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tin' in the mornin' sun
I'll be sittin' when the evenin' come
Watching the ships roll in
And then I watch 'em roll away again, yeah
I'm sittin' on the dock of the bay
Watching the tide roll away
Ooo, I'm just sittin' on the dock of the bay
Wastin' time
I left my home in Georgia
Headed for the 'Frisco bay
Cause I've had nothing to live for
And look like nothin's gonna come my way
So I'm just gonna sit on the dock of the bay
Watching the tide roll away
Ooo, I'm sittin' on the dock of the bay
Wastin' time
Look like nothing's gonna change
Everything still remains the same
I can't do what ten people tell me to do
So I guess I'll remain the same, yes
Sittin' here resting my bones
And this loneliness won't leave me alone
It's two thousand miles I roamed
Just to make this dock my home
아침햇볓에 앉아서리, 저녁이 될때까지 앉아있을껴
배들이 굴러가는 걸 디다보면서 그배들이 안보이겄지 보다보면
바다 깊숙한 부둣가에 앉아서리 앉아있을껴 물결이 굴러가는걸 보면서
단지 부둣가에 앉아있을껴, 시간 보내면서리.
동쪽끝 촌동네 조지아 고향집을 떠났어
여기 햇살좋고 파란바다 서쪽끝 캘리포니아로 가는겨
난 살아 해보고 픈게 아무것도 없걸랑
아무것도 없는거 같아 내 남겨진 운명이란 책속엔
그래 걍 부둣가에 앉아있을껴 걍.
파도가 굴러 가는걸 보면서.
으아. 걍 바닷가에 앉아 있는겨. 시간 죽치면서
아무것도 변할 거 같지가 않아
모든건 걍 여전히 똑같은듯해
난 할수 있는게 없어 열놈이 나에게 이거저거 해보라는데
그래서 겐또친겨. 난 걍 이대로 걍 있는겨. 으아 응에예요
여기 내 뼈들을 쉬게하고 있는 중이여
이 외로움은 나를 혼자 내비두질 않네
2천마일이여. 내가 떠돈 길이. 이 부둣가가 내 고향이 되기까지가.
.
오티스 레딩. 이랑 기타리스트 스티브 크라퍼가 썼어.
Redding recorded this song on 6 December 1967. It hit No. 1 on the pop and R&B charts the following year, but Redding and his band mates died in a plane crash in Wisconsin on 10 December 1967.
레딩.이 죽기 4일 전에 녹음했대. 비행기 사로고 죽어. 26세. 비 오고 안개끼는데 호수에 처박혔대. 레딩이랑 밴드들.이랑 직원이랑 파일럿 해서 7명이 죽고 한명이 유일하게 살아남아. 스티브 크라퍼.는 개인 기타리스트고 밴드 소속은 아니고.
.
그리스.가 고대에. 미노스 문명이 크레테 섬에서 전2600년에 서고, 미케네.는 천년 후인 전1600년에 시작해. 이전에는 크레테섬 위의 여러섬들인 키클라데스.에서는 문명딱지 안 붙이고 culture 문화. 라 붙여. 누군 문명 하지만.
Cycladic culture (also known as Cycladic civilisation or, chronologically, as Cycladic chronology) was a Bronze Age culture (c.3200–c.1050) found throughout the islands of the Cyclades in the Aegean Sea.
하튼 키클라데스 문화. 가 먼저 들어서고. 크레테문명이 시작하고 천년후에 모든 고대 그리스 지역인 아테네 포함한 텟살로니아와 필로폰네소스 반도와 크레테섬과 키클라데스 섬들과 터키땅 서부인 이오니아 땅들에 미케네 문명이 섞여 . 이게 전1100년에 끝나.
이 다음 시대를 그리스 암흑 시대라 해
The Greek Dark Age, also called Greek Dark Ages, Homeric Age (named for the fabled poet, Homer) or Geometric period (so called after the characteristic Geometric art of the time),[1] is the period of Greek history from the end of the Mycenaean palatial civilizationaround 1100 BC to the first signs of the Greek poleis, city states, in the 9th century BC.
전 1100년에서 전 800년 으로 봐. 어둠의 시대. 라 작명한 이유는. 이 시기의 모든 문명이 싸그리 파괴가 되었어. 몰락한게 보이는겨 이전의 크레테 미케네 문명들의 흔적이 다 파괴가 되고 달리 새로운게 안보이는겨 이 시기에.
미스테리야. 해서 추정을 해. 자연환경이냐 아니면 인위적인거냐.
이때 이 암흑의 시대.가 여기 그리스 지역만 이런게 아냐. 보니까 지중해 온동네가 다그래
The Late Bronze Age collapse involved a dark-age transition period in the Near East, Asia Minor, Aegean region, North Africa, Caucasus, Balkans and the Eastern Mediterranean from the Late Bronze Age to the Early Iron Age, a transition which historians believe was violent, sudden, and culturally disruptive. The palace economy of the Aegean region and Anatolia that characterised the Late Bronze Age disintegrated, transforming into the small isolated village cultures of the Greek Dark Ages.
The half-century between
c.
1200 and 1150 BC saw the cultural collapse of the Mycenaean kingdoms, of the Kassite dynasty of Babylonia, of the Hittite Empire in Anatolia and the Levant, and of the Egyptian Empire;[1] the destruction of Ugarit and the Amorite states in the Levant, the fragmentation of the Luwian states of western Asia Minor, and a period of chaos in Canaan.[2] The deterioration of these governments interrupted trade routes and severely reduced literacy in much of the known world.[3]
근동. 소아시아 라는 터키땅. 애게해 지역. 북아프리카. 코카서스 라는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 그리스 위 발칸. 동부 지중해. 다 파괴된겨 이 당시. 이걸 해서 작명을 청동기 후기 몰락. 이라하는겨. 이때 그리스 미케네. 바빌론의 카사이트. 아나톨리아의 히타이트. 레반트. 이집트 제국. 우가리트. 아모라이트. 들의 문화가 사그리 파괴된게 보이는겨. 아 대체 머냐 이거 하는거지
Various theories have been put forward as possible contributors to the collapse, many of them mutually compatible.
헤로도토스에게 역사 서술은 돈이 되는 사업이었고, 사마천에게는 실존적 인간의 존재 증명이었으며, 할둔에게는 학문 연구였다. 마르크스에게는 혁명의 무기를 제작하는 활동이었고, 박은식과 신채호에게는 민족의 광복을 위한 투쟁이었다. 사피엔스의 뇌는 생물학적 진화의 산물이지만 뇌에 자리 잡는 철학적 자아는 사회적 환경을 반영한다. 그들은 각자 다른 시대에 살면서 다른 경험을 하고 다른 이야기를 남겼다. 그 이야기들을 읽으면서 즐거움과 깨달음을 얻게 되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들의 철학적 자아와 공명하기 때문이다. 민족주의자든 아나키스트든 마르크스주의자든, 식민지 시대 지식인들이 쓴 역사를 읽으면 가슴이 아리다. 그들이 살았던 사회적 환경과 오늘 내가 살아가는 세상은 같지 않은 데도 이러는 이유가 무엇일까?
Map of Phoenician (red) and Greek colonies (blue) at about 550 BC
기원전550년 당시. 파란색은 그리스 땅들. 빨강은 페니키아땅들.
그리스.가 저당시 발칸인 트라키아 땅 밑에 다 먹고. 흑해주변땅을 다 진출해. 서아시아 아나톨리아의 해변 지역을 다 진출하고. 이탈리아 반도의 남부. 시칠리아섬 주변. 저기 지금 프랑스 남부 해변. 스페인 일부 해변. 을 다 진출을 해. 곳곳에 도시국가를 세우는겨
In Ancient Greece, colonies were sometimes founded by vanquished people, who left their homes to escape subjection at the hand of a foreign enemy; sometimes as a sequel to civil disorders, when the losers in internecine battles left to form a new city elsewhere; sometimes to get rid of surplus population, and thereby to avoid internal convulsions; and sometimes as a result of ostracism. But in most cases the motivation was to establish and facilitate relations of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and further the wealth of the mother-city (in Greek metropolis). Colonies were established in Ioniaand Thrace as early as the 8th century BC.[10]
Magna Graecia (/ˌmæɡnə
마그나 그라이키아. 매그너 그리샤. 위대한 그리스. 이 작명은 로마인들이 한겨. 로마의 저 남부를 그리스에서 먼저 진출했걸랑.
기원전 1100년 즈음에 저 그리스 북쪽에서 도리아 인들이 아래로 진출을 해. 이들이 그리스 북서부랑 필로폰네소스 반도에 정착을 해. 이들이 도리안.이야 거기에 아이올리안. 앗티카. 에 이오니안등등이 있어. 저들이 각각 저리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섬의 해변에 도시국가들을 세워.
저때가 기원전 800년으로 봐.
저 작명은 로마인들이 해. 로마인들이 아 위대한 그리스.의 시대. ㅋㅋㅋ. 참 재밌어 이런게. 저때 적용범위는 저 지도일 뿐이야. 나폴리.도 그리스 인들이 만든 도시야.
즉 로물루스.가 로마를 기원전 753년에 로마에 도시국가를 만들었을때. 이전에 이미 그리스인들이 각각 저기에 도시국가를 건설을 한겨.
이들 그리스인들은 그리스 본토의 속주 라 하기엔 머해. 그렇다고 이들이 그리스 저 각각 소속된 도시국가들에 세금을 제대로 낸 것도 아냐. 걍 자치국가 수준이야 저들이.
그리스인들이 이미 기원전 8세기에 말야. 저리 해변도시들에 진출을 해서리 상업도시를 만든거야.
이 이야길 하기 위해서 썰푼은건데. 즉 저 도시국가들 나오기 까지. 저걸 식민지니 머니 하지만, 저건 식민지가 아니라 걍 새로운 땅들 개척한겨.
그리스인들은 저 지중해 사방을 돌아다니면서, 터를 만들고 그 땅들을 개발해서 문명화를 해.
고대의 그리스인간들은 정말 엄청나 그래서. 또한 저기 보믄 페니키아인들이 지중해 동부해변에서 북아프리카로 진출을 해. 지브롤터 건너서리 스페인 해변에도 진출 정착을 해.
저들은 기본 마인드가 상인이야.
카르타고 제국이란 저 튀니지땅의 카르타고에 거점을 둔 나라도. 기원전 800년에 비슷하게 저리 자리잡은겨
Phoenicians founded Carthage in 814 BC.[4][5] Initially a dependency of the Phoenician state of Tyre, Carthage gained independence around 650 BC and established its political hegemony over other Phoenician settlements throughout the western Mediterranean, this lasting until the end of the 3rd century BC. At the height of the city's prominence, it served as a major hub of trade, with trading stations extending throughout the region.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근동사18. Eunuch 환관 내시. 동양이 쓰레기 된 이유 (0) | 2018.06.21 |
---|---|
일본사30. 갑자원 야구 ft.고시엔 (0) | 2018.06.20 |
고대근동사16. 근동 이야기들 엮은 유대교.와 기독교. 예수부활 ft.스탠바이미 by Roger Ridley (0) | 2018.06.17 |
고대근동사15. 로마의 힘에 의한 평화. ft.단싱구 히로(eat you up) (0) | 2018.06.16 |
고대근동사14. 이란과 인도 ft.유대교와 기독교 (0) | 2018.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