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 things fill the mind with ever-increasing wonder and awe, the more often and the more intensely the mind of thought is drawn to them: the starry heavens above me and the moral law within me.

  • Variant translations:
    • Two things fill the mind with ever new and increasing admiration and awe, the oftener and more steadily we reflect on them: the starry heavens above me and the moral law within me.
      • Translated by Lewis White Beck
    • Two things fill the heart with renewed and increasing awe and reverence the more often and the more steadily that they are meditated on: the starry skies above me and the moral law inside me.
 
두 가지가 내 마음을 가득 채워. 저 두가지는 각각 끝이 없어. 언제나 새로와. 놀랍고 두렵기도 해 막막 느껴져. 마음의 새가 막막 날라다니고 길을 내지만 결국 저 두가지에 다다를 뿐이야. 
 
내 위에 있는. 별들이 총총 빛나는 하늘. 그리고. 내 안에 있는. 도덕법칙.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1788)
 
 

Sir Isaac Newton PRS (/ˈnjtən/;[6] 25 December 1642 – 20 March 1726/27[1]) 

René Descartes (/ˈdˌkɑːrt/;[9] 

French: 

[ʁəne dekaʁt]; Latinized: Renatus Cartesius; adjectival form: "Cartesian";[10] 31 March 1596 – 11 February 1650)

 

Immanuel Kant (/kænt/;[8] 

German:

 [ɪˈmaːnu̯eːl kant]; 22 April 1724 – 12 February 1804) 

 

 

칸트 이야기는. 특히나 말야. 한글로 된걸 보면 먼말인지 몰라. 저게 암호지 저게 글이냐. 

 

아니 칸트 이야기 뿐이간. 철학책 번역한건 저건 글이 아니야. 저건 에니그마야. 

 

아 특히 이땅바닥엔 철학이 없는 건 물론이거니와. 철학자가 없어. 아 이게 제일 문제걸랑.

 

조선건국 이래 육백년동안. 이땅바닥엔 철학자가 없어. 

 

.

 

 

대륙엔 데카르트.고 섬엔 뉴턴이야. 뉴턴이 데카르트 죽기 8년 전에 나왔어. 

 

칸트는 뉴턴을 알아.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말은 히포의 아우구스티노.도 한말이야. 비슷하게. 저 히포의 아우구스 형은 마니교 신자였었다고 썰했고. 저 히포의 아우구스형을 따르던 인간이 팡세.야. 

 

팡세가 그랬어. 인간이 후짐을 직시해라 그래서 인간이 위대한거다

 

짐이 그랬어. 조선왕조가 후짐을 직시해라 그래야 코리안이 된다. 조선인이 되지말거라.

 

.

르네 데카르트. 하는데 저 말도 풀면 데. 란 것도 전치사걸랑. 라틴어로 레나투스 카르테시우스.야. 즉 카르테스의 레나투스란거걸랑. 해서 데카르트파들을 카르티지언. cartesian. 해. 특히 dualism. 이원론자 들을 이 카르티지언으로 칭해.
다 의미없어 이원론이니 일원론이니 그딴거에 미세먼지 뿌리지 말고.

칸트.말을 좀 보자고.
저 말은 두번째 이성이야기에서 나온겨.
.이 철학 이야기가 재밌는거야 이게. 이땅바닥에 철학자가 없어서리 먼 성경 풀이 하는것도 아니고. 성경풀이도 먼 한무당 이야기 하는것도 아니고. 성경을 진짜 예언서 마냥 아 구약에서 이랬슈 어마어마 함둥. 와 구원받았슈? 

발광을 하는거지.

야 좀 거 이집트 이야기좀 보고. 바빌로니아 이야기좀 들어라 들어. 
이집트의 람세스 이야기좀 보고. 거 크리스티앙 자크 소설이라도 좀 다 봐라 봐. 절판되었냐? 
아 짜증 나. 한무당의 나라인것도 짜증인데 이건 머 기독교도 한무당식으로 불교도 한무당식으로 니. 아 정말 조선의 유산은 엄청난겨 이게. 

 



The Critique of Pure Reason (German: Kritik der reinen Vernunft, KrV) (1781, Riga; second edition 1787) 

 

순수이성 비판. 는 1781년도에 나와. 칸트나이 57세. 직접 개정판을 내 수정해서. 6년후. 63세에.

 

Kant also credited David Hume with awakening him from dogmatic slumber (circa 1771).[44] Hume had stated that experience consists only of sequences of feelings, images or sounds. Ideas such as "cause", goodness, or objects were not evident in experience, so why do we believe in the reality of these? Kant felt that reason could remove this skepticism, and he set himself to solving these problems. He did not publish any work in philosophy for the next 11 years.

 

데이빗 흄.이란 가 제기한 문제에 칸트가 빠진거걸랑. 저 경험주의자. 회의주의자. 이딴거 일단 넘어가고. 하튼 얘가 그랬걸랑. 신같은게 진짜 있다고 믿어야 하나? 저건 경험할 수 없는거 아닌가? 
칸트가 저거에 확 땡긴겨. 그리고 11년간 저것을 판거지. 혼자. 

Kant decided to find an answer and spent at least twelve years thinking about the subject.[12] Although the Critique of Pure Reason was set down in written form in just four to five months, while Kant was also lecturing and teaching, the work is a summation of the development of Kant's philosophy throughout that twelve-year period.[13]

 

12년간 혼자 생각한겨. 미친거지 . 오직 저 질문. 저 문장. 그리곤 먼가 풀린겨. 11년정도 생각하고. 저때 답을 안겨. 그리고 써댄겨. 쓴다는건 와꾸를 다 알았단 거야. 쓰면서 걍 나머지 생각을 덧붙이는거걸랑. 쓰기 시작했다는건 답을 거의 알았단 뜻이야. 저 800페이지 글을 네다섯달만에 써댄겨. 짐보다는 못하지. 짐은 마음만 먹으면 하루에 삼사백페이지도 써댈텐데 말야.

 

Transcendental imagination is described in the first edition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but Kant omits it from the second edition of 1787.[16]

 

그리고 6년 후 개정판을 낼때. 저 트랜센덴털 이메지내이션을 빼. 저게 먼지는 일단 넘어가.

 

.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German: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KpV) is the second of Immanuel Kant's three critiques, first published in 1788. It follows on from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and deals with his moral philosophy.

 

그리고. 개정판 내고 다음년도 1788. 칸트나이 64세에. 실천이성 비판을 내.

 

While valid criticisms of the Groundwork are to be addressed, Kant dismisses many criticisms that he finds unhelpful. He suggests that many of the defects that reviewers have found in his arguments are in fact only in their brains, which are too lazy to grasp his ethical system as a whole. As to those who accuse him of writing incomprehensible jargon, he challenges them to find more suitable language for his ideas or to prove that they are really meaningless. He reassures the reader that the second Critique will be more accessible than the first.

 

저기서 칸트가 그러는거지. 순수이성비판을 보고 별 말들이 많은데. 야 이 무시칸 들아. 내 글이 문제가 아니라 니덜 대갈빡의 뇌가 썪은겨 이 들아. 이 게으른 들아. 내 말 못알아들어 처먹는 니덜 지쩍 수준을 탓해 . 따라오실 분들은 조용하게 따라오세요 차근차근 알려드릴께요 ㅋㅋㅋ.

 

 

The Critique of Judgment (German: Kritik der Urteilskraft, KdU), also translated as the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is a 1790 philosophical work by Immanuel Kant.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third Critique, the Critique of Judgment follows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 1781, B 1787) and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1788).

 

판단력비판.은 저거 나오고 2년 후 1790년. 칸트나이 68세. 그리고 14년 후에 죽는건데.

 

 

저게 재밌어 저게. 

 

나중에 하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