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말야
지금 이 세상은 카이사르 더하기 예수다. 라고 짐이 문득 타이핑을 했는데
아 대단한 말씀인거지. 누구가 저따위 말을 했는지는 몰겄는데. 했겄지 저쪽애들이.
짐의 모든 말쌈은 이게 다 아주 독창적인 말쌈이야. 손가락놀이 하민서리 그냥 풀어지는건데.
직전글은 그게 깊은 글이야. 로마와 교황에 대해 그리 정리한 글이 영어로도 된게 없어. 짐이 이거 저거 훑어보고 짐께서 손가락질하면서리 그냥 나온글이야
아 글들이 점점 깊고 넓어지는데.
인류문명사 8천년을 말야. 이렇게 일이관지로 정리한 글이 없어 전세계에. 하물며 한글로 된건 더우기나 .
우리네가 제일 잘 볼 수 있는 인간들이야
시오노 나나미도 짐처럼 로마를 못풀어.
.
아 음청난 자뻑질인데.
쭉 따라오는 빠나나덜이 기존 열명에서 이젠 끽해야 스물이야. 머 검색해서 들어온 애들이 무슨 의미가 있겄니.
쉬운 짐의 말쌈에 일이십의 빠나나덜이 감동을 처묵질 하는 소리가 들려.
니덜은 잘 살도록 해. 이념놀이에 놀아나지 말고.
아 쟤들 다 삼십위밖인데. 오늘 저기서 은채만 살아남았을라나. 간당간당. 치요리 니는 걍 개그해. 닌 게닌으로 먹고 살어. 부담스러. 하은이는 캐릭이 어중간하잖냐. 히토미의 구여움엔 못당해. 글타고 원영이의 캐릭도 아니고. 밥좀 더먹어.
나머지 네명이 아까빈데. 준영이 개개끼 .
.
이번엔 지난걸 이어서리 같잖은 저 철학사 이야길 할라고 하는데. 얘들을 풀을려면 말야. 결국 역시 역사가 먼저 정리되야돼.
역사를 모르고선 말야. 문학을 접할 수 없어. 저 널리고 널린 세계고전문학전집을 말야. 특히 유럽애들꺼 말이지. 저거 다 지금 허상으로 읽는거걸랑. 저 유럽사 몰라 다들. 그러면서 저 문학전집을 감동 주작질 하면서 읽는거걸랑.
위선이야 그거. 가짜야 그런거. 아무런 도움이 안돼. 진짜 바닥에 닿지 못해. 걍 어설피 허상으로 아는 척질이야.
해서리 지금 이땅바닥이 유치한겨. 들이 판치는 세상인거야 지금.
척 척 척. 아는 척. 이게 완전히 애들 죽이는겨 지식인자연하는 애들 때메.
저 어설피 익힌 걸로 어설픈 지들만의 이념을 만들고. 그 이념에 치여 지들이 뒈져 스스로. 그따위을 또 추모질 숭상질. 그러면서 저따위 개 이념으로 지금 이땅을 도배질. 결국 망하는겨 다시.
난 쟤들을 지지해. 투표하면 난 쟤들한테 투표할껴. 얼렁 빨랑 망해야해 이땅바닥은. 쟤들이 딱 이십년만 더 집권해야해. 해서 얼마나 개 짓이었던걸 빨랑 망해서 깨달아야해 더이상 저따위 개들이 이땅바닥에서 살아남지 못하게 해야해. 저 조선왕조의 이음.
아 끔찍한거다 저거.
조선 왕들이 말야. 보통애들이 아냐. 그 밑에 대신 대간애들이 제대로 좀 사유를 넓혔으면. 우리네가 이지경 까지 오질 않아
쟤덜이 오백년 하는 개이. 소인배놀이 군자 놀이걸랑. 나무 공자불 나무 주자불. 타이핑질하다보니 저따위 단어조합이 나오는데 음청난 통찰인거지.
나무 공자불 나무 주자불 만 해대면 조선 바닥이 위대해 진다는겨.
멀 못하게 해. 멀. 걍 나무 공자불 나무 주자불이야.
중종이 알성시 시험문제야 그게. 내가 어드래 하면 우리네가 멋지게 살수 있느냐?
조광조 답이야. 나무 공자불 나무 주자불 만 왕이 열심히 해대면. 모든 민들이 저절로 스스로 따라서리 예의가 발라지고 도덕이 서고 다 잘살게 됩니다요.
이게 저 답안지야. 그리고 지혼자 도학풍 소학놀이 하민서리 나무 공자불 염불해댄겨.
뒤의 조식.이 권력에 안들어가는 이유야. 조광조 복원해라 . 조광조죽인 권력. 위대한 조광조.
권력에 눈이 멀어서 저 조정에 앉아있는 들 개개끼.
아아 이 초야에서 자연을 보고 바람을 느끼는 이 한가로움 을매나 내는 도인인고.
골때리는 들이야. 요즘은 또 해서리 조식. 다시 보기. 기대승 어쩌고 저쩌고.
조식 이황. 기대승 다 똑같아 그 담론 수준이. 나중 썰하던 말던.
이이. 경세가 시작 어쩌고 저쩌고. 애도 말야. 당시 유럽과 비교를 해봐. 그나마 민생을 챙긴 인간이지만. 그 해결책은 결국 청렴 결백 이이야.
청렴해서 망한 나라이쓰므니까?
이게 지금 민주 정의 이념놀이하는 애들의 대빵에서 나온 말이걸랑.
저 사유의 이음이. 조선이야. 조선의 유교 조선의 이념.
조선의 대신 대간애들이 말이다. 청렴 결백한 애들이 수두루루루룩해. 헌데 개 왕조가 된거걸랑. 이게 먼말인지 모를텐데. 넘어가고.
.
그러면서. 지들 이념인간이 처먹은 돈은. 어찌할 수 없는 잘못된 체제의 콜레터럴 데미지. 란 거지. 억울하단 거지 ㅋㅋㅋ.
야 거 얼마 처먹었다고 뒈지냐 뒈지긴. 걍 몇년 살다 나오믄 되지. 머 재수 없네 하고 말면 되는거고. 걔가 컬레터럴 데미지 듯이 적폐들도 컬레터럴 데미지여.
우리시대의 예수다.
예수님이 하늘에서 스프 처먹으시다가 얹히셨댄다
.
저런 이야길 할라믄. 일단 역사가 정리가 되야 하는데.
80년 전쟁. 30년 전쟁.을 정리하자. 이건 좀 정리가 되야해. 그래야 뒤의 유럽이 풀려.
저런 복잡한 듯한 유럽사를 보다가 말야. 이 동양빠닥 역사. 특히 조선사 보믄 말야. 단순한겨. 쉬워.
중국사. 쉬워 저 이야기.
유럽사 보다가 쟤들 이야기 보믄 그야말로 유치찬란이야.
.
쉼.
십자군 씨리즈.에서 어디까지 한거냐 이거.
십자군 원정 이야기는 하나도 안 풀었지만. 십자군 원정 2백년간 이야기는. 부수적인 이야기야. 저 씨리즈 물을 다 보고 그 이야기들을 니덜이 직접 디다봐. 그럼 쉽게 이해가 될테니.
종교개혁 대 반종교개혁에서 멈춘건데.
유럽역사.는. 이탈리아.가 핵심이야. 이탈리아 이야기가 그 중심이야. 이탈리아 이야기를 모르면. 유럽역사는 없어.
고대 로마.는 이탈리아 반도 전체로 스민거야. 서로마가 망하면서.
로마. 는 서로마야. 비잔틴.은 하렘과 유너크에서 황제를 신성화하민서리 그 구조는 말야 동쪽빠닥 술탄과 임금 들과 똑같애. 이건 단적으로 말해서 로마가 아냐 .
서로마가 망했다. 는 것은. 오도아케르.라는 로마 군단에서 장교까지 한 게르만이 게르만 용병들을 규합해서리 서로마황제를 이기고. 서로마황제 닉을 버리고 이탈리아 왕.을 자칭했다 해서 망한거. 라 하지만. 서기 476년.
이건 제대로 잘 찍은겨 시점을.
이미 이보다 2백년 전에. 서기 286년. 위기의 삼세기 정리하면서 디오클레티아누스.가 동로마 서로마.로 나누면서 디아르키. 둘이 나눠 다스리면서. 서로마의 수도를 로마에서 밀라노.로 옮길때부터. 로마는 버려진겨. 이전 썰.
서로마.라고 작명될때. 로마는 망하기 시작한겨 이미. 수도 로마가 버려졌걸랑.
서로마황제가 수도를 밀라노에서 동쪽 루비콘강 위 라반나로 다시 옮겨. 120여년 후에.
402년
이미 위쪽 방어선은 무너진겨. 오른쪽 귀퉁이 라반나.는 지키기가 편해. 바다랑도 연결되기도 해서리 토끼기도 쉬워.
서고딕이란 게르만이. 쳐내려오는겨. 라반나 포기하고.
- Sack of Rome (390 BC) by the Gauls under Brennus
- Sack of Rome (410), by the Visigoths under Alaric
- Sack of Rome (455), by the Vandals under Geiseric
- Sack of Rome (546), by the Ostrogoths under Totila
- Sack of Rome (1084), by the Normans under Robert Guiscard
- Sack of Rome (1527), by the mutinous troops of Holy Roman Emperor Charles V
유럽 종교전쟁.
- Pre-Reformation wars:
- The Hussite Wars (1419–1434) in the Lands of the Bohemian Crown
- Conflicts immediately connected with the Reformation of the 1520s to 1540s:
- The Knights' Revolt (1522–1523) in the Holy Roman Empire[11]
- The German Peasants' War (1524–1526) in the Holy Roman Empire[11]
- The Wars of Kappel (1529–1531) in the Old Swiss Confederacy[12]
- The Tudor conquest of Ireland (1529–1603) on the Catholic population of Ireland by the Tudor kings of England and their Protestant allies
- The Kildare Rebellion (1534–1535)
- The First Desmond Rebellion (1569–1573)
- The Second Desmond Rebellion (1579–1583)
- The Nine Years' War (1593–1603)
- The Münster rebellion (1534–1535) in the Prince-Bishopric of Münster
- The Count's Feud (1534–1536) in the Kalmar Union (Denmark and Norway)
- The Anabaptist riot (1535) in Amsterdam[13]
- Bigod's rebellion (1537) in the Kingdom of England
- The Schmalkaldic War (1546–1547) in the Holy Roman Empire[11]
- The Prayer Book Rebellion (1549) in the Kingdom of England
- The Second Schmalkaldic War or Princes' Revolt (1552–1555)[12]
- The French Wars of Religion (1562–1598) in the Kingdom of France[1][12]
- The Eighty Years' War (1566/8–1648) in the Low Countries[1][12]
- The Cologne War (1583–1588) in the Electorate of Cologne
- The Strasbourg Bishops' War (1592–1604) in the Prince-Bishopric of Strasbourg
- The War against Sigismund (1598–1599) in the Polish–Swedish union
- The War of the Jülich Succession (1609–10, 1614) in the United Duchies of Jülich-Cleves-Berg[14]
- The Thirty Years' War (1618–1648), affecting the Holy Roman Empire including Habsburg Austria and Bohemia and Moravia, France, Denmark and Sweden[1][12]
- Bohemian Revolt (1618–1620) between the Protestant nobility of the Bohemian Crown and their Catholic Habsburg king. This revolt started the Thirty Years' War, causing additional conflicts elsewhere in Europe, and subsuming other already ongoing conflicts.
- Hessian War (1567–1648) between the Lutheran Landgraviate of Hesse-Darmstadt (member of the Catholic League) and the Calvinist Landgraviate of Hesse-Kassel (member of the Protestant Union)
- The Huguenot rebellions (1621–1629) in France[1]
- The Wars of the Three Kingdoms (1639–1651), affecting England, Scotland and Ireland[1]
- Bishops' Wars (1639–1640)
- English Civil War (1642–1651)
- Scotland in the Wars of the Three Kingdoms (1644–1651)
- Irish Confederate Wars (1641–1653) and the Cromwellian conquest of Ireland (1649–1653)[15]
- The post-Westphalian wars:[2]
- The Savoyard-Waldensian Wars (1655–1690) beginning with the Piedmontese Easter (Pasque piemontesi) of April 1655[5][16] in the Duchy of Savoy
- The First War of Villmergen (1656) in the Old Swiss Confederacy[17][15]
- The Second Anglo-Dutch War (1665–1667) between England and the Dutch Republic[15]
- The Great Turkish War (1683–1699) was fought between the Islamic Ottoman Empire and the Christian Holy League.
- The Nine Years' War (1688–1697)[2]
- The Glorious Revolution (1688–1689)[2]
- The Williamite War in Ireland (1688–1691)[2]
- The Jacobite rising of 1689 in Scotland saw Roman Catholics and Anglican Tories supporting the deposed Catholic king James Stuart take up arms against the newly enthroned Calvinist William of Orange and his Presbyterian Covenanter allies; the religious component may be regarded as secondary to the dynastic factor, however.[18]
- The War of the Spanish Succession (1701–1714) across Europe had a strong religious component[2]
- The War in the Cevennes (1702–1710) in France[15]
- The Second War of Villmergen or Toggenburg War (1712) in the Old Swiss Confederacy[17][15]
아 이거 할랐더만. 쉼.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전쟁사4. 이탈리아전쟁과 사코디로마, 루터와 유럽종교전쟁 (0) | 2018.08.04 |
---|---|
10. 로마의 수로. 수도교. 길. ft. vs 중국 일본. 위대한조선 (0) | 2018.08.04 |
유럽전쟁사2. 로마, 땅에서 하늘로. 현실에서 관념으로 (0) | 2018.08.02 |
유럽전쟁사1. 서로마에서 중세로 ft.지중해 해적 (0) | 2018.08.01 |
9. 글자, 문명을 고도화하다 ft.한글사전. 미개한 나라 (0) | 2018.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