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yth of Er is a legend that concludes Plato's Republic (10.614–10.621). The story includes an account of the cosmos and the afterlife that greatly influenced religious,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thought for many centuries.
더 미뜨 오브 에르. 에르의 신화.가 아니라. 에르의 이야기.야. 저때는 미뜨를 이야기로 써. 저게 미음 계열이야. 이건 숨어진 거야. 이야기는 이야기인데, 은밀한 이야기야.
플라톤이 에르.의 이야기로, 리퍼블릭.을 마무리해. 아 이사람 정말 재밌는데. 특히나 이 리퍼블릭.은 내가 보기엔 말야, 세상의 리터러쳐 탑 오브 더 탑 이야.
대체 왜 이런 재밌는 글을, 그리 어렵게 말하는겨 이거. 일단 저거 이전에. 앞서의 문장을 마저 풀면.
A person's soul has three parts – reason, spirit and desire. Similarly, a city has three parts – Socrates uses the parable of the chariot to illustrate his point: a chariot works as a whole because the two horses' power is directed by the charioteer. Lovers of wisdom – philosophers, in one sense of the term – should rule because only they understand what is good. If one is ill, one goes to a medic rather than a farmer, because the medic is expert in the subject of health. Similarly, one should trust one's city to an expert in the subject of the good, not to a mere politician who tries to gain power by giving people what they want, rather than what's good for them
인간의 영혼은 세파트들이야. 리즌 스피릿 디자이어(애퍼타이트). 이성 모랄(도덕) 본능. 이건 각각이 양면을 갖는거고, 이들 또한 다투면서 인간이 언저스트 하게 되는거야. 도시 안에서는 저 언저스트 들의 인간들이 다투는 상황이고. 이 관계가 최적화의 조화로 동의가 된 하나.가 된 상태.가 저스티스.야. 개인이나 집단이야기나 프레임은 똑같아.
마부이야기도 마찬가지야. 스피릿 이란 마부가 두 바퀴 인 리즌 과 디자이어.를 제어 하는겨. 스피릿.이 세속의 정치인 리더야. 스피릿.이 필라서퍼.라는 소피아를 필리아 하는 영역인거고 개인안에서는.
세속에서도, 스피릿을 대변하는 사람.이 저 부딪히는 시민들의 관계 상황을, 최적의 조화로움의 하나됨.이란 저스티스로 만들어야 한다는겨 이게. 정치인의 가장 유일한 목표인거야 이게. 이걸 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해. 이 져스티스 의 나라에서는 모두가 행복하고, 모두가 강력해서, 외적도 못쳐들어오는겨 이건. 가장 강력한 나라 가장 부유한 나라 가장 행복한 나라야. 이 져스티스 를 구현할 사람.이 지도자가 되어야 한다는겨.
사람이 아파, 이 사람은 의사에게 가지 농부에게 가지 않아. 왜냐면 의사가 건강의 문제에선 전문가니까. 마찬가지로, 자기의 도시는, 더 굿.의 영역에서의 전문가.에게 맡겨야 한다는겨. 단지 정치꾼이게 맡기면 안돼. 이놈의 정치꾼이란건 사람들에게 그 민들이 원하는 걸 준다면서 권력을 갖으려 하는 인간들이걸랑. 이게 데모크라시 고 이게 민주주의 라는거야. 이들은, 그 시민들에게 굿, 아가또스 한 것을 주지 않아, 시민들이 원하는 것만을 줄 뿐이야. 그러면서 인기를 얻어서, 자기의 권력을 취하려고만 하는거지.
Socrates uses the parable of the ship to illustrate this point: the unjust city is like a ship in open ocean, crewed by a powerful but drunken captain (the common people), a group of untrustworthy advisors who try to manipulate the captain into giving them power over the ship's course (the politicians), and a navigator (the philosopher) who is the only one who knows how to get the ship to port. For Socrates, the only way the ship will reach its destination – the good – is if the navigator takes charge.[2]
배를 인용해. 언저스트한 도시는 광활한 대양의 배와 같아, 그 배에는 강력하지만 술취한 캡틴 선장이 타고 있어. 일반 시민의 상징이야. 한 그룹의 믿지 못할 조언자들이 그 캡틴을 조종하려 해, 그래서 그 배에 대한 항로를 자기들이 원하는 코스로 가려 애를 써. 이 믿지못할 조언자들은 정치인들의 상징이야. 항해사 한명 있어. 필로소퍼, 소피아를 필리아 하는 사람이야. 유일하게 배가 항구에 닿는 방법을 아는 사람이야. 소크라테스 에세는, 베가 그 목적지에 닿을 유일한 길- 더 굿- 은 그 항해사가 그 일. 핸들을 쥐게 하는겨.
정치란 건, 더 굿.의 영역이고, 더 굿.의 전문가.는 지혜를 사랑하는 자. 이고, 이 사람에게 권력을 줘야 한다는거야.
민들이 원하는 것을 주는 건, 데모크라시야 그게. 그런 나라는. 망해.
더 굿.이 무엇인지는 시민들은 몰라. 너는 지혜를 사랑하는 자.가 아니야 넌 몰라. 넌 단지 너에게 돈 만 많이 주면 되고, 너에게 편한 일자리만 주면 되고, 놀아도 너에게 먹을 꺼 잘 꺼만 챙겨주면 돼. 너는 지혜를 사랑하는 자.가 아냐. 넌 너희들은 더굿.을 몰라. 지혜를 사랑하는 자.가 되고 싶어? 교육을 해 교육을. 좀 배워라 배워. 그 배움의 영역은 저 이데아야. 그림자부터 시작해야 해. 얼마나 지독한 과정인지 알겠니? 그래서 소피아 를 필리아 하는 자여야 하는거야. 이데아를 아는 자.를 말하는게 아냐. 더 굿.을 아는 자.를 말하는게 아냐. 더 굿.을 알고 싶어 미치겠는 자.여야 해. 넌 그런 건 관심이 없잖니? 너만 너의 사람만 배부르고 따뜻하면 그뿐인거잖니? 너에게 인사하고 너만 보면 존대 쓰는 사람만 챙겨주면 그뿐인거잖니? 너를 안따르면 적폐고 짓누르고 저거 적폐입니다 격리해주세요 만 부르짖을 뿐이잖니? 그런거 들어주는 사람이 너만의 정의잖니? 그게 민주주의 라는건데, 그런 도시국가는, 망해. 넌 노예가 될거야. 남의 도시국가의 노예.
너가 남자라면 비굴한 애가 될거고, 너가 여자라면 거리의 창녀가 될꺼고 너의 자식은 어둠 속에서, 배울 수 없는 무지의 상태에서 구걸을 할거야. 그게 너희들이 말하는 데모크라시 란 건데, 그건 죽음으로가는 정치체제란다.
라고 플라톤 과 아리스토텔레스 는 말해. 이건 정확한 저 둘의 말을, 내가 풀어써주는거란다.
VII.6–VII.18. 521c–541b. Education of the Philosophers
Part III: Decline of the Polis
VIII.1–VIII.5. 543a–550c. Timocracy
VIII.6–VIII.9. 550c–555b. Oligarchy
VIII.10–VIII.13. 555b–562a. Democracy
VIII.14–IX.3. 562a–576b. Tyranny
Conclusion
IX.4–IX.13. 576b–592b Answer: Justice is Better than Injustice.
Epilogue
X.1–X.8. 595a–608b. Rejection of Mimetic Art
X.9–X.11. 608c–612a. Immortality of the Soul
X.12. 612a–613e. Rewards of Justice in Life
X.13–X.16. 613e–621d. Judgment of the Dead
플라톤.이 리퍼블릭.에서, 교육.을 말해. 이게 결론이야. 소피아를 필리아하는 사람들을 양성할 교육. 이게 가장 중요해 시급한거고. 아리스토텔레스.의 폴리티카.는 교육.이 결론이야.
헌데 플라톤은 아쉬웠던지, 뒷풀이를 하는겨. 저런 필로소퍼들이 없는 도시국가들이 쇠하면, 티모크라시.라는 명예 금권정치. 올리가르키 라는 잘못된 과두정치, 데모크라시 라는 최악의 다수정치, 타이러니 라는 분수 주제도 모르는 능력없는 독재자의 정치.
를 말하고, 결론은, 져스티스 가 인져스티스보다 더 좋다. 라며, 져스티스 는 결국 구성원들간 최적의 조화로운 하나된 관계 상황 일 뿐이고, 이건 필로소퍼들.이 나서야할 문제다 라고 다시 도장을 찍는겨. 그리곤 교육. 도돌이표야.
저기서도, 이데아고 더 굿.이야. 저런 세상을 눈에 보이게 만들수가 있다는겨 플라톤은. 태양이 눈에 보이듯이. 그런 도시국가 만들 수 있다니까? 더 굿 이란건 눈에 보이지 않는거지만 알 수 있다니까? 그게 맞다 아니다 는 철학자가 검증해준다니까? 교육해 교육. 배워라 배워.
그러면서, 영혼 이야길 해. 이사람은 영혼이야기로 마무리하는겨 이게. ㅋㅋㅋ
이게 웃긴건데.
저기서, 철학자 라는 필로소퍼.라는 캐릭이 주연이야 이제. 필로소퍼가 되세요 여러분.
그러나,
이 세상에서, 살아가는데 말이요, 필로소퍼 가 된다고 해서, 알아주지는 않을 겁니다. 필로소퍼 는 정치꾼 들이 아닙니다. 필로소퍼 는 정치인이 될 수가 없어요 솔직히. 필로소퍼는 권력을 잡을 수가 없어요.
필로소퍼 는 권력을 잡을 수가 없답니다. 페이트론 이라는 후원자가 대신 무기를 들어서 그대에게 권력을 주지도 않을것이고요. 그렇다고 시민들이 당신에게 권력을 주지도 않을거예요. 왜냐면, 당신은 시민들이 원하는 걸 주는 그따위 정치꾼은 아니거등요. 당신은 더굿. 을 주는 사람이지 시민들이 원하는 걸 줄 순 없는 존재입니다.
시민들은 당신을 좋아하지 않아요. 당신이 인기를 끌 수도 없거요. 당신은 표를 받을 수 없어요. 세상에 당신같은 철인들 필로소퍼가 함양된 이들이 다수의 시민들로 구성되지 않는한. 그런 세상은 오기가 힘들거예요. 그러나 우리는 꼭 와야 한다고, 분명 올거라고 믿어야 합니다. 우리는 지저스 가 되서는 안됩니다. 우리는 싯달타 가 되서는 안됩니다. 우리는 예언자가 되서는 안됩니다. 그들의 말은, 그들의 주장은 단 하나예요. 세상을 버려라. 내세를 접하라.
비이성적이고 비에로스적이고 비아가페적인 겁니다 여러분. 저건 사기예요.
진짜 는 도메인에 보내 줄 아이를 입니다. 아이를 을 빙자하는 이도 사기예요
필로소퍼.의 길은 험할 겁니다. 아마도요, 살면서 보상을 받지는 못할거예요.
그러나, 우리는 영혼을 갖은 존재예요. 이 영혼은 역시나 더굿. 토 아가또우. 타가또우. 밝음 그자체에서 나온 우리의 영혼은 말이죠.
불멸입니다. 몸은 죽어 사라져도요. 이 영혼 이란 우리 그 자체는요, 저 세상에서 심판을 받게 되어있습니다.
사람들 선동하면서 현세를 잘 살수 있습니다 배불렀던 돼지들은요. 그들은 지하에 갇혀 영원히 탈출 할 수 없습니다.
저 세상에서, 심판을 합니다. 그 사람이 세속에서의 그 모랄.로 요. 모랄 이란 마부. 스피릿.이 피고인이 되는거지요. 리즌.과 디자이어 라는 이성과 본능은 바퀴일 뿐이고요, 마부 인 스피릿. 모랄을 대표하는 닉이 피고석에 앉아서 심판을 받습니다. 이 스피릿이란 모랄.은 이데아에서 나왔지만 세속에서 많이 타락해서 더굿.을 어느정도 유지했는가로 판단을 받는거지요.
그 스피릿.이라는 마부.의 모랄.의 정도.로 보상을 받습니다. 소피아를 필리아 해서 이데아를 완벽하게 알게 되서 그대로 최적화된 조화로운 하나. 세가지 파트인 리즌 스피릿 디자이어.가 그야말로 최적화로 하나가 된 필로소퍼.는 밝은 하늘 저 이데아로 가게됩니다.
그정도는 아니어도 모랄이 좀 더 유지된 필로소퍼.는 환생의 선택을 하게됩니다. 더 좋은 환경에서 다음 생을 사는거죠.
누구는 짐승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이 필로소퍼 도 더 좋은 곳으로 갈수 있는데, 그냥 다음엔 편하게 짐승의 몸으로 살고 싶다며 그런 보상을 택하기도 하더군요
모랄이 사라진 자는, 힘든 인생을 선택할 수 밖에 없게 되고요.
그러니 여러분. 현세에 필로소퍼 의 길을 선택해도 보상을 못 받는다고 투덜되거나 염려하지 마세요. 현세에 못받으면 다음 생애에 보상을 받을테니까요. 그리고 그 소피아를 필리아 하는 마음으로 계속 소피아를 추구하시면 이데아를 갈 주 있습니다.
필로소퍼의 킹.이 되세요. 기회가 되시면. 허나 그런 보상을 못받아도, 반드시 보상은 받게 되어있으니 염려 붙들어매시구요.
플라톤이, 메르의 이야기.로 끝을 맺는겨. 메르.가 레테의 물을 먹지 않아. 기억을 간직한체 저세상을 다녀오걸랑.
플라톤 너무 재밌어 이 할배.
아주 끝까지 이데아에 더 굿.을 지독하게 깔고 가면서 자기 이야길 하는겨 이사람은. 일이관지해. 하물며, 보상도 염려해. 걱정 말라고. 누가 안알어 줘도 상관없어 나만 떳떳하면 돼, 따위 말은 개소리중 개소리지 다 위선적 인간만 만드는겨 신독이란게.
무지 는 죄악이야. 저것들은 소피아 를 필리아 하는 마음이 전 혀 없어. 오직 선동. 아 이해가 돼 이것도, 배우려니까, 배울 수가 없는겨. 다른애들은 미적분인데, 구구단도 이해못하는 지능이야. 선동이나 해대면서 지들 배만 채워야지, 민들이 원한다는 것만 주면 되는거고.
에르 이야기가 재밌는데. 걍 니덜이 찾아봐.
.
모두 플라톤해라~~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4. 플라톤 vs 기독교, 힌두교 불교 ft.업보 (1) | 2020.01.18 |
---|---|
173. 플라톤의 윤회, 노예의 다음 생은 노예 (1) | 2020.01.17 |
171. 이데아로 가는 길3. 플라톤 vs 지저스와 싯달타 (1) | 2020.01.17 |
170. 이데아로 가는 길2. 정의란 무엇인가 (1) | 2020.01.16 |
169. 이데아로 가는 길1, 동과 서의 결정적 차이 (1) | 2020.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