해. 관심이 없는 주제여. 이때 문제된건 카일레스티우스 의 글과 설교걸랑. 펠라기우스 는 저사람 이야긴 내얘기가 아니다, 나는 오거스틴이 나를 칭찬한 추천서도 갖고있다. 풀려나. 

 

After his acquittal in Diospolis, Pelagius wrote two major treatises which are no longer extant, On Nature and Defense of the Freedom of the Will. In these, he defends his position on sin and sinlessness, and accuses Augustine of being under the influence of Manichaeism by elevating evil to the same status as God and teaching pagan fatalism as if it were a Christian doctrine.[citation needed]

Manichaeism stressed that the spirit was God-created, while material substance was corrupt and evil. Theologian Gerald Bonner felt that part of Pelagius' analysis was an over-reaction to Manicheanism. Pelagius held that everything created by God was good, therefore, he could not see how God had made humans fallen creatures.[9] (Augustine's teachings on the Fall of Adam was not a settled doctrine at the time the Augustinian/Pelagian dispute began.)

 

펠라기우스 의 글이 안 남아있지만, 자기를 변호한 글을 쓴겨. 오히려 오거스틴 을 비난하는겨.  저거 마니교도였던 놈이, 마니교 영향을 받아서, 악을 신의 지위까지 올려서, 페이건들의 운명론을 마치 그리스도 교리처럼 가르치고 있다고. 

 

마니교는, 영혼은 신이 만들고 물질은 부패하고 악마라고 강조했다며. 신이 창조한 모든 것은 선한 거고, 그래서 펠라기우스는 신이 인간들을 타락한 창조물로 만들었다고 볼 수 없다. 저 말은 저때 오거스틴 이 만들면서 이게 완전히 지금 굳어진거걸랑. 저때 제일 번저 시비 건 사람이 펠라기우스.야. 

 

The view that mankind can avoid sinning, and that humans can freely choose to obey God's commandments, stands at the core of Pelagian teaching. Pelagius stressed human autonomy and freedom of the will.[7]

An illustration of Pelagius' views on man's "moral ability" not to sin can be found in his "Letter to Demetrias".[10] He was in the Holy Land when, in 413, he received a letter from the renowned Anician family in Rome. One of the aristocratic ladies who had been among his followers, Anicia Juliana, was writing to a number of eminent Western theologians, including Jerome and possibly Augustine, for moral advice for her 14-year-old daughter, Demetrias. Pelagius used the letter to argue his case for morality, stressing his views of natural sanctity and man's moral capacity to choose to live a holy life. It is perhaps the only extant writing in Pelagius' own hand, and it was thought to be a letter by Jerome for centuries, though Augustine himself references it in his work, On the Grace of Christ.  

 

인간은 죄짓는걸 피할수 있고, 인간은 자유롭게 신의 명령에 복종할 수 있고. 모든건 인간의 자유의지야. 인간의 자율과 의지의 자유로움. 은 인간에게 내재가 된겨. 신이 그리 만들었어. 로마에 있을때 알게 된 귀족여자 아니키아 율리아나.가 자기 14세 딸 을 위한 모랄적 조언.을 부탁해서 쓴 편지.를 인용하면서, 인간에 내재한 자연스런 성스러움, 인간 모랄 주재 능력, 성스러운 삶을 선택할 능력.을 강조 해. 이게 유일하게 남아있는 펠라기우스 가 손수 쓴 글의 내용이 제롬 에서 오거스틴 이 그대로 인용하며 전해져. 

 

저러면서 그레이스 라는 신의 은총.의 롤 이 달라지는겨. 

 

For Pelagius, "grace" consisted of the gift of free will, the Law of Moses, and the teachings of Jesus.[11] With these, a person would be able to perceive the moral course of action and follow it. Prayer, fasting, and asceticism supported the will to do good. Augustine accused Pelagius of thinking of God's grace as consisting only of external helps.

Extant letters of Pelagius and his followers claim that all good works are done only with the grace of God (which he saw as enabling, but not forcing, good works), that infants must be baptized for salvation, and that the saints were not always sinless, but that some at least have been able to stop sinning.  

 

그레이스 라는 은총.의 네이쳐 속성은, 오거스틴 따위가 말하고 주장하는, 완벽한 외부에서, 신 이 내 빛을 받으라 이제 너는 내 장풍의 돔 안으로 들어와 외계인 공격의 사탄놀이에서 벗어날 지니 하는 그런 게 아니라, 

 

은총이란건 모세의 법. 지저스의 가르침. 자유의지. 이 세개가 다란거야. 전부야. 오거스틴  니가 생각하는 그따위 구원의 방패의 은총이 아녀 그게. 저 세개의 도구 를 갖고 개인이 어떻게 살것인가 를 파악하고 그에 따르면 되는겨 자기 자유의지로. 기도, 단식, 금욕 이런게 그 의지가 선하게 행사되기에 도움을 주는거고. 

 

오거스틴은, 신의 은총이란건 외부의 도움들 이야. 전혀 달라 생각이. 이게 또한 모든 교회진영의 생각이야 이 은총에 관한한, 토마스 아퀴나스 는 그래서 선하게 잘 살면 저 결승점에 닿아서 외부에서 신이 쏘는 구원의 빛을 받는겨 성령 체험으로 인증을 확인을 개인이 받아 느끼는거고. 

오거스틴류는, 굿워크도 은총이 함께해야 가능해. 아이들은 반드시 세례를 받아야해. 모든 성인들이라고 죄가 없지 않아. 

 

He instead said, "This grace we for our part do not, as you suppose, allow to consist merely in the law, but also in the help of God. God helps us by His teaching and revelation, whilst He opens the eyes of our heart; whilst He points out to us the future, that we may not be absorbed in the present; whilst He discovers to us the snares of the devil; whilst He enlightens us with the manifold and ineffable gift of heavenly grace." In a letter to the Pope defending himself, he stated, "This free will is in all good works always assisted by divine help", and in an accompanying confession of faith, "Free-will we do so own, as to say that we always stand in need of God's help", However, he affirmed that "We do also abhor the blasphemy of those who say that any impossible thing is commanded to man by God; or that the commandments of God cannot be performed by any one man" (a statement which the pope approved of upon receiving the letter), whereas Augustine famously stated "non possum non peccare" ("I cannot not sin").  

 

히포의 오거스틴.은 말했다. 이런 은총은 펠라기우스 니가 말하는데로 모세의 법이나 지저스 가르침에도 있긴 있어, 찔끔, 헌데 신의 도움에 있는겨. 신이 우리를 도와서 자기 가르침과 드러남을 하면서 우리 마음의 눈을 뜨게 해주고 앞날을 제시해주고 현재에 빠져있지 말라고 해주고. 교황이 그걸 받아서 자유의지란건 신의 도움이 항상 뒷받침되여야 하는거지. 그러면서, 오거스틴은 말해. 나는 죄를 안지을 수가 없다. 

 

오거스틴은 인간의 자유의지.로 써먹을 데라곤. 죄짓는 것 뿐이야. 인간 스스로 결정해서 하는거라곤 죄여 죄. 이미 아담과 이브때문에 죄를 지은 몸이, 더 할수 있는 자유의지의 용도는 죄를 더 짓는거 뿐이야.

 

.

펠라기우스.가 유아세례 반대.를 했는지 안했는지 몰라 이걸 정확히. 아마 저 카일레스티우스 가 말한거 같은데 이 후대 애들이.

 

오거스틴이 시노드를 하고 이단하면서 말하는걸 보면 반대로 그 주장을 알어.

 

Pelagianism was condemned at the Council of Carthage in 418.[7] Augustine, shocked that Pelagius and Celestius were not denounced as heretics, called the Council of Carthage in 418 and stated nine beliefs of the Church that Pelagianism denied:

  1. Death came from sin, not man's physical nature.
  2. Infants must be baptized to be cleansed from original sin.
  3. Justifying grace covers past sins and helps avoid future sins.
  4. The grace of Christ imparts strength and will to act out God's commandments.
  5. No good works can come without God's grace.
  6. We confess we are sinners because it is true, not from humility.
  7. The saints ask for forgiveness for their own sins.
  8. The saints also confess to be sinners because they are.
  9. Children dying without baptism are excluded from both the kingdom of heaven and eternal life.

서기 418년.에 카르타고 에서 이단선고를 하는데. 펠라기우스 도 저 해에 죽은걸로 보여. 몰라 이사람 뒷이야긴. 

 

1. 죽음은 죄로 부터 온다. 인간의 물질적 네이쳐 가 아니라. 

 

이게 오거스틴 이 만든 원죄 개념이야. 아담 의 죄 로 인간은 죽을 수 밖에 없는겨. 이걸 끄집어 내서 현수막 걸고 대못질 한 걸 1500년 이상을 지금 쓰는겨 우리가. 오직 오거스틴 의 주장으로. 이게 공감이 된거야 카톨릭과 이후 루터와 칼뱅 들도. 

 

 

헌데 웃기게도. 토마스 아퀴나스 는 저걸 인정하지 않아. 아리스토 빠 걸랑. 생명의 기원.이 무생물의 불완전함 의 깨짐 파손에서 생명이 시작했다 라고 말하는 인간이 아퀴나스야. 이성의 인간이야 이사람이. 종들이 다른 돌연변이들이 티나오는건 당연해요, 네이쳐의 특성이요. 네이쳐가 영속성을 보장해주지 못해요. 언젠가는 그 포름과 매터가 무너지면서 다른 돌연변이가 나올 수 밖에 없어요. 라고 주장하는 사람이야 아리형 따라서. 하물며 먼놈의 아담의 죄로 인간이 죽을 운명을 갖고 어쩌고. 즉 이전의 아담은 죽게될 운명의 사람이 아니라 영원히 사는 인간이야. 죄를 지어서 우리가 죽게된겨.

 

, most notably by Thomas Aquinas. Aquinas distinguished the supernatural gifts of Adam before the Fall from what was merely natural, and said that it was the former that were lost, privileges that enabled man to keep his inferior powers in submission to reason and directed to his supernatural end. Even after the fall, man thus kept his natural abilities of reason, will and passions. Rigorous Augustine-inspired views persisted among the Franciscans, though the most prominent Franciscan theologians, such as Duns Scotus and William of Ockham, eliminated the element of concupiscence and identified original sin with the loss of sanctifying grace.

Eastern Orthodox theology has questioned Western Christianity's ideas on original sin from the outset and does not promote the idea of inherited guilt.[63]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담이 그런 슈퍼내추럴을 지녀서 영원히 살수 있는 인간이었는데. 죄지어서 나체되서 쫓겨나서 일하게 되서 죽게될 운명을 지었다는건 거부해. 슈퍼내추럴은 잃어버린거고, 인간은 저능한 힘을 갖은거지만 이성을 사용해서 신의 구원 도움을 받아 그 슈퍼내츄럴로 가야 한다는거지. 이 사람은 자유의지.를 나름 믿어. 이성의 힘이 중요해. 믿음 과 이성 은 대등한 무기야. 솔라 피데, 헛소리야 토마스 아퀴나스 에겐. 헌데 오거스틴 빠들이 또한 프란체스칸 이야. 프란체스칸 은 도미니칸 을 너무나 싫?어해. 토마스 아퀴나스는 도미니칸 이고. 

 

동쪽 오소독스 는 오거스틴 류의 원죄 개념이 없어. 

 

The Eastern Orthodox version of original sin is the view that sin originates with the Devil, "for the devil sins from the beginning (1 John iii. 8)".[84] They acknowledge that the introduction of ancestral sin[85][better source needed] into the human race affected the subsequent environment for humanity (see also traducianism). However, they never accepted Augustine of Hippo's notions of original sin and hereditary guilt.[86][better source needed]

Orthodox Churches accept the teachings of John Cassian, as do Catholic Churches eastern and western,[54] in rejecting the doctrine of total depravity, by teaching that human nature is "fallen", that is, depraved, but not totally.  

 

동방정교회.가 프로테스탄트 보다도 훨 유해. 원죄를 아담에서 갖고오는게 아냐. 그냥, 인간이 태초부터 오랜동안 쌓여온 그 습. 습성이 축적의 무게.에 의한 죄.야. 오거스틴의 저따위 원죄개념은 없어. 완벽한 추락 폴른. 더 폴 오브 맨.이란 개념은 없어 여긴. 자유의지 를 믿어. 자유의지에 대한 무게는 펠라기우스 가 여기 오소독스 야. 

 

로마카톨릭 과 이후 서쪽 프로테스탄트들 대부분은, 오거스틴의 원죄 개념이야 이게.

 

아기들 세례를 반드새 해야해. 원죄로 부터 벗어나려면. 세례 안받고 죽으면 하늘의 킹덤과 영생에서 제외돼. 그레이스 라는 은총에 딱 인증 공인되어야 자격되서 지난 죄를 지우고 미래의 죄를 피해. 은총없인 굿워크도 없어. 우리는 죄인이기때문에 죄인임을 고백해야 해. 성인들도 자기들 죄에 대해 용서를 구하고, 자기들이 죄인이기 때문에 죄인이라고 고백해. 

 

이 오거스틴.이 서기 412년에 자유의지.에 대한 여유를 지워버리걸랑. 이전엔 이정도가 아니었는데. 이때 틀어진겨 펠라기우스와. 이때 아마 펠라기우스 의 사람들이 아이 세례를 하지 말라 필요없다 했고, 이 펠라기우스 들 때문에 오거스틴이 아주 원죄 에 올인 하고, 자유의지를 화악 죽여버린겨 이게. 

 

즉 저런 원죄 개념은, 오거스틴 이 펠라기우스 와 감정싸움에 의견 대립을 하면서 더 극단으로 간거야 이건. 그래도 저기서 토마스 아퀴나스 만이, 좀 제정신을 갖게 된거고. 그래도 모든 그리스도는 대부분 저걸 따라 지금. 그러면서 아주 걍 자유의지가 죽어버린겨. 

 

오거스틴은 수도회칙을 만들면서 이게 수도원들의 생활준칙으로 쓰이걸랑. 더하여 프란체스칸 들이 오거스틴을 좋아한거고. 이게 공고히 되는겨 오거스틴의 말들이.

 

펠라기우스 는, 저런 세력을 안만들고 걍 사라진거고. 

 

걍 그뿐이야. 지금 원죄  해대고 자유의지 없어 해대는 교회 이야기의 이유는. 

 

 Ronald Hutton describes him as "a first-rate theologian".[14]  

 

역사학자 로날드 허튼.은 펠라기우스를 최고수준의 신학자.라고 말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