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ton Lee “Roger” Ridley Jr. (Contea di Lumpkin, 30 aprile 1948 – Los Angeles, 16 novembre 2005) è stato un cantante e chitarristastatunitense, noto come "la voce di Dio" per i suoi spettacoli da artista da strada a Santa Monica, California.
È anche noto per la sua collaborazione con la fondazione Playing for Change.
로저 리들리. 할배인줄 알았는데. 47세에 죽었어. 생년이 조금씩 달르네. 플레잉 포어 제인지.
참 쟤네들 저런거 만드는거 보면 멋져.
« All my life I have been surrounded by music: my mother, my sisters and brothers are all singers and my father played the guitar, a little.' » | |
(Roger Ridley) |
저 찬송가. 에서 영감받아서 쓴 곡이 저 유메이나 한 스탠바이 미. 야.
아 저 로저 리들리 버젼이. 짱이다 짱. 많은 버전 있지만서도. 씰 께 예전 인상적이던데 얜 저 거리 할배에 안되겄다. 일찍 가셨네 보니까.
.저 가사에서, 우리가 올려 쳐다 보는 하늘이 흔들거리고 무너지고, 산이 파괴되서리 바다 잠긴다는 부분은. 시편에 있어
Therefore will not we fear, though the earth be removed, and though the mountains be carried into the midst of the sea;
시편 46장 2절.
저걸 번역한걸 보면 하나님 하나님. 걍 영역 보믄 god. lord 이게 다야. 제우스 테오스 의 고트족 발음에서 갓. 하고 빵 킵하는 존재 로어드.
저걸 하나님 하나님. 아 저 한글 성경은. 공동번역이든 개역이던 저건 정말 못 쳐다볼 수준이다 저거. 영어 공부해서 영어로 된 성경 봐라.
아 이땅바닥은 정말 모든 아주 모든 분야가 위대한수준이걸랑. 이승만 박정희때 밥벌어 멕일라고 저기에 일본 미국 애들 뻬끼기 바빴걸랑. 해서 모든 학문이 수준이야. 조선 구한말 수준이걸랑. 조선 건국 이래 칠백년동안 조선이야 지금 이게. 아 정말 이 지쩍 수준은 끔찍해.
승만이랑 정희랑 전대갈한테 고맙다 그래. 저따위 흔해빠진 삘딩 세워줘서 그나마. 정신차리고 이제 저들 2천년 이상 모험한 사유나 밝혀.
경제가 개 박살이 날꺼다. 물가 줄줄 오르고. 일자리 싸그리 없어지고. 당근 재벌들이 없어지겠지.
야 이 친일적폐 군부독재하의 부르조아들 없어진 그야말로 정의의 조선민구기가 탄생하여쓰므니다 ㅋㅋㅋㅋㅋㅋ
야 쟤덜 저 도덕적인 수준도 보면. 정말 어찌 저리 부도덕한 들을 저따위 자리에 올리냐 저리. 야 내 정치면 오십년 동안 보다가. 이젠 안보는데. 야 아무리 머들이 정치인한다지만 저따위 개 들이 정치권에 드나드는 걸 내 본적이 없다 본적이 없어.
야 저 개 양아치 들이 . 야 증말 말을 말자.
위선도 보통 위선이 아냐.
노무현 대통령님께서. 너무나 쪽팔리셔서 저세상 가신 그 이후. 자기가 억울하면 죽는 사람이 영웅이 되는 세상이 되었으며. 그 탓을 상대에 돌리면서리 홍위병들만 득실대는 세상이 되어서리. 그야말로 웃긴 시대가 된건데. 관시미가 없고.
억울하면. 자살하래. 그게 아이들에게 주는 가르침인가봐. 이땅바닥 역사는.
죽을때 말야. 민주여! 정의여! 하고 죽어. 열사로. 의인으로 만들어줘 이나라는.
참 구질구질한 나라여.
.
문제는 저 그리스도 걸랑. 아 저 그리스도 가 저게 문제여. 저게.
.
쉼.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edited by James B. Pritchard (1st ed. 1950, 2nd ed.1955, 3rd ed. 1969}[1] is an anthology of important historical, legal, mythological, liturgical, and secular texts from the ancient Near East. William W. Hallo, writing i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in 1970, described it as "a modern classic ever since its first appearance in 1950", because "for the first time it assembled some of the most significant Ancient Near Eastern texts in authoritative, generously annotated English translations based on the accumulated insight of several generations of scholarship scattered".[2] It is conventional to cite the work as ANET.[3] ANEP refers to a companion volume Ancient Near Eastern Picture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1st ed. 1954, 2nd ed. 1969), featuring 882 black and white designs and photos.[4][5] An additional volume of supplementary texts and pictures was published in 1969 as "The Ancient Near East: Supplementary Texts and Picture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An abridgement of ANET and ANEP was published in a single volume in 1958 as "The Ancient Near East, Volume I: An Anthology of Texts and Pictures" with a 2nd edition published in 1965. A second anthology of supplementary material was published in 1975 as "Ancient Near East, Volume 2: A New Anthology of Texts and Pictures".[6]
구약 이란 성서는. 이전에 썰했듯이. 고대의 근동에서. 당시에 전해진 모든 이야기들의 엑기스를 유대인들이란 자기들을 주인공 주어로 설정을 해서 모은거걸랑. 저 고대 근동의 이야기들을 또한 그리스 신화가 갖고 가는겨 그 캐릭터들을 자기들 발음으로 취하고. 이걸 로마가 더 편집을 해서 로마신화를 만들고.
헌데 그리스 로마.는 저 신들과 섞인 이야기들로. 자기들의 삶에 통제용으로 쓰지 않았어. 약해 그 용도가. 단지 저 신들은 자기들 수호신들일뿐이야. 자기들 삶에 각각 꼴리는 신들을 자기들만의 수호신으로 떠받들면서리. 놀았어.
헌데 유대교는 이걸 인간들의 지침. 규약. 기율 로 적용을 해. 신의 말씀이 곧 법이야.
저 고대 근동의 이야기들을. 자기들을 주인공으로 취해서리. 저걸 자기들의 삶의 잣대로 써먹는겨. 이게 그야말로 제일 쎈겨. 상대가 보기엔 무서워 이런게.
이슬람이란게 똑같이 저 구약에서 티나온거걸랑. 무함마드.는 그 원시 기독교도들이 없었으면 무함마드의 이야기는 나올수가 없어. 무함마드.는 구약을 이은 신약을 섬기는 기독교인들이 아라비아 반도에서 몰래몰래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스미는 6백년 간의 이야기를 이 무함마드가 그 싸이키에 먹혀서 탄생한게 이슬람이야. 헌데 그 프레임은 유대교랑 똑같단 말이지 이게. 이게 지금 이슬람이고.
기독교는 달리갔어 이인간들은. 저 신을. 우주의 바깥까지 밀어낸겨. 로마가 초기 기독교에 의해서 땅속에 묻히걸랑. 그리고 나서의 기독교에 대한 해석은. 이건 이슬람과, 불교와 힌두교와 . 그 해석의 역사는 완전히 달리가는겨 이게. 이게 저 서양들이 지금 세상을 지배하는 이유교. 이 서양들 문명이 지금 최고 인 이유야.
아 달라 달라 그 차원이. 그 중세의 스콜라 철학. 음청나다 이거. 이거 이땅바닥에서 전혀 모른다 이 스콜라철학이전의 교부철학과. 그 양의 방대함은 저리 가라다.
쟤덜 서양철학이란 관념론이니. 합리론 경험론 들이 다 저기서 티나오는겨 이게. 그 사유의 바닥에서 산업혁명이 나오는겨.
산업혁명이 저기서 나올 수 밖에 없었던겨.
아 쟤덜 역사 흐르는 수준과. 이땅바닥의 수준.은 정말 그 차이는 끔찍한 겨 이건.
저따위에 대고. 서양 양키 개개끼 제국 개개끼 해댈 줄만 알고
조선이여!! 위대한 조선이여!!! 민주여!!
저따위 민주는. 그리스 애들은 고대에 버렸어 그따위 민주개념은. 그따위 데모스 데모스로 망했걸랑 고대 그리스가. 그따위 말장난에 아무런 실재가 없걸랑.
그 실재. 현실 을 취한게 로마였어.
그리스의 민주정과 로마의 공화정은 그래서 전혀 달라.
그리스 민주정.은 아무런 힘을 못 같는 각각의 개념놀이 관념놀이 였을 뿐이야. 말들은 많고. 지들은 잘났어. 관념에서 놀다가 이게 점점 공상이 되가걸랑. 이게 더하면 망상이 되는겨. 해서 망한겨 고대 그리스는. 지들 스스로 살아갈 힘이 없어서리 로마에 더부살이를 해. 그이후 2천년을 남들 지배속에서만 살은겨. 그게 지금의 그리스야.
.
아 새지 말자
.
I. Myths, Epics and Legends: Egyptian (John A. Wilson); Sumerian (S. N. Kramer); Akkadian (E. A. Speiser); Hittite(Albrecht Goetze); Ugaritic (H. L. Ginsberg)
- Egyptian
-
- The Memphite Theology of Creation
- The Deliverance of Mankind of Destruction
- The Story of Sinahue
- The Story of Two Brothers
- The Journey of Wen-Amon to Phoenicia
- The Tradition of Seven Lean Years in Egypt
- Mesopotamian
- A Sumerian Myth-The Deluge
- The Akkadian Creation Epic
- The Akkadian Epic of Gilgamesh
- An Akkadian Cosmological Incantation: The Worm and the Toothache
- Adapa (Akkadian)
- Descent of Ishtar to the Nether World (Akkadian)
- The Legend of Sargon (Akkadian)
- Hittite
- The Telepinus Myth
- Ugaritic
-
II. Legal Texts: Mesopotamia and Asia Minor; Egyptian and Hittite Treaties; Hittite Instructions (Albrecht Goetze); Documents from the Practice of Law
-
- Laws of Eshnunna
- The Code of Hammurabi
- Mesopotamian Legal Documents
- Aramaic Papyri from Elephantine
III. Historical Texts: Egyptian (John A. Wilson); Babylonian and Assyrian (A. Leo Oppenheim); Hittite (Albrecht Goetze); Palestinian Inscriptions (W. F. Albright)
- Egyptian
- The Expulsion of the Hyksos
- Asiatic Campaign of Thut-mose III
- The Campaign of Seti I in North Palestine
- The Report of a Frontier Official
- A Syrian Interregnum
- The War Against the Peoples of the Sea
- The Meggido Ivories
- The Campaign of Sheshonk
- Assyrian & Babylonian
- Ashurnasirpal II (883-859): Expedition to Lebanon
- Adad-nirari III (810-783): The Fight against the Aramaean Coalition
- Tiglath-pileser III (744-727): The Campaigns Against Syria and Palestine
- Sargon II (721-705): The Fall of Samaria
- Sennacherib (704-681): The Siege of Jerusalem
- Esarhaddon (680-669): The Syro-Palestinian Campaign
- Receipt of Tribute from Palestine
- Historiographic
- The Fall of Ninevah
- The Fall of Jerusalem
- The Fall of Babylon
- Nebuchadnezzar II (605-562)
- Cyrus (557-529)
The New Testament does not say when or how Paul died. The date of Paul's death is believed to have occurred after the Great Fire of Rome in July 64, but before the last year of Nero's reign, in 68.[3]
Paul's death is described in a number of sources:
- I Clement (95–96 AD) suggests that both Paul and Peter were martyred.[86]
- There is an early tradition found in the writing of Ignatius, probably around 110 AD, that Paul was martyred.[87]
- Dionysius of Corinth, in a letter to the Romans (166–174 AD), stated that Paul and Peter were martyred in Italy.[88] Eusebius also cites the Dionysius passage.[89]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사30. 갑자원 야구 ft.고시엔 (0) | 2018.06.20 |
---|---|
고대근동사17. 그리스인 유대인.로마인 일본인 ft.Dock Of The Bay (0) | 2018.06.18 |
고대근동사15. 로마의 힘에 의한 평화. ft.단싱구 히로(eat you up) (0) | 2018.06.16 |
고대근동사14. 이란과 인도 ft.유대교와 기독교 (0) | 2018.06.14 |
고대근동사13. 셈족 아람인 유대인. 콘스탄티누스 (0) | 2018.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