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ivium is the lower division of the seven liberal arts and comprises grammar, logic, and rhetoric.[1]
The trivium is implicit in De nuptiis Philologiae et Mercurii ("On the Marriage of Philology and Mercury") by Martianus Capella, but the term was not used until the Carolingian Renaissance, when it was coined in imitation of the earlier quadrivium.[2] Grammar, logic, and rhetoric were essential to a classical education, as explained in Plato's dialogues. The three subjects together were denoted by the word trivium during the Middle Ages, but the tradition of first learning those three subjects was established in ancient Greece. Contemporary iterations have taken various forms, including those found in certain British and American universities (some being part of the Classical education movement) and at the independent Oundle School in the United Kingdom.
리버럴 아트 일곱개.중 기본과정 세 개를 트리비움.이란 단어는 5세기의 마르티아누스 카펠라.의 글에 있는건데 이건 콰드리비움 을 쓰면서 쓰기 시작한 말이고 9세기 이전엔 쓰지 않은 말.
그램머. 로직. 레토릭. 문법 논리 말하기. 이건 고대 그리스때에 수립된 세개 과목이고. 유럽의 모든 교육의 핵심은 저 세개야.
우리넨 저 세 개를 못하걸랑. 그램머 도 일본애들의 영어 번역단어를 쓰는거고, 논리, 말하기. 이게 없어.
어디 당 대표에도, 읽는 것 자체를 못하잖니. 딕션 이 안되는겨. 말을 못해 이땅의 지식인자연 하는 애들은. 어눌하면 인자 눌어언 이라면서 공자의 말을 인용하는겨 인한자는 말이 어눌하다고 ㅋㅋㅋ. 이 동양의 교육은 정말 쓰레기야 이게.
저건 교육의 핵심이야. 문법, 논리. 말하기.
In liberal arts education, the quadrivium (plural: quadrivia[1]) is the four subjects, or arts (namely arithmetic, geometry, music, and astronomy), taught after teaching the trivium. The word is Latin, meaning four ways, and its use for the four subjects has been attributed to Boethius or Cassiodorus in the 6th century.[2][3] Together, the trivium and the quadrivium comprised the seven liberal arts (based on thinking skills),[4] as distinguished from the practical arts (such as medicine and architecture)
콰드리비움. 네가지. 트리비움.을 배우고 나서 이수하고 다음 받는 교육과정이 콰드리비움 과정이야. 수학 기하 음악 천문. 학문이란건 기본적으로 이건 measurement 매저먼트. 라는 재는 것이야. 측정 이야. 메트리 metry 로 끝나는 모든 학문은. 그러기 위해서 수학을 배우고 기하학을 배워. 쟤들이 자연과학이 앞선 이유야.
저 네 개.는 플라톤이 리퍼블릭 을 쓰면서, 교육의 중요성을 말하면서 만든 커리큘럼이야. 이걸 받아서 중세에서 그대로 써먹는겨
These four studies compose the secondary part of the curriculum outlined by Plato in The Republic and are described in the seventh book of that work (in the order Arithmetic, Geometry, Astronomy, Music).
플라톤의 리퍼블릭의 제7권에 있어.
Arithmetic (from the Greek ἀριθμός arithmos, "number" and τική [τέχνη], tiké [téchne], "art") is a branch of mathematics that consists of the study of numbers,
아리뜨메틱.을 수학 이라고 굳이 번역하려나, 저건 아리뜨모스.와 테크닉이란 아트.야. 수에 대한 학문이야. 저걸로 하늘과 땅과 만물을 재는겨. 그래서 순서가. 플라톤.은 수리(수학,산수), 기하, 천문. 순이야. 마지막이 음악이야.
The word derives from Greek μουσική (mousike; "art of the Muses").[1] In Greek mythology, the nine Muses were the goddesses who inspired literature, science, and the arts and who were the source of the knowledge embodied in the poetry, song-lyrics, and myths in the Greek culture.
이 음악 이란건. 무시케. 뮤즈들의 기술.인건데, 신화에 숨겨진 지식들의 여신들이, 리터러쳐, 사이언스 그리고 시 를 불러주면서 인스파이어, 성령 을 불어넣어주는겨 이게. 플라톤의 프시케.여. 모든 학문의 바닥이야.
음악 과목은 실기 를 배우는게 아냐. 음악이란것도 멜로디 라는게 화음과 함께 저게 수리적인 거걸랑. 실기 가 아니라 이론을 배우는겨 중세 대학에선.
.
At many medieval universities, this would have been the course leading to the degree of Master of Arts (after the BA). After the MA, the student could enter for bachelor's degrees of the higher faculties (Theology, Medicine or Law). To this day, some of the postgraduate degree courses lead to the degree of Bachelor (the B.Phil and B.Litt. degrees are examples in the field of philosophy).
1088 볼로냐 유니버시티 부터 시작이라지만, 모든 영지인들에게 개방된 대학.에서 저 7개를 단계별로 가르치는거고. 저걸 다 이수하면, 마스터.를 준겨 중세에. 그리고 나서 마스터 를 받은 이들에게 배철러.과정이 다음에 있어. 이게 신학. 의학. 법학.이야. 이걸 이수하면. 배철러 를 받는겨. 바칼로레아. 이게 지금이랑 꺼꾸로야 완전히.
마스터.를 받고, 다음에 신학 의학 법학 은 배철러 를 받고. 이 다음의 과정이 몇몇 대학에선. 철학. 문학.에 배철러 를 따기 위한 과정이 있었다. phil 필 이 철학이고. litt 릿.이 리터러쳐 라는 문학이고. 철학 문학 배철러.는 앞의 마스터에 배철러를 이수하면 다음 받는거였고.
서기 1310년. 기하학을 가르치는 여자.
http://www.csupomona.edu/~plin/ls201/medieval3.html
During the 1300's children of both sexes attended school in Florence. Women from the nobility or upper classes often had obligations that required literacy. With the rise of the Medieval university household were able to employ poor university students as tutors and on such occasions girls were sometimes permitted to to join the tutoring sessions of their brothers.
피렌체에서 1300년대에 여자 아이들도 학교를 다니다. 귀족이나 상류층 여자들은 글을 읽고 쓰는게 종종 의무였다. 중세 대학 재정이 나아지면서, 어려운 학생들을 개인교사들로 고용을 했고 그런경우에 여자들은 때로는 자기 남자형제들의 교육과정에 참여하는걸 허락받기도 했다.
http://www.medievality.com/education.html
During the High Middle Ages many European nations became more stable. The Viking raids were over,Law and Order improved and periods of peace ensued. The first real universities were constructed during this period. Even though still reserved mostly for the rich, they allowed a gradual shift towards education that had been lost since the times of the Romans.
Women had been virtually ignored up to this point. Even though only a small minority of them began to study in universities, this was a changing point towards a more equal society. However, women were still required to do everything his husband or lord pleased.
여자들은 소수만이 대학들에 들어가기 시작했고, 이것이 보다 평등한 사회로 가는 전환점이 되었다. 그러나 여자들은 여전히 남편이나 영주가 좋아하는 일들을 해야만 했다.
http://wiki.answers.com/Q/Did_women_..._ages?#slide=9
educated at least some women, such as Trotula of Salerno, who was educated in the medical school in that city and wa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hysicians of the time
살레르노의 트로툴라 등 몇몇 여자들은 교육받았다 의과대학에서. 당시 가장 영향력있는 의사들 중에 한명이었다.
As students had the legal status of clerics, Canon Law prohibited women from being admitted into universities.
교회법.은 여자들이 대학들에 입학하는걸 금지했다. 학생들은 법적으로 성직자의 지위를 갖게 됨으로.
처음엔 저렇게 금지였다가 1300년대부터 풀린겨 저게. 유니버시티 는. 칼리지 나 스쿨 은 성직자와 상관이 없으니 원래 갔던거고
.
저게 또한 아시아와 너무 차이나는거지. 조선 시대는, 윤심덕이가, 일제시대에나 학교를 간겨. 성균관이 먼 대학이겠으며 공자왈 맹자왈 쓰레기 유학 달달 외워서 고시보는게 뭔놈의 학문이고 그게.
너무나 비교되는겨 저게.
윤심덕이 자살 한건, 자살이 아니라 일제 일본이 축음기 팔라고 자살시킨거래. 저 조선 들은, 테레비에 나와서 저딴 소리 해대는 저딴 것들이 민족의 진보야. 대체 일본들은 못하는게 머노. 신이야 신 저들에겐.
여자들이 조선을 찬양하면서 민족놀이하는건, 정말 기괴한 현상이야. 니덜이 조구캐.
예전엔 불쌍했는데
이제는 안불쌍해.
똥이야 똥.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5. 문법이 문명을 만들다. Grammar Logic Rhetoric ft.스콜라 (2) | 2020.02.07 |
---|---|
194. 영국을 만든 사람, 로저 베이컨 (2) | 2020.02.06 |
192. 펠라기우스와 오거스틴 ft.원죄와 자유의지. 삼위일체 (2) | 2020.02.06 |
191. 토마스 아퀴나스 4. 신학. 비시오 베아티피카 (5) | 2020.02.05 |
190. 토마스 아퀴나스 3. 고대철학의 창문, 근대철학의 토대 (3) | 2020.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