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on was a devout Anglican. He believed that philosophy and the natural world must be studied inductively, but argued that we can only study arguments for the existence of God. Information on his attributes (such as nature, action, and purposes) can only come from special revelation. But Bacon also held that knowledge was cumulative, that study encompassed more than a simple preservation of the past. "Knowledge is the rich storehouse for the glory of the Creator and the relief of man's estate," he wrote. In his Essays, he affirms that "a little philosophy inclineth man's mind to atheism, but depth in philosophy bringeth men's minds about to religion."  

 

베이컨은 독실한 앵글리칸이었다. 그는 믿었다. 철학과 네이쳐의 세상은 귀납적으로 연구되어야 하지만, 신의 존재에 대해서는, 아규먼트들을 스터디 할 수 있을 뿐이라고. 신의 속성들(법칙, 행동, 목적들)에 대한 정보는, 특별한 레벌레이션. 으로만 얻을 수 있다. 베이컨은 또한 말한다지식은 축적되어온 것이고, 과거를 단순히 보관한 것 이상을 넘어서는 연구여야 한다고. 지식이란 풍부한 창고다 창조주의 영광을 위해, 인간의 땅의 고통제거를 위해. 에세이에서, 그는 확신한다, 작은 철학은 인간의 마음을 무신론으로 가게 하지만, 깊은 철학은 인간들의 마음들을 종교 주변으로 이끈답니다.

 

마지막 말은 멋진데. 신의 존재는 귀납적 접근으로 하면 안된다는거고, 아규먼트, 있다고 논했던 이야기들.을 갖고 논쟁할수 있을 뿐이란겨. 신에 대한 정보는, 계시 로만 알수 있어, 이건 흔한 귀신 보는 성령체험 이 아니라, 직관에 의한 느낌이야. 즉 신에 대한 접근방법은 전혀 달라, 보이지 않아. 직관적 인거고. 이것에 대한 이야기들을 정보로 활용해서 논할 뿐이란거지. 애매한겨 이런 주장은. 

 

이사람은 독실한 신앙인이야. 

 

프랜시스 베이컨.은 진짜 과학. 현실적인 과학적 사고방식을 갖자.라고 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를 갖고 온 것 뿐이야. 이건 당대의 오컬트 분위기에 대한 반기여. 헌데 너무나 황당하게도 베이컨이 오컬트주의자.가 되어버린건데

 

While rejecting occult conspiracy theories surrounding Bacon and the claim Bacon personally identified as a Rosicrucian, intellectual historian Paolo Rossi has argued for an occult influence on Bacon's scientific and religious writing. He argues that Bacon was familiar with early modern alchemical texts and that Bacon's ideas about the application of science had roots in Renaissance magical ideas about science and magic facilitating humanity's domination of nature.[99] Rossi further interprets Bacon's search for hidden meanings in myth and fables in such texts as The Wisdom of the Ancients as succeeding earlier occultist and Neoplatonic attempts to locate hidden wisdom in pre-Christian myths.[100] As indicated by the title of his study, however, Rossi claims Bacon ultimately rejecte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occultism as he came to develop a form of modern science.  

 

역사학자 파올로 롯시.(*1923–2012) 가, 오컬트와 베이컨의 관계를 20세기 후반에 말하는건데, 베이컨은 저런 연금술이니 오컬트니 다 너무 친숙해. 그 텍스트들을 보면. 베이컨은 당시 헤르메티카 나오는 르네상스 메직을 바닥바닥 알어. 베이컨은 마술 이야기 신화들 우화들의 숨겨진 의미를 찾고, 고대인들의 지혜,라는 책을 내기도 해. 그러나, 베이컨은 궁극적으로, 오컬트주의의 철학적 기초제공을 거부해, 현대 과학의 형성을 발전시켜왔을 뿐이야.

 

he argues that Bacon's "rejection" of magic actually constituted an attempt to purify magic of Catholic, demonic, and esoteric influences and to establish magic as a field of study and application paralleling Bacon's vision of science. Furthermore, Josephson-Storm argues that Bacon drew on magical ideas when developing his experimental method.[101] Josephson-Storm finds evidence that Bacon considered nature a living entity, populated by spirits, and argues Bacon's views on the human domination and application of nature actually depend on his spiritualism and personification of nature.  

 

조셉슨-스톱 은 더가서, 베이컨은 매직을 거부하면서 제대로 신을 믿고 연구를 하자였다는 주의고. 귀납적 실험할때나 매지컬한 연금술을 써먹어볼까 했을 지언정, 베이컨은 네이처,를 살아있는 단위 이며, 스피릿들로 넘쳐난 단위  이며, 인간어쩌고에 스피릿에 네이쳐의 인간화 저쩌고에 의존 했다 그쩌고. 쓰잘덱 없는 말들 많은데.

 

오컬트 제발 좀 그만합시다. 걍 이거 베이컨 주장이야. 오컬트의 그 바닥의 이야기들의 숨은 뜻을 이해해요 비유로써 전한 고대인의 지혜일 뿐이예요. 아잉 제발 좀 헤르메티카 좀  버려라 좀. 

 

베이컨은 신을 독실하게 믿어. 

 

이게 존 로크로 가면서 냄새가 달라져

 

Although Locke was an advocate of tolerance, he urged the authorities not to tolerate atheism, because he thought the denial of God's existence would undermine the social order and lead to chaos.[68] That excluded all atheistic varieties of philosophy and all attempts to deduce ethics and natural law from purely secular premises.[69] In Locke's opinion the cosmological argument was valid and proved God's existence. His political thought was based on Protestant Christian views.[69][70] Additionally, Locke advocated a sense of piety out of gratitude to God for giving reason to men.  

 

얘는 신.에 대한 접근이, 신에 대한 어떤 신성성으로 접근하는게 아니라, 정치적으로 가는겨. 신을 지우면, 속세가 더러워져. 질서가 무너지고 혼돈이 와. 무신론자에 관용을 베풀지 말아야 하는 이유야 얘한텐. 그래서 얘한테는 세상의 바닥은 신이 있고 신의 존재는 증명이 됐어. 말이 필요없어. 신에게 감사해 인간들에게 이성을 주어서. 

 

자유야 자유.

 

Locke's philosophy on freedom is also derived from the Bible. Locke also derived basic human equality from the Bible, including the equality of the sexes, the starting point of the theological doctrine of Imago Dei.  

 

성경에 신이 자기 이미지로 인간을 만들었어. 인간은 평등해. 자유를 여기서 갖고와. 

 

Lelio Francesco Maria Sozzini, or simply Lelio (Latin: Laelius Socinus; 29 January 1525 – 4 May 1562), was an Italian Renaissance humanist and anti-Trinitarian reformer, and uncle of the better known Fausto Sozzini (Latin: Faustus Socinus) from whom the Polish Brethren and early English Unitarians came to be called "Socinians".  

 

레리오 파란체스코 마리아 소치니. 소시언즈. 소시언이즘. 이 저때 잠깐 있었는데. 이게 폴란드.랑 잉글랜드에서 유행하고, 저때 존로크.도 이 소시언이즘.을 옹호한듯. 삼위일체 부정하고, 지저스는 탄생이전에 없어 실재라는건. 지저스는 걍 인간이야. 원죄란 없어, 걍 태어나서 자연적으로 죽는겨. 폴란드에서 유행했다가 세임에서 쫓겨났는데. 야 이젠 허다 허다 이딴 소리도 나오는겨 교회에서. 시에나 출신에 머 이탈리아니 별말 다하는거고, 트랜실베니아 칼뱅쪽이었다가 여기서 나온 분파가 폴리쉬 브래뜨런인데. 

 

존로크.는, 정치적인 인간이지. 신앙이 아냐. 이 인간은 단지 인간의 자유 이고, 세상을 눈에 뵈는 것에 익숙하자야. 인식 처리되는 것만 지식이고. 걍 이게 다야. 벌거 없는 애고. 

 

이런 생각들이. 데이빗 흄 에서 노골적으로 티나오기 시작해

 

He adds that Hume "did not believe in the God of standard theism ... but he did not rule out all concepts of deity", and that "ambiguity suited his purposes, and this creates difficulty in definitively pinning down his final position on religion".  

 

흄은 일반적 유신론으로서의 갓.을 믿지 않았다. 그렇다고, 신성에 대한 모든 관념을 배제한건 아니다. 애매모호가 그의 지향함의 바닥이다. 얜, 신에 관심이 없어. 

 

In his discussion of miracles, Hume argues that we should not believe miracles have occurred and that they do not therefore provide us with any reason to think God exists.[160] In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Section 10), Hume defines a miracle as "a transgression of a law of nature by a particular volition of the Deity, or by the interposition of some invisible agent".  

 

데이빗 흄의 미라클 에 대한 의견. 흄은 주장한다, 미라클들 믿어선 안돼. 미라클들은 일어나지 않았어. 그딴 것들은 우리에게 신이 존재한다고 생각할 아무런 근거를 주지 않아. 미라클 이란, 신성의 유별난 의지, 어떤 보이지 않는 매개자 사자 에이전트가 중간에 끼거나, 해서 생긴, 네이처의 법을 넘어선 어떤 건데, 그딴거 없어. 믿지말어.

 

얜, 무신론자야. 얜 걍 머티리얼리즘. 유물론자 이고. 단지 소사이어티 계모임에서 저런 소리 해대면 쫓겨나니까, 명예 이름 유지하면서 걍 개인척 한 애야. 아 이 데이빗 흄  유치한 애네 진짜 가만보니까. 존로크도 그렇고. 

 

데카르트 꿈이나 한 줄 정리할랬더니, 아 증말 왜 내가 저따위 후진애들 생각을 보는거냐 시간 아깝게 이거. 

 

저것들이, 저때는 가면을 쓴거고, 아직은 본색을 드러낼 만큼의 시대가 아닌거지. 나 신 안믿어 해대면 유명세놀이를 할수 없으니. 

 

오컬트를 지우려다가 이게 진짜 신이 지워지고, 이게 자유의 이름으로, 유물론이 티나온겨. 그러면서 대학살의 시대로 가는거고. 

 

이 중심엔 어이없게도, 존 로크 로 시작하는 경험주의자 들이 있는거지.

 

얘들 말은 너무나 쉬워. 머 고민할게 없어 이게. 그만큼 미개한 지능이 갑자기 되어버린거고. 미개함이 쫓아다니기 쉬운 게 된거고. 이게 그대로 유물론이 되어버린거고. 경험주의.는 곧 유물론이야. 시대에 따라 이름만 달리한거고. 이게 엥겔스.가 영국에 오는거고, 마르크스도 영국에서 자리잡는거고, 이게 다 이런 이유야. 더하여 미개한 게르만 막시스트들이 설치고, 러시아 막시즘 아빠 플리카노프의 러시아가 저걸 받는거고. 

 

유물론이란건, 경험주의가 만든건데. 웃기게도, 저런 타락한 경험주의는 데카르트에 대한 반발이란거지. 

 

엄청나 데카르트. 

 

쓰고보니, 완벽한걸. 난 왜 이리 똑똑한거냐 이거.

 

 

아 베이컨 형 이 왜 저딴 애들과 엮인거냐 이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