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y Péter gróf, (Gyón, 1863. szeptember 26. – Assisi, 1948. február 28.).[2] író, címzetes püspök, világutazó; Vay Sándor öccse.
바이 피떼르, 그로프, 그라프 백작. 누나 가 바이 샨도르.
https://youtu.be/mH-XI2u1YH0
바이 피떼르 가 중요한 인물인게 우리에게, 이사람이 남긴 글들 중에 구한말 조선 이야기가 있거든.
https://youtu.be/XHXnN1CjEzc
- Kelet császárai és császárságai (Ázsiai útja Szibérián át Kínába, Koreába és Japánba. Budapest., 1906; németül: Berlin, 1906; franciául: Párizs, 1908, angolból fordítva.)
서기 1906년에 부다페스트 에서 나온 책, 켈렛 짜싸라이 이 짜싸사가이, 동쪽 짜르들 과 짜리나 들, 황제들 과 황후들. (아지아이 우탸, 아시안 웨이 아시아 길, 찌베리안 아 키나보, 코레아보 야반포, 시베리아에서 중국 코리아 일본)
바이 삐테르,가 헝가리인이고, 백작집안 귀족태생인데, 로마 카톨릭 사제 를 하고 이사람은 아시시 수도회 에서 죽어. 로마카톨릭 소속으로 돌아다닌겨 세상을. 여러 글들을 썼고, 헝가리에서 조차 이사람 글들이 묻혔다가 20세기 말에서야 드러난거야, 헌책방에서 경매들로 이사람책들이 나오면서.
서기 2000년 지나서, 이사람의 조선 이야기를, 따로 한국정부의 후원으로 헝가리에서 영역을 하고, 그런데 이게 한글 번역책이 없는 듯 하네 이름 검색 해보니.
러시아에서 극동들 돌아다니면서 차르 에 황제 에 킹들을 다 만난겨 이사람이. 로마의 사제 대표 자격으로. 저 책이 헝가리어로 4백여페이지고, 따로 코리아 부분만 묶어서, 영역으로, 코리아 오브 더 바이곤 데이즈, 지난날의 코리아, 라고 낸게 백페이지 정도가 돼.
이사람은, 코리아 에 대한 애착이 상당히 강하고, 코리안 이 저팬인들보다 우수하고, 신앙적 측면에서 아주 탁월하다고 해. 물론, 이사람이 바라보는 종로 의 풍경 이 사진 으로도 있고, 거대한 공동무덤이다 라는 문장을 써 그 사진 아래에.
그러나, 코리아 가 반드시 부활한다는 예언을 한 사람이 이사람이야. 그래서 조선 민족 님들이 요부분만 똑떼서 신나하는거고, 나머지 이야기들은 본적이 없으니 , 이들은, 자기자랑글 외엔 눈귀에 들어오지 않아. 위대한 조선 을 보이는 문장들만 참이고, 나머지 대부분 문장들은 거짓 인거지.
이사람 약력이 참 재밌는데, 헝가리 에도 거의 알려진게 없고.
It is strange, especially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there were very few Hungarian writers whose books were translated into German, English and French within one and a half years following their publication. His diaries, which give a precise description of the domestic and foreign events and the main actors of the period between 1902 and 1918 and which resurfaced mysteriously in 1977, remain untreated in the Hungarian National Archives.
영역판 의 글을 보면, 독어 영어 불어 로 번역이 된 헝가리안 작가들이 흔치 않은데, 바이 피테르 글은 당대 유럽에서 저렇게 번역이 되어서 읽힌 헝가리안인데, 대체 우리 헝가리안은 이사람을 왜 모르나? 사전 등에 약력도 오류가 많고. 이사람이 1977년 까지 헝가리 안에서 완벽하게 묻힌거야.
1863년생.
Who was Count Péter Vay who participated in the celebrations commemorating the 60th anniversary of Queen Victoria's reign as one of the representatives of Pope Leo XIII and who was one of the speakers of the Berlin Missionaries' Conference after returning from his first trip to Asia? He travelled throughout
the world on behalf of the Holy See, spent long periods of time in China, Korea, Japan, Indo-China and other Asian countries, the Near and Middle East, the United States and Central America between 1902 and 1904. He met and had discussions with Russian Czar Nicholas II, the Emperors of China, Korea and Japan, the leading statesmen of his age, including President Theodore Roosevelt.
퀸 빅토리아 의 60주년 주블리 행사 의 로마 교회 대표단 중 일인 이야. 나름 자리가 높은 사람이야 로마에서. 베를린의 선교 단 에서 도 위원 이고. 이런 사람을 왜 우리 헝가리안은 몰랐는가? 이탈리아에서 죽었고 로마교회 중심 생활이라 몰랐던거지 저들이. 니콜라이 2세 에 극동 의 킹들에 루즈벨트 도 만난 사람.
(1) As a missionary, he could always be found on ships transporting immigrants to the New World and among the coolies of Shanghai. He played an essential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new parish churches, monasteries and childrens' homes in various sites including Korea (in Tegu). (2) He relied on his knowledge of foreign languages and sound general education in his endeavours. He made every effort to learn as much as possible and spread information about the countries visited, their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and problems. His reports were published in the leading magazines of the age and many of his analyses and conclusions did not lose actuality even in our days and have the effect of prophecy. Besides these activities, he had enough time to study the culture and the art of the Far East. Even though some of his assessments and statements are debatable, the works of art he purchased on the request of the Hungarian government during his 1912 trip to the region were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the Japanese collection of the Ferenc Hopp Museum in Budapest.
In the light of his activities, it is quite difficult to understand why his personality and career remains mostly unknown. Even his date of birth is surrounded by uncertainty. According to "The Life and Works of Hungarian Writers", written by József Szinyei in 1914, and "The Dictionary of Hungarian Travellers", written by Dénes Balázs in 1993, he was born on September 26, 1864 in the Pest county village of Gyón. But Hungarian Archbishop János Csernoch sent a proposal on appointing Péter Vay honorary bishop to King Charles IV on April 21, 1917 indicating September 26, 1863 as his day of birth. Following his death in 1948, Grand Provost at Pécs Dénes Mosonyi wrote that "he died silently at the age of 92" (which should mean he was born in 1856). In his response, the representative of the archiepiscopal office acknowledged that "I am preparing an obituary notice about Count Péter Vay …I know nothing about this prelate."
그는 선교사 자격으로 세상 어디에서든 출현했었다, 아메리카 로의 이민선들, 상해 의 쿨리 노동자들 속에서도. 그는 새로운 교회들 수도원들 고아원들 을 세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여러 도시들, 코리아의 대구 를 포함해서. 그는 외국어들을 익혔고 거기 언어도 열정적으로 구사했다. 가는 곳마다의 정보를 배우기 위해 모든 노력을 하고, 그들의 정치 사회적 문제들 포함. 그의 보고서들은 당대의 잡지들에 출판이 되었고 그의 분석과 결론의 문장들은 지금 현재 조차도 의미있고 예언적 이기까지 하다. 이런 일들 외에, 그는 극동의 문화 와 예술을 충분히 공부하다. 1912년에 극동을 다시 갈때는 헝가리 정부의 요청으로 그 지역의 작품들을 구매했고 이때의 일본 작품들은 현재 부다페스트 박물관에 귀중한 자료가 되다.
페스트 지역 의 욘 태생. 1864년. 의 기존 자료들은 잘못된 자료. 1863년생. 그는 1948년 92세의 나이로 조용히 죽다. 페스트 의 대주교 가 부고 를 쓰고 싶은데, 전혀 정보를 모른다 며.
페스트 가 부다페스트 이고, 부다 와 페스트 는 모두 다뉴브강 서쪽 도시들이야. 로마 의 변방 경계 도시였고.
욘 발음은, 우리발음 욘 이 아니고, 혀뿌리를 천장에 닿는 욘 소리를 내도록 해.
대단한 사람이, 너무나 조용히 사시다 가신겨. 아 이사람들 정말 조선 땅 위인입네 나대는 인간들관 전혀 이게 인간 자체가 달라. 하물며 헝가리안이
(3)His most detailed bibliography comes from Cardinal Csernoch. (4) According to him, he was born on September 26, 1863 and became a priest on June 16, 1898 in Esztergom. He did not accept any positions within the church, "he devoted his life to the spiritual treatment of immigrants, he travelled frequently on ships carrying immigrants from Europe to America. He spent long periods of time in America, Japan, Korea and China." Count Vay returned to Hungary not much before the beginning of World War I and did pastoral work during the war. He was appointed by the Pope apostolic protonotar and was given the beneficiary abbacy of Vaskaszentmárton in the diocese of Pécs by King Francis Joseph I in 1908. He donated his modest income from this position to charities (he wanted to renounce his remuneration in 1929, but this was not accepted by church authorities). In 1917, King Charles IV appointed Péter Vay honorary bishop of Skopje on the recommendation of Archbishop János Csernoch, "his majesty's youngest chaplain".
그의 정보를 추기경이 제공하다. 이게 정식 자료가 되는겨 이사람의. 1898년 35세 에, 에쓰테르곰 에서 사제를 받아. 부다페스트 의 북쪽 이야. 교회에서 어떤 자리도 받지 않다. 자기 인생을 이민자들의 영성 고양에 바치겠다며 배를 수시로 타다 유럽에서 아메리카로. 오랜 기간을 아메리카 일본 코리아 중국에서 보내다. 헝가리로 돌아와서 바로 1차대전, 전쟁중엔 교회일을 안하고 교황정의 법률직에 임명.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 에게서 페츠 의 수도원 을 받다. 자기 재산을 모두 기부. 여기의 돈들을 받지 않길 원하다 그러나 교회에서 허락하지 않다. 다음 황제 칼 이 스코피예 의 명예주교로 임명.
What prompted Count Péter Vay to devote such an intense attention to Korea in his first book, "The Emperors and Empires of the East" and other works, articles and letters? The answer, which makes the reprint of his work after a hundred years necessary, comes from the author himself: "Korea is the least known country of East Asia, knowledge about it and its people is incomplete." "Korea i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parts of the world
이 사람이 코리아 에 대한 감정이 강렬래.
코리아 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덜 알려진 나라, 그곳과 그곳 사람들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 코리아는 세계에서 가장 흥미로운 곳들 중의 하나.
(7) and it would be hard to imagine a more beautiful place on Earth. Korea is the most captivating part of East Asia",-he wrote in his work "On the Eastern Hemisphere"
다른 책 동쪽반구 에서, 그곳 코리아, 지구에서 코리아보다 더 뷰티풀 한 곳을 상상하는것은 어려울 것이다. 코리아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사로잡는 매력적인 곳이다.
(8) Unfortunately, his words remain valid even today, Korea is the least known Far Eastern country in Hungary. It is unbelievable that what he wrote in 1906 remains true in these days: "Korea is in the phase of rebirth. It is full with tension and contradictions", "Circumventing the normal way of progress, they are acquiring the modern achievements with great steps." (9)
He devoted distinguished attention to Korea for two reasons. As a bishop, missionary and traveller, he regarded Korea and its people as the most receptive for Christian missionary work, "I was the first to speak about Korea's importance during the 1905 Berlin Missionaries' Conference" since "who knows Korea is impressed by their religious attitude." (10) "Christian soul is the most obvious in Korea",-he wrote to Gyula Benczur, a famous Hungarian painter in his letter dated December 1, 1902 from Seoul. (11) He returned to Korea later as well: "Finally, I am heading for Korea again, where I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lay the foundations of an asylum. I will establish this asylum from my income from literary works, it will be a modest cultural institution, at least in the beginning, but I am convinced that it has a great future."-he wrote in a letter from Tokyo on April 14, 1907.
불행히도 우리 헝가리안 은 그의 당시 말들이 지금 조차 유효하다, 지금 헝가리에서 코리아는 가장 덜 알려진 극동의 나라이다. 그가 쓴 문장들이 지금 현재 말해주는 것이 놀랍기만 한데 그는 이렇게 쓴다 1906년에 "코리아는 재탄생의 과정에 있다. 그곳은 긴장과 충돌들로 가득하다. 일반적인 나아가는 과정의 길을 돌다가, 그들은 지금 굉장한 보폭들로 마던의 성과들을 획득하고 있는중이다.
그는 코리아에 대해 유별난 관심을 드러낸다, 두가지 이유로. 주교 선교사 와 여행가로서, 그는 코리아와 그곳의 사람들을 그리스도 미션 사역에 가장 최적의 수용자들로 보았다. "1905년 베를린 선교단 회의 기간중에, 코리아의 중요성에 대해 연설을 한것은 내가 처음 이었다. 그리스도의 영혼이 코리아에 가장 분명히 드러난다, 라고 당시 유명한 화가에게 서울에서 편지. 그는 나중에 다시 코리아에 오다, "마침내 나는 다시 코리아로 향해, 그곳에서 나는 보호소 를 세우려고 해. 나는 내가 쓴 글의 수입으로 이것을 세울거야. 그곳은 적어도 시작은 보통의 기관이겠지만 나는 확신해 굉장한 잠재력을 갖을 거라고. 도쿄에서.
.
영역 서문판 내용중 일부인데, 여하튼 머 저런것도 번역이 안되었으니.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임벌린 사토 애스튼: 김재국 과 코리안 테일즈 (0) | 2022.04.06 |
---|---|
바이 샨도르, Vay Sándor (0) | 2022.04.01 |
화면이 말을 한다, 언어가 말하는 것이 아니라 (2) | 2022.03.20 |
세계사 철학사 채널 오픈 (0) | 2022.02.08 |
오브젝트가 준 언어력 (1) | 2022.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