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zantine historian George Sphrantzes, an eyewitness to the fall of Constantinople, described the Sultan's actions:[46][47]

 

On the third day after the fall of our city, the Sultan celebrated his victory with a great, joyful triumph. He issued a proclamation: the citizens of all ages who had managed to escape detection were to leave their hiding places throughout the city and come out into the open, as they were to remain free and no question would be asked. He further declared the restoration of houses and property to those who had abandoned our city before the siege. If they returned home, they would be treated according to their rank and religion, as if nothing had changed.

 

비잔틴 역사학자.가 콘스탄티노플 함락을 목격하고 술탄 메메드2세의 행동을 서사했다
삼일간의 약탈을 허용한 삼일째. 술탄은 그의 승리를 기쁘게 자축했다. 그리곤 명령했다. 삼일간의 약탈과 수색 중에도 숨어있던 나이불문 모든 시민들은 숨어있는 곳에서 나와서리 모습을 드러내라. 당신들은 자유롭게 살게 될 것이다. 아무런 심문도 받지 않을 것이다. 
그는 더 나아가서 우리 도시를 버렸던 시민들의 집과 재산을 함락 이전으로 복구해놓으라고 했다. 시민들이 다시 집으로 돌아온다면 원래의 지위와 종교에 따라서 살 수 있을 것이라고, 마치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On the third day of the conquest, Mehmed II ordered all looting to stop and issued a proclamation that all Christians who had avoided capture or who had been ransomed could return to their homes without further molestation, although many had no homes to return to, and many more had been taken captive and not ransomed.[18]:150–51 

 

메데드 2세는 약탈을 멈추고 저따위 명령을 내렸지만, 대부분은 돌아갈 집도 없었고, 오히려 포로로 더 많은 이들이 잡혀서리 풀려나지 못했다.

 

.

 

유스티니아누스. 가 대제. 더 그레이트.라는 딱지를 받는건 두개의 이유야. 하나는 로마법 모은 법전. 그리고 하나가 소피아 성당이야. 

 

저 함락 직전의 날에도. 모든 시민들이 저 성당 가서리 기도를 해. 기댈 곳이 갓. 퀴리오스. 데우스. 여호와 외에는 없으니. 

 

저때 탈출한 사람들이 이탈리아로 가는겨 그 비잔틴의 수많은 글들과 물건들을 갖고서리. 이게 바로 또한 직후의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재료가 돼.

 

이전에도 로마 카톨릭과 비잔틴 오소독시.는 자주 만났어. 특히나 저 함락 직전엔. 부디 콘스탄티노플을 구해달라. 우리 합치자. 오소독시의 권위를 내려놓겠다. 이 사람들이 또한 이때 많이 로마로 돌아갔어. 이때도 많은 자료를 갖고 가. 이게 직후의 르네상스의 재료가 돼.

 

우리는 갈 수 없다. 고 남은 수도사들 또한 많아. 오소독시를 버릴 수 없다. 로마 카톨릭으로 들어갈 수 없다. 이 사람들 중 누구는 노예로 팔려가고. 누구는 저 속에서 명맥을 또 이어가. 

 

오소독시 성직자들은 또한 동쪽 러시아 로도 가. 이들이 주장하는거야. 자기들이 오소독시의 정통을 이어받았다고. 이들이 러시아 정교회.고 나중 러시아가 짜르. 엠퍼러.를 자칭하는 이유라고 지들이 그래.

Statue of Constantine XI in Athens


비잔틴. 콘스탄티누스1세 이름의 도시. 콘스탄티노플

 

395–1453

 

비잔틴. 

 

Byzantium or Byzantion (/bɪˈzæntiəm-ʃəm/Ancient Greek: Βυζάντιον, Byzántion) was an ancient Greek colony in early antiquity that later became Constantinople, and later Istanbul. Byzantium was colonized by the Greeks from Megara in 657 BC.

 

기원전 657년. 그리스의 도시국가 메가라.가 가서 점령해서 만든 도시야. 메가라.는 이스무쓰 코린트. 앗티카 반도와 필로폰네소스 반도를 잇는 다리같은 지역이야. 카이사르가 이걸 뚤어서리 운하를 만들려 했어. 이후 천년 후에 카이사르의 계획이 실행되었지만. 이 코린트.에서 독립한 도시국가야. 에개해 지나서리 저 끝까지 간겨 이들이. 

 

고린도 전서. 할때 그 고린도. 코린트야. 일본 발음.

 

원래 저 지역이 동과 서를 잇는 요충지역이야. 상업의 중심이면서. 원래 도시가 컸어. 

 

흑해와 에개해를 잇는 곳. 또한 아나톨리아와 그리스를 잇는 곳. 전장의 중심이야. 페르시아 아케네메스가 그리스 침공할때 마주하는 곳이 또한 여기고. 필로폰네소스 전쟁때도 전장터고. 

 

.

로마가 위기의 삼세기.를 디오클레티아누스. 가 정리하고. 이제 혼자 방위가 안돼. 방위선이 무너졌어. 나눠야해. 자기 부하를 공동황제로 임명해. 두개로 나눠. 디아르키.

 

The first phase,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diarchy ("rule of two"), involved the designation of the general Maximian as co-emperor—firstly as Caesar (junior emperor) in 285, followed by his promotion to Augustus in 286. 

 

이때 동로마로 디오클레티아누스.가 머무는 곳은. 비잔틴.이 아냐. 건너편 니코메디아. 아나톨리아 땅이야. 보스포로스 해협 바로 건너서야.

Nicomedia (/ˌnɪkəˈmdiə/;[1] GreekΝικομήδειαNikomedeia; modern İzmit) was an ancient Greek city in what is now Turkey.

 

니코메디아. 니코메데이아. 

 

막시미아누스에게 서쪽을 주면서. 저때 로마.를 버리고. 밀라노.로 가는겨 서로마 황제는. 이 디아르키. 이 분할 때.

 

Mediolanum, the ancient Milan, was originally an Insubriancity, but afterwards became an important Roman city in northern Italy

 

저 니코메디아. 밀라노(메디오라눔) 은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저때 제대로 만든 도시야. 트리어. 도 이사람이 만든겨. 마르크스 가 태어난 곳.

 

 

The term "tetrarchy" (from the Greekτετραρχίαtetrarchia, "leadership of four [people]")[a] describes any form of government where power is divided among four individuals, but in modern usage usually refers to the system instituted by Roman Emperor Diocletian in 293

 

십년 도 안되서. 다시 나눠. 두개도 각각 벅차. 이걸 각각 정부제 두면서 네개로 나눠. 태트라르키. 
저때 네 곳 각각 수도가. 니코메디아. 밀라노. 베오그라드. 트리어. 인겨. 

.

헌데 이걸 나누자 마자. 저 각각이 이른바 후계자 문제가 생기는겨. 후계자 전쟁이야 결국 이것도. 이걸 정리한 사람이 콘스탄티누스 대제.
왼쪽 오른쪽. 각각 황제 대빵이 씨니어 둘.에 그 밑에 주니어 둘. 정제 부제. 해서 넷이야.
씨니어 칭호가 아우구스투스. 쥬니어 부제 칭호가 카이사르.
서로마의 아우쿠스투스.는 막시미아누스. 부제인 카이사르는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아버지 콘스탄이우스. 

.

 

저 이분할. 사분할 을 만들었던 디오클리테아누스. 가 서쪽의 막시미아누스. 부하장교였던. 에게 우린 그만 하자고 해. 은퇴하자고. 막시미아누스. 짜증 열라 나지만. 말 들어야지. 

 

해서 주니어들이 시니어인 아우구스투스.가 되는거지. 

 

 

그리고 콘스탄티우스가 죽어. 이 아우구스투스 자리를 군단병들의 지원으로 아들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되는겨. 여기서 후계자들의 전쟁이 붙은거야 저 네명이. 

 

The Civil wars of the Tetrarchy were a series of conflicts between the co-emperors of the Roman Empire, starting in 306 AD with the usurpation of Maxentius and the defeat of Severus, and ending with the defeat of Licinius at the hands of Constantine I in 324 AD.

 

 

최종 승자.가 콘스탄티누스.가 되는거고. 다시 저 사분할체제를 하나로 합쳐. 



The location of Byzantium attracted Roman Emperor Constantine I who, in 330 AD, refounded it as an imperial residence inspired by Rome itself. (See Nova Roma.) After his death the city was called Constantinople (Greek Κωνσταντινούπολις, Konstantinoupolis, "city of Constantine").

 

비잔틴. 이 로마를 본따서 재건립된 것은 저 내전 끝난 6년 후야. 서기 330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죽고서 이름이 콘스탄티누스 폴리스. 인 콘스탄티노플. 이 된겨. 서기 337년.에 죽었어.

.

이때부터 다시 나뉘는겨. 이 아들이 부랴부랴 콘스탄티노플로 와서리. 자기 친인척들 후계자 될 듯 핏줄들을 죽여. 여기서 살아남은 이들이 다시 나뉘고 합쳐지고 나뉘고 해.

 

Theodosius I (LatinFlavius Theodosius Augustus;[1]GreekΘεοδόσιος Αʹ; 11 January 347 – 17 January 395), also known as Theodosius the Great, was Roman Emperor from AD 379 to AD 395, as the last emperor to rule over both the eastern and the western halves of the Roman Empire

 

콘스탄티누스 대제 이후로 실질적으로 두로마를 잠시 합쳤던 황제는 테오도시우스. 그래봤자 재임기간 중 마지막 3년이야. 
이 사람의 두 아들이. 아르카디우스. 와 호노리우스.

Arcadius (LatinFlavius Arcadius AugustusGreekἈρκάδιος; 1 January 377 – 1 May 408) was Eastern Roman Emperor from 395 to 408. 

 

Honorius (LatinFlavius Honorius Augustus; 9 September 384 – 15 August 423) was Western Roman Emperor from 393 to 423. 

 

 

 

서로마의 벨렌티아누스 황제가 죽어. 자살했대. 헌데 아마 프랑크족 장군. 즉 게르만인 수하가 죽인걸로 추정하는거지. 얘가 황제를 죽이고 다른 황제를 옹립해. 이걸 진압한 사람이 동로마의 테오도시우스.야 그리고 자기 둘째 아들 8살 짜리를 여기 아우구스투스로 임명한겨. 서기 393년. 이미 아르카디우스. 큰아들은 십년전인 383년에 아우구스투스.로 임명이 되었어. 

 

즉 테오도시우스.가 서로마는 관심이 멀었다가. 발렌티아누스 죽고 진압하고. 자기 둘째 아들 꼬마를 아우구스투스.로 임명한건 서로마.는 니가 해라 한거걸랑. 그러다가


테오도시우스.가 죽었어. 서기 395년. 
이때부터 비잔틴 제국. 하는겨. 이때 작은 아들은 이미 서로마에서 아우구스투스 를 명 받았어 아부지로부터 죽기전에. 동로마는 아르카디우스. 7살 많은 형이야. 
이 둘이 다 연약해 심성이. 

 

.

아 머 여까지 스토리가 이어지냐 이거. 
쉼. 

 

Flavius Rufinus (

c.

 335 – November 27, 395) was a 4th-century East Roman statesman of Gaulish extraction who served as Praetorian prefect of the East for the emperor Theodosius I, as well as for his son Arcadius, under whom Rufinus was the actual power behind the throne.

 

Olympius was a minister of the Western Roman Empire, in the court of the emperor Honorius. Olympius orchestrated the fall and execution of the capable general Stilicho, who had effectively been ruling the Western Roman Empire as regent of Honorius for over twelve years.

 

동로마의 아르카디우스.의 실재권력은 루피누스.야서로마의 호노리우스.의 실재권력은 올림피우스.야
황제들이 어리고 띨빵하걸랑. 쟤들이 권력이야. 루피누스.는 갈리아인이야. 자기딸을 황후로 만들려고도 해. 얘가 스틸리코.를 싫어했어. 스틸리코. 최후의 로마 장군. 닉네임을 하사받았어 기번한테서. 스틸리코.가 대부분의 이민족 침입을 다 막았걸랑. 고딕애들의 요구사항도 알고 협상도 잘 되었고.
저 동로마.의 아르카디우스.가 죽었어. 소문이 퍼지는겨. 스틸리코가 동로마 황제자릴 노린다고. 저 배후엔 올림피우스.가 있는거지. 저게 동로마 황제에 서로마 황제도 할꺼다.
스틸리코.가 그냥 라벤나로 들어와. 은퇴해. 그걸 잡아서리 죽이는겨 호노리우스가. 가족들과. 더하여 게르만 푀더라티 자기네 군단병들의 가족들을 싸그리 죽여. 삼만명의 게르만이 이 소식을 듣고 분노해서리 고딕 게르만애들에게 간겨. 그리고 바로 터진게 410년 사코 디 로마. 하고는 로마가 죽었슈 하니까는 호노리우스.가 슬퍼해. 자기가 키우던 닭 로마.가 죽은 줄 알고. 

할때. 각각 형제가 십년 텀으로 아우구스투스 를 부여받았지만 아빠로부터. 아빠 테오도시우스가 죽은 해 부터. 큰아들이 단독으로 황제하는 서기 395년.이 비잔틴 제국의 시작.으로 보는거지.  마찬가지로. 서로마제국.은 같이 서기 395년 부터 서로마제국 하는거야. 
.
할때 말야. 저 비잔틴이 끝난 해를 콘스탄티노플 1453년.으로 봐. 
저때 비잔틴에 남은것이 모레아.야 아래반도. 저긴 이미 메메드2세가 지원병력 끊기 위해서. 황제의 두 동생들을 진압한 상태야. 의미없는거지.

할때. 저 마지막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

 

Before the beginning of the siege, Mehmed II made an offer to Constantine XI. In exchange for the surrender of Constantinople, the emperor's life would be spared and he would continue to rule in Mistra. As preserved by G. Sphrantzes, Constantine replied:

To surrender the city to you is beyond my authority or anyone else's who lives in it, for all of us, after taking the mutual decision, shall die of our own free will without trying to save our lives.

메메드2세가 항복하라고 해. 항복하면 모레아 땅의 뮈스트라스.에 남은 여생 보내게 해주겠다고. 답장을 해.

 

이 도시를 당신에게 그냥 주는 것은 나의 권한 밖이걸랑, 여기 있는 어느 누구도 그럴 수 없어. 왜냐믄 우린 모두 결심했어, 살아 남을 시도는 하지 말자고, 각각의 자기만의 자유로운 뜻으로 죽기로 했어.

 

Constantine died the day the city fell, 29 May 1453. There were no known surviving eyewitnesses to the death of the Emperor and none of his entourage survived to offer any credible account of his death.[25]According to Michael Critobulus (writing later in Mehmed's service), he remarked, "The city is fallen and I am still alive."[26] Then he tore off his imperial ornaments so as to let nothing distinguish him from any other soldier and led his remaining soldiers into a last charge where he was killed.[27]

Mehmed sent soldiers to search amongst the dead for his body. The first body that was believed to be the emperor's, a body that had silk stockings with an eagle embroidered in it, was decapitated and marched around the ruined capital. However, it failed to gather any recognition from the citizens of Constantinople.[28]

 

콘스탄티노스는 함락 당일 1453년 5월 29일 죽었다. 황제의 죽음을 증언할 사람들은 다 죽었다. 살아남아서 그의 죽음에 대해 믿을만한 정보를 줄 측근들도 아무도 없었다. 나중 메메드 술탄에서 일하게 되는 크리토불루스에 의하면.  황제가 "도시는 함락되었는데 나는 여전히 살아있구나" 하고는 자기의 황제 무늬 장식들을 뜯어버리고는 다른 병사들과 구분이 되지 않은 체 그 혼잡한 백병전 속에서 그는 죽었다.

 

 

메메드는 병사들을 보내어 그 시체들 중에서 황제의 죽은 몸이라도 찾아보라고 했다. 황제로 추정되는 몸이 있었는데, 독수리 문양의 비단 스타킹의 몸이 었는데, 머리는 짤린체 황폐한 도시를 걸었던 흔적이었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플의 시민들에게서 관련된 어떤 정보도 얻을 수가 없었다.

 

 

 

Constantine XI had died without producing an heir, and had Constantinople not fallen he likely would have been succeeded by the sons of his deceased elder brother, who were taken into the palace service of Mehmed after the fall of Constantinople. The oldest boy, renamed to Murad, became a personal favorite of Mehmed and served as Beylerbey (Governor-General) of Rumeli (the Balkans). The younger son, renamed Mesih Pasha, became Admiral of the Ottoman fleet and Sancak Beg (Governor) of the Province of Gallipoli. He eventually served twice as Grand Vizier under Mehmed's son, Bayezid II.[52]

 

 

콘스탄티노스 11세는 자식이 없어서리 후계자가 없이 죽었다. 만약 함락이 안되었다면 죽은 형의 자식들 중에 후계자가 되었을텐데, 이 조카들도 함락 이후에 메메드 술탄 치하에서 공무원생활을 하였다. 가장 큰 조카는 무라드.란 이름으로 개명하고 메메드가 좋아하는 측근 중 일인이 되었고 루멜리의 주지사가 되었다. 어린 조카는 메시 파샤.로 개명해서리 뒤의 메메드 아들 바예지드2세때 그랜드 비지어. 수상을 두번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