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 god. 이란 말은 게르만의 고트족 어야. 

 

Origin

Old English, of Germanic origin; related to Dutch god and German Gott.

 

The English word god continues the Old English god (guþ, gudis in Gothic, *gud in modern Scandinavian, god in Frisianand Dutch, and Gott in modern German), which is derived from Proto-Germanic *ǥuđán.

 

게르만 사람들이 구브. 구디스. 하다가 갓. 한거고. 지금 독일어론 고트. 가 삿이고. 어원은 구단.

The word God was used to represent Greek Theos and Latin Deus in Bible translations, first in the Gothic translation of the New Testament by Ulfilas. For the etymology of deus, see *dyēus.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 를 고트족의 고딕어로 갓. 했다 해. 그리스어로 신이 테오스. 이고 라틴어로 데우스. 

 

Greek "θεός " (theos) means god in English. It is often connected with Greek "θέω" (theō), "run",[6][7] and "θεωρέω" (theoreō), "to look at, to see, to observe",[8][9] Latin feriae "holidays", fanum "temple", and also Armenian di-k` "gods". Alternative suggestions (e.g. by De Saussure) connect *dhu̯es-"smoke, spirit", attested in Baltic and Germanic words for "spook" and ultimately cognate with Latin fumus "smoke." The earliest attested form of the word is the Mycenaean Greek te-o[10] (plural te-o-i[11]), written in Linear B syllabic script.

 

테오스. 는 달리다. 보다. 와 관련된 말이고. 연기. 영혼. 머 어쩌고 와 관련된다.

 

갑골문의 신. 神 은 번개가 막 걍 사방팔방 찢어서 보여지는 형상이고. 느낌은 공포.지.

 

.

lord  란 말은. 주여! 할때 감탄으로 사용하는 신.에 대한 호칭이래.

Origin

Old English hlāford, from hlāfweard ‘bread-keeper’, from a Germanic base (see loaf, ward). Compare with lady.

 

빵 갖고 있는겨. 빵 loaf. 로프. 레이디. lady. 는 그 빵 반죽하는 사람이고. 바치는거지 빵 키퍼 에게.

 

지난번에 이 갓.이 늦게 나온 말이라 썰한거 같은데. 짐이 멀 보고 그런거지? 아닌듯해. 

.

deity

Middle English (denoting the divine nature of God): from Old French deite, from ecclesiastical Latin deitas (translating Greek theotēs), from deus ‘god’.

 

디어티. 데이어티. 란 신.의 다른 말은 중세영어.니까 훨 늦게 티나온 말이고. 

.

 

일단 그렇고.

 

Ecclesiastical separatism is the withdrawal of people and churches from Christian denominations, usually to form new denominations.

 

그리스도 종교분리.를 이클레시아스티컬 세퍼레이티즘. 한대. 분리되면서 새 이름을 갖어.

 

ecclesiastic. 이클리지아스틱. 신부. 사제. 종교의식 주관하는 이. 인데. 저 단어를 주로 쓴다 말이지. 처치. 란 교회의 파생어 보다는.

Late Middle English: from French ecclésiastique, or via late Latin from Greek ekklēsiastikos, from ekklēsiastēs ‘member of an assembly’, from ekklēsia ‘assembly, church’, based on ekkalein ‘summon out’.

 

저 그리스어의 에클레시아. 가 모임. 이걸랑. 모임 회합 이 에클레시아.해서 사람 모인것을 에클레스 eccles.를 접두어로 교회용어로 많이 써.
church.는 

Origin

Old English cir(i)ce, cyr(i)ce, related to Dutch kerk and German Kirche, based on medieval Greek kurikon, from Greek kuriakon (dōma) ‘Lord's (house)’, from kurios ‘master or lord’. Compare with kirk.

 

처치.는 저 에클레시아.에서 온 말이 아니라. 로어드. lord 의 것. 로어드의 집. 이라는 그리스어. 쿠리아콘. 의 게르만어야. 여기서  church. 가 나온거고. 즉 처치.라는 교회는 사람들 모임.의 의미가 아니라. 신이시여! 하며 불르는 그 신의 집. 의 의미가 커.

.

Arius (/əˈrəs, ˈɛəri-/; Koine Greek: Ἄρειος, 250 or 256–336) was a Christian presbyter and ascetic of Berber origin,[1] and priest in Baucalis in Alexandria, Egypt.[2] His teachings about the nature of the Godhead in Christianity, which emphasized the Father's divinity over the Son,[3] and his opposition to what would become the dominant Christology, Homoousian Christology, made him a primary topic of the First Council of Nicaea, which was convened by Emperor Constantine the Great in 325.

 

일단 저거 전.에. 아리우스. 는 짚고 넘어 가자고. 서기 300전후 사람인데. 

베르베르. 즉 아프리카 북부의 바바리안 야만인이라 했던 땅에서 프레스비터. 나이든 사제. 장로에 어쎄틱 금욕주의자 였단거지. 

 

삼위일체. 논쟁이. 성자성부성령.에서 성부성령은 같은건 동의하고. 성자 성부 가 같냐. 성자인 지저스.가 유일신 더 갓.이냐 하는거걸랑. 아리우스.는 갓.의 양자일 뿐인 육신. 생체육신이지 지저스가 갓은 아니란 거걸랑. 이게 니케아 공의회. 처음 회의야 밀라노칙령 313년에 하고. 12년 후에 열린. 이때 논쟁이 심하게 돼 이게. 
결론. 아리우스 따위 말하는 인간은 죽인다. 앞으로. 
아리우스 파는 망명을 해. 일뤼리쿰. 지금 크로아티아. 그 아드리아 해변. 이 일뤼리쿰.이란 단어는 크로아티아 생기기 전까지 저곳 지명으로 쓰여.
이 아리우스. 의 저 말이. 저 이후 없어지는게 아니라. 미국 식민지까지 가서도 저 논쟁을 해. 아 프랭클린 이 그러는거지. 내 아리우스 니 반아리우스 니  싸우는거 옆에서 보는데 둘다 똑같구만 그게 먼차이라구. 해. 지금 여호와의 증인. 이 이 아리우스 쪽이야.
클로비스1세가 프랑크 왕국 초기의. 메로빙거 맹그는. 이 사람이 아리우스파야. 마누라가 크리스찬이고 마누라때메 그리스도 된거걸랑. 당시 알프스 이북은 이 아리우스 가 많았어.


A distinction[5] is made between heresy and schism. Heresy is rejection of a doctrine that a Church considered to be essential. Schism is a rejection of communion with the authorities of a Church, and not every break of communion is necessarily about doctrine, as is clear from examples such as the Western Schismand the breaking of communion between Patriarch Bartholomew I of Constantinople and Archbishop Christodoulos of Athens in 2004.[6] 


스키즘. 분리. 라는 말과 헤러시. 이단 이란 말은 다르대. 이단 이란 말은 본질적으로 교리가 다른겨. 스키즘.이란 건 교단내 정치적 구조 자체에 대한 거부 로 나가는거고. 헌대 서로들 헤러시. 즉 이단이라고 상대를 지적질 한대.
가장 먼저는 저기서. 에페수스 공의회 431년. 에서 나온 아쉬리아 교회. 

Nestorianism is a Christological doctrine that emphasizes a distinction between the human and divine natures of the divine person, Jesus. It was advanced by Nestorius (386–450), Patriarch of Constantinople from 428 to 431, influenced by Nestorius's studies under Theodore of Mopsuestia at the School of Antioch.


교리는 넘어가고. 여기서 가장 대표적인 이가 네스토리우스. 해서 이들을 네스토리우스파. 라고 해.

이들 하믄 생각나는게. 그 칭기스칸이 몽골제국 첨 시작할때 몽골고원 통일할때 그 한 부락이 케레이트족 이걸랑. khereids. 칭기스칸이 자기 마누라 보르테.가 메르키드 족에게 납치되서리 구출해올라고 자기 동생이랑 찾아가는 곳이 이 케레이드족의 옹칸(완칸)이야. 여기에 자무카 가 있었고. 옹칸이 자무카랑 병력이란 테무진 에게 주고. 계속 이 테무진을 이용하걸랑. 해서 나중에 테무진이 칸이 되고 이 케레이드족 엎고 자무카도 죽이는건데.
이 케레이드족이. 저 네스토리우스 그리스도야. 얘들 옆의 나이만족도 그리스도야. 다 이들 네스토리우스 쪽이야. 그리스도가 몽골에도 퍼진겨 저 당시도. 
해서 교황이 십자군 원정할때도. 이쪽에도 파견요청하는겨. 오  동쪽 저기에도 그리스도가 있담시롱? 왜냐믄 지들이 왔걸랑. 우리 세례좀 시켜달라꼬.

An account of the conversion of this Turkic people is given in the 12th-century Book of the Tower (Kitab al-Majdal) by Mari ibn Suleiman, and also by 13th-century Syriac Orthodox historian Bar Hebraeus where he names them with the Syriac word ܟܹܪܝܼܬ ("Keraith").[22][23]

According to these accounts, in either AD 1007 or 1012, the Keraite khan lost his way during a snowstorm while hunting in the high mountains of his land. When he had abandoned all hope, a saint, Sergius, appeared in a vision and said, "If you will believe in Christ, I will lead you lest you perish." The king promised to become Christian, and the saint told him to close his eyes and he found himself back home (Bar Hebraeus' version says the saint led him to the open valley where his home was). When he met Christian merchants, he remembered the vision and asked them about the Christian religion, prayer and the book of canon laws. They taught him "the Lord's Prayer, Lakhu Mara, and Qadisha Alaha." The Lakhu Mara is the Syriac of the hymn Te deum, and the Qadisha Alaha is the Trisagion. At their suggestion, he sent a message to Abdisho, the Metropolitan of Merv, for priests and deacons to baptize him and his tribe. Abdisho sent a letter to Yohannan VI, the Catholicos or Patriarch of the Church of the East in Baghdad (63rd Patriarch after Saint Thomas). Abdisho informed Yohannan VI that the Keraite khan asked him about fasting, whether they could be exempted from the usual Christian way of fasting, since their diet was mainly meat and milk.

 

서기 천년 지나서야. 저 케레이트 칸이 눈보라 속에서 사냥하다가 완전 길을 잃었대. 자기가 성 세르기우스 라면서. 나타나서리. 니가 그리스도를 믿으면 여서 살려주겠다 했대. 칸이 크리스찬 되겠다 약속하니까 눈 감아라 해서 감아서 다시 또보니 집이었대. 나중 그리스도 상인들이 오니까 그리스도가 머여 하고 그 상인이 관련된 기도법 알려주고. 그 상인이 알려준 이란 북동부에 있는 메르브 교회에 메세지를 보낸거지. 자기랑 자기 부락민들 세례받게 해 달라고. 해서 사제가 저길 가. 

 

나중에 교황이 십자군 부탁할라고 사람을 보내걸랑. 갔다 오고선 하는말 교황에게.

 

저것덜은 야만이유. 아  끔찍. 그리스도 도 머도 아뉴. 

.

자기들 끼리 오붓이 교회 소꼽장난 하는거지. 자기들 나름의 교리 해석하고. 자기들 만의 교회 예법으로. 그게 그 사람에겐 별 시안하게 보인거지

.

저 앗시리아 교회.를 The Church of the East (Syriacܥܕܬܐ ܕܡܕܢܚܐ‎ Ēdṯāʾ d-Maḏenḥā), also known as the Nestorian Church. 동쪽의 교회. 또는 네스토리안 교회. 라고도 불러.

 

Following the Council of Chalcedon in 451, the next large split came with the Syriac and Coptic churches dividing themselves, with the dissenting churches becoming today's Oriental Orthodoxy. In modern times, there have also been moves towards healing this split, with common Christological statements being made between Pope John Paul II and Syriac patriarch Ignatius Zakka I Iwas, as well as between representatives of both Eastern and Oriental Orthodoxy.

 

그리고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시리아와 콥틱교회들이 분리해 나가. 이게 오리엔탈 오쏘독시. oriental orthodoxy. 저것과 뒤의 이스턴 오쏘독시.와 전혀 달라.

 

The East–West Schism, also called the Great Schism and the Schism of 1054, was the break of communion between what are now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Eastern Orthodox churches, which has lasted since the 11th century

 

일명 동서분리. 1054년. 이때 로마카톨릭이랑 떨어져 나가서리 비잔틴 콘스탄티노플 중심으로 이스턴 오쏘독스 교회. 일명 동방정교회.가 티나와. 

 

저 오리엔탈 과 이 이스턴.을 똑같이 동방정교회.라 번역된 것도  웃기고. 저건 엄연히 달라. 해서 누군 개인적으로 오리엔탈은 동양 정교회. 이스턴을 동방정교회 하는데. 웃긴데.

 

로마 카톨릭 대 이스턴 정교회. 동방정교회 야. 오리엔탈 정교회가 아냐 이건.

 

.

 

용어정리를 잘 해야 하는데. 아마  다들 전문가도 못한다는 거에 발톱의 막막 떨어져 나갈라카는 무좀균 하나 거는데

 

Eastern Christianity consists of four main church families: the Eastern Orthodox Church, the Oriental Orthodox churches, the Assyrian Church of the East, and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that are in communion with Rome but still maintain Eastern liturgies). 

 

이스턴 크리스티애너티. 라는 동방 기독교는. 저 맨 처음 네스토리우스.들의 교회인 앗시리아 교회(동쪽의 교회). 그리고 다음의 시리아 콥틱 교회 분리된 오리엔탈 정교회. 그리고 그레이트 스키즘. 동서분리 되어 콘스탄티노플 중심인 이스턴 정교회. 그리고 나중에 저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되기 전에. 메메드 2세 넘 무서워 제발 좀 막아줘. 교황한테 막막 부탁하걸랑. 그러니 교황이 그러는거야. 이전 동서 분리 된거 다시 합치자 그럼 도와주께 병력 불러주께. 해서리 합해. 그게 저 이스턴 카톨릭 처치. 동방 카톨릭교회 야. 이들은 의례. 제식. 만 로마의 형식을 따라. 

 

저때 대부분 다 로마로 갔어 콘스탄티노플에 있던 주교들은. 그런데 남아서 함락직전까지 기도하다 죽거나 남은 수도사들 사제들이 있었어. 그 함락 직전까지 소피아성당에서 사람들은 기도를 해. 당시 비참한데 이야기 보믄.

 

 

저것의 다른 그림이고. 저 맨디어니즘 mandeanism. 은 아래 그노스티시즘. 이랑 비슷한 영지주의.야 이전 설명. 영혼의 미스테릭한 그 비밀을 다 안다는거지. 그노시스.가 안다.는 뜻이걸랑. 저거 반대가 불가지론 나중. 아그노시스. 

 

 

그리고 16세기 시작하면서. 이전 썰했듯이 영국에선 백년전쟁 끝나고 내전하고 기운다 풀어버리고. 튜더왕조 열고. 헨리 8세가 로마 카톨릭 내쫓고 자기들만의 교회 세우고. 성공회. 앵글리캐니즘. 포르투갈 발음인 앵글리칸. 영국의. 
알프스 이북 대륙에선 루터 티나오고. 프로테스탄티즘. 이란 이름으로 로마 카톨릭이 막막 분파되면서 난리가 나는건데.

 

 


저들도 대략 저리 막막 분화가 되는데. 이들이 특히 어디서 본격적인 종교논쟁을 하냐면. 이들 즉 프로테스탄티스트들. 은 아메리카 식민지. 잉글랜드인들이 중심으로 개척하고 프랑스인들이 곁다리 낀.

 

북미대륙에서  자유롭게 지들만의 땅에서 그야말로 맘껏 실험을 하는거야 자기들 땅 안에서 정치체제에 더하여 신앙논쟁을 해. 이 신앙을 그래도 정치구역마다 자기들 나름 막막 심어. 북미 식민지는 거대한 인류 최초의 실험 장터야. 이게  의미있는거야. 여기서 이전까지 이탈리아 르네상스도 막막 갔다가 쓰는거야. 자기들 구역마다 맘껏 자기들 사유를 심는거야. 아 음청난겨 이게. 

 

 

미국 식민지의 역사는. 한편으론 저 그리스도 사유의 실험장이었던거야. 캬 음청난 해석이신데 짐의.

 

저걸 그래서 나중에 사가들이 정리하는거야. 

The First Great Awakening (sometimes Great Awakening) or Evangelical Revival was a series of Christian revivals that swept Britain and its American Colonies between the 1730s and 1740s. 

 

 

 

The Second Great Awakening was a Protestantreligious revival during the early 19th century in the United States. The movement began around 1790, gained momentum by 1800 and, after 1820, membership rose rapidly among Baptist and Methodist congregations whose preachers led the movement. 

 

 

 

The Third Great Awakening refers to a hypothetical historical period proposed by William G. McLoughlin that was marked by religious activism in American history and spans the late 1850s to the early 20th century

 

 

 

The Fourth Great Awakening was a Christian awakening that some scholars — most notably economic historian Robert Fogel — say took place in the United States in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while others look at the era following World War II. 

 

 

저 네차례의 그레이트 어웨이크닝. 저걸 대각성운동. 이리 번역한듯 한데. 아  번역 하지 말고 걍 영어로 읽어 걍.
저런걸 통해서. 우리가 밖에서 이상한듯 보이는 그리스도 종파들이 막막 있는겨. 다 미국 아메리카에서 생긴겨 대부분. 침례교 등 몇개 빼고.

미국은 저런식으로 해서 만들어 졌어. 

 

 

.

아 짐은 아이를교 교주 잖오. 

 

간밤에  꿈을 꿨는데. 웬 십자가 큰게 있는겨 바로 옆 교회에. 저녁인가. 무지 커. 유에프오 바로 위에 있는거 마냥. 아 헌데 교회 지붕이 무너지면서 그 엄청난 십자가가 떨어지는겨 뿌러지면서. 

 

담 옆에 바로 엎드렸는데. 그 무너지는 무게에 바람이 전자파 폭탄 이엠피 파장마냥 몸을 막막 진동시키는데. 

 

아 요즘 꿈은 참 스케일이 크단 말이지.

 

며칠전엔 거대한 개선문 비슷한게 꽝 무너지고 그 반대 편에서 백곰 큰 게 우와와와왕 하민서리 내헌테 울어대더만.

 

 

미친거 같오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