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neumatomachi (/ˌn(j)uːməˈtɒməkaɪ/; Greek: Πνευματομάχοι Pneumatomákhoi), also known as Macedonians or Semi-Arians in Constantinople and the Tropici in Alexandria, were an anti-Nicene Creed sect which flourished in the countries adjacent to the Hellespont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fourth, and the beginning of the fifth centuries. They denied the Godhood of the Holy Ghost, hence the Greek name Pneumatomachi or 'Combators against the Spirit' (from πνεῦμα pneuma, spirit + μάχη machē, battle)
뉴마토마카이. 프네우마토마코이. 마케도니안즈. 세미 아리안즈. 프네우마. 뉴마. 가 스피릿. 영혼 이고. 화약 얘기 공기. 숨.이야. 마키.가 전쟁.이야. 고대 그리스들의 전쟁들에서 전쟁사 제목은 마케 마키. 마코이.야 Μάχη τῶν Θερμοπυλῶν, Machē tōn Thermopylōn 스파르타 300 영화의 전쟁이 테르모필레 전투.할때 그리스어 마키. 야. 마키 톤 테르모퓔론.
영혼.에 대항해서 싸운다는겨. 뉴마토마카이. 영어로 Spirit fighters 영혼 전투자들.인데. 영혼을 담은 애들이 아니라 성령 후져 라며 대드는 애들이야.
Macedonius (d. after 360) was a Greek[1] bishop of Constantinople from 342 up to 346, and from 351 until 360. He inspired the establishment of the Macedonians, a sect later declared heretical.
마케도니우스.가 시작한거야. 콘스탄티노플의 주교였어. 325 니카이아 공회의.에서 아리우스 가 이단 되었다가 회복시켜주고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죽고. 아리우스의 아리안들 시대야. 즉 니카이아 공회의.의 크리드. 신조가 거부되는 공백기여. 서기 380년 테오도시우스 의 텟살로니카 칙령으로 오직 그리스도만 믿어라.에 다음해 2차 공회의 콘스탄티노플 381년에 아리우스.들이 정식 이단이 되면서 사라질 때 의 고 사이 애들이야.
이름이 마케도니우스.지만 이사람때메 마케도니안즈. 하는건데. 헬레스폰트 주변 지역에서 많이 믿다. 마케도니아.랑 상관이 없어. 이쪽은 트라키아 걸랑.
they denied that of the Holy Spirit which they saw as a creation of the Son, and a servant of the Father and the Son.
이들은. 성령. 을 지저스.가 만든걸로 봐. 성령은 성부와 성자.의 서번트. 하위 개념이래.
2차 공회의 콘스탄티노플.에서 아리우스.를 다시 이단 규정하면서. 뉴마토마카이.인 마케도니안즈.들도 이단으로 규정해
This is what prompted the addition of "And in the Holy Spirit, the Lord, the Giver of Life, Who proceedeth from the Father, Who with the Father and the Son is equally worshipped and glorified, Who spake by the Prophets", into the Nicene Creed at the second ecumenical council.
이들때문에 콘스탄티노플 회의.에서 크리드로 들어가는게. 성령은 성부.에서 나오고, 성부 성자와 함께 같은 수준으로 숭배되고 영광 떠받들여진다. 라는 말을 넣는거야.
그리고 1054년 동서교회 분리.의 이유가 저 문장에서 티나와. 필리오케. 로마쪽 교회에서, 더 파더 뒤에, 그리고 아들. 이라는 필리오케.를 조작한거걸랑. 결국 저 뉴마토마카이.라는 이들때문에 7백년 후에 동서교회 분리가 된겨 이게.
허나 저런 말들도. 1054년 이후 백여년 지나서. 삼위일체 방패로 다 수정이 된겨. 저따위 선후 관계는 없어.
.
The Athinganoi (Ancient Greek: Ἀθίγγανοι, singular Athinganos, Ἀθίγγανος) were a 9th-century sect of Monarchians located in Phrygia, founded by Theodotus the Banker. The etymology of the word is not certain, but a common determination is a derivation in Greek for "(the) untouchables" derived from a privative alpha prefix and the verb thingano (θιγγάνειν, "thinganein", "to touch"). It is uncertain whether the sect survived beyond the 9th century. They were probably scattered across Anatolia and the Balkans following the destruction of the Paulician capital Tephrike in the 870s.
An earlier, and probably quite distinct, sect with the same name is refuted by Marcus Eremita, who seems to have been a disciple of St. John Chrysostom. His book Eis ton Melchisedek, or according to Photius "Against the Melchisedekites",[1] speaks of these new teachers as making Melchisedech an incarnation of the Logos (divine Word).
아띤가노이. 9세기 모나키안.인데. 프뤼기아 지역. 소아시아 땅안에. 저들이 인도에서 온 집시.여. 초창기 저때 등장한 집시를 아띤가노이.라고 해. 저 이전에 또한 있던 사람들이 5세기 마르쿠스 에레미타.의 글에서 쓴 멜키제덱카이트스.야.
Melchizedek, Melchisedech, Melkisetek, or Malki Tzedek (/mɛlˈkɪzədɛk/;[1] Hebrew: מַלְכִּי־צֶדֶֿק malkī-ṣeḏeq, "king of righteousness"; Amharic: መልከ ጼዴቅ malkī-ṣeḏeq; Armenian: Մելքիսեդեք, Melkisetek), was the king of Salem and priest of El Elyon (often translated as "most high God ") mentioned in the 14th chapter of the Book of Genesis. He brings out bread and wine and then blesses Abram and El Elyon.[2]
멜키제덱. 창세기에 나오는 사람이야. 창세기에 갓.이 테트라그라마톤. 야웨. 이름외에. 엘. 엘리온 El Elyon. 으로도 나와. 두 단어가 중첩으로 도 써. 야웨.의 별칭이야. 이들은 멜키제덱.을 로고스.의 화신으로 보는겨.
로고스 Logos 는 지저스.의 다른 이름이야. 오직 요한복음 시작 태초에 로고스.가 있었다 해서리. 이걸로 지저스의 별칭이 로고스인겨. 딴 이들은 로고스.가 될 수 없어. Melchisedechians 멜치세더치언즈. 멜키제덱을 로고스로 인식하고 또한 성령으로도 봐 이들을 이단시 하는겨 5세기에. 그리고 저 자리에 오는게 인도 집시들이야 9세기 이전. 아띤가노이. 로마니 피플의 유럽선조님들이야. 뜻이 유추하길 아마. 불가촉 천민.으로 보면 돼. 못건드려. 건드리지 말란건지. 더럽단건지.
patripassianism (as it is referred to in the Western church) is a version of Sabellianism in the Eastern church (and a version of modalism, modalistic monarchianism, or modal monarchism). Modalism is the belief that God the Father, Jesus Christ, and the Holy Spirit are three different modes or aspects of one monadic God, as perceived by the believer, rather than three distinct persons within the Godhead – that there are no real or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such that there is no substantial identity for the Spirit or the Son.
패트리패씨언이즘. 파트리. 아빠가 파씨오. 고통을 참아내. 지저스.가 성부.랑 같은겨. 사벨리안이즘.의 가면놀이와 같어. 지저스.가 아빠의 다른 모습이고 가면쓴거야. 구분 되지 않은 하나야. 가면 만 바꾼거야. 모나키어니즘.이야.
이들은 지저스가 십자가 고통을 받은게 아니라. 성부 아빠가 받은거다 하는겨 더 강조 된 부분은.
Denial of the virgin birth of Jesus is found among various groups and individuals throughout the history of Christianity. These groups and individuals often took an approach to Christology which understands Jesus to be human, the literal son of human parents.[2][3]
During the 19th century this view was sometimes called Psilanthropism, a term which derives from the combination of the Greek ψιλός (psilós), "plain," "mere" or "bare," and ἄνθρωπος (ánthrōpos) "human." Psilanthropists then generally denied both the virgin birth of Jesus, and his divinity. Denial of the virgin birth is distinct from adoptionism, and may or may not be present in beliefs described as adoptionist.
지저스.가 처녀에서 나온 탄생.을 거부하는 이들. 처녀에서의 탄생이란건 인간이 아니란거야 전제가. 이걸 거부해. 즉 지저스.는 인간일 뿐이야. 걍 평범한 인간이야. 지저스.가 깨달았을 뿐이야. 지저스의 정체성의 문제야. 이걸로 사람의 아들.이 나오는거고.
이들을 실랜뜨로피즘. 이라고 19세기에 작명해줘. 프실로스. 더하기 안뜨로포스. 평범한 인간. 이란겨. 어답션이즘.이라는 양자론.과 같이도 보는데. 아냐 전혀 달라. 양자 입양론이란건 신.이 주체여. 신이 인간을 걍 생체육신만 선택해서 거기로 들어간거야 이건. 저 실랜뜨로피즘.은 인간 스스로의 각성.으로 봐야 해.
지저스가 위대하다는 건. 내가 말하는 시선은. 저 실랜뜨로피즘. 일 뿐이야.
Tritheism (from Greek τριθεΐα, "three divinity"[1]) is a nontrinitarian Christian heresy in which the unity of the Trinity and thus monotheism are denied. It represents more a "possible deviation" than any actual school of thought positing three separate deities.[2] It was usually "little more than a hostile label"[3] applied to those who emphasized the individuality of each hypostasis or divine person—Father, Son and Holy Spirit—over the unity of the Trinity as a whole.[1] The accusation was especially popular between the 3rd and 7th centuries AD.[1]
트리 띠이즘. 신이 셋.이란거야. 삼위일체에서 신.은 하나야. 성부 성자 성령 각각이 구분되는 셋이지만 하나야. 아 애매하게 정의한거야 이건 솔직히. 각각은 일시무시일 일종무종일 이야. 누구 선후가 없어 이건. 12세기 방패 의미는 이게 가장 확실한겨. 이게 솔직히 말이 안되걸랑. 납득이 안되요 납득이.
3세기에서 7세기. 사이에 트리 띠이즘.이 유행한겨. 저게 말이 되냐 말이지. 아니 대체 저게 먼말이래? 성령은 성부에서 나온담시. 머 그리곤 머 머 막막 같다 어쩌고 그래도 같은 수준으로 평해라 대체 먼개소리래.
셋은 각각의 신이야. 성부 성자 성령. 은 각각의 신들 세명이야. 솔직히 이게 제일 편해. 머 어쨌거나 악마 딱지 받을 수 밖에.
.
Heretics. 헤러틱스.란건 헤러시 이단을 믿는 자들. 이야
Antinomianism (from the Greek: ἀντί, "against" + νόμος, "law") is any view which rejects laws or legalism and argues against moral, religious or social norms (Latin: mores), or is at least considered to do so.[1] The term has both religious and secular meanings.
In Christianity, an antinomian is one who takes the principle of salvation by faith and divine grace to the point of asserting that the saved are not bound to follow the moral law contained in the Ten Commandments.[2][3] The distinction between antinomian and other Christian views on moral law is that antinomians believe that obedience to the law is motivated by an internal principle flowing from belief rather than from any external compulsion.
안티 노미안이즘. 노모스 nomos 가 법. law . norm 노엄.이여. 표준이야. 노어멀라이즈. 안티. 반대하는겨.
노모스.가 고대 이집트 행정구역이야. 이게 땅에 스민 법.이 되고. 라틴어로 norma 노르마.가 되고 표준.이 되고. 노멘. 이 라틴어 이름. 네임.이 되고.
노모스 노엄.은 사법 의 법치 법 보다는 보편적인 규범 이고 표준 이야.
모랄 윤리적. 종교. 사회적 법들을 거부하는겨. 무조건이 아니라, 외부의 처벌 때문에 지킨다. 라는게 싫은거야. 내안의 자발적 각성으로 지킬 뿐이란겨. 이것도 들어가면 애매한거야. 니 안의 원칙.이란게 대체 머냐는거야. 니 안의 원칙이 사람죽여도 괜찮아 하면 그것도 정당한거냐. 니 안의 원칙이 보편성을 취하는가. 이게 자의적이걸랑.
초기 교회에선. 그리스도인들은 신의 은총. 디바인 그레이스.로 프리해졌어. 구원된겨. 왜 내가 십계명이든 종교적 제의식절차든 사회법률이든 왜 따라야 하냐는 거지.
그래서, 자의적 임의적 원칙이 안되게 하기 위해. gnostic 노스틱 이 되는겨 이건 영지주의로 흘러가는거야. 사회의 법치를 무시해. 더하여 십계명 같은것도 무시될 수가 있어. 외부로부터의 간섭을 철저히 배제하는겨. 루터 이후로도 흔하디 흔한게 이 안티노미안이즘.이야.
노모스.를 라틴어로 저긴 모레스. 라고 했는데. 모스 mos 가 기본이야. 이건 to strive 살아 나가는겨. 이 모스.에서 모두스. 모두스 비벤디. 삶의 양식.의 모두스.가 나오고. 모랄리스. 모랄 하는겨. 매너.가 여기서 또한 나와. 살아가는 바닥 내면의 잣대야 이게. 또한 법. 이 되고. 보편적인 규범이야. 모랄 이란건 매너 야. 살아가는 기본 개인의 내면의 법칙.이야.
에티켓이란건 코트.의 예의 범절.이고. 여기서 courteous 코티어스.하는거고. 같은 말이야. 아주 무거운 예의야 이건.
에스코트.는 코트를 벗어난겨. 코트 나온 여자.는 창녀야. 에스코트 하는건 창녀를 가이드 하는거고.
.The Audians or Anthropomorphites were a sect of Christians in the fourth century in Syria and Scythia, named after their founder Audius (or Audaeus[1]), who took literally the text of Genesis, i, 27, that God created mankind in his own image.
아우디안. 앤뜨로포모피즘. 오디언이즘. 시리아.의 아우디스. 4세기.
- Anthropomorphism holds that God has human form. Audius took the text of Genesis, chapter 1, verse 27, literally, and held that God created humans to resemble His physical form.[2]
- Quartodecimans were honouring the death of Christ on the eve of the Jewish Passover instead of following the Roman tradition of celebrating Easter at a Sunday.
아우디스.는 안트로포스. 모르포세스. 인간이 변한겨. 신이란건. 창세기에서 신이 자기와 닮은 형상으로 인간을 만들었다 했걸랑. 신이 인간인겨 이게. 아 왜 창세기의 말을 못믿냐 니덜은.
콰르토 데시먼즈. quarta decima 데키마.가 데카메론.의 데카. 십이야. 쿼터 4. 열네번째. 란거야. 유월절이 히브리 달력 15일째 부터걸랑. 이들은 그 이브. 전날인 14일째.를 축제하는거야. 최후의 만찬일을. 로마는 이스터. 부활절을 축제하는거고.
아우디스.가 저 두개, 신은 인간이고 최후의 만찬일 숭배를 하는겨. 이단이야. 이들은 1차 니카이아 325년에 이단이야.
유월절 이란건. 유대교 종파 마다 달라 기간이. 보통 7일간.이고 오소독스 유대교는 8일이야. 얘들은 7일간의 첫날과 끝날. 이 이틀만 공식 휴일이야.
The Barallots were a sect, deemed heretical, at Bologna in Italy, who had all things in common, even their wives and children.[1][2] They gave so readily into all manner of sensual pleasures, that they were also termed Compliers.
배롤럿. 이태리 볼로냐.의 이단들인데. 모든걸 공유했어. 부인들조차 공유해. 완전히 debauchery 디보쳐리. 방탕 그자체야. 이게 딱히 자료가 없어. 얀 후스의 가지들이 이쪽으로 왔다는 설도 잇고. 없어 자료가. 저런 환락 은 다 영지주의 계통이야. 극한의 즐거움으로 끝에를 보는겨. 진짜 앎을.
Donatism (Latin: Donatismus, Greek: Δονατισμός Donatismós) was a heresy leading to schism in the Church of Carthage from the fourth to the sixth centuries AD. Donatists argued that Christian clergy must be faultless for their ministry to be effective and their prayers and sacraments to be valid. Donatism had its roots in the long-established Christian community of the Roman Africa province (now Algeria and Tunisia) in the persecutions of Christians under Diocletian. Named after the Berber Christian bishop Donatus Magnus, Donatism flourished during the fourth and fifth centuries.[1]
도나티즘. 4세기에서 6세기. 카르타고 교회에서의 분리.를 일으켜. 이단으로 평받았는데.
Donatus Magnus, also known as Donatus of Casae Nigrae, became leader of a schismatic Christian sect known as the Donatists in North Africa. He is believed to have died in exile around 355.
도나투스 마그누스. 알제리땅 카사이 니그라이.의 도나투스. 3세기 사람이야. 서기 355년에 죽은 걸로 봐. 로마 위기의 3세기말에 그리스도 박해의 상징이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걸랑 이사람이 다시 통일하고. 이걸 자기 부하 막시미아누스.와 나누고. 두개 네개로 나눠 다스리고 이사람은 은퇴하고. 이걸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통일하는거걸랑. 그러면서 그리스도 가 인정이 돼.
디오클레티아누스.가 통일하면서 이 북아프리카도 오는거야. 그리스도.는 불법이야 이사람한테. 그리스도 사람들이 자기들 성서 코덱스를 로마권력에 주고 이걸로 증명을 해 탄압을 피하려고. 그러다 삼사십년이 지나서 콘스탄티누스의 밀라노칙령 313년이 된겨.
Such people became known as “traditors” ("surrenderers"). One of these "traditors", named Caecilian, had returned to the fold of the Church once the persecutions ended, and was consecrated Bishop of Carthage and Primate of North Africa.
저 성서 코덱스들을 주고 배교한 사람들을 트레디터. 라고 하는겨. 거래를 했다 이거지 성서를 주고 탄압을 피해. 라틴어에서 영어가 된겨. 배교자.로 이때 생긴말이야. 뒤에 밀라노 칙령으로 그리스도가 합법이 되고. 그러면서 저때 트래디터.들도 다시 그리스도로 복귀를 하고 이들이 사제 나 성직으로 복귀를 하는거야.
도나투스 들이 저들에 대해 반기를 드는겨. 우리는 당신들 드테디터.들의 성사에 참여할 수 없다. 배반자들 이란거지. 그러면서 이들이 따로 떨어져 나가는겨. 북아프리카 교회 스키즘. 분리여 이게.
주장이 더 나가는거지. 교회는 성스러워야 하고. 사제들 주교들은 성인이어야 해. 한번 배교한 이들은 더군다나 타락한거걸랑. 더하여 성직자들의 생활상 까지 드가는겨 이게.
Whether the sacrament of Penance could reconcile a traditor to full communion was questioned, and the church's position was that the sacrament could. The church still imposed years- (sometimes decades-) long public penance for serious sins. A penitent would first beg for the prayers of those entering a church from outside its doors. They would next be permitted to kneel inside the church during the Liturgy. After being allowed to stand with the congregation, the penitent would finally be allowed to receive the Eucharist again. According to the Donatists, serious sin would permanently disqualify a man from leadership.
배교했던 트레디터.들이 고해성사.로 다시 교회 공동체로 들어가는거걸랑. 초기 어디는 이게 수년. 또는 수십년동안 고해성사를 했다. 심한 죄들에대해선 공개적으로 하고. 저당시 드레디터.가 머 시대가 그런데 봐줄수 있는거고. 문앞에서 들어갈때 용서 한번 빌고 교회안에서 무릎꿇고 유카리스트 받고. 하면서 다시 그리스도가 되는거걸랑.
도나투스들은 죄가 심한 이들은 저런 성사를 하는 사제직이나 주교직 등을 갖아선 안된다는겨. 이들이 성사하는건 무효 이고. 저때 교회자리들이 다 트레디터들이 된거였다가 다시 교직에 복귀한거걸랑.
저런 생각의 바탕은. 저게 더들어가면 원죄.도 갖고 나오는데. 한번 배교한 자나. 부패한 자나. 중범죄자걸랑. 이들은 깨끗해질 수가 없다.는걸 전제 하는겨 바닥에. 너무나 더러워져서 그리스도가 될 수가 없는겨. 저런자가 어드래 사제를 하냐는 거지
Augustine of Hippo campaigned against Donatism as bishop; through his efforts, orthodoxy gained the upper hand. According to Augustine and the church, the validity of sacraments was a property of the priesthood independent of individual character. Influenced by the Old Testament, he believed in discipline as a means of education.
여긴 히포의 오거스틴. 아우구스투스의 나와바리걸랑. 너무 빡빡하게 구는게 부담스런겨. 당시 시대가 그런걸 머 어쩌라고. 남들처럼 열사여 투사여 안하면 죄인되는겨? 쉴드 논리를 만들어. 사제.나 주교.는 개인의 캐릭터와 상관없이 교육 수료받은 과정으로 사제 직을 받은거야. 그 자체로 유효하단거야.
신도들이. 사제를 믿는게 아니라. 사제 넘어의 지저스.를 믿는거지 왜 사제 따위의 개인 캐릭 경력 갖고 난리를 치냐는거야. 그런 올바름 디시플린.은 교육의 문제야. 원죄의 여부가 아니고 죄의 유무가 아니고 교육하고 훈련시키면 캐릭은 바뀌는거고. 그래서 저 도나투스들.인 도나티즘.은 이단이돼.
Novatianism was an Early Christian sect devoted to the theologian Novatian (c. 200–258) that held a strict view that refused readmission to communion of Lapsi (those baptized Christians who had denied their faith or performed the formalities of a ritual sacrifice to the pagan gods under the pressures of the persecution sanctioned by Emperor Decius in AD 250). The Church of Rome declared the Novatianists heretical following the letters of Saint Cyprian of Carthage.[1]
이전에 똑같은 일들이 로마에 있어. 위기의 3세기 절정일때. 노바티안.이 박해 받아 죽었어 로마 황제한테.
Valerian (/vəˈlɪəriən/; Latin: Publius Licinius Valerianus Augustus;), also known as Valerian the Elder, was Roman Emperor from 22 October 253 AD to spring 260 AD. He was taken captive by the Persian Emperor, Shapur I, after the Battle of Edessa, becoming the first Roman emperor to be captured as a prisoner of war, causing shock and instability throughout the empire.
발레리아누스. 때 노바티안.이 죽은겨 그리스도 박해로. 이 발레리아누스.가 황제 최초로. 갓 들어선 사산.에 전투때 포로가 되서리 온갖 모욕을 당하고 죽어. 금덩어릴 먹게 해서 죽이다 또는 얼굴가죽 벗겨 죽이다. 로 봐. 하튼 이 스텝 들 참 잔인해. 로마는 그러지 않아. 저 위기의 3세기가 재밌는데. 넘어가고.
노바티안.이 살아있을때, 그리스도를 배교했던 이들이 다시 그리스도 로 돌아온 모임을 Lapsi 랍시.라고 해. lapsus 랍수스 잠깐 미끄러진겨. 다시 돌아온겨. 노바티안.이 이들을 인정안하는거야. 한번 배교자는 영원한 배교자. 이들을 노바티안이스트. 노바티안이즘.이라고 해. 이단으로 규정돼. 이게 오육십년 지나서 똑같은 일이 도나티즘.으로 북아프리카에서 벌어진거야.
The Circumcellions or Agonistici[1][2] (as called by Donatists) were bands of Berber Christian extremists in North Africa in the early to mid-4th century.[3] They were considered heretical by the Catholic Church.[4] They were initially concerned with remedying social grievances, but they became linked with the Donatist sect.[3] They condemned property and slavery, and advocated free love, canceling debt, and freeing slaves.[5] Donatists prized martyrdom and had a special devotion for the martyrs, rendering honours to their graves.
The term "Circumcellions" was coined by others, based on "circum cellas euntes", they go around larders, because "they roved about among the peasants, living on those they sought to indoctrinate."[1]
서컴셀리온즈. 서컴.은 circus 서커스. 키르쿠스. 서클 이고 동그라미.고 여기저기 주변. 셀리온즈.는 셀. 저장소여. 여기저기 주변들의 음식있는 저장소.를 찾아 다니는 사람들이야. 처음엔 사회적인 고통의 치료에 관심을 두다가 도나티스트들과 합세를 해. 이들도 베르베르 족 북아프리카 걸랑.
4세기 중반.에 나온이들인데. 다들 극단주의자야. 밀라노 칙령 다음이야. 도나투스 들과 같이 티나온겨 이게.
이들은 재산. 노예.를 비난해. 부채.도 거부하고. 노예 해방을 시켜야 해. 도덕주의자야 도나투스들과 같이 가는겨.
그러면서 지들은 정의 걸랑. 거지들일꺼 아닌가. 농부들 찾아가서 협박해서 밥 내놓고 돈 내놓으라는겨. 저게 셀.들 이야. 아무것도 모르는 민들 협박해서 우리가 참 그리스도니라. 니덜이 우리좀 먹여 살려라 해 대는거지.
Ebionites (Greek: Ἐβιωναῖοι, Ebionaioi, derived from Hebrew אביונים ebyonim, ebionim, meaning "the poor" or "poor ones") is a patristic term referring to a Jewish Christian movement that existed during the early centuries of the Christian Era.[1] They regarded Jesus of Nazareth as the Messiah while rejecting his divinity and his virgin birth[2] and insisted on the necessity of following Jewish law and rites.[3] They used only one of the Jewish–Christian gospels, the Hebrew Book of Matthew starting at chapter three; revered James, the brother of Jesus (James the Just); and rejected Paul the Apostle as an apostate from the Law.[4] Their name suggests that they placed a special value on voluntary poverty. Ebionim was one of the terms used by the sect at Qumran who sought to separate themselves from the corruption of the Temple. Many believe that the Qumran sectarians were Essenes.[5]
에비오나이트. 에비오님. 가난한 사람들.이야. 이들은 유대인 그리스도여. 초기교회 사람들이야. 지저스.를 메시아.로 믿어. 유대인들에게 메시아.는 인간이야 야웨가 파견한. 당연히 신이 아냐. 성처녀 아냐. 유대법과 유대의식을 따라.
이 유대인 그리스도.만의 가스펠들. 복음서가 세개가 있어. 이게 전해지지가 않아. 코트 로만 몇 문구씩 인용만 돼.
알패오의 아들 야코브.를 이들은 지저스의 동생으로 믿어. 사도 바울.은 빼는겨. 별로야 이 사도 바울은.
스스로 가난을 택해. 쿰란 동굴의 사람들 중에 한 부류가 이 에비오님.들로 봐. 이 쿰란 동굴들의 사람들은 주로 에세네 Essene 야. 이들은 유대인들의 패리시즈. 새듀시즈(바리새인 사두개인)외에 금욕적인 사람들이야. 유대인들 허밋.이야. 에씬즈. (에세네)
저 에비오나이트.도 당연히 이단시 되지만. 그러거나 말거나 자기들끼리 사막가서 살아.
앞의 아라비치. 콜뤼리디언 같은 아라비아 반도의 그리스도.나 저 유대인 에비오나이트.나 에씬즈 들이나. 이들이 사막에 스미면서. 여기서 나온게 말야. 무함마드 이슬람이야. 이런 바닥에서의 정서로 이슬람이 나온겨. 이슬람은 저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만들은 겨 저건.
The Euchites or Messalians were a Christian sect from Mesopotamia that spread to Asia Minor and Thrace. The name 'Messalian' comes from the Syriac ܡܨܠܝܢܐ, mṣallyānā, meaning 'one who prays'.[1] The Greek translation is εὐχίτης, euchitēs, meaning the same.
에우키테스.(영어 유카이트스) 멧살리안즈. 시리아어와 그리스어 번역으로. 기도하는 사람.이야. 이들이 중요한데.
They are first mentioned in the 370s 서기 370년대에 십여명의 성직자들에서 언급이 돼. 아 이런게 재밌는데 말야.
Their leader was supposedly a man named Peter who claimed to be Christ.[8] Before being stoned to death for his blasphemies, he promised his followers that after three days he would rise from his tomb in the shape of a wolf, attracting the title of Lycopetrus or Peter the Wolf.[8] Christians believed it was not Peter who would come out of the grave, but a devil in disguise.
리더가 베드로. 피터야. 그리스도래 자기가. 신성모독으로 돌맞아 죽었어. 죽을때 자기 신도들에게 자기는 삼일 후에 무덤에서 나와서리 늑대로 태어날 거래. 뤼코페트루스. 늑대 베드로.란 명함으로 나온대.
They were first condemned as heretical in a synod of 383 AD (Side, Pamphylia),
저들이 서기 383년.에 이단이 돼. 팜퓔리아.의 시데. 여긴 소아시아 남부 해변 이야. 오른쪽이 해적의 땅 킬리키아.고 왼쪽이 뤼키아.여.
They continued to exist for several centuries, influencing the Bogomils of Bulgaria, who are called Lycopetrians in an abjuration formula of 1027.[10][8] and, thereby, the Bosnian Church, the Patarenes and Catharism.[11] By the 12th century the sect had reached Bohemia and Germany[citation needed] and, by a resolution of the Council of Trier (1231), was condemned as heretical.
4세기걸랑 에우키테스.는. 늑대 피터.가. 이게 10세기에 불가리아 보고밀.로 가는겨. 이게 왼쪽 해협 지나 불가리아로 가는겨. 중세에. 그러면서 11세기에 이탈리아 파타리아. 12세기에 카타르파.들로 가. 폴리시언들과 섞여서. 이 사람들 이야기할라고 초기 교회 이단 이야길 하게 된건데.
- The essence (ousia) of the Trinity could be perceived by the carnal senses.
- The Threefold God transformed himself into a single hypostasis (substance) in order to unite with the souls of the perfect.
- God has taken different forms in order to reveal himself to the senses.
- Only such sensible revelations of God confer perfection upon the Christian.
- The state of perfection, freedom from the world and passion, is therefore attained solely by prayer, not through the church, baptism and or any of the sacraments, which have no effect on the passions or the influence of evil on the soul (hence their name, which means "Those who pray").
이사람들 주장.은. 삼위일체의 실재. 우시아.는 카널 센스. 육체적 감각.으로 얻어지는거야. 이게 결국 교미 섹스여. 저 배롤럿 Barrollot 과 같아 맥락이. 여기서 그 전제는. 신은 인간의 감각기관 으로 접할 수 가 있다는겨.
삼겹으로 된 신.은 각각 분리되면서 구분되는 삼위의 신.이 아니라. 통째로 하나로 합쳐진 하나의 실재.야. 보다 완벽함을 이루는거야. 즉 실재가 셋인 구분되는 아이덴티티.가 아니라 구분없는 하나의 실재란 거야.
신은 자기를 드러내기 위해서 다른 형태들을 취했어. 인간의 쎈쓰. 안이비설신의로 접할 수가 있게끔.
그런 느낄수 있는 감각적인 드러남으로 그리스도들에게 완벽함을 주는 거고 구원을 하는겨.
그래서. 그런 완벽함. 슈퍼 내추럴. 이 세상으로부터의 자유. 고통으로부터의 자유.인데. 이건. 오직 기도 로만 닿을 수가 있어. 교회가서 세례 받고 성사 한답시고 되는게 아니란 거지. 오직 기도야. 그래서 기도하는 자들. 멧살리안즈. 라는 시리아어로 불린겨. 저때가 4세기 말이고 테오도시우스.가 아직 재통일 하기 전이야 동서로마를. 동로마 변방의 시리안 들이 믿는겨. 에우케테스.로 그리스 어 번역한거고.
Iconoclasm[Note 1] is the social belief in the importance of the destruction of icons and other images or monuments, most frequently for religious or political reasons. People who engage in or support iconoclasm are called iconoclasts, a term that has come to be figuratively applied to any individual who challenges "cherished beliefs or venerated institutions on the grounds that they are erroneous or pernicious".
아이코노클래즘. 성상파괴주의.인데. 이걸 이단으로 보는건데. 웃긴건. 성상 파괴하라고 시킨건 비잔틴 황제야. 저걸 또 비난한건 이후 7차 공회의 니카이아(2차)에서야. 황제가 파괴하라고 했는데 교회에서 파괴는 이단이라는겨.
From late in the seventh century onwards some parts of the Greek Church reacted against the veneration of icons. In 726 the Emperor Leo III ordered the destruction of all icons and persecuted those who refused. The policy continued under his successors till about 780. Later Leo V launched a second attempt which continued till the death of the emperor Theophilus in 842 |
성상 파괴하라고 한건. 레오3세야. 서기 726년. 서기 780년에 레오5세가 다시 성상파괴하라 해. 이단 선언한 7차 니카이아는 787년. 이게 초기 일곱 공회의.의 마지막이야.
저때는 비잔틴 8세기가. 이미 발칸엔 불가르 애들이 자리잡고. 오른쪽엔 사산이 망하고 무함마드애들이 뻗칠때야. 우마이야 지고 압바스.가 황금의 이슬람 8세기 시작할 때걸랑.
비잔틴은 서기 650년 부터. 소아시아 위주로 다시 테마타.란 행정구역 만들면서 차근차근 발간 회복시작하면서 불가르 게르만 갈리아 내쫓을 때걸랑. 저게 9세기 마케도니아 조.가 서고서야 좀 회복할까 해본거걸랑.
이 동쪽이 고통의 시대여. 맨날 전쟁에. 비잔틴은 정신없고. 사산이 4백년간 비잔틴이랑 전쟁하다가 이제 무함마드 애들이 쳐 올라오고. 이런 상황에서 민들에게 퍼진게. 그리스도 성물이야. 그리스도 수의. 찌른 창. 십자가. 12사도들 유물. 뻐다귀. 등등 지저스 관련 된게 한 조각 만 얻으면 부적이 되는겨 저게.
저러면서 온갖 사기 주작된 성물들이 돌아 다니고. 이 고통을 벗어나기 가장 좋은게 저 성물들을 직접 접하는게 최고라는 믿음이 8세기에 찐해진겨. 성물 숭배가 극심해진겨. 성물 모조품도 좋은거야 정작 진짜가 없으면.
저러면서 황제 입장에선, 정치 경제 가 잘 안돌아가는겨 이게. 저 성물 숭배를 없애버리고 싶은거야. 너무 지나친거지. 비잔틴 황제 입장에서 저건 두번을 한거야. 그리고 787년에 성물파괴 하지 말라.고 교회에서 7차 공회의. 마지막 하면서 이단 하는겨 성상파괴는.
Pelagianism, also called Pelagian heresy, is the Christian theological position that the original sin did not taint human nature and mortal will is still capable of choosing good or evil without special divine aid or assistance. This theological theory is named after the British monk Pelagius (c. AD 360 – 418), although he denied, at least at some point in his life, many of the doctrines associated with his name. Pelagius taught human will, as created with its abilities by God, was sufficient to live a sinless life, although he believed God's grace assisted every good work. Pelagianism has come to be identified with the view (whether taught by Pelagius or not) human beings can earn salvation by their own effort
펠라기안이즘. 브리튼 섬의 펠라기우스.라는 수도사 몽크.가 주창한겨. 원죄란건 인간 본성을 더럽히지 않았다. 인간의 의지로 선과 악을 구별할 수 있고 선택할 수 있다. 디바인 에이드. 즉 신의 은총따윈 없어도 인간 스스로 하면 되는겨. 금욕을 하고 생활 올바르게 하면. 이사람이 히포의 성 오거스틴.과 동시대야. 루터 보다 더 멋져. 루터 말은 저리 가라여. 루터.는 원죄 때문에 자유의지를 발동할 수 없다 고 하걸랑. 자유의지는 원죄보다 약해. 그래서 페이쓰 온니. 지저스만 오직 믿자 하면 신의 은총으로 자유의지가 발동되서 구원이 된다는 논리걸랑 루터는. 이것보다 천년 전의 펠가기우스.가 훨 진보적인겨 사고방식이.
이건 이단이 돼 역시. 히포의 오거스틴이 특히나 싫어해.
세미펠라기언이즘. 도 나와 비슷한 이들 좀 주장이 약하게. 역시나 이단 돼.
지금까지가 중세 이전의 이단들이야. 머 내용이 그리 나쁠게 없어. 쾌락적 이야기들의 이단인 메살리안즈(에우키테스) 조차도 주장의 근거는 인간 감각을 중시하는겨. 머 안보이는 신을 어찌 접하란거야 대체. 거기서 육욕 자체도 접근하기 위한 도구일 뿐이야. 단지 쾌락만을 위한 쾌락이 아냐 저게.
중세의 이단 이야기들은 저기서 이어서 반복이 되는 것 뿐이야.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근동사45. 아르메니아. 소핀. 콤마진 (5) | 2019.09.09 |
---|---|
118. 이단4. 폴리시언 ft.7세기 비잔틴과 이슬람. 사라센. 아랍 (1) | 2019.09.08 |
116. 인종차별의 톰소여 & 허클베리핀 ft.보물찾기 보물지도 (10) | 2019.09.07 |
115. 톰소여 & 허클베리핀 ft.해적. 금오신화 (7) | 2019.09.06 |
114. 이단 Heresy 2. 콜뤼리디언. 루시퍼 (4) | 2019.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