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hel Eyquem de Montaigne, Lord of Montaigne (/mɒnˈteɪn/ mon-TAYN,[4] French: [miʃɛl ekɛm də mɔ̃tɛɲ]; 28 February 1533 – 13 September 1592)[5]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hilosophers of the French Renaissance, known for popularizing the essay as a literary genre. His work is noted for its merging of casual anecdotes[6] and autobiography with intellectual insight. His massive volume Essais contains some of the most influential essays ever written.
미셸 에켐 드 몽테뉴. 영어 만테인. 아빠들이 에켐.이고. 에켐을 미들네임으로 쓰고 자기성 몽테뉴.를 새로 쓰지만. 몽테뉴의 로어드. 로어드 가 작은 성 영주야. 불어로 세뇨르 seigneur. 증조할배 에켐.이 청어 상인 떼부자야. 몽테뉴의 캐슬.성을 사고 주인이 된겨. 이때부터 세뇨르 몽테뉴고 사대로 받은겨.
몽테뉴 성이. 보르도 Bordeaux 근처에 있어. 이 보르도. 가 누벨레-아키텐 레종의 수도야. 대서양 해변에 칼날처럼 들어간 삼각하구 시작도시여. 이 날카로운 삼각지역을 지롱드 Gironde 라고 해. 이 지롱드.가 아주 날카로와서 이걸 river 강 이라고도 불러. estuary 에스추어리. 강 하구.야. 삼각강. 두 강이 이리 와, 아래에서 피레네산맥에서 발원해서 툴루즈 지나서 왼쪽꺾여 이리 오는게 가론 강.이야 Garonne. 오른쪽에 거대한 마시프 상트할.에서 평행하게 왼쪽으로 흘러서 보르도로 오는게. 도르도뉴 강. Dordogne. 행정구역으로 해변이 지롱드 데파트망. 이 오른쪽이 도르도뉴 데파트망.이야.
몽테뉴 가 태어난 몽테뉴 캐슬 성.이 여기에 있어. 지금 천혜의 자연지역이고. 증조 할배는 여기서 청어잡이 상인으로 부자가 된거고, 몽테뉴는 4대째 이 성에서 태어나서 저 자연 속에서, 몽테뉴의 엣세 Essais 수상록 을 쓴겨.
엣세 essais 란게 essai 엣세의 복수고. 저건, exigo 엑시고.이고 ex ago 엑스 아고. 야. 아고 라는건 움직이는겨. 밖으로 움직여 나가는거고. 시도 하는겨 try 트라이. attempt 어템트. 이걸 일본님들이 『エセー』(随想録)수상록. 이라 하시고, 중국은 수필집. 이라 하걸랑. 우리는 일본님들이 하나님이라 이 위대한 조선은 수상록 하시는건데. 생각을 따라서 기록. 수필은 풋을 따라서 모음.
영어 에쎄이 라는건 essay 저 불어의 essais 에서 온거야. 즉 영어쪽 애들은 에쎄이를 먼저 쓰지 않은겨.
에쎄이.라는 이 에쎄.를 라틴어에서 갖고 와서, 처음 써서 이 장르.를 만든 인간이 저 몽테뉴.이고 그 에쎄.야.
저걸 쟤들이 시도.니 테스트 니 란 말로 저리 해석하지만, 몽테뉴는 저따위 개념으로 저걸 쓴게 아냐. 이사람은 완벽한 라틴어의 사람이걸랑. 라틴어 의 뜻으로 자기말 에쎄.로 쓴건데.
몽테뉴.가 1533-1592. 59세에 죽었어. 이사람은 이탈리아 전쟁 1494-1559. 에, 프랑스 위그노 1562-1598 의 사람인데, 이탈리아전쟁은 저때 십년전에 프랑수아1세가 파비아전투.로 잡혀서 스페인 포로생활하고 풀려나고, 뒤에 로마약탈에. 다시 재정비해서 밀라노 스포르차 죽고 그거 찾으러 가면서, 몽테뉴 태어나고 이탈리아 전쟁 후반전하걸랑. 대게 이탈리아나 로렌지역에 프로방스 변경이고, 이때는 여긴 조용해. 그러다 몽테뉴 뒤의 삼십년은 프랑스 위그노 전쟁 그 자체 걸랑. 이때 이 피레네쪽의 아키텐은, 낭트 까지 위그노들 세상이었는데, 요때 몽테뉴는 카톨릭이걸랑. 이사람은 아주 독실한 로마카톨릭이야.
아빠 에켐.은 이탈리안 전쟁.때 참전한 군인인거고. 가진 재산으로 보르도.의 세뇨르. 로어드 였어 아빠가.
Marranos were Spanish and Portuguese Jews living in the Iberian Peninsula who converted or were forced to convert to Christianity during the Middle Ages, yet continued to practice Judaism in secret.
몽테뉴.는 마라노스.라고 봐 이 집안이. 마라노스.가 그리스도로 전향한 유대인 인데, 말로만 전향하고 몰래 유대교 믿는 이들이야. 마라노 라는게 아랍어로 금기된거고, 파문된겨. 지금도 이슬람과 유대교는 돼지고기는 금기야. 돼지고기 는 금기 라는 겨. 금기의 상징이 돼지.이고. 마라노 가 돼지.야. 돼지고기를 금기시하는 사람들 이란 뜻이야. 저게 저들을 돼지 라며 부르는 하대시하는 말이 아녀. 그러다 하시하는 말로 바뀐거고. 돼지새끼 이런식으로.
Marranisme 불어로 마라니슴. 하고. 마라노스가 되었다가, 진짜 그리스도를 믿게된 유대인이 된겨 아버지나 할아버지가. 부모가 모두 저 스페인반도에서 피레네 넘어온거고. 저기는 위그노들의 땅이된거고, 엄마는 위그노야.
During a great part of Montaigne's life his mother lived near him and even survived him, but is mentioned only twice in his essays. Montaigne's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however, is frequently reflected upon and discussed in his essays.
엄마가 위그노여. 엄마랑 오래 같이 있었고, 엄마가 오래 살아. 1601년에 죽어. 90세에. 몽테뉴 죽고 9년 더 살아. 그런데 아빠를 더 회상하고, 엄마는 단지 두번만 언급된다는거지. 아빠가 찐해 이사람은.
Montaigne's education began in early childhood and followed a pedagogical plan that his father had developed, refined by the advice of the latter's humanist friends. Soon after his birth, Montaigne was brought to a small cottage, where he lived the first three years of life in the sole company of a peasant family, in order to, according to the elder Montaigne, "draw the boy close to the people, and to the life conditions of the people, who need our help".[18] After these first spartan years, Montaigne was brought back to the château. Another objective was for Latin to become his first language.
몽테뉴.는 아빠가 만든 사람이야. 아빠가 나름의 교육 플랜데로 자식을 키워 자기 친구들 조언을 받아서. 태어나자마자 농가에 보내서 그집에서 3년을 지내. 몽테뉴가 나중에 말해. 사람들 옆에 붙여서 사람들의 삶의 여건들을 직접 느끼게 하셨다, 그 사람들은 우리 도움을 필요로 하니까.
아빠가 꼬마를 서민체험을 저리 시킨겨. 어디 땅 정치판 애들이랑 차원이 다른거지 이게.
떨어진 3년 생활 이후, 몽테뉴는 성에 다시 왔다. 다음 목표는 라틴어 였다. 그의 첫번째 언어가 되도록.
The intellectual education of Montaigne was assigned to a German tutor (a doctor named Horstanus, who could not speak French). His father hired only servants who could speak Latin, and they also were given strict orders always to speak to the boy in Latin. The same rule applied to his mother, father, and servants, who were obliged to use only Latin words he employed, and thus they acquired a knowledge of the very language his tutor taught him. Montaigne's Latin education was accompanied by constant intellectual and spiritual stimulation. He was familiarized with Greek by a pedagogical method that employed games, conversation, and exercises of solitary meditation, rather than the more traditional books.
몽테뉴의 지적 교육은 게르만 가정교사에 맡겨졌다. 호르스타누스 라는 닥터 였는데 프렌치.를 전혀 못했다. 그의 아빠는 라틴어를 할 수 있는 서번트들 만을 고용했다. 그래서 그들은 또한 엄격히 명령받았다 언제나 저 꼬마 몽테뉴에겐 라틴어로만 말하라고. 같은 규칙이 그의 엄마, 아빠, 하인들에게도 적용되었다 그들도 오직 라틴어만 써야했다. 이렇게 그들은 그 가정교사가 몽테뉴에게 가르친 바로 그 언어 라틴어의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몽테뉴의 라틴어 교육은 꾸준한 지적 영적 욕구와 함께 했다. 그는 또한 그리스어도 그런식으로 친숙하게 되었고, 전통적인 책을 통한 방법보다 그렇게 생활에서 걍 체득을 하게 한거야 아빠가. 아빠도 라틴어를 못한겨 마누라도 못하고. 같이 배운겨 부모가 저런식으로. 저렇게 그리스어도 배우고.
아 음청나 진짜.
The atmosphere of the boy's upbringing, although designed by highly refined rules taken under advisement by his father, created in the boy's life the spirit of "liberty and delight" that he later would describe as making him "relish... duty by an unforced will, and of my own voluntary motion...without any severity or constraint"; yet he would have everything to take advantage of his freedom. And so a musician woke him every morning, playing one instrument or another,[19] and an épinettier (with a zither) was the constant companion to Montaigne and his tutor, playing tunes to alleviate boredom and tiredness.
나중에 몽테뉴가 회상하길, 저 시절이 자기 그 꼬마에겐 영혼에, 자유와 빛을 줬다는거지. 강제되지 않은 힘에 의한 의무, 나 자신의 자발적인 동기에 의한 의무감. 어떤 가혹과 통솔에 의한게 아니라. 버릇 습관이 잘 들은겨. 이게 니코마코스 윤리학 의 핵심이야. 어릴때의 습관, 해빗. 을 훌륭하게 들어야 하는게 중요하고, 그렇게 되면, 하기싫은거 억지로 하는게 아니고, 누가 시켜서 하는게 아니고, 내가 스스로 하고싶고 막 해야만 하고, 헌데 그속에서도 자유 와 빛.을 느끼는겨.
몽테뉴는 모든것에서 그의 자유로움을 느꼈을 듯 하다. 또 그렇게, 음악가가 그에게 매일 아침 깨워서 악기 한두개로 연주를 하고. 기타류 지터 악기는 몽테뉴에 오랜 친구가 되었고, 지루함 지겨움을 덜어주었다 음악이.
Around the year 1539, Montaigne was sent to study at a highly-regarded boarding school in Bordeaux, the Collège de Guyenne, then under the direction of the greatest Latin scholar of the era, George Buchanan, where he mastered the whole curriculum by his thirteenth year. He then began his study of law at the University of Toulouse in 1546 and entered a career in the local legal system. He was a counselor of the Court des Aides of Périgueux and, in 1557, he was appointed counselor of the Parlement in Bordeaux, a high court. From 1561 to 1563 he was courtier at the court of Charles IX and he was present with the king at the siege of Rouen (1562). He was awarded the highest honour of the French nobility, the collar of the Order of St. Michael, something to which he aspired from his youth.
그리고 여섯살이야 1539년. 아이 짱나네 이거. 저걸 여섯살 전에 한겨. 여섯살에 기숙학교인 칼리지.를 가고. 라틴 최고학자한테서 전체 커리큘럼 마스터한게 13세야. 칼리지.가 저때는 어린애들 가는 데인거지 죽 사례를 보니. 그리곤 툴루즈 유니버시티.를 가고. 18세에서 20세.에 샤를 9세.의 코트에서 일한겨.
이사람은 완벽하게 아빠가 만든 사람이야.
The Essays (French: Essais, pronounced [esɛ]) of Michel de Montaigne are contained in three books and 107 chapters of varying length. They were originally written in Middle French and were originally published in the Kingdom of France. Montaigne's stated design in writing, publishing and revising the Essays over the period from approximately 1570 to 1592 was to record "some traits of my character and of my humours." The Essays were first published in 1580 and cover a wide range of topics.
몽테뉴 에세이.가 1570-92. 37세에서 죽는 59세. 22년 동안 출판하고 개정판 자기가 낸겨
읽도록 해.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6. 몽테뉴 2. 에쎄, 미들 프렌치 와 미들 잉글리쉬 (2) | 2020.02.02 |
---|---|
185. 12세기 고대그리스의 라틴번역, 오컬트에서 구출시키다 (1) | 2020.02.02 |
183. 가면을 쓴 경험주의, 유물론으로 본색을 드러내다 (1) | 2020.02.01 |
182. 제라 콜번 ft.사라진 능력 (1) | 2020.02.01 |
181. 타락한 경험주의 ft.신동 神童, 크립키 (5) | 2020.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