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땅 30년 전쟁.의 시작이 보헤미아.인데 말야. 이 보헤미아.가 독특한건. 신성로마제국.에서 유일한 킹덤.이야. 

 

이전 썰한 라이히스 크라이즈. Reichskreise.를 먼저 복습을 해. 그걸 더 이어가면.

 

신성로마제국.이란 정체성.을 갖는건 다이어트.라는거야 Diet. 이게 주변의 다른 킹덤들과 구분.이 되는거걸랑. 프랑스 덴마크 폴란드 킹덤은 여기 다이어트.에 안껴. 저 라이히스 크라이즈.에 소속된 영주들만 신성로마 다이어트.에 모이는거야. 

 

이게 언제부터 구분이 된건지 애매한겨 이게. 특히나 프랑스. 프랑스와 신성로마.는 샤를마뉴의 카롤링거부터는 엠퍼러.로 같은 묶음 이걸랑. 이전 메로빈지언.은 킹덤일뿐이야. 이게 킹덤들이 쪼개져. austrasia neustria 오스트라시아. 뉴스트리아. 저건 게르만말이야 오스터.가 동쪽이고 뉴스터.가 서쪽이야. 비지고쓰가 서고쓰족할때 비지.가 서쪽이란 뜻이 아냐. 튼튼한.애들이란겨 비지.는. visi. 오스트리아.가 오스트라이시아.를 갖고 간겨. 오스트리아.라는 지금 나라.는 동쪽땅이야.

오스트레일리아.의 아우스트.는 라틴어 남쪽이고. 했던얘기 넘어가고.

 

오스트라시아. 뉴스트리아. 부르고뉴. 아키탄.으로 쪼개져. 프랑크는. 저게 모두 킹덤들이야. 이걸 샤를마뉴가 통일하면서 카롤링거. 카롤라인.이라는 찰스들이 묶으면서 엠파이어.를 만든겨. 그속에서 킹덤을 하던말던. 

 

The style of address for the Emperor, the Empress, the Grand Empress Dowager, and the Empress Dowager is "His", "Her" or "Your" " Majesty."

The style of address for other Members of the Imperial Family is "His", "Her" or "Your" "Imperial Highness" or "Imperial Highnesses."  

 

얘들은 이 호칭.에서 모든 예의짓.이 끝나. 존대말 따윈 없어. 고급영어가 있을 뿐. 

 

엠퍼러.에겐. 유어 임페리얼 머제스티. Imperial Majesty. 라고 하는겨. 마그누스. 그레이트여 이게. 당신이라는 제국의 그레이트함.이시여 해대는겨. 그리고 그 아래 가족에겐. 임페리얼 하이니스. Imperial highness 당신이라는 높은 분이여. 

 

삼인칭 쓸때는 그.라는 제국의 위대함.이시여. 해대는거고. 

 

 

남자는 히스. 여자는 허.   로 삼인칭으로 쓰는거고. 편지쓸때나 앞에 대놓고 이인칭 부른땐 유어.로 쓰는데. 

 

style of officehonorific or manner/form of address, is an official or legally recognized form of address, and may ofte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title 

 

이걸 스타일. 아너리픽. 이라고 해. 이건 어드레스.의 매너.이고 형식이야. 어드레스.라는건 말야. 드레스.를 ad 더 쎄게 강조한겨. 드레스.라는 옷.은 정돈.하고 바르게 펴는겨 구겨지고 더렵혀진걸. 

 

From Middle English dressen, from Old French dresserdrescerdrecier (“to erect, set up, arrange, dress”), from Medieval Latin *directiō, an assumed frequentative, from Latin directus (“straight, direct”), perfect passive participle of dīrigō (“straighten, direct”), from dis- (“asunder, in pieces, apart, in two”) + regō (“make straight, rule”). See direct.  

 

드레스.란 옷은 디렉투스.의 프랜취야. 다이렉트.인겨 이게.

 

어드레스. address 하면 연설하다.가 아니고. 연설하는 사람은  위엄에 정장을 하고 엄숙히 모든 사람들에게 주장하는거걸랑. 아주 엄중한 자리여. 그 연설할 사람을 그런 예의로 소개하는거고. 옷을 아주 제대로 입힌 모습.에 대한 매너. 아너. 존경심으로 불러달라는거야. 그래서 매너 오브 어드레스.여. 이게 나중 주소.가 되는겨. 주소 라는건 정돈된 자리.인거야.  

 

얘들의 예의.는 이 호칭 하나로 자리를 매겨 줄 뿐이고. 이게 전부여. 그래서 이 아너리픽 어드레스.가 중요한겨. 이걸로 기분  벅차거나 상하거나. 

 

 

 

 

  • Emperors and empresses held the style of Imperial Majesty (HIM).
  • Members of imperial families generally hold the style of Imperial Highness (HIH).
  • In the Austrian Empire, the Emperor was also the King of Hungary, and thus bore the style of Imperial and Royal Majesty. Subsequently, members of the imperial family, who were also members of the royal family of Hungary, held the style of Imperial and Royal Highness (HI&RH). Abbreviation to Imperial Highness is common and accepted.
  • In the German Empire, the other "heir" to the Holy Roman Empire, the emperor and empress were also addressed as Imperial and Royal Majesty, as they ruled over both the German Empire and Kingdom of Prussia. Similarly, the crown prince of the Empire and Prussia was styled Imperial and Royal Highness. Other members of the House of Prussia, having no constitutional place in the Empire as such, were only entitled to the style of Royal Highness.
  • In Imperial Russia, children and male-line grandchildren of the Emperor bore the style of Imperial Highness. Male-line great-grandchildren held the style of Highness; also, the eldest son of any person who held the style of Highness also held the style of Highness. All other male-line descendants held the style of Serenity, often translated as "Serene Highness". Some Russian noble princes also hold the style of Serenity; all others and Russian princely counts hold the style of Illustriousness, often translated as "Illustrious Highness".
  • Kings and queens have the style of His/Her Majesty.
  • Members of royal families (princes and princesses) generally have the style of Royal Highness, although in some royal families (for instance, Denmark and Norway), more junior princes and princesses bear the style of Highness.
  • Reigning grand dukes and grand duchesses hold the style of Royal Highness.
  • The styles of members of grand ducal families have been inconsistent. In Luxembourg, more senior members of the family have also been Royal Highnesses, but only due to their status as Princes of Bourbon-Parma (itself an inconsistency as Parma was only ducal, but this family has male-line descent from kings of Etruria, Spain and France). In Baden and Hesse and by Rhine, junior members held the style of Grand Ducal Highness. Members of other grand ducal families (for instance, Oldenburg) generally held the style of Highness.
  • Reigning dukes and duchesses bore the style of Highness, as did other members of ducal families. Junior members of some ducal families bore the style of Ducal Serene Highness, although it fell out of fashion.
  • The elector of Hesse-Kassel also bore the style of Highness, as did other members of the Hesse-Kassel family.
  • Reigning princes bear the style of Serene Highness (GermanDurchlauchtFrenchSon Altesse Sérénissime), as do other members of princely families. Mediatized dukes and princes also bear the style of Serene Highness.
  • Mediatized princely counts and countesses bear the style of Illustrious Highness (HIllHGermanErlaucht).

 

신성로마제국.에서는. 엠퍼러.만이 임페리럴 머제스티.라는 호칭을 들을 수 있어. 그 아래 킹.은 그냥 머제스티.야. 

 

아시아에서 황제(皇帝) 및 국왕(國王)의 경칭은 2인칭으로서는 폐하(陛下)이다. 이는 “높이 우러러 볼 사람이기에 뜰에서 층계 위로 우러러 뵌다.”라는 뜻이다. 제후(諸侯)의 경칭은 2인칭으로 전하(殿下)이다. 이는 “계단 아래에서 우르러 뵌다.”라는 뜻이다.

하지만 엄밀히 말해, 폐하와 전하는 둘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그 뜻이 같았다.[1] 다만 그 품격에서 폐하가 전하보다 높았다. 

 

폐하 2 陛下 [폐ː하/페ː하]

  • 명사 뜰의 층계 아래.

표준국어대사전 

 

폐.가 뜰의 층계야. 뜰에서 층계 위로 우러러 뵌다. 뜰에서 폐하 그런거래? 잔디밭에 풀땅 위에서? ㅋㅋㅋ. 

 

야 정말 너무 한심하지 않냐 저런거. 

 

陛. 表示将墙院相连的通道。当“”的本义消失后,篆文

再加“阜”

(向上的石阶)另造“”代替,表示王宫内相连的台阶。造字本义:名词,群臣的朝殿与帝王的宣殿相连的至尊台阶

 

폐라는 글자가. 금문.에. 성곽 담장.과 원. 내원.을 잇는 통도. 즉 머겠냐. 계단인겨. 내원.에서 성곽 위로 올라가는 계단.의 계.여. 이 뜻이 소실이 되고. 언덕 부. 모양을 붙여 전문.에서. 그러면서 뜻이. 왕궁내 상연 적 대계. 궁안에서 잇는 대계. 섬돌이란겨. 성곽.가기 위한 계단.이 아니라. 궁 내에서 전.에 들어갈때 높으니까 놓은 작은 계단.이야. 섬돌 이라고 하는. 

 

군신의 조전. 군신이 조정회의에 모인 자리여. 제왕의 선전. 제왕이 앉아 있는 자리여. 높아. 이걸 있는 대계. 계단이여.

 

폐하! 라는게. 이게 웃긴 호칭이야. 이건. 자기들을 말하는겨. 신하들이 저 폐.라는 킹의 자리로 향하는 계단.의 아래 있는 자기들을 내려부른 말이걸랑. 저게 유럽애들과 아주 다른거야. 

 

동양빠닥은 자기를 깎아 내리면서 상대를 띄워주는거고. 유럽애들은 상대를 띄울 뿐이야 그냥. 그렇다고 자기를 깎아 내리는건 아니걸랑. 

 

「陛」とは宮殿の階段のことで、「陛下」とは「階段の下」を意味し、尊敬の対象を直接呼び掛けることを忌むことで敬意を示す。漢語としての「陛下」は、始皇帝以来、中国の皇帝の敬称として用いられたことに始まる  

 

폐하.는 계단의 아래.여. 자기를 낮추고 삼가면서 상대를 띄우는겨. 진시황때부터 사용한 말로 보인다 하는거고. 

 

우러러 보는게 아니고. 멀 감히 우러러봐. 우리넨  당신 계단 아래 있사옵니다 하는거지. 아 증말 욕 나와 이 조선들의 번역한 모든 글자들을 보면.

 

전하 각하.라는건. 이게 전.이라는 내전.의 아래 있는 겨. 이건 킹.이 방 안에 있고. 이 방의 밖에 있는 애들이야. 엄격히 말하면. 신하들을 자기 전.들어오는 계단 아래 바깥에 머물러서 내말 들으라는 거여. 전하 라는건 전 바깥에 있는 우리 신하들이다. 라는겨. 각하 라는건. 불교 들어오면서. 대웅전.밖에 삼성각.이야. 불교가 페이건들을 같이 모시걸랑. 그래야 장사가 되걸랑. 페이건 신들 방은 전.이라 안불러. 각.이라 불러. 전하 는 대웅전.이고 각하.는 삼성각.이야. 다 그 밖에 있는 자신들을 하대하면서 방안의 전. 각. 대상을 존칭하는겨. 

 

 

머제스티.가 높은 추상명사야. 듀크.에겐 하이니스.여. 킹에겐 그냥 머제스티.고. 킹 가족에겐 로얄 머제스티.고. 

 

그랜드 듀크.라는건 저게 공식적으론 중세에 없어 저런 호칭은. 비공식적으로 초창기 부터 몇몇 써대다가. 공식적으로 쓴건 16세기 이후 피렌체여. 이건 교황이 올린겨. 그리고 19세기 와서야 써댄겨 저 그랜드 듀크.는 유럽에선.

 

  • Before the French Revolution, and from 1814 to 1830 (apart from a brief period in 1815), the King of France used the formal style of Most Christian Majesty (FrenchMajesté Très Chrétienne). For general usage, however, until the final end of the Bourbon monarchy in 1830, kings and queens of France were styled Majesty (FrenchMajesté)
  • Children and male-line grandchildren of the King used the style of Most High, Most Potent and Excellent Prince or Princess (FrenchTrès Haut, Très Puissant et Excellent Prince) or Royal Highness (FrenchAltesse Royale) and FrenchMonseigneur followed by their main title.
    • Louis, Grand Dauphin was referred to by the title Monseigneur only, while retaining the style of Royal Highness
    • The eldest unmarried daughter of the King was referred to by the title Madame only, while retaining the style of Royal Highness
    • Younger unmarried daughters of the King were referred to by the title Madame followed by their first name, while retaining the style of Royal Highness
    • The oldest brother of the King was referred to by the title Monsieur only, while retaining the style of Royal Highness
      • His eldest unmarried daughter was referred to by the title Mademoiselle only, while retaining the style of Royal Highness.
      • Younger unmarried daughters of Monsieur were referred to by the title Mademoiselle followed by their main title, while retaining the style of Royal Highness
    • Younger brothers of the King used only the style of Monseigneur, followed by their main title.
  • Princes of the Blood used the style of Most High, Most Potent and Excellent Prince or Princess (FrenchTrès Haut, Très Puissant et Excellent Prince) or Serene Highness (FrenchAltesse Sérénissime) and Monseigneur or Mademoiselle followed by their main title.
    • Until 1707, the First Prince of the Blood (head of the House of Condé) was referred to by the title Monsieur le Prince only, while retaining the style of Serene Highness
    • After 1707, the head of the House of Condé was referred to by the title Monsieur le Duc only, while retaining the style of Serene Highness
  • Foreign and legitimized princes used the title of High and Potent Prince (FrenchHaut et Puissant Prince) and claimed the right to use the style of Highness (FrenchAltesse) and Monseigneur followed by their main title.
  • Dukes and Peers used the style of Most High and Most Potent Lord (FrenchTrès-Haut et Très-Puissant Seigneur), but in the 18th century, that style was used by lesser-ranked nobles
  • Other titled nobility used the style of Most High and Potent Lord (FrenchTrès-Haut et Puissant Seigneur) or High and Potent Lord (FrenchHaut et Puissant Seigneur)

 

프랑스.는 Majesté 킹한테 똑같이 마제스티. 머제스티.를 쓴겨. Most Christian Majesty (FrenchMajesté Très Chrétienne)  얘들은 공식적으론. 가장 그리스도적인 머제스티. 마제스티 트레 크레치엔. 이라고 길게 부른겨 자기들 킹 부를땐. 그 승계 핏줄 자식들에겐. "모스트 하이 모스트 포텐트 앤드 모스트 엑설런트 프린스" (프린세스). 라는 불어발음 으로 부른거고. 이게 공식적으로 길게 부른겨.  로얄 하이니스.하고  Monseigneur, Monsieur 큰 형제들에겐 몬시뇨르, 어린 형제에겐 므셔. 라 한거고. 그 타이틀 뒤에. 꼭 이리 불러야 해. 결혼 안한 큰딸에겐 마담. 작은 딸에겐 마드모아젤. 

 

즉 걍 지들끼리 대화나눌땐 몬시뇨르. 므쎠. 마담. 마드모와젤. 짧게 불렀겄지. 

 

이 므쎠. 마담. 이게  높은 말이야 그래서. 그래서 레미제라블.에서 미리엘 주교.가 장발장에게 므쎠. 하니까 장발장이 어쩔줄 모르는겨. 왜 얘가 나보고 므쎠 해대는지. 헌데 저걸  노형. 이따위 번역. 

 

프랑스.는 듀크.와 다른 피어들. 즉 카운트.에게 "모스트 하이 앤드 모스트 포텐트 로어드" Très-Haut et Très-Puissant Seigneur 트레오 이 트레퓌상 세뇨. 시뇨르.세뇨.가 로어드.여 이게 졸 높은 호칭.이야. 모스트 엑설런트.만 빠졌어. 저게 의전할때 저리 부르는겨. 평상시엔 유어 시뇨르. 라고 하겄지 아랫겄들이. 

 

  • 12 December 1799 – 18 May 1804His Excellency, Napoleon Bonaparte, First Consul of the French Republic
  • 26 January 1802 – 17 March 1805His Excellency, Napoleon Bonaparte, President of the Italian Republic
  • 18 May 1804 – 11 April 1814His Imperial Majesty The Emperor of the French 

나폴레옹.이 프랑스 리퍼블릭 삼두일때는 엑설런시.여 호칭이. 나폴레옹이 황제가 되고는 호칭이 임페리얼 머제스티.여. 샤를 마뉴 셋째 대머리 샤를 이래로. 프랑스 에서 유일하게 임페리얼 머제스티.를 되찾은겨 저때. 다음 조카가 저걸 잇는거고. 

 

  • Dukes and duchesses in the peerages of EnglandScotlandGreat BritainIreland, and the United Kingdom (who are not royalty of highness) bear the style of Grace (e.g. "His Grace", "Her Grace", or "Your Grace").[1][2] They also hold the style of Most High, Potent, and Noble Prince,[3][4] but even in the most formal situations, this is usually shortened to The Most Noble, which is still considered to be very formal.
  • Marquesses and marchionesses bear the styles of The Most Honourable and Lordship (e.g. "His Lordship", "Her Ladyship", "Your Lordship", or "Your Ladyship").[1][5] They also hold the style of Most Noble, Most Honourable, and Potent Prince,[6] but even in the most formal situations, this style is rarely used.
  • Earls, countesses, viscounts, viscountesses, barons, and baronesses bear the styles of The Right Honourable and Lordship.[7][1]
  • Scottish barons bear the style of The Much Honoured.

영국.도 킹은 머제스티.여. 듀크.는 그레이스. Grace 를 써. 그리고 모스트 하이 포텐트 앤 노블 프린스.라고 길게 부르는거고. 줄여서 모스트 노블.이라고 불러. 대게 모스트 노블.이라고 불렀다고 봐 공식으로. 

 

마퀴스.가 영국에 남발대걸랑. 프랑스는 이 마퀴스.란 후작이 없어. 영국과 독일땅에서 남발되는겨 이건. 얘들은. 더 모스트 아너러블 앤드 로어드쉽. 으로 불러. 백작 자작 남작.인 얼 비스카운트 배론들은 .더 라이트 아너러블 앤 로어드 쉽. 이라 하고. 후작은 더모스트. 뒤 애들은 더라이트. 스콧 남작은 더머치 아너드.

 

꼭 저리 불러야해. 저 호칭을 잘못 쓰면 걘 나뽀.

 

저런것도 걍 일반적으로 정리한거고. 영국도 저런게 나중 정리가 되고. 헨리8세.는 얘 스타일.은 grace 그레이스.여. 얘 스타일은 그레이스 오브 갓.이여. 그래서 앤 불린.이 옥중에 이 핸리 개새꺄 하면서 편지 쓸때. 헨리를 유어 그레이스. 한거걸랑. 저건 앤불린.이 주작으로 만든 호칭이 아니라, 공식적인 헨리에 대한 호칭이야. 

 

저게 중세에 킹 퀸 마다 스타일이 약간 씩 달라. 그러다 나중 다 정립이 된겨. 엘리자벳1세의 스타일.이 머제스티.여. 허 머제스티. 

 

.

저기에 영국이 reverend. venerable. 레버런드 베너러블.이 붙기 시작하고. 프랑스 마담.이 영어 마담이 되서리 갖고 와서 쓰는거고. 저런 호칭들이. 귀족들에서. 교회.와 학교.에 그대로 내려 가고, 사회에 퍼지는겨. 

 

The term "grand duke" as a monarch reigning over an independent state was a later invention (in Western Europe at first in 1569 for the ruler of Tuscany) to denote either a particularly mighty duke or a monarchy playing an important political, military and/or economic role, but not large enough to be a Kingdom.  

 

그랜드 듀크.라는건 서기 1569년. 에 교황이 이탈리안 전쟁 끝나고. 저 토스카나 지방이 자기 관할이라며 우기면서 저 메디치.를 그랜드 듀크.로 승격을 해. 이게 공식적으로 처음이야 서유럽에선. 중세 초반에 듀크들이 자기가 더 그랜드라며 마그누스 둑스. 그랜드 듀크. 라 막막 했걸랑. 이걸 인정을 안해. 그러려니 한거고.

 

동유럽.은 리투아니아.가 그랜드 듀크.여. 13세기부터. 카먼웰스 되고부터도 폴란드 킹은 리투아니아 그랜드 듀크.를 꼭 썼어야만 해. 얜 벨리키 보이보드.여 이걸 그랜드 듀크.라 번역한거고.

.

 

Velikiy Kniaz (Великий Князь). 대공국.이라는 그랜드 듀크.는 슬라브에나 있던겨. 러시아.는 이반4세가 짜르 전까지는 모스크바 대공국 할때. 벨리키 크냐즈. 여. 벨리키.가 그레이트. 크다는 거고. 크냐즈.가 영주. 군주.여. 이걸 그랜드 듀크.라 번역하고. 벨리키 노브고로드.가 큰 노브고로드.여. 니즈니 노브고로드 생기고 앞에 벨리키.를 붙인겨 저긴. 모스크바 의 벨리키 크냐즈 타이틀은 몽골애들이 달아준거고. 

 

veliki župan (велики жупан) 벨리키 주판. 이게 세르비아.가 킹덤 전에 또 그랜드 듀크.라 번역하는데. 크냐즈.의 남슬라브어 주판.이야. 이걸 그랜드 프린스니 그랜드 듀크.니 번역 한거걸랑. 얘들은 비잔틴이 달아준거고.

 

문제는 아치듀크.라는거야. 이건 오직 오스트리아.만 쓴거야. 이 아치듀크. 역시 대공작.으로 번역을 하는건데.

 

 

오스트리아.가 아치듀크.가 된건. 이전의 황제칙령.을 위조하고. 자기들 위상을 스스로 올린겨. 아치듀크.라고. 

 

이건 보헤미아 와의 대립에서 황제한테 따당하고 소외되고서 발생한 일이야. 그리곤 백년 후에. 합스부르크.가 황제가 되면서 자기들땅을 공식으로 아치듀크.의 땅으로 승인하면서 오스트리아.는 아치듀크.의 아치더치.가 돼. 

 

저건 합스부르크.가 오스트리아.로 가서 발담그면서 세상에 나타날때. 보헤미아.와의 대립이 이어지면서 그 끝판왕의 결과야. 보헤미아.가 킹덤이 될때 취리히옆에 있던 합스부르크.가 오스트리아. 후계자.가 끊기면서 여길 두고 전쟁을 벌인거걸랑. 그러면서 합스부르크.가 세상에 등장한거야. 이걸 합스부르크가 이기고. 오스트리아.를 차지한겨. 이때가 1250년 프리드리히2세.죽고 대공위시대야. 합스부르크.가 이때 오스트리아.를 먹은겨. 보헤미아.를 상대로. 

 

그러면서 보헤미아.와 합스부르크.가 숙적이 되는겨. 그러다가 신성로마황제.가 칙령.으로 보헤미아 킹덤.을 공식 선제후 일곱자리.만들때 자리 하나주면서. 이때 소외된 합스부르크.가 자기들은 아치듀크.라고 이전 칙령을 위조하면서 자체 승계.를 해. 그리고 백년 후 정식 아치듀크.가 된건데. 

 

.

신성로마제국.의 정체성.은 다이어트 Diet.에서 시작을 해. 이걸로 자기들의 소속감을 갖는겨. 

 

From Medieval Latin dieta "day's work, wages" and also "meeting of councilors", from Latin diaeta (“prescribed way of life”). 

 

From Latin diaeta, from Ancient Greek δίαιτα (díaita, “way of life”).

 

다이어트.란게. 미디벌 라틴어. 디에타.여. 미디벌라틴어란건 클래식. 레이트. 다음의 미디벌.이여. 이 다음이 르네상스 라틴어고. 즉 이건 게르만화 된 라틴어야. 고대 그리스어 디아이타. 삶의 방식.이야. 처방전.이고. 사는 방법.이고. 이게 중세에, 하루 일. 작업. 월급.이 되는겨. 더가서. 윗자리들의 모임.이 된거고. 음식으로 가서 음식.의 대명사로 쓰이는겨. 삶의 방식.의 핵심은 처먹는거니까. 그러다 음식 처먹는 방법. 처방전이 되고 이게 지금 다이어트.가 된거고. 한편으로는, 윗대가리들이 모여서 이바구질.을 해야 살수 있는 처방전이 나오걸랑. 그래서 이게 회의.가 된겨.

 

.

이 신성로마제국.을 이해해야 하는데. 이전걸 다시 보면. 

 

Traditional German historiography counts six Altstämme or "ancient stems", viz. BavariansSwabians (Alamanni)FranksSaxonsFrisians and Thuringians. All of these were incorporated in the Carolingian Empire by the late 8th century. Only four of them are represented in the later stem duchies; the former Merovingian duchy of Thuringia was absorbed into Saxony in 908 while the former Frisian kingdom had been conquered into Francia already in 734. The customary or tribal laws of these groups were recorded in the early medieval period (Lex BaiuvariorumLex AlamannorumLex Salica and Lex RipuariaLex SaxonumLex Frisionum and Lex Thuringorum). Franconian, Saxon and Swabian law remained in force and competed with imperial law well into the 13th century. 

 

서로마 망하고. 알프스.넘어의 게르만들이 유럽을 휩쓸때 독일땅엔. 다섯 부락.이 크게 자리를 잡은겨. 슈탐. Stam. 이라해. 이게 stem 스템. 줄기. 영어로 쓰지만. 슈탐.이란건 모여있는 부락 애들이야. 스탠드.여 머문 애들. 이들이 핏줄이루고 세월지나면서 살걸랑. 이게 줄기. 스템.이 된거야. 시작은 서다 머물다 스탠드.의 슈탐.이 스템.이 된겨.

 

이들이 올드 공작령.이여. 이들 각각이 다 법들을 만든겨 저게. 살리크법.도 그 중 하나고. 저게 메로빈지언의 프랑크 때여. 샤를마뉴 전의 카를 마르텔 소피핀.이 승인하고 공포하는 법이고. 이 게르만들이 로마.를 이미 익혀 나간겨 저게. 라틴어.를 토대로 자기들 글자를 섞으면서. 이미 게르만들은 올드 이탈릭.을 보고 만든 글자가 있었어. 얘들이 간단한 애들이 아냐 야만이었더라도. 이미 로마 용병들로 로마를 겪은 애들과 로마 시민권을 딴 이들이 저기서 리더를 하는겨.

 

알트슈템메. 오래전 부락.들이 바바리안. 스와비안(알라마니). 프랑크. 작센. 프리지안. 투링기안. 이었는데. 프랑크.들이 메로빈지언 중심으로 프랑크 킹덤 으로 통합하다가 이게 분열을 해. 오스트라시아. 뉴스트리아. 부르고뉴. 아키탄.으로 서쪽에서 분열하고 이쪽은 오스트라시아.가 많이 걸쳐 있는거고. 그러다가 샤를마뉴.가 통일하면서 카롤라인의 신성로마제국.이 서는겨. 이건 초기엔 이탈리아 중북부에 프랑스 독일땅 전부여. 피레네.너머에 우마이야 무슬림애들 있는거고. 

 

샤를마뉴가 통일하면서. 독일땅은 이전 여섯개 슈탐.들이 네개.로 흡수가 돼. 이전의 더치. 공국령들이 네개의 공국.으로 흡수가 된겨. 프리지안.은 프랑스 서프랑키아.로 들어가고. 투링기아.는 작센.으로 흡수가 되고. 바바리아 스와비아 살리안(프랑크) 작센. 이 넷 공국령이 독일땅에서 공국령이 돼. 카롤라인 애들의. 그러면서 흩어진 영주들이 모였다는거야. 대관식할때나 그리스도 축제때나 모이면서 인사한게 아니라. 정치적으로 모여서 대화를 나누는거야. 

 

샤를마뉴 이전에도 법들을 만들고. 서로 모인거고. 샤를 마뉴 이후에 모여서 법을 만든게 또한 보이는겨 이게. 

 

 

The precise role and function of the Imperial Diet changed over the centuries, as did the Empire itself, in that the estates and separate territories gained more and more control of their own affairs at the expense of imperial power. Initially, there was neither a fixed time nor location for the Diet. It started as a convention of the dukes of the old Germanic tribes that formed the Frankish kingdom when important decisions had to be made, and was probably based on the old Germanic law whereby each leader relied on the support of his leading men. For example, already under Emperor Charlemagne during the Saxon Wars, the Diet, according to the Royal Frankish Annals, met at Paderborn in 777 and officially determined laws concerning the subdued Saxons and other tribes. In 803, the Frankish emperor issued the final version of the Lex Saxonum

 

 

작센은 샤를마뉴.때에야 복속시킨거걸랑. 작센 전쟁 중에 다이어트.를 한거야. 서기 777년. 이게 최초.로 보여 기록상 남아있는거노. 그리고 복속시킨 작센.과 다른 슈탐.들에 관련 한 법들을 공식적으로 제정하고 공포를 한거야. 서기 777년.에. 서기 803년에 이 작센법 최종버전을 공포한거고. 

 

 

 

At the Diet of 919 in Fritzlar the dukes elected the first King of the Germans, who was a Saxon, Henry the Fowler, thus overcoming the longstanding rivalry between Franks and Saxons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German realm. 

 

 

다이어트.에서 처음으로 제대로 된 협의로 킹.을 뽑은게 파울러 헨리. 하인리히.여. 얘 아들이 작센의 오토1세.이고. 

 

즉 다이어트.라는 전체 부락 모임. 듀크들 모임에서 자기들 황제 후보.를 뽑고 황제를 만드는겨 이게. 서기 919년에. 이 다이어트.란게 모여서 법도 만들어 공포하고. 자기들 황제.도 뽑게 되는 회의체.로 간거야. 이 다이어트.란 정체성 다지기.는 샤를 마뉴.이전부터여 이게. 더하여 자기들 황제 까지 뽑는거고. 

 

However, until the late 15th century, the Diet was not actually formalized as an institution. Instead, the dukes and other princes would irregularly convene at the court of the Emperor; these assemblies were usually referred to as Hoftage (from German Hof "court"). Only beginning in 1489 was the Diet called the Reichstag, and it was formally divided into several collegia ("colleges"). Initially, the two colleges were that of the prince-electors and that of the other dukes and princes. Later, the imperial cities, that is, cities that had Imperial immediacy and were oligarchic republics independent of a local ruler that were subject only to the Emperor himself, managed to be accepted as a third party.  

 

헌데. 저 다이어트.라는건. 어떤 공식적 기구.로 볼수 없다는겨 15세기 후반 전까지는. 공식적이라 하면 제도적으로 정기적 모여서 법절차대로 무얼 했어야만 한다는거걸랑. 그게 아니라, 어떤 사건 이벤트 들이 있을 때나 모였다는거고. 황제 선거 할때나 후보선출하고, 큰 이슈 생기면 모여서 회의하는 정도 였다는거야. 그냥 포럼 forum 의 성격이었어. 포럼이란 정치적 이슈.를 갖고 그냥 모여 회의하는거걸랑. 어드래 해야 할까 하민서 서로 잡담을 나누는겨. 여기서 머 발전하면 법안을 만들다던가 했던거고. 이걸 호프타게. Hoftage 라고 불러. 호프.가 코트.고 탁 tag 타겐.이 모이는겨. 코트에서의 모임. 조정회의. 조선식으로. 

 

그러다가 1489년 부터는. 라이히스탁. 라이히 reich. 가 rule 룰. 법이고 킹이여. 황제고. 황제를 중심으로 한 정식 모임체.여. 제도적으로 법적 회의체.가 된거야. 모이는 부류를 칼리지.라는 덩어리로 나눠. 두개로 나눠. 선제후들의 모임.과 그외 떨거지 공작들과 영주들.의 모임. 그리고는 제국자유도시들.의 영주들을 또 한부류로 정해. 그래서 세 부류.로 구성된 다이어트.를 하는겨. 이건 이전보다 더 무게감이 들면서 제도화되고 정기적이 된거야. 그렇다고 이전 호프타게.는 후지다 라고 말할수 없고 더 고도화된겨 이게.

 

 

Hoftag (pl. Hoftage) was the name given to an informal and irregular assembly convened by the King of the Romans, the Holy Roman Emperor or one of the Princes of the Empire, with selected chief princes within the empire. Early scholarship also refers to these meetings as imperial diets (Reichstage), even though these gatherings were not really about the empire in general, but with matters concerning their individual rulers. In fact, the legal institution of the imperial diet appeared much late   

 

호프탁. 복수 호프타게. 이건 걍 비공식적 비정규적 회의체야. 역시 황제.나 황제 후보들이 소집하는거고. 이건 서로들 개인 이야기들을 여기서 모여서 하는게 또한 많아. 그러다 라이히스탁. 정식 국무회의가 되는겨. 이게 서기 1489년.이야. 카를5세 할아버지 막시밀리언.이여. 이 막시밀리언.이 신성로마제국.의 제도개혁을 단행하면서 라이히스 크라이즈. 행정구역을 다시 나누고, 다이어트 도 공식적으로 제도화한거야.

 

 

The Golden Bull of 1356 (GermanGoldene BulleLatinBulla AureaItalianBolla d'oro) was a decree issued by the Imperial Diet at Nuremberg and Metz (Diet of Metz, 1356/57) headed by the Emperor Charles IV which fixed, for a period of more than four hundred years, important aspects of the constitutional structure of the Holy Roman Empire. It was named the Golden Bull for the golden seal it carried. 

 

서기 1356년.에 골든 불. 카를 4세.가 만든 조칙.이야. 불.이 bull. 부풀어 터지는 버블.이여. edict 에딕트.와 같이 써 황제.의 조칙으로. 불.은 교황.의 법 공포를 불.하다가 황제도 에딕트.에 뒤에 불.도 같이 쓰는겨. 금도장을 찍어서 골든 불.이야. 

 

서기 1356년.이 아비뇽 유수.라는 아비뇽 교황정 시기여.

 

The Avignon Papacy, also known as the Babylonian Captivity, was the period from 1309 to 1376  

 

1250년. 프리드리히2세.죽고부터 대공위 시대. 황제자리 비워지면서. 게르만의 킹들이 난립을 하는겨. 이때 가장 문제가. 영주들이 내세우는 후보.와 교황이 내세우는 후보.가 갈리고. 이 교황이 아비뇽에 처박혀 있으면서 개판이 되던 시기걸랑. 교황이 세속권력에 깊이 개입하면서 유럽이 혼란스러워 져. 선제후들의 게르만 킹을 교황이 인정을 안하고. 또한 선제후 들도 갈리는겨 이게. 그러면서 서로 전쟁을 하는거고. 이 13세기 14세기.가 중세 이단의 아주 극에 달하는 시기야. 저때 또한 레반트 2백년 십자군이 패한 시기이고. 교황은 프랑스애들한테 진짜 뺨싸다구 맞고 홧병으로 죽기도 하고 아비뇽에 인질아닌 인질로 처박힌거고. 아주 피곤한 시긴데 이때가.

 

저게 잠잠해지면서, 선제후 제도.를 완전히 재정립한게. 서기 1356년 저 골든 불.이야. 저건 교황과 타협을 한겨. 아비뇽에 처박힌 애들과. 

 

Firstly, the Bull explicitly named the seven Prince-electors (Kurfürsten) who were to choose the King and also defined the Reichserzämter, their (largely ceremonial) offices at court:

 

Page from the Golden Bull manuscript of King Wenceslaus, about 1400, Austrian National Library.

 

Class  Prince-elector  Court office

Ecclesiastical princes Archbishop of Mainz Archchancellor of Germany
Archbishop of Cologne Archchancellor of Italy
Archbishop of Trier Archchancellor of Burgundy
Secular princes King of Bohemia Arch-Cupbearer
Count Palatine of the Rhine Arch-Steward
Duke of Saxony-Wittenberg Arch-Marshal
Margrave of Brandenburg Arch-Chamberlain

Secondly, the principle of majority voting was explicitly sta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Empire. The Bull prescribed that four (out of seven) votes would always suffice to elect a new King; as a result,

 

이때 일곱 선제후. 를 결정하고 이걸 못바꾸게 한겨. 이게 백년이상 가는겨. 마인츠. 쾰른. 트리어 대주교.에게 세 장을 주는겨. 교황보고 이걸로 만족하라고. 

 

세속.이 네 장을 갖아. 보헤미아 킹. 라인 팔라틴 백작. 작센 비텐베르크 공작. 브란덴부르크 후작. 

 

그리고. 무조건. 네 표 이상만 받으면 돼. 

 

오른쪽이 코트 오피스. 저게 신성로마제국의 호프탁. 신성로마의 코트에서의 자리야. 마치 로얄 킹덤의 자리가 있듯이. 대주교 셋.은 각각 게르만. 이탈리. 부르고뉴.를 대변하는 아치챈슬러. 대고문관이야. 보헤미아 킹은 컵담당. 다음은 스튜어드. 다음은 마샬. 다음은 챔버린. 

 

저 일곱선제후.가 저때 걍 못질을 박혀. 백년 지나서 다시 바뀌지만. 저때부터 안정이 된겨 신성로마제국이. 

 

이때 삐친게 오스트리아 공작이여. 합스부르크.

.

 

 

 

 

Prince of the Holy Roman Empire (Latinprinceps imperiiGermanReichsfürst, cf. Fürst) was a title attributed to a hereditary ruler, nobleman or prelate recognised as such by the Holy Roman Emperor.  

 

  • territorial rule and the droit de régale, i.e. sovereign rights, over an immediate fief of the Empire
  • a direct vote (votum virile) and a seat in the Imperial Diet
  • direct support for the expenses and the military ban of the Empire.

Not all states met all three requirements, so one may distinguish between effective and honorary princes of the Holy Roman Empire     

 

The actual titles used by Imperial nobles varied considerably for historical reasons, and included archdukesdukesmargraveslandgravescounts palatineprincely counts (Gefürstete Grafen), as well as princes and prince-electors. Moreover, most of the German fiefs in the Empire (except electorships) were heritable by all males of a family rather than by primogeniture, the princely title (or whatever title the family used) being likewise shared by all agnatic family members, male and female.  

 

이전에 프린스.이야길 했지만. 더 가보면. 이 프린스.라는게 얘들도 막 저리 막막 설명을 하는데. 프린스 라는건. 아치듀크 듀크 마그레이브 랜드그래이브. 카운트 팔라틴. 프린슬리 카운트. 가 신성로마 제국의 영주들 계급인데 말야.

 

카운트 팔라틴.이 자치성 강한 카운트 백작이고. 프린슬리 카운트.란게 영지갖고 있는 백작이야. 팔라틴이 더 쎄. 마그레이브 랜드그레이브.는 마퀴스. 마크.라는 후작애들이고. 

 

프린스.란건 저거와 별개.의 애들이 아냐. 쟤들이 막막 헷갈리게 설명을 하는데.

 

저 귀족애들이 모~두 프린스여. 영지 갖고 있는 프린스. 이건 프린켑스.라는 라틴어. the first citizen 첫번째 시민.이란 뜻이여. 왕의 후계자 프린스.라는 건 영국에서의 자리이고. 웨일즈의 프린스.라는게 웨일즈의 첫번째 시민.인거고 이게 상징적 후계자가 된거지만. 프린스 가 저 라틴어의 의미로. 그냥 군주.야. 군주. 저걸 왕자.로 후계자 타이틀로 달리 쓰는건 별개고. 

 

저 프린스들 모두. 군사지휘권이 있고. 황제를 선출할 권리면 프린스-일렉터.가 되는 선제후고. 자기들 땅에서 선거할 권리가 있는겨. 이 프린스.가 영지.가 없는 명예직의 프린스.도 있어. 땅은 없지만 전쟁날때 지휘관을 할 권리가 있어. 월급도 챙겨 받고. 프린스.는 저런 의미로 쓰는겨 쟤들이. 저기서도. 

 

저 프린스.는 또 먼가~ 하고 헷갈리지 마러. 저걸 제대로 설명하는 애들이 없어.

 

An Imperial State or Imperial Estate (LatinStatus ImperiiGermanReichsstand, plural: Reichsstände) was a part of the Holy Roman Empire with representation and the right to vote in the Imperial Diet (Reichstag). Rulers of these Estates were able to exercise significant rights and privileges and were "immediate", meaning that the only authority above them was the Holy Roman Emperor. They were thus able to rule their territories with a considerable degree of autonomy.

The system of imperial states replaced the more regular division of Germany into stem duchies in the early medieval period. The old Carolingian stem duchies were retained as the major divisions of Germany under the Salian dynasty, but they became increasingly obsolete during the early high medieval period under the Hohenstaufen, and they were finally abolished in 1180 by Frederick Barbarossa in favour of more numerous territorial divisions. From 1489, the imperial Estates represented in the Diet were divided into three chambers, the college of prince-electors (Kurfürstenkollegium/den Kurfürstenrat), the college of imperial princes (Reichsfürstenrat) and the college of imperial cities. Counts and nobles were not directly represented in the Diet in spite of their immediate status, but were grouped into "benches" (Grafenbänke) with a single vote each. Imperial Knights had immediate status but were not represented in the Diet.  

 

신성로마제국의 땅.이 임페리얼 스테이트. 걸랑. 이들 땅은 정확히. 저 다이어트.라는 호프탁. 라이히스탁.에 모이는 프린스들. 의 합이야. 프랑스 폴란드 이런애들은 임페리얼 스테이트가 아녀. 다이어트.에 올 수 없어. 아니 안가.

 

이게 웃긴겨. 대머리 샤를.도 황제였어 일년인가. 서프랑키아.도 저기 황제권한이 있어. 원래 로타르.만 하기로 한겨. 로타르 핏줄들만. 이 핏줄들이 끊겨서 프랑스와 독일이 받은거고. 초기엔 저건 걍 아무 가치도 없는겨. 로타르 장남이 지고서 이름만 취한거걸랑 짝은 땅받은 김에. 헌데 저게 시안하게, 게르만루이.쪽 애들이 저걸 갖고 가게 된거야. 로타르의 황제타이틀을. 그러면서. 대머리샤를의 자식들이 저기에 안 들어가는거야. 얘들은 저기 호프탁.이란 다이어트에 초창기 안 간거야 저게. 저러면서 자연스레 알프스 넘어 게르만 루이.의 영주들만 모이게 된겨 이게. 시안하게. 

 

저러다가 프랑수와.가 카를5세.랑 경쟁이 붙어서 황제자릴 하려했던겨. 얜 저 독일 땅 다이어트.에 가지도 않았으면서 저 황제 자리를 두고 경쟁을 한겨 이게. 저게 법적으로. 안된다. 란건 없걸랑. 헌데 당연히 안되는겨 그동안 다이어트에 안왔으면서 먼 신성로마 황제를 해.

 

신성로마황제의 영지.라는 저 임페리얼 스테이트.가 저러다가 자연스레 저 알프스이북.만 보헤미아까지 그냥 들어가게 된거야. 이건 다이어트.라는 이전 포럼.의 호프탁.의 힘이야. 이게 참 묘한겨. 저기서 서로들 라이히스 크라이즈.라는 제국의 서클. 라이히스.가 라이히.의 소유격.이야. 그 권역을 막시밀리언.이 다시 세팅을 한거야. 그 이전에도 저리 서클별로 모였기도 했지만. 

 

 

Imperial Estates could be either ecclesiastic or secular. The ecclesiastical Estates were led by:

The secular Estates, most notably:

Until 1582 the votes of the Free and Imperial Cities were only advisory. None of the rulers below the Holy Roman Emperor ranked as kings, with the exception of the Kings of Bohemia.    

 

교회령으로들 선제후 땅들에. 교회영주령인 프린스 아치비숍.에. 프라이어 프로보스트.는 수도원들이여. 거기에 기사단들의 영지들이 있고. 세속영지들 네명.의 영지에. 다른 프린스들. 공후백자남.들이 있고. 자유도시들.이 저 신성로마제국에 들어가. 이들이 라이히스 크라이즈. 그룹핑하면서 그 안에서도 회의체가 있는겨. 

 

헌데 이 라이히스 크라이즈.라는 제국의 서클. 행정단위.에 보헤미아.는 그냥 그 자체야. 저 서클에 안끼는 그냥 독보적인 서클 킹덤이야. 

 

저 보헤미아.는 더치. 공작령 이었어. 저게 킹덤으로 승격이 돼. 이건 당시 게르만의 킹. 저때 대공위 시대걸랑. 황제가 아닌 대관식 못한 후보자가 저걸 승격한겨. 정치적 연합을 이유로. 저때 반대 게르만 킹.이 합스부르크.의 루돌프.여. 지금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를 창립한. 루돌프.가 게르만의 킹이 되고, 

 

After Austria was detached from Bavaria and established as an Imperial estate in 1156, the Babenberg dukes also acquired the neighbouring Duchy of Styria in 1192. After the extinction of the line in 1246 and the occupation by King Ottokar II of Bohemia, it was seized by the Habsburg king Rudolf I of Germany, who defeated Ottokar in the 1278 Battle on the Marchfeld and enfeoffed his son Albert I.  

 

오스트리아.의 바벤베르크.가 후계자 끊기고. 이걸 보헤미아 킹.을 만든 오토카르2세.가 오스트리아를 먹으려다가. 합스부르크. 저 취리히 저짝에서 온. 루돌프 한테 뺏기는겨. 이게 마르흐펠트 전투.야. 헝가리 벨라.가 보헤미아.와 사이가 안좋걸랑. 지금 슬로바키아 땅.이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분쟁진겨 저게. 루돌프.가 이 헝가리 꼬셔서 보헤미아를 이겨.

 

저 보헤미아.가 체코슬로바키아.란 이름으로 독립해서. 2차대전 시작 할때 저놈의 체코슬로바키아.를 또한 헝가리.가 슬로바키아 땅을 시작 전에 처먹는겨. 원래 저거 우리꺼라고. 위에선 폴란드.가 니덜 보헤미아 땅 위는 원래 폴란드꺼야 해대면서 갖고 간거고. 히틀러.는 보헤미아 원래 우리꺼여 하면서 갖고 간거고 ㅋㅋㅋ. 히틀러 가 저러니 위 폴란드 아래 헝가리가 나도 갖고 갈래 해서 갖고 간겨 저게. 보헤미아 애들은 걍 눈물흘리면서 뜯긴겨 세계대전 시작 전에. 그러다 히틀러가 주작질하면서 폴란드에 누명씌워 쳐들어가면서 생긱게 2차대전인데. 

 

이때 중심은 저 보헤미아 란 체코여. 2차 대전이. 히틀러가 핑게삼으면서, 폴란드 헝가리.가 멍청하게 욕심내다가. 하튼 지나고보면  한심한건데.

 

합스부르크 에겐  저 1356년 칙령으로 완전히 소외가 된겨. 

 

The Privilegium maius (GermanGroßer Freiheitsbrief, "greater privilege") was a medieval document forged in 1358 or 1359 at the behest of Duke Rudolf IV of Austria (1358–65) of the House of Habsburg. It was essentially a modified version of the Privilegium minus issued by Emperor Frederick I Barbarossa in 1156, which had elevated the former March of Austria into a duchy. In a similar way, the Privilegium maius elevated the duchy into an Archduchy of Austria.  

 

합스부르크.가 듀크.가 된건 이전 바벤베르크.때 한거야. 마크였어. 바바리아 공작령의. 독립한겨 바바리아에서. 이 상태에서 합스부르크 루돌프.가 공작이 된거고 오스트리아의. 

 

오스트리아.가 공작이 되었을때 붉은수염 바바로사 가 올려준거걸랑. 이 문서.가 프리빌레기움 마이우스.라는 위대한 권위.라는 문서여. 이걸 위조하는겨. 듀크.가 아니라 아치듀크.로 받은 거라며. 그러면서 관련 된 권리.내용도 더 주작을 하는겨 높은 권한 가진마냥. 문서를 완전히 주작 위조를 한겨 백년지나서. 열받아서. 그러다가 진짜 백년 만에 아치듀크.가 돼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