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vis. 키비스. 키위스. 가 citizin 시민.이야. 

 

Civis romanus sum. 키비스 로마누스 숨. I am a Roman citizen. 나는 로마의 시민이다. 나는 로마인이다.

 

civitas. 키비타스. 키위타스. 키비스.가 사는 곳.이야. 이게 시티. city. 도시가 돼.

 

로마는 로마.라는 장소.에서 시작이 돼. 여기 사는 사람이 키비스.야. 이 장소가 키비타스.야. 로마인. 로마라는 도시.가 키비스.에 키비타스.야. 이게 시티. city. 도시야. 

 

도시.라는건 로마인들이 사는 곳이야. 세상은 로마야. 

 

도시.라는 말은 없었어. 시티.를 도시.로 일본애들이 번역한 것일 뿐이야. 좃선때 한양.을 경성.이라했어. 한양이란 말보다 경성.이란 말을 더 쓴거야. 경성.은 일본애들이 만든말이 아냐. 이 멍청이들아.

 

城市都市,是指人口较為稠密、商業較為發達的地区,一般包括了住宅区工业区商业区等機能分區,并且具备行政管辖功能。城市中有楼房街道公園基礎建設。城市的行政管辖功能(即所謂的「建制市」)可能涉及较其本身更广泛的区域。  

 

중국은. 성시. 라는 말을 쓰거나. 성. 시. 도. 라고 쓰기만 한겨. 일본애들 번역 도시.도 써줄까 말까 하는거고.

 

都市(とし、英語: city)とは、商業流通などの発達の結果、限られた地域に人口が集中している領域である。  

 

도시.란건 상업, 유통이 발달한 결과.야.

 

조선시대는 도시.란 것이 없어. 

 

도시.의 시.란건 市. 저잣거리.의 저자.여. 시장.을 저자.라고 한겨 우리말로. 특정지역에 가야 있던게 저자. 시.야. 그래서 구한말에 외국인.이 상인을 보려면 특정 지역을 가야한겨. 그것도 길거리에 널부려 놓고 파는. 아니면 보부상을 델꼬오는겨 심부름꾼이. 

 

세상에 저런 도시.는 그 어디에도 없었어. 인류문명 8천년 역사에. 

.

다른 나라의 도시.는 시 그 자체야. 저자 거리 그 자체가. 도시야. 

.

 

조선은 상업 공업이 없어. 상인들을 죽인 다이너스티.가 조선 오백년이야. 사람들 모이면 음모질에 도적질에 난을 일으킨다고. 세종실록 기록에 아 어찌 상인들을 하냐 저 게으른 것들. 땅파먹고 열심히 살 생각을 안하고. 그게 세종실록 기록이야. 세종이 한 말.

 

세종이 존나게 대단한 인간인줄 아는데. 얜 말이야. 최고의 꼴통이야. 완전히 정신적으로 사람들을 노예화 시킨 가장 큰 주범이 이 세종이란 인간이야. 자기는 뿌리 깊게 유교이념을 박은걸 자랑스레 생각하겠지만 완전히 얘때부터 본격적으로 조선 인들이 개돼지가 된거야.

 

구한말에 그래서 외국인들이, 조선 경성 안을 보면서, 공동묘지 공동무덤 이라고 했던거야. 기가막힌겨. 어떻게 세상에 말야 이런 곳이 있냐 말이지 이게. 

 

조선. 아침 조 신선 선.이야. 영어로 저게 모닝 비바체 모닝 비비드 모닝 비바.라는 거걸랑. 

 

개소리 하지 말라는겨. 비차체 비베이셔스 싱싱한 지랄하는 소리 하네. 모닝 캄. 고요~~하다는겨. 아침인데 죽은 아침이야. 그게 모닝 캄이야. 공동묘지 아침.의 다른 말이야. 저걸 조용한 아침의 나라. ㅋㅋㅋ. 

 

모든 구한말 외국인들의 시선에선 이만큼 괴이한 기괴한 땅이 없던거야 이게. 

 

도시의 중심은 상인. 공인. 유통이야. 조선에 상인이 없는겨. 모~든 세상도시들을 둘러본 외국인들이 가장 기괴하게 느끼는거야. 어디를 가더라도 어느 길목을 가더라도 상인들이 널렸걸랑 모든 세상은. 이 상인들이 시끌벅쩍하게 해주는거걸랑 도시들은.

 

상인들을 찾기가 힘든거야. 

 

그래서. 저 조선 민족 들이, 상인들을 적폐취급 하는겨. 

 

상인.은 자유의 대명사야

 

자유.라는 말을 거부하는 족속이야 그래서. 자유 민주주의 는 적폐야. 인민 민주주의 하든가. 그냥 민주주의 하든가 해야지 왜 자유 냐는겨. 

 

상업 공업도 국가가 주도해야 하는거야 쟤들은. 적폐들이 낸 세금을 자기들이 예산화 해서 자기들이 주도하면 경제대국이 될 거라는 거대한 맹목적 사고방식에 빠진 인간들이걸랑 저 조선에 환장한 민족놀이 이념놀이 집단들이란게.

 

사람들 임금도 지들이 정해. 자영업자들 다 ~ 망하게 하고. 원전 적폐 지랄에. 걍 나라가 점점 죽음의 땅으로 가는겨 저게. 그러면서도, 우리의 경제는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ㅋㅋㅋ.

 

참 한심한 족속인데. 저게. 조선 이야. 조선 다이너스티.에 환장한 애들이야 저게. 

 

상인 상업 을 죽인 죽여야만 하는거걸랑. 그러면서 자기들 주머니를 채워야 하는거고 당연히. 확실한 증거 있어? 해대는거고. 

 

세상에 확실한 증거 라는게 어딨니. 그럼 재판을 왜 하니.

 

적폐의 부정은 모든게 확실한 증거이고, 자기들 부정은 안확실한 증거에 모함에 음모고. 

 

저게 조선이야.

 

.

키비스.가 사는 곳이 키비타스 civis civitas. 모두 클래식 라틴어야. 즉 카이사르 키케로 때도 쓰던 말이야.

 

사람들 거주하는 지역.중 가장 큰 뮤모가. 키비타스.야. 시티.라는거야. 

 

Displaced native Middle English burghborough (“fortified townincorporated city”) and stedstede (“placestead; city”).  

 

키비타스.가 미들잉글리시.로 버러 burgh. borough 로 대체되는겨 많이. 알파벳이 달라도 발음이 같아.

 

From Proto-Germanic *burgz (“citystronghold”). Cognate with Dutch burgFrench bourgGerman BurgPersian برج‎ (borj, “towerbattlementfort”), Swedish borgDoublet of borough.  

 

 

버러.라는게, 게르만의 부르크 Burg 여. 스웨덴의 예테보리 하는 보리 -borg 이고. 부르크. 에서 버러. burgh 로 변형이 되서 영어로 쓰는거고. 이건 요새화 된 도시.야. 

 

로마 라는 키비타스. 도시.는 원래 성벽이 없었어. 갈리아 약탈 당하고 세웠지만, 카이사르가 다 깨부수고 라인강 다뉴브강의 물줄기가 성벽이고 국경인겨. 카이사르의 위대함은 이게 가장 위대한거야. 이 카이사르는 정말 엄청난 인간이야 이 사고방식이. 

 

저걸 다시 성 세우고 요새화 한게 부르크. 버러.여. 저런 부르크 버러 있는 국경 변두리 들이 마크 March 들인거고. 

 

 

독일에 베르크. -berg 는 이게 달러. 비텐베르크.걸랑 부르크가 아니라. 이건 부르크.의 변형이다 아니다 확실히 몰라. berg 베르크.가 산.이걸랑. 높은 도시.를 그렇다고 딱히 베르크. 하는건 아냐. 그렇지만 걍 해발높은 도시라서 베르크.라고 했는가보다 하는게 걍 일반적 해석이야. 

 

저것과 같은 말이. sted, stede 슈테트. 슈테데. 에서 슈타인 stein. staat 슈타트. 들이 붙어. 다 서있는 도시.야. 

 

.

From Middle English towntoun, from Old English tūn (“enclosure, garden”), from Proto-Germanic *tūną (“fence”) (compare West Frisian túnDutch tuin (“garden”), German ZaunDanishSwedish and Norwegian tun), from Gaulish dunum (“hill, hillfort”) (compare Welsh din (“hill”), Irish dún (“fortress”)), from Proto-Celtic *dūnom, from Proto-Indo-European *dʰewh₂- (“to finish, come full circle”). See also -ton.  

 

 

도시.라는 시티. 부르크. 슈타트. 버러. 보리. 보다 작은 규모의 거주지 단위.가 타운.이야 town. 인클로져. 가든. 도시를 벗어나서 좀 떨어진 지역의 거주지역이야. 

 

 

미들 잉글리쉬.라는건. 1066년 정복왕 윌리엄.이 잉글랜드 넘어오고 부터 레이트 미들.이라는 중세 후기까지의 영어야. 즉 1066년에서 1500년.이야. 이전이 올드 잉글뤼시.이고. 미들 프렌치.와는 시기가 또 달라. 레이트 라틴.과 코이네 그리스어가 천지 차이듯이.

 

 

.

타운보다 작은 게. 빌리지. Village 

 

From Middle English village, from Old French village, from Latin villaticus, ultimately from Latin villa (English villa)  

Possibly from *vīcula, diminutive form of vīcus (“row of houses”).  

 

라틴어 빌라. Villa 여. 빌라.라는건 vircus 의 변형이야. 비르쿠스. 거리. 집들모임. 이웃. 빌리지.

 

 

도시 보다 작은 타운.보다 더 작은 사람들 사는 지역.이 빌라.이고 이게 빌리지.야.

 

Probably Middle English villein, borrowed from Old French vilein (modern: vilain), in turn from Late Latin villanus, meaning serf or peasant, someone who is bound to the soil of a Latin villa, which is to say, worked on the equivalent of a plantation in late Antiquity, in Italy or Gaul.    

 

From Anglo-Norman vilein, variant of vilain; from Medieval Latin villanus (“field hand”), from Latin villa (“country home”).  

 

저 빌라. 빌리지.가 그래서 미들 잉글리시.시대인 1066-1500 을 겪으면서, 어두운 이미지로 가는겨.

 

미디벌 라틴.도 언어로 구분하는 라틴어 시대의 미디벌.이야. 이전은 레이트 라틴어이고. 미들 잉글리시와 비슷해 시기가. 라틴어는 미디벌 라틴.다음에 르네상스시대의 라틴어.다음에 뉴 라틴.이라해 20세기 직전까지. 

 

저게 Villain. Villein 빌런.이란 말이 나와. 빌리지.에 사는 사람.인겨. 빌런 villain 은 악당.이야. 슈퍼배드 가 아녀. 빠나나들 미니온즈 제목이. 데스피커블 미. 시리즈걸랑. 거기 캐릭들이 다 빌런. villain 이라는 악당이야. 얘들은 악당.을 빌런.이라해. 슈퍼빌런.이 슈퍼 악당이야. 

 

같은 발음 villein 빌런.이 농노.야 중세에. 

 

 

 

 

From Middle English hamlethamelet, a borrowing from Old French hamelet, diminutive of Old French hamel (Modern French hameau), in turn diminutive of Old French ham, of Germanic origin. Cognates include English homeDutch heemGerman HeimOld English hām.  

 

빌리지 보다 더 작은 마을이. 햄릿. hamlet 이야. 캐릭터 햄릿.과 같은 알파벳.이야. 햄.이 홈 home 이야. 홈이나 하우스.나 올드 잉글리쉬.의 게르만말이고. 집이란게 라틴어로 많아. 카사 casa 도무스 domus 에 맨션 하는 만시오. 등등. 집있는 지역이 도메스틱 domestic 하는겨. 이게 잡안의 에서 시작해서 국내의 나라의 가 되는거고. 

 

.

 

pagus 라틴어 파구스. 가 애매한데. 이게 지역. 장소.야. 이건 딱히 도시적이냐 시골적이냐.를 안가려. 

 

헌데. 파가누스 paganus 해서 파구스.에 누스.가 붙으면. 느낌이 확 달라져. 이건 시골냄새.가 나는겨. 빌라.여. 외곽이고. 키비스.라는 로마인장소 도시.의 바깥이 파가누스.야. 

 

From pāgus (“area outside of a city, countryside”).  

 

 

Recorded in English since about 1375. Borrowed from Latin pāgānus (“rural, rustic”), later "civilian". The meaning "not (Judeo-)Christian" arose in Vulgar Latin, probably from the 4th century.[1] It is unclear whether this usage is derived primarily from the "rustic" or from the "civilian" meaning, which in Roman army jargon meant 'clumsy'. As a self-designation of neopagans attested since 1990.  

 

파가누스.에서 나온 말이. 페이건 Pagan 이란 말이야. 이건 문명이 아닌겨. 불가르 라틴어시대에 '그리스도가 아닌 사람'으로 쓰이면서. 이건 이교도.가 된겨.

 

라틴어로 시대구분하는건. 기본 원칙은. 클래식 라틴. 다음, 레이트 라틴. 다음 미디벌 라틴, 다음  르네상스 라틴, 다음 뉴 라틴. 다음 지금 리틴어야.

 

불가르 라틴.이란건. 엄격하겐 이건 성제롬.이 불가타.라고 쓰면서 막막 혼동이 되는거걸랑. 불가르 라틴.은 로망스 언어족.의 시작으로 한정되서 쓰는게 표준적인거야. 불가르 라틴.과 레이트 라틴.을 혼용되서 막 쓰는데. 로망스 언어족.이야기 할때는 불가르 라틴어.이고, 라틴어의 시대구분.은 레이트 라틴어.야

 

.

From Late Middle English paissaunt, from Anglo-Norman paisant, from Middle French païsant (“païsant”), from Old French païsan (“countryman, peasant”), from païs (“country”), from Late Latin pāgēnsis (“inhabitant of a district”), from Latin pāgus (“district”) + Old French -enc (“member of”), from Frankish -inc, -ing "-ing". More at -ing

 

패전트 peasant 라는 농부. 농민.은 파겐시스 pagensis . 에서 온건데. 라틴어 pagus 파구스.의 변형이야. 뒤에 엔시스 ensis 가 붙은거걸랑. 파구스.의 파구스 에서의. 하면서. 파구스에 사는 사람.이 된겨. 이게 미들 잉글리쉬.로 가면서. 파구스.의 파가누스. 의 페이건. 처럼. 시골로 느낌이 가는거야. 파구스.의 외곽.의 사람들이야. 덜 문명화되고 이교도가 득실해. 

 

그래서. 파겐시스.가 파구스.의 변형이지만, 파가누스.와 겹쳐지면서. 외곽에 사는 사람.으로 뜻이 모아지는겨. 이게 농부 농민.이 되는겨. 원래 의미는 시골사람.인거야.

 

From Middle English fermefarme (“rent, revenue, produce, factor, stewardship, meal, feast”), from Anglo-Norman ferme (“rent, lease, farm”), from Medieval Latin fermafirma, from Old English feormfearmfarm (“provision, food, supplies, provisions supplied by a tenant or vassal to his lord, rent, possessions, stores, feast, entertainment, haven”), from Proto-Germanic *fermō (“means of living, subsistence”), from Proto-Germanic *ferhwō*ferhuz (“life force, body, being”), from Proto-Indo-European *perkʷ- (“life, force, strength, tree”). Cognate with Scots ferm (“rent, farm”). Related also to Old English feorh (“life, spirit”), Old High German ferah (“life, body, being”), Icelandic fjör (“life, vitality, vigour, animation”), Gothic 𐍆𐌰𐌹𐍂𐍈𐌿𐍃 (fairƕus, “the world”). Compare also Old English feormehām (“farm”), feormere (“purveyor, grocer”).

Old English feorm is the origin of Medieval Latin fermafirma (“farm", also "feast”) (whence also Old French fermeOccitan ferma), instead of the historically assumed derivation from unrelated Latin firma (“firm, solid”), which shares the same form. The sense of "rent, fixed payment", which was already present in the Old English word, may have been further strengthened due to resemblance to Latin firmitas (“security, surety”). Additionally, Old French ferme continued to shape the development of the English word throughout the Middle English period.[1][2][3]  

 

farmer 파머. 할때 팜. 이런게 farm. 리틴어 firma 피르마. 야. 살아가는 힘. 이고 몸.이고 존재.여. 이게 쭉 가서. 농사짓는 땅.이 된겨. 확실한 firm 펌.이 된거고. 먹고 사는 회사 firm 펌 이 되는겨. 

 

feodum, fevum, feum  

 

퓨덜리즘 feudalism 이라는 중세시대.의 퓨덜.이란게 페오둠 feodum 에서 갖고 왔어. 페오둠.은 미디벌 라틴어야. 라틴어가 레이트.에 미디벌 이 붙으면 이때부터 어원은 라틴어가 아니라 저작권은 게르만애들에 있는겨. 즉 게르만어에서 갖고온 라틴어야. 

 

얘 어원은 페움. 페엠. feum 이야. 이건 노오력. effort 이야. 힘쓰는겨. 먹고 살라고. 이게 fee 비용이야. 땅이고. 땅이 있어야 먹고 살고 땅은 모두 로어드 lord 영주의 것이야. fee 비용을 내야해. 그래서 힘쓰는거고. 그래서 살아가는겨. 

 

퓨덜.의 어원이 저 페오둠. feodum 이야. 페움. 페엠.이고. beneficium 기록에. 영주는 피.fee 를 받어. 농노 라는 serf 중세 서프.는 베네피키움.을 받아. 이익.에 대한 비용.이 피. fee 이고 페오둠.이야 feodum. 

 

 

 

From Middle French fief, from Old French fief, from Medieval Latin fevum, a variant of feudum (whence also Old French fieufied), from Old Frankish *fehu (“cattle, livestock”), from Proto-Germanic *fehu (“cattle, sheep”), from Proto-Indo-European *peku-*peḱu- (“sheep”). Doublet of fee.  

 

fief 피프.라는게 땅. 이야. 땅. 페오둠. 페움.에서 나온 영어.로 보고. 혹자는 이걸로 안보고 누군 포데룸. 사료, 누군 돌려주는 페이. 어쩌고로 막막 여러설들이 있어. 

 

In the Middle Ages, especially under the European feudal systemfeoffment or enfeoffment was the deed by which a person was given land in exchange for a pledge of service. This mechanism was later used to avoid restrictions on the passage of title in land by a system in which a landowner would give land to one person for the use of another. The common law of estates in land grew from this concept.  

 

 

페프먼트. 엔페프먼트 feoffment, enfeoffment. 땅.이라는 fief 피프.를 받으면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행위. 부동산 양도양수.하는 겨. 이게 지금 현대 부동산계약법의 시초여 중세의. 

 

퓨덜.이 페오둠.이고 페움.이고. 받는 땅이자. 이익.이자. 주는 fee 비용.이야. firma 피르마.라는 몸과 존재.로 힘을 써서 살아갈 필요가 있는 거고. 이게 회사.가 되는거고. 굳건 확실한 사는 기반.인거고. 모든 말이 엮인겨 이 퓨덜.이란 것에서. 

 

저기서 더 가서. 피르 fief 란게 땅을 벗어나서 다른 이익과 의무.를 서로 교환하면서 로어드.와 서번트.가 계약을 하는거고. 이게 중세 시대야 유럽의. 

 

 

저 땅에서 직접 노동하는 사람들이 farmer 파머. 야. 파머.라는 말이 정확하게 저 땅에서 일해서 생산해서 이익을 거두고 비용 fee 을 제공하는 사람들이야. 페전트.는 단지 파구스. 파가누스.에 사는 사람.일 뿐이야. 이들이 대부분 파머.가 되어서 뜻이 확대된것일 뿐이고. 

 

볼로트니코프.가 콜로프. 였걸랑. kholop. 러시아 농노. 러시안 serf 서프.야. 

 

서유럽은 하이미디벌을 거치면서 저런 서프. 농노 제도는 사라져. 헌데 러시아를 비롯한 동유럽은 늦게 시작했걸랑. 더군다나 러시아는 골든호르드의 지배도 있었고. 모스크바.는 재 시작한겨 저 와중에. 서유럽의 게르만이 하이미디벌 접어들면서 이전 로마꺼 배우기를 서유럽망 하고 부터만 따져봐도 8백년이 지났걸랑. 러시아는 저때에야 다시 시작한겨. 조오오온나게 늦은겨 이게. 

 

유럽이 서프.라는 농노가 사라질때, 오히려 러시아는 농노 라는 제도가 자리를 잡는겨 이게. 이 제도가 톨스토이때까지 오는겨. 법적으론 폐지 어쩌고 해도 안돼 이게. 어찌할 수 없는 역사의 두께야. 이 제도를 고대로 이어갖고 러일전을 한거고. 저 농노.가 군인이 되서. 

 

조선은 구한말 조선은 여전히 노비시장이 있는 노비들의 천국이고. 법적으로 폐지 어쩌고 해봤자 외국인들이 버젓이 구경하는게 노비시장인거고 조선말의. 

 

조선사가들은, 책에, 몇년도 노비제도 폐지. 하면 씨바 먼 그때부터 노예가 없는 줄 알어. 참 그야말로 무지한 선동질인데 저게.

 

조선의 노비는 농노였슈!! 위대한 조선은 노비가 노예가 아니라 농노유 농노!!

 

참 그야말로 개무시기 소린데 저게. 농노로 포장해줘봤자 농노도 노예 노비일뿐이고. 저 유럽 중세 농노.도 깊이 들어가면 재밌지만. 넘어가고. 

 

조선사가애들은 부디, 유럽이야길 좀 스터디 하고 위대한 조선 하던 가 하고말야.

 

아 참, 대갈빡이 이바이트라, 유럽이야길 볼 수가 없지. 무리한 요구지.

 

하튼 걍 저런게 있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