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grand jury is a jury – a group of citizens – empowered by law to conduct legal proceedings and investigate potential criminal conduct, and determine whether criminal charges should be brought. A grand jury may subpoena physical evidence or a person to testify. A grand jury is separate from the courts, which do not preside over its functioning.
그랜드 쥬어리. 대배심원제.라는건데. 잉글랜드 헨리2세 에서 시작한겨 이게. 이 대배심원제.로 넘어가면 판사.쪄찌 judge 는 여기서 사회만 보는겨. 유무죄 결정은 그랜드 쥬어리.가 하는거고. 형사사건인 크리미널 로.에 대해선.
In legal terminology, a complaint is any formal legal document that sets out the facts and legal reasons (see: cause of action) that the filing party or parties (the plaintiff(s)) believes are sufficient to support a claim against the party or parties against whom the claim is brought (the defendant(s)) that entitles the plaintiff(s) to a remedy (either money damages or injunctive relief).
형사사건.은. 컴플레인트.로 시작을 해.
From Middle English complaynen, from Old French complaindre, from Medieval Latin complangere (“to bewail, complain”), from Latin com- (“together”) + plangere (“to strike, beat, as the breast in extreme grief, bewail”);
컴플레인.이란건 라틴어 콤 플란게레.고 모두 함께 너무 슬퍼서 가슴을 치는겨. 비통해 하는거야. 이걸 불만.이라 번역한거지만 느낌이 달라이게. 아주 쎈말이야. 당한 슬픔의 이야기들을 강하게 쓴 서류.가 컴플레인트.야 이게 고소고발장 하는거고. 법률용어는 모~두 일본말이고 이걸 한글 카타카나로 뻬껴서서 당췌 법률용어가 무슨 외계언가 하는거고.
In some jurisdictions, specific types of criminal cases may also be commenced by the filing of a complaint, also sometimes called a criminal complaint or felony complaint. Most criminal cases are prosecuted in the name of the governmental authority that promulgates criminal statutes and enforces the police power of the state with the goal of seeking criminal sanctions, such as the State (also sometimes called the People) or Crown (in Commonwealth realms). In the United States, the complaint is often associated with misdemeanor criminal charges presented by the prosecutor without the grand jury process. In most U.S. jurisdictions, the charging instrument presented to and authorized by a grand jury is referred to as an indictment.
저기서 따로 어디는 분류해서. 형사적 컴플레인트. 또는 펠로니 컴플레인트. 라고 해. 펠로니 라는건 사악한 자.가 펠론.인데 그짓이라 중범죄. 하는건데. 이건 대게 1년 이상의 감금죄 수준.으로 보는겨.
그래서. 형사사건은 검찰이 펠로니 컴플레인트.를 용의자.에게 알려야해. 이걸 어레인먼트 라고 해.
Arraignment. 이걸 죄 인지여부 어쩌고 번역을 한건데.
Late Middle English from Old French araisnier, based on Latin ad- ‘to’ + ratio(n-) ‘reason, account’.
아드 라티오.의 게르만말인데. 알게 하는거야. 너 이런 컴플레인트.가 있단다. 알고 있어라. 가 어레인먼트야. 그럼 용의자.가 변호사를 끼고 대응을 해야해. 만약 죄를 인정하면 여기서 플리 바게닝.을 해서 걍 끝나는겨 이게.
District Court 이걸 디스트릭트 코트.라고 하는겨. 여기서 끝날수도 있어. 검사와 변호사.가 타협해서. 헌데 여기에 판사.가 끼어들어서 이게 먼짓이냐 할 수도 있고 그래서 더 갈수도 있어 이게. 극히 예외적 일이지만.
.
대부분 용의자. 피고되는 이는 인정을 안해.
모든 범인은 죄가 없어. 자기는 무죄야 자기들 주장은
이춘재.가 자기가 했다고 그러니? 자기 처제를 죽였다고 자기가 했다고 그러니? 쟨 끝까지 무죄라고 주장을 하는거야.
화성 사건도 자기는 안한거야. 자기는 한 적이 없어. 디엔에이 어쩌고 저쩌고 디밀어 봤자, 자기는 안한거야. 디엔에이도 확률일 뿐이야. 백퍼 라는 건 말야 세상에 없어.
세상에 확실한 증거 라는게 어딨니.
범죄자의 자백. 외에는 명백한 위법이라는 증거.는 없는거야.
그 현장을 본 귀신.외에는 없어. 목격자.를 그래서 찾는거고. 그래도 그 목격자의 신뢰도 여부가 문제가 되고.
오직 말야 단 하나야. 자백 이상은 없어. 확실한 증거란건.
명백한 위법적 증거 어쩌고 말할때 너무나 어이가 없던데.
가장 기본적인 법적 사상을 전혀 모르는겨 저게.
시시티비.로 범행현장을 찍었다고 그게 명백한 백퍼 증거가 되냐 그게. 범인은 자기가 아니라고 하면 되고 저 어설픈 영상이 저게 자기가 아니다 라 주장할 뿐인거고.
강간범의 정액이 피해자의 몸에 묻어도 지 정자가 왜 저기에 있는거냐며 항변하는 마당에.
명백한 증거.가 있으면 재판을 왜하니
명백한 증거.를 판사가 땅땅땅 제일심해서 하면 그게 명백한 위법이 된거냐? 다음 이심에서 바꾸면 아닌거고 다음 삼심에서 다시 바꾸면 명백한 위법 이고. 그런거냐? 명백한 위법이 밝혀진다는게 대체 먼 소리냐 그게.
.
몰라 몰라. 모~~든 사건은 말야. 형사사건은. 그 용의자 피고 외엔 아무도 몰라 그게 유죄인지 무죄인지.
오직 단 하나. 자백. 진술. 외에는 없어.
저것 때문에. 재판을 하는거야.
검사와 변호사.가 서로 이야기가 안돼. 다음 단계로 넘어가.
펠로니.라는 중범죄가 아니면. 대게 판사.가 그냥 때리는겨. 체포한 당사자 세워놓고 걍 들어보고 너 벌금 얼마 걍 때리고 마는겨.
Within some criminal justice systems, a preliminary hearing, preliminary examination, evidentiary hearing or probable cause hearing is a proceeding, after a criminal complaint has been filed by the prosecutor,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enough evidence to require a trial. At such a hearing, the defendant may be assisted by lawyer.
프릴리미너리 히어링. 예비 청문회.라는거야. 판사가. 검사와 변호사의 이야기들을 듣고 당사자 이야기도 듣고 자문도 받아. 여기서 판사.가 결정을 해야해. 다음 단계로 갈지 여기서 걍 끝낼지. 끝낸다는건 사건 종료야. 사건이 안된다는겨.
판사는 범죄가 일어났다는 증거.를 확인해야 해. 헌데 판사가 인식할 정도의 증거수준이 매우 낮아. 조금의 의심되는 정황만 있으면 가야 해 다음 단계로.
The key questions that a preliminary hearing normally addresses are:[5][7]
- Is there probable cause to believe the alleged crime occurred and did it occur within the court's jurisdiction?
- Is there probable cause to believe that the defendant committed the crime?
If a judge determines that there is sufficient evidence to believe that the defendant committed the crime, it is said that the defendant is "held to answer" or "bound over" (in U.S. jurisdictions).
예비 청문회.에서 판사가 걍 프라버블 코즈.야. 조금의 가능한 원인.이라는 증거를 인지했으면. 가는거야. 머 서피션트 란 충분한 증거 는 수준이 아주 낮은 충분함.이야. 여기서 그 방어자. 피고.라는 사람은. 헬드 투 엔써어. 답을 해야해. 그 증거로 보이는 의심되는 상황에 대해. 여기서 판사가 저 방어자.의 이야기를 듣고 끝낼수도 있어. 또는 바운드 오버. 그 다음 단계로 가는거야. 오버 라는게 길고 큰 걸 넘은 의미걸랑. 큰산을 가야 해.
Circuit Court
이때부터 서킷 코트.란 단어를 쓰는겨.
An indictment (/ɪnˈdaɪtmənt/[1] in-DYT-mənt) is a criminal accusation that a person has committed a crime. In jurisdictions that use the concept of felonies, the most serious criminal offence is a felony; jurisdictions that do not use the felonies concept often use that of an indictable offence, an offence that requires an indictment.
인다이트먼트. 를 기소장 기소 어쩌고 일본애들이 참 시안하게 번역을 한건데.
In most U.S. jurisdictions, the charging instrument presented to and authorized by a grand jury is referred to as an indictment.
펠로니 또는 크리미널 컴플레인트.가 인다이트먼트.가 되는건 그랜드주어리. 에게 주어질때 부터 이 단어를 쓰는거야. 공판장에서 확인되는 서류야 저게.
enditier
From Late Latin indictō, indictāre, from Latin indictus.
인다이트먼트.라는건 올드프랜취. 앙디티.에서 온겨. 이건 라틴어 인딕투스.이고. 딕투스 딕테이트 dictate 받아 쓰는건데 in 아주 쎄게 깊게 쓰는겨. 받아쓰는건. 확실하게 표현을 한다는거야. 강력하게 주장하는게 그래서 인다이트먼트야.
저 피고의 죄.는 이런것이다.라는걸 아주 강력하게 그랜드 쥬어리.에게 제시를 하는겨. 대배심원.이란 상징 모임에게. 컴플레인트.가 저기서 인다이트먼트.가 되는거야.
대배심원제가 잉글랜드에서 생긴거고. 저게 아프리카.는 유독 이전 썰한 시에라리온.과 리베리아.에서 있는겨 저게. 그래서. 양키들이 만들어준 빽투 아프리카 나라들이걸랑.
The first instance of a grand jury can be traced back to the Assize of Clarendon in 1166, an Act of Henry II of England.[10] Henry's chief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English monarchy was to increase the jurisdiction of the royal courts at the expense of the feudal courts. Itinerant justices on regular circuits were sent out once each year to enforce the "King's Peace". To make this system of royal criminal justice more effective, Henry employed the method of inquest used by William the Conqueror in the Domesday Book. In each shire, a body of important men were sworn (juré) to report to the sheriff all crimes committed since the last session of the circuit court. Thus originated the more recent grand jury that presents information for an indictment.[11] The grand jury was later recognized by King John in Magna Carta in 1215 on demand of the nobility.
이 대배심원.은 잉글랜드 헨리2세.가 만든거야. 교회법의 교회힘을 얘가 빼려고 사법제도를 만들면서 갖고온겨 교회권한을. 이 절정이 토마스 베킷.이고 저때가 12세기야. 레반트 십자군으로 교황이 강력할때야. 교황이 아무 힘없던 로마교황이 말야 레반트십자군으로 처음 세속권력과 당당히 겨룰때걸랑 저때가. 저 교황과 황제의 신권과 세속권이 대륙에서만 있던일이 아냐. 잉글랜드에도 있어 저게. 저 대표적 두 사람이 헨리2세.와 토마스 베킷.이야. 원래 토마스 베킷.이 헨리2세의 카운슬러 였어. 심복이야. 이사람이 캔터베리 주교 되면서 교황의 대타가 되고 서로 갑자기 적이 되는겨. 헨리2세가 애들 보내서 토마스 베킷.을 죽여. 순교자가 되고 캔터베리 대성당이 되고 순례하는 이야기가 제프리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야. 이건 꼭 읽어야 할 책이야. 인간이라면.
잉글랜드는 인물이 너무나 많아. 잉글랜드는 이 헨리2세가 만든겨. 이때부터 저 대배심원제를 둔거야. 이 역사가 쟤들 스스로 이게 9백년 가까이 된거야 이게.
저 사법제도.란건 쟤들은 엄청난 수준이야.
대륙은 고대로마.를 이을 뿐인거고. 고대로마의 판례들을 스태튜트 고정법으로 쓰면서 재판을 자기들이 로마 비스무레하게 한거고 저 갓 익힌 갈리아 게르만 애들이. 로마.는 법의 나라고, 완전히 법정의 날들이고. 매일매일이 검사와 변호사가 배심원들 앉혀놓고 법정 미드 찍은 애들이야 쟤들이. 저게 그대로 중세 천년에 대륙에 스며지고, 단지 대륙은 판사의 힘이 좀 강할뿐이었고, 잉글랜드.가 아테네 와 로마.를 따라한겨 스스로. 저게 그대로 미국에 간거고.
쟤들 역사는 고대그리스.의 기원전 700년부터 저게 끊기지가 않은거야 저 법사상이.
그나라의 문명수준은 법이야 법. 사법체제 이고.
그래서 그 보스턴 학살사건 이라는 것도. 다섯명의 시민들이 총맞아 죽었어. 총쏜 애들 여덟명을 기소를 하고 재판을 해. 저건 보스턴에서 벌어지는 재판이야. 배심원들이 다들 거기 시민들이야.
여섯명에게 무죄. 두명에게만 유죄. 늦게 쏠수도 있었는데 빨리쐈다며. 그 형량도 걍 뻘건 쇠로 낙인 찍고 풀어줘. 그게 끝이야.
아주 냉철하고 살벌한 이성이야 쟤들이.
감정놀이 감성놀이 선동놀이에 쟤들은 넘어갈 수가 없는겨.
미개한 땅 허접한 미개한 수준의 나라들에서만 저런 게 가능한거야.
.
저런식의 법정싸움을 해본 적이 없어 이땅이.
이땅엔 사법제도 란게 오육십년 밖에 안된거걸랑.
걍 코트에서 애들이 쟤 적폐유 쟤 소인배유. 소문이 안좋아유. 온 조선천지가 다 알아유
문명 이란걸 겪어본 적이 없어.
.
명백한 유법의 증거란건 없어. 그걸 듣보고 판단하는. 그시대의 배심원들이 판단할 뿐이야.
이춘재.가 무죄라고 하소연하는걸 방송에 좀 틀어주지 그따위 마인드로. 왜 인꿘 침해하면서 교도소에 처박고 못살게 굴어서 자백하게 만드는 거냐 란 소린 안하냐?
유영철.이에게 사연풀이 하게 해 주지 왜. 쟤도 지 입장이 있을꺼아니니. 공중파 라디오로 인터뷰 따주지 왜.
명백한 위법의 증거란건 없어.
니가 빨아대는 애가 니 편이니까 억울한듯 무죄인데 침해당하는 듯 할 뿐이야.
그런 논리구조로 똑같이 니가 악마시 하는 애들을 변호해봐. 똑같이 죄가 없어 니덜 논리대로는.
이 조선은 반성을 단 한번 한 적없어.
'사전 dictionary for this si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 농촌. 농노. peasant farmer fief (5) | 2019.10.13 |
---|---|
리넨 아마. 마麻 대마 삼 베 포布. 아마색 플랙스 (1) | 2019.10.10 |
혼인. 결혼. Wed. Marry (0) | 2019.10.04 |
구두쇠 수전노 인색. 스크루지. 마이저 (0) | 2019.10.04 |
손가락흑구름 원예 피데스 미술가 (1) | 2019.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