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lphabet is a standard set of letters (basic written symbols or graphemes) that is used to write one or more languages based upon the general principle that the letters represent phonemes (basic significant sounds) of the spoken language. This is in contrast to other types of writing systems, such as syllabaries (in which each character represents a syllable) and logographies (in which each character represents a word, morpheme, or semantic unit).

 

알파벳. 이란건 쓰여지는 글자.를 분류할때 그 분류된 묶음 중 하나야. 알파벳은 어떤 규칙이 있는 모임. 이야. 이 글자란 레터.는 포님. phoneme 소리를 대표해 각각이. 

 

이 글자들을 어드래 일반적인 규칙하에 말글이란 언어를 쓰게끔 하도록 모은 기본 글자들 세트.가 알파벳이야.

 

 

해서 글자를 크게 알파벳. 외의 글자들 체계를 다른 로고그래픽. 실러빅. 등 모양을 딴 글자들 모음. 얘는 실라블.이라는 글자 하나하나. 들의 조합으로 뜻과 소리를 내는거지. 여기에 속하는게 한자.야 중국. 상형자전 갑골문 사전에 삼천여개가 있고. 여기서 지금 한문들이 더 파생되어서 수를 늘렸고. 

 

한글도 여기에 넣지만. 한글은 기본적인 알파벳이 있는거지. 하튼 그래도 그 자음들이 형상을 빗대 그린거고 모음은 으이 라는 짝대기에 점하나 찍으면서리 상징화 하고 모음소리 내지만. 일단 여기에 같이 넣고. 카나 라는 일본 글자도 여기에 넣고. 

 

abjad. 아브자드.는 자음들 글자야. 모음을 표시하는건 diacritics 다이어크리틱. 글자 위아래에 부호를 찍어. 점(들)이나 선. 여기 글자들이 아랍어 히브리어. 같은 셈족 글자.

 

abugida. 아부기다. 이건 아브자드.랑 비슷 한 듯 하지만. 모음소리를 역시 다이어크리틱.으로 내게 하고. 자음들 모양을 바꿔서리 모음을 만들어. 아브자드와 아부기다.는 또한 저 글자 부호 찍으며 모음소리 만드는 방식이 달라. 이건 인도어들이고.
저리 네가지로 분류를 하지만. 다들 알파벳은 있는거지. 나름 표준 규칙 글자 세트가.



.
이 이전의 글자.는 원시글자 프로토 라이팅. 이전 썰한 중국 하남성의 지아후. 가호 유적에서 티나온 기원전 6600년 가는게 현재 발굴된 것중 가장 오래된 원시글자고. 그다음에 세르비아 빈차 글자들 기원전5300년 보이고. 인도 글자 원시는 청동기 시작인 기원전 3100년.

The best known picture writing system of ideographic or early mnemonic symbols are:

 
수메르 문자는. 
 
The cuneiform script was developed from pictographic proto-writing in the late 4th millennium BC, stemming from the near eastern token system used for accounting. Mesopotamia's "proto-literate" period spans roughly the 35th to 32nd centuries. The first documents unequivocally written in Sumerian date to the 31st century BC at Jemdet Nasr.
 
기원전 3500년에서 3200년에 프로토. 원시글자들이 있어. 그다음의 본격적인, 원시. 라는 프로토를 떼버린 설형문자는 기원전 3100년전. 문서들이 보여.
 

The Kish tablet is a limestone tablet found at Tell al-Uhaymir, Babil Governorate, Iraq – the site of the ancient Sumerian city of Kish. A plaster-cast of the artifact is today in the collection of the Ashmolean Museum.

The Kish tablet is inscribed with proto-cuneiform signs. It has been dated to ca. 3500 BC (middle Uruk period), although some scholars believe it may be from somewhat later – Uruk IV period (ca. 3350–3200 BC).[1] Several thousands of proto-cuneiform documents dating to Uruk IV and III periods (ca. 3350–3000 BC) have been found in Uruk.

 

키쉬 테블릿. 설형문자의 프로토. 원시 글자야. 우룩.시기에 쓰여진 걸로봐. 우륵. 우루크.가 지금 이라크 가 된겨.

 

이집트의 신성문자 이전의 원시 신성문자는 기원전 4000년으로 봐. 

Hieroglyphs emerged from the preliterate artistic traditions of Egypt. For example, symbols on Gerzean pottery from c. 4000 BC have been argued to resemble hieroglyphic writing.[citation needed] Proto-hieroglyphic symbol systems develop in the second half of the 4th millennium BC, such as the clay labels of a Predynastic ruler called "Scorpion I" (Naqada IIIA period, c. 33rd century BC) recovered at Abydos(modern Umm el-Qa'ab) in 1998 or the Narmer Palette (c. 31st century BC).[1] The first full sentence written in hieroglyphs so far discovered was found on a seal impression found in the tomb of Seth-Peribsen at Umm el-Qa'ab, which dates from the Second Dynasty (28th or 27th century BC). There are around 800 hieroglyphs dating back to the Old Kingdom, Middle Kingdom and New Kingdom Eras. By the Greco-Romanperiod, there are more than 5,000.[4]

 

빵왕조인 스콜피온 1세 파라오의 글자가 기원전 3300년. 인데. 해석이 안돼. 먼뜻인지 몰라. 

제2왕조의 세트 페리브센 파라오 무덤에서 돌판에 새겨진 신성문자들의 완전한 문장이 발견이 돼. 기원전 2800년 정도. 이 문장은 해석이 가능한겨. 이거 부터 신성문자.로 봐. 프로토.라는 원시 딱지를 떼.

 

즉 수메르.는 기원전 3100년에 원시딱지 떼고 설형문자 하는거고. 이집트는 전2800년에 신성문자 하는거고. 이집트 신성문자는 수메르에서 온걸로 보는거고.

 

프로토 신성문자, 프로토 설형문자 라는 원시글자들이 쓰여진 시기는 대략 구리.납.이랑 신석기 혼용하던 캘코리틱 시대로 보는거고. 진짜 글자들은 청동기에 나오는걸로 보고.

 

.

 

The Indus script (also known as the Harappan script) is a corpus of symbols produced by the Indus Valley Civilization during the Kot Diji and Mature Harappanperiods between 3500 and 1900 BCE. Most inscriptions containing these symbols are extremely short, making it difficult to judge whether or not these symbols constituted a script used to record a language, or even symbolise a writing system.[4] In spite of many attempts,[5] ‘the script’ has not yet been deciphered, but efforts are ongoing. There is no known bilingual inscription to help decipher the script, nor does the script show any significant changes over time. However, some of the syntax (if that is what it may be termed) varies depending upon location.[4]

 

인도. 인더스 글자들은 기원전 3500년에서 전1900년의 것들이 티나왔는데 이건 아직 해석을 못했어. 이걸 본격 글자로 언어로 볼수 있다 없다 논쟁하는거고. 즉 인도 후지다 하는거고. 

 

이 인도들은 역시 자뻑 심한 들이야. 

 

 

허영심만 가득 . 실재는 없고. 이따위 들이 후진겨 이거. 후진들이 대단한척. 저 베다경전 들 하는거도 보믄, 세상에서 제일 오래된 글자니 세상에서 제일 오래된 이야기니 자뻑질 해. 이들은 이성이 없어. 감정이야. 헌데 말야. 저따위 인도 보다 더 후진 역사 더 후진 조선을 갖고서리 대단한척 음청난척 지폐에 동전에 모시고 위대한 조선 개 하는건 더 후져. 아 이 인도들보다 백만배 후진들 .

 

머리에 든게 없어. 개돼지 들이야 걍. 

 

 

대체 선거가 무슨 의미가 있니. 

 

 

 

The Chinese script emerged from proto-writing in the Chinese Bronze Age, during about the 14th to 11th centuries BCE (Oracle bone script), while symbol systems native to Europe and India are extinct and replaced by descendants of the Semitic abjad during the Iron Age.

 

갑골문은 끽해야 기원전 1400년으로 봐. 늦은겨. 원시글자는 아직까진 중국이 제일 빠른데 발굴된게. 헌데 본격적인 글자. 프로토 원시 딱지를 뗀 글자는 훨 늦어.
우리네 한글은 세상에서 제일 늦은 글자야. 일본보다 7백년이 늦어.
이땅바닥이 이 대갈빡 수준이 제일 후진겨.


직시를 해 직시를.

Earlier symbols, such as the Jiahu symbols, Vinča symbols and the marks on the Dispilio tablet, are believed to be proto-writing, rather than representations of language.

 

Date Language Attestation Notes
c. 2690 BC Egyptian Egyptian hieroglyphs in the tomb of Seth-Peribsen (2nd Dynasty), Umm el-Qa'ab[6] "proto-hieroglyphic" inscriptions from about 3300 BC (Naqada III; see Abydos, Egypt, Narmer Palette)
26th century BC Sumerian Instructions of Shuruppak, the Kesh temple hymn and other cuneiform texts from Shuruppak and Abu Salabikh (Fara period)[7][8] "proto-literate" period from about 3500 BC (see Kish tablet); administrative records at Uruk and Urfrom c. 2900 BC.
c. 2400 BC Akkadian A few dozen pre-Sargonic texts from Mariand other sites in northern Babylonia[9] Some proper names attested in Sumerian texts at Tell Harmal from about 2800 BC.[10] Fragments of the Legend of Etana at Tell Harmal c. 2600 BC.[11]
c. 2400 BC Eblaite Ebla tablets[12]  
c. 2250 BC Elamite Awan dynasty peace treaty with Naram-Sin[13][14]  
21st century BC Hurrian Temple inscription of Tish-atal in Urkesh[15]  
c. 1700 BC Hittite Anitta text in Hittite cuneiform[16] Isolated Hittite words and names occur in Assyrian texts found at Kültepe, from the 19th century BC.
16th century BC Palaic Hittite texts CTH 751–754[17]  
c. 1450 BC Mycenaean Greek Linear B tablet archive from Knossos[18][19][20] These are mostly administrative lists, with some complete sentences.[21]
c. 1400 BC Luwian Hieroglyphic Luwian monumental inscriptions, Cuneiform Luwian tablets in the Hattusa archives[22] Isolated hieroglyphs appear on seals from the 18th century BC.[22]
c. 1400 BC Hattic Hittite texts CTH 725–745  
c. 1300 BC Ugaritic Tablets from Ugarit[23] see Ugaritic alphabet
c. 1200 BC Old Chinese Oracle bone and bronze inscriptions from the reign of Wu Ding[24][25][26]


본격적인 글자. 라고 칭할 수 있는 것들이 발굴된 순서들이야. 이집트 수메르 아카드 엘바 엘람 미타니.의 후리안(쿠라이트)  여긴 다 그 초승달 메소포타미아 지역.이야. 그리고 올라가는겨 점점. 아나톨리아 반도 터키땅의 

히타이트. 팔라익(히타이트 수도). 루위안. 하틱. 여긴 다 아나톨리아 땅이야. 그리고 우가리틱. 여긴 시리아 서북부. 아나톨리아 접한. 

 

그리고 늦은 갑골문. 인겨.

 

 

 

우리네는 더 늦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