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를 알파벳. 로고그래픽(실라빅) 애브자드. 애부기다. 로 크게 네 가지로 분류를 하는데. 대부분의 글자들은 알파벳.이라는 기본글자체계가 있다고 보는겨. 저 알파벳의 역사.를 글자의 역사.라고 해도 그리 다를건 없어. 저기에 한자.는 지금 빠져있지만.

 

즉 그 원시글자.라는 프로토 라이팅. 다음에 본격적인 글자들은 이집트 신성문자.로 봐 여기 본격왕조이전의 빵왕조 빵빵왕조의 파라오 무덤과 글자들이 특히 이집트 고지대. 즉 나일강 남부. 하이집트 그 테베쪽에서 발견이돼. 여기서 점점 이집트 저지대.로 가는겨

 

저 이집트를 상이집트 하이집트. 이건 잘못된 번역이야. 유럽처럼 고지대가 남부 알프스 저지대가 북해쪽이걸랑 그따위로 저지대 고지대 해야지 저걸 상이집트 하이집트 저따위로 번역을 해버렸으니. 저것도 아마 일본 번역을 그대로 따랐을건데. 저건 잘못된 번역이야. 고지대 이집트. 저지대 이집트. 해야해. 북으로 갈수록 저지대야. 

 

 

이전 썰했듯이 말과 글은 달라. 저기서의 글자와, 언어족이라는 말글 전체를 분석한 랭귀지.는 달라. 깊이 얽힌거지만 여하튼 달라 언어족 분류하는것과 헷갈리지 마.

 

이전 글자 역사 봤듯이. 이집트 신성문자에 다음 티나온게 수메르글자를 시작으로 해서리 메소포타미아 글자들이야. 수메르 글자는 알파벳에 영향 없어서 저기 분류에선 빠진거고. 

 

그 중에서 알파벳으로 보이는 메소포타미아글자.를 proto sinaic 프로토 시나익. 을 시작으로 보는거지. 

 

저 프로토 시나익.글자이 기원전 1900년께 지금 보여. 저기 하부 글자들이 우가리틱. 그리고 페니키안. 이야 기원전 천년 이전이. 저 우가리틱.은 우가리트.가 레바논 위야. 지중해 접한. 지금도 우가리트 해. 시리아 땅. 

 

저 알파벳 글자의 진화는. 저 페니키안.에서 진화를 한겨. 여기서 아라믹. 아람어 글자.를 낳고 이 아라믹.에서 히브리글자. 브라믹. 즉 인도로 가. 이 브라믹.이란 인도 글자를 쓰는 언어족이 산스크리트어족이야. 이들은 인도 이란인.이야. 즉 언어족으론 인도 이란인.의 산스크리트.지만 글자는 셈족이란 언어족이 만든 아람어글자에서 파생된 브라믹.을 쓰는거야. 

 

이집트인간들하는 이집시언. 그리고 콥틱. 하는 여기 이집트 인간들은 다 아프로아시아족이고. 여기 아프로 아시아족의 다른 가지가 셈족이야. 다 형제야 언어족으론. 

 

저 페니키안 언어들은 다 이놈의 셈족이야. 셈족이 만든 페니키안 글자들을 다른 언어족들이 다 쓰는겨. 티벳 글자도 여기서 퍼 쓴거고 몽골 칭기스칸이 본 투르크 돌궐의 오르콘 비문의 글자도 페니키아에서 나온 시리아글자 보고 쓰는거고 여기서 몽골문자 나온거고 헝가리애들이 또한 쓴거고 헝가리 마자르 족이 오기 전에 터닦은게 저 돌궐의 조상인 훈족인거고

 

저 페니키아. 라는 지중해 동부.가 문명의 시작이야 저기가. 저 페니키아.는 메소포타미아라는 옆의 유프라테스 티그리스.의 문명의 가지인거고. 

 

The history of alphabetic writing goes back to the consonantal writing system used for Semitic languages in the Levant in the 2nd millennium BCE. Most or nearly all alphabetic scripts used throughout the world today ultimately go back to this Semitic proto-alphabet.[1] Its first origins can be traced back to a Proto-Sinaitic script developed in Ancient Egypt to represent the language of Semitic-speaking workers in Egypt. This script was partly influenced by the older Egyptian hieratic, a cursive script related to Egyptian hieroglyphs.[2][3]

Mainly through Phoenician and Aramaic, two closely related members of the Semitic family of scripts that were in use during the early first millennium BCE, the Semitic alphabet became the ancestor of multiple writing systems across the Middle East, Europe, northern Africa and South Asia.

 

하튼 저 영어 이야기들이 지금까지의 이야기고. 

지금 우리가 흔히 쓰는 abcdefg 라는 이따위 글자의 제대로 된 모습은. 고대 그리스글자.야. 

 

Some modern authors distinguish between consonantal scripts of the Semitic type, called "abjads", and "true alphabets" in the narrow sense,[4][5] the distinguishing criterion being that true alphabets consistently assign letters to both consonants and vowels on an equal basis, while in an abjad each symbol usually stands for a consonant. In this sense, the first true alphabet was the Greek alphabet, which was adapted from the Phoenician. Latin, the most widely used alphabet today,[6] in turn derives from Greek (by way of Cumae and the Etruscans).

 

이 그리스 글자.가 저 위의 표에서 보이듯. 페니키안 글자에서 나온거야. 저 페니키안.에서 아람어 나올때 비슷한 시기에 고대 그리스 알파벳이 티나와. 기원전 800년. 

 

제대로 된 진짜 알파벳은 그리스 알파벳이다. 이건 페니키안.에서 갖고온거다. 오늘날 가장 흔히 사용하는 알파벳인 라틴글자.는 이 그리스 알파벳.에서 나온것이다. 

 



Archaic Greece was the period in Greek history lasting from the eighth century BC to the second Persian invasion of Greece in 480 BC,[1] following the Greek Dark Ages and succeeded by the Classical period.

 

이 고대 그리스. 이거 정말 엄청나걸랑 이거. 이걸 이은 고대 로마. 야 진짜 로마사 보면 미친다 미쳐. 저 고대 그리스 이전의 고대 이집트 그 기원전 삼천년의 이야기. 이거 골때린다 골때려. 

 

저 영국 프랑스 독일의 서유럽과 미국이 저걸 고대로 다 흡수하다. 

 

 

이땅바닥은 세계에서 제~~~~일 늦어. 제~~~~~~일 후져 그래서. 그게 지금 정치판이야. 

 

 

지금에야. 지금에서야. ㅋㅋㅋㅋ. 하는거다 이거. 

 

 

그러면서, 지들이 대단한척 위대한척 한단다. 이건 먼 정신병자 들도 아니고. 아 골때린다 골때려 진짜.

 

 
마태 마가 누가 요한. 저거 다 일본 발음. 일본덜이 번역한걸 고대로 쓴거라 지금까지. 
 
이땅바닥 성경 번역은, 일본덜이 번역한걸 개번역질 해서 쓴겨. 이제서야 희랍어 그리스어 보고 원전 번역해서 보는거고
 
아테네.를 아데. 하고. 저거 다 일본 발음 이걸랑.
 
ローマ
1 コリント • 2 コリント
ガラテヤ • エフェソ
フィリピ • コロサイ
1 テサロニケ • 2 テサロニケ
1 テモテ • 2 テモテ
テトス • フィレモン
ヘブライ • ヤコブ
1 ペトロ • 2 ペトロ
1 ヨハネ • 2 ヨハネ • 3 ヨハネ
ユダ
 
고린도전서. 고린도 후서. 갈라디아. 데살로니가 디모데. 히브리어. 야곱. 저게 다일본 번역이걸랑.

 

使徒言行録』(しとげんこうろく、ギリシア語: Πράξεις τῶν Ἀποστόλωνラテン語: Acta Apostolorum)は、新約聖書中の一書。

戦前の日本語訳聖書では、プロテスタントによる文語訳聖書(明治元訳大正改訳)が『使徒行伝』(しとぎょうでん)の呼称を用い、日本正教会訳聖書では『聖使徒行実』(せいしとぎょうじつ)、カトリック教会ラゲ訳聖書では『使徒行録』(しとぎょうろく)と呼ばれた。

 

사도행전. 이란것도 일본덜이 먼저 쓴 말이고. 얘들이 이걸 이제는 사도언행록. 사도행록. 이라고 써. 사도행전 하고는 안써. ㅋㅋㅋ. 쟤들 안쓰는 걸 예전에 뻬끼고서리 지금도 여전히 쓰는거지.



있잖냐. 성서 볼라므는. 영어로 된거 봐. 한글 번역은 다 주작이야 주작.




아 길가다가 말이지. 머 중동에 어느나라 선교단 모집 .


아 부끄러워 진짜. 저따위 허세는 대체 어디서 생길 수가 있지?

대체 누구가 누구를 선교한다는 거지?
.
참 골때리는 나라야 이 조선민국.

이 조선의 유산이란건 이건 정말 골때리는겨 이거. 머리엔 아무것도 없는 이들이 허세와 존심만 가득해서리 옌날부터 일본 하고. 청나라 오랑캐 에헴 정묘호란때 당하고, 청 사신 또 오믄 접대도 안해 천막친거 바람에 날라가, 그 뒤에 애들 매복시킨거 들켜. 홍타이지 즉위하는데 에헴 우리네 조선은 양반 니네는 오랑캐, 야 머 대체 들이인냐 하민서리  토껴 지들끼리만. 
그리곤 남한산성 음청난 논쟁인냥 포장질.

아 창피해 진짜.

곧죽어도 싸워유 하는 는 위대한 충. 수백년 포장질.

잡혀간 여편네 더러워 나 딴년이랑 결혼할껴 저따위가 조정회의야 재혼허락해 주슈. 
쟤덜이랑 화친해유. 그리고 잡힌 여자들 오믄 재혼해줘유. 하던 인간은 수백년 간신 표적질.



저게 조선왕조 오백년이걸랑. 저따위 들을 여전히 지폐와 동전으로 모셔.


대갈빡에 아는게 없어 아는게. 에헴. 예의. 이게 다야. 망상이야 망상. 

북조선가 기자에게 하는말. 어찌 감히 그따위 무례한 질문을?


북조선 배떼기 에 대한 평. 참 예의가 바릅디다

ㅋㅋㅋㅋ



골때린다 진짜
.


저 고대 그리스.는 아 증말 저거 음청난겨 저거. 
헌데 저게 결국 저 메소포타미아에서 갖고 온거걸랑 저게. 고대그리스가 하늘에서 떨어진게 아냐. 
저 남겨진 고대그리스 희극 비극.이 기원전 5백년이걸랑. 아 어찌 저런 연극들이 대본들이 나오는지 말야. 저 수준은 어마무시한겨 저게.
호메로스 문제.가 있지만 저게 대체 언제적 인간이야 하는데. 기원전 8백년에서 전 7백년으로 걍 봐도. 아 대체 어찌 저따위 일리아스 오뒷세이아를 쓰냔 말이지 저걸.

즉 저 이전의 문명이 쌓이고 쌓여서리 저따위 글들이 나온다는거걸랑. 그리고 철학자들이 저 아케익 시대에 티나와. 저 이전의 문명이 음청나다는겨 저게.

로마는 끽해야 로물루스. 도시국가 로마 세운게 기원전 753년이걸랑. 이 로마가 그리스를 뻬끼는거야 자기들의 사유.를 바탕으로. 와 고대 로마 그 길들 깐거랑 물길이란 상수도 전 제국에 걸쳐 세운거랑. 도나우강에 그 폭 1키로짜리에 돌다리를 만들어. 로마에 건설하는 그 포룸들 바실리카들 하는 그 회당 하며

음청난거다 저게. 저 기의 재료가 또한 그리스 인간들이고. 이 그리스 인간들의 사유는 저 메소포타미아 에서 퍼 쓴거걸랑. 이 인간들이 지중해변 흑해변에 퍼지는겨 이게.
이걸 로마의 정신. 개방. 열림. 으로 지들 땅에 다들 심는겨 저걸. 저 유적들 보믄 저게 대체 머냐 저 어마무시한 람덜 저거. 

쟤들 길 닦을때. 대체 조선왕조 오백년은 머핸냐. 2천년동안. 이 들은 길도 안 내. 
에도의 이에야스네는 거 도쿄에서 지들 관동까지 오가도 닦는다. 로마들 처럼 똑같이 휴게소 수백미터마다 만들고. 그제서야.
대체 저따위 조선들은 대체 머냐 저거.


The Parian Chronicle or Parian Marble (Latin: Marmor Parium, 

abbr.

 Mar. Par.) is a Greek chronology, covering the years from 1582 BC to 299 BC, inscribed on a stele. Found on the island of Paros in two sections, and sold in Smyrna in the early 17th century to an agent for Thomas Howard, Earl of Arundel, this inscription was deciphered by John Selden and published among the Arundel Marbles, Marmora Arundelliana(London 1628-9) nos. 1–14, 59–119.[1] The first of the sections published by Selden has subsequently disappeared. A further third fragment of this inscription, comprising the base of the stele and containing the end of the text, was found on Paros in 1897. It has entries from 336/35 to 299/98 BC.

 

파리안 연대기. 파리안 마블. 기원전 3백년 이전에 새겨진 걸로 보여. 여기에 이 그리스 애들 연대기가 기원전 1582년 부터 기원전 299년 까지가 기록이 되어있어

 

 

The early Athenian tradition, followed by the 3rd century BC Parian Chronicle, made Cecrops, a mythical half-man half-serpent, the first king of Athens.[4] The dates for the following kings were conjectured centuries later, by historians of the Hellenistic era who tried to backdate events by cross-referencing earlier sources such as the Parian Chronicle. Tradition says that King Menestheus took part in the Trojan War.

The following list follows that of 1st Century BC Castor of Rhodes (FGrHist 250), with Castor's dates given in modern terms.[5]

 

Reign King Comments
1556–1506 BC Cecrops I  
1506–1497 BC Cranaus  
1497–1487 BC Amphictyon  
1487–1437 BC Erichthonius  
1437–1397 BC Pandion I  
1397–1347 BC Erechtheus  
1347–1307 BC Cecrops II Omitted in Heraclides' epitome of Aristotle's Constitution of the Athenians[6]
1307–1282 BC Pandion II  
1282–1234 BC Aegeus Construction of Trojan Walls by Poseidon, Apollo and the mortal Aeacus (c. 1282 BC)
1234–1205 BC Theseus  
1205–1183 BC Menestheus Trojan War and the Sack of Troy[7] (c. 1183 BC)[8]
1183–1150 BC Demophon  
1150–1136 BC Oxyntes  
1136–1135 BC Apheidas  
1135–1127 BC Thymoetes




해서 얘들의 왕조 시작을 아테네.는 케르콥스. 영어 시크랍스. 로 봐. 인정할 수 밖에 없어 저건. 저걸 신화적 인간 하지만. 쟤들의 왕조는 1556년 부터일 수 밖에 없어. 고대 로마 보다 8백년 이상 먼저 시작했다고 당연히 생각할 수 밖에 없어. 왜냐면 그 일리아스 오뒷세이아 라는 그 글의 수준. 그리고 아카익시기 부터 티나오는 그 대본들 수준이 저건 수백년 전의 이야기가 있다는 걸 인정할 수 밖에 없어.


본격적인 청동기 시대의 시작 헬라딕.

Helladic chronology is a relative dating system used in archaeology and art history. It complements the Minoan chronology scheme devised by Sir Arthur Evans for the categorisation of Bronze Age artefacts within a historical framework. Whereas Minoan chronology is specific to Crete, the cultural and geographical scope of Helladic chronology is mainland Greece during the same timespan (c.3200–c.1050). 

 

기원전 3200년에서 1050년. 

 

Period Bronze Age Europe
Dates c. 3200 BC – c. 1050 BC
Major sites Thebes, Tiryns, Mycenae

테베. 티륀스. 메케네. 필로폰네소스 반도와 대륙 이은 코린트. 코린쓰 그 부근이야. 
여기 발견된 도자기. 멋져 그 그림이.
같은 시기.에 에게해 섬들에 역시 비슷한 문화들이 보여. 즉 이건 머냐면. 지중해 동부와 남부인 페니키아 에서 문명이 흘러와서리 그리스 본토로 퍼진겨

Cycladic culture (also known as Cycladic civilisation or, chronologically, as Cycladic chronology) was a Bronze Age culture (c.3200–c.1050) found throughout the islands of the Cyclades in the Aegean Sea. In chronological terms, it is a relative dating system for artefacts which broadly complements Helladic chronology (mainland Greece) and Minoan chronology (Crete) during the same period of time. [1]


키를라데스 제도. 문화. 여러섬들. 

The Cyclades (/ˈsɪklədz/; Greek: Κυκλάδες [cikˈlaðes]) are an island group in the Aegean Sea, 

 

 

저 헬라딕. 키를라딕. 보다 조금 늦게 보이는 문명. 여기부턴 문명. 이라 붙여. 쟤들은 컬쳐. 문화. 이고

 

 

The Minoan civilization was an Aegean Bronze Age civilization on the island of Crete and other Aegean islands which flourished from about 2600 to 1100 BC. It preceded the Mycenaean civilization of Ancient Greece.[1] The civilization was rediscovered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rough the work of British archaeologist Arthur Evans. It has been described as the earliest of its kind in Europe,[2] with historian Will Durant calling the Minoans "the first link in the European chain".[3]

 

미노스 문명. 크레테섬.이야. 헬라딕 키를라딕 보다 늦게 시작했지만 비슷한 시기에 망했어.

 

여기에 신성문자.가 있어. 해석이 안돼.

 

Cretan hieroglyphs are generally considered undeciphered hieroglyphs found on artefacts of early Bronze Age Crete, during the Minoan era. It predates Linear A by about a century, but the two writing systems continued to be used in parallel for most of their history.[1]


저 크레테 섬의 미노스 문명보다 늦었지만 역시 망하는 시기는 같어. 미노스를 갖고 대륙과 에게해 섬에 기존 헬라딕. 키클라딕 문화.를 버젼업 시킨겨. 

Mycenaean Greece (or Mycenaean civilization) was the last phase of the Bronze Age in Ancient Greece, spanning the period from approximately 1600–1100 BC. It represents the first advanced civilization in mainland Greece, with its palatial states, urban organization, works of art and writing system.[1]

 

 

 

 

해서 저 맨 오른쪽 끝 섬이 로도스 섬이걸랑. 그리고 저 아나톨리아 서남부. 저기가 이오니안.이야. 저기가 아테네 못지않게 문명이 발달해. 

 

나중에 고대 로마일때 이 원로원계급 기사계급 애들이 유학 가는 곳이 저 이오니안 과 로도스 섬이야. 

 

 

저 터키땅 서남부가 대단해질 수 밖에 없는게, 그리스 애들이 배워서 자기들이 만든 문명 더하기. 저기 땅 이전에 메소포타미아문명이 히타이트 지나면서 페르시아 제국 할때 까지 있었걸랑. 이 두개를 다 섞은게 저 이오니안 이고 로도스 걸랑. 그 아래 키프로스 섬이고. 여기가 최고야 최고 고대에. 

 

얘들은 열린애들이야 배우는 애들이고. 어느 땅 구석진 곳 늦고 적폐 반일반미 모든건 반대 지들꺼 최고 하민서리 자폐질 하는 들과는 전혀 차원이 다른거지

 

 

 

저 을 지금까지 가르쳐. 저 자폐지를 지금도 시켜. 애국의 이름으로. 자폐하라 닫아라. 남의꺼 후지다 하는들이 저짝 땅바닥에선 선생이고 위대한 고 대단한 위인 취급받는거야 ㅋㅋㅋ. 아 골때린다 진짜

 

 

저 미케네 문명때. 소위 선형문자 에이 비. 가 티나와. 이게 먼지 해석이 안돼.

 

Type
Undeciphered (presumed syllabicand ideographic)
Languages 'Minoan' (unknown)
Time period
MM IB to LM IIIA
2500–1450 B.C.[1]
Status Extinct
Child systems
Linear B, Cypro-Minoan syllabary[2]
Sister systems
Cretan hieroglyphs

Linear A is one of two currently undeciphered writing systems used in ancient Greece (Cretan hieroglyphic is the other). Linear A was the primary script used in palace and religious writings of the Minoan civilization. It was discovered by archaeologist Sir Arthur Evans. It is related to the Linear Bscript, which succeeded the Linear A and was used by the Mycenaean civilization.


크레테 문명의 신성문자와 비슷한 체계로 보여. 하튼 해석이 안돼.
.
그리고 나서 호메로스 시대.인 다크 그리스야.

The Greek Dark Age, also called Greek Dark Ages, Homeric Age (named for the fabled poet, Homer) or Geometric period (so called after the characteristic Geometric art of the time),[1] is the period of Greek history from the end of the Mycenaean palatial civilization around 1100 BC to the first signs of the Greek poleis, city states, in the 9th century BC.

 

 

기원전 8백년 직전 까지로 보는겨. 이때 드디어 그리스 알파벳. 즉 제대로된 알파벳이 abcd의 제일 가까운 조상이 나오는겨.

 

By the mid- to late-8th century BC, a new alphabet system was adopted from the Phoenicians by a Greek with first-hand experience of it. The Greeks adapted the Phoenician writing system, notably introducing characters for vowel sounds and thereby creating the first truly alphabetic (as opposed to abjad) writing system. The new alphabet quickly spread throughout the Mediterranean and was used to write not only the Greek language, but also Phrygian and other languages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As Greece sent out colonies west towards Sicily and Italy (Pithekoussae, Cumae), the influence of their new alphabet extended further. The ceramic Euboean artifact inscribed with a few lines written in the Greek alphabet referring to "Nestor's cup", discovered in a grave at Pithekoussae (Ischia) dates from c. 730 BC; it seems to be the oldest written reference to the Iliad. The Etruscans benefited from the innovation: Old Italic variants spread throughout Italy from the 8th century. Other variants of the alphabet appear on the Lemnos Stele and in the alphabets of Asia Minor. The previous Linear scripts were not completely abandoned: the Cypriot syllabary, descended from Linear A, remained in use on Cyprus in Arcadocypriot Greek and Eteocypriot inscriptions until the Hellenistic era.

 

 

아 이 이야기 하려다가 여기까지 온겨. 걍  할 수 없어서리. 이야기가 단순하지 않걸랑. 

 

저 페니키안에서 저 그리스 알파벳이 와서리. 그걸로다가 로마 라틴 알파벳이 온겨. 라틴글자는 그리스 글자와 또 옥 같진 않지만 조 온 나게 비슷해. 오히려 더 단조롭게 간소화한게 라틴글자야. 

 

로마는 그리스가 없었으면 존재할 수가 없어

 

그리스는 메소포타미아가 없었으면 절대 존재할수가 없어.

 

 

아, 로마는 정말 너무 엄청나.

 

저까지의 문명을 로마가 응축을 한거고. 그걸 고대로 퍼뜨려서 녹인게 중세 유럽이야. 그 진화가 지금 저들 문명이야. 

 

이땅바닥은 개정신병자들이 저들 꺼 고대로 어설프게 빼껴스면서리 편하게 살민서리 오히려 욕질을 해. 저 양키 개개끼. 우리네 자폐 조선민국 위대해. ㅋㅋㅋㅋㅋ

 

 

코메디도 아니고. 이건 머 정신병자들도 아니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