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this starting point, Aristotle goes into discussion of what ethics, a term Aristotle helped develop, means. Aristotelian Ethics is about what makes a virtuous character (ethikē aretē) possible, which is in turn necessary if happiness is to be possible. He describes a sequence of necessary steps to achieve this: First, righteous actions, often done under the influence of teachers, allow the development of the right habits. These in turn can allow the development of a good stable character in which the habits are voluntary, and this in turn gives a chance of achieving eudaimonia.[6] Character here translates ēthos in Greek, related to modern words such as ethicsethical and ethos. Aristotle does not however equate character with habit (ethos in Greek, with a short "e") because real character involves conscious choice, unlike habit. Instead of being habit, character is a hexis like health or knowledge, meaning it is a stable disposition that must be pursued and maintained with some effort. However, good habits are described as a precondition for good character.

 

시작에서 아리.형은 윤리학.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썰해. 이 윤리학이란 용어를 아리.형이 깊게 푸는데 도움을 줬는데. 아리형의 윤리학은, 이게 중요해. 그 유데모니아에서 제일 키워드가 virtue 걸랑 존나 잘하기. 엑설런트. aretē 아레테. e 에 줄.거있는건 장음이야 아레테에.해야지 원래는. 저 잘하는 수준의 character 캐릭을 만드는 것. 이게 아리.형의 윤리학 이야기란거걸랑. 캐릭터 character 란 지금 쓰는 단어 정의로 해석하지 말라잖오. 

 

저 캐릭터를 버츄어스, 최고로 잘 하는 경지로 만드는 것이 아리형의 윤리학이란다. 이게 유데모니아. 해피니쓰로 가는 가장 중요한 단계야. 만약에 해피니쓰란게 가능하다면 말이지. 즉 그 따위 해피니쓰도 가능한가 안한가 도 고민을 하는거지. 칸트의 세가지 질문 그 마지막이 그거잖냐. 나는 무엇을 희망할 수 있는가? may 하잖냐. 희망 따윈 있는가, 있다면 어떤 희망을 해야 하나. 아 희망따위 없는거 아녀? 이 세상은 지옥행성 그자체 아녀? 유데모니아도 마찬가지로 저따위 해피니쓰, 는 이룰 수 없는거 아녀? 얘덜의 철학이야긴 깊게 자세하게 디테일하게 다 파고들어가. 이땅바닥에 유교에선 절대로다가 찾아볼수 없는 사유의 방식이지. 

 

아리.형이 그러면, 어드래 저 버츄어스 캐릭을 맹그느냐, 순차적으로 필요한 커리큘럼을 맹그는거지. 아리형의 윤리학이랑 정치학은 공허한 개념놀이가 아니라 했걸랑 실제로다가 삶에 써먹으라 했걸랑. 

 

 

 

First, righteous actions, often done under the influence of teachers, allow the development of the right habits. These in turn can allow the development of a good stable character in which the habits are voluntary, and this in turn gives a chance of achieving eudaimonia.[6] Character here translates ēthos in Greek, related to modern words such as ethicsethical and ethos. Aristotle does not however equate character with habit (ethos in Greek, with a short "e") because real character involves conscious choice, unlike habit. Instead of being habit, character is a hexis like health or knowledge, meaning it is a stable disposition that must be pursued and maintained with some effort. However, good habits are described as a precondition for good character.

 

 이거라도 마저 정리하자. 첫번째 스텝은, 재대로된 올바를 habits 을 디벨럽. 끌어올리는 것을. allow, 하게 끔 하라. 디벨럽 하라가 아니다. 디벨럽 하게끔 하도록 해라 allow. 이런 영어 해석이 말야 아다르고 어다른겨. 

habit 은 머라구? 그리스어로? ethos 자노 이게 ethics고. 야 니네 증말 단기기억이 어디까지냐 아 멍충이 빠나나덜 씨바. right 가 올바로된 제대로된 인데 어떤게 올바른걸까. 뒤에서 썰하나? 여하튼 제대로된 habit 을 끌어올리게 끔 해야한다는거지. habit 이 머라구? 습관. 습관이 머여? 국어사전 보믄 된다 안된다? 영영사전 봐. 우리땅 국어사전은 그게 사전이 아니므니다. 

 

영어를 왜 해야 되냐면, 단어의 뜻을 명확히 알려면 우리네는 영어를 해야 한단다. 우리네 쓰는 대부분의 단어들이란게, 근대화의 문명이 덧씌워지면서리 그 단어들 대부분이 영어를 한자로 구글링한거걸랑. 그 제대로 된 뜻을 알려면, 영영사전을 봐야돼. 국어사전은 존나리 어설픈 주작질 아니면 이상한 번역이걸랑. 국어사전이 그게 사전이 아니다 그게. 영어를 알아야 제대로된 한글을 쓸 수 있는거란다. 

 

habit 지난 글에 썰 풀었다 복습하고 와라. 올바를 습관을 들이고 발전시키도록 해야 한다. 이건 선생의 영향이 크다는 거지 대게. 해서 잘 가르쳐서리 올바른 몸의 습관을 habit을 만들고 발전시키도록 해야 한다. 이게 a good stabe character 어떤 하나의 좋은 스테이블한 캐릭을 만들고 발전시킬수 있게끔 한다는 거지. 이러한 습관은 억지로 하는게 아니라 스스로 그러하게 자발적으로 행해지도록 하는것이고, 이럴때 유데모니아. 해피니쓰를 달성할 수 있는 챈스가 생긴다는 거야. rihgt habits. 키워드다.

 

여기서 character란 말은 아리.형이 habit이랑 같은 의미로 쓰지 않았단거지. 같은 에토스 ethos 지만 하나는 장음 에에토스고 하나는 단음 에토스.란거지. 습관 이지만 같은 의미의 습관이 아니란 거야. character는 habit 과 다르게 hexis 헥시스.의 하나란 거야. hexis 는 conscious. 의식의 활동이야. 의식. 이건 불교용어걸랑.  의도적인 거야 주체적인거야 팔자타령하는게 아니고 인생을 내 스스로 바꿀 수 있다는 적극적인 자기의 개입이야 여기서 자기의 대명사는 의식.인거지. 의식적으로 지식을 쌓는 거고 의식적으로 운동해서 헬쓰 건강해지는거고. habit이란건 걍 살면서 팔자대로 움직이면서 몸에 그냥 수동적으로 베인거야. character는 같은 에토스. 습관이지만, some efforts 의식적인 노력을 통해서 만든 습관이 쌓아서 만든 인격이란거지. good habits are described as a precondition for good character. 해서 good habits 좋은 습관, 이건 위의 right habits의 다른 말이겄지. 좋은 습관은 good character의 전제조건으로 쓰여. 좋은 캐릭을 만들려면, 그 바탕에 일단 굿 해빗이 있어야 된다는겨 이게.

 

즉 good habit 을 갖춰라. 그래서 good character를 맹글어라. 그래야 유데모니아. 해피니쓰에 이르는 챈스 기회가 주어진다. 바로 달성하는게 아니야. 들어가는 문이 생길뿐이란 거지.

 

저걸 좋은 습관 해서리 선습이니 선행이니. 좋은 인격 성격 성선을 갖추자. 

 

Aristotle then turns to examples, reviewing some of the specific ways that people are thought worthy of blame or praise. As he proceeds, he describes how the highest types of praise, so the highest types of virtue, imply having all the virtues of character at once, and these in turn imply not just good character, but a kind of wisdom.[8] The four virtues that he says require the possession of all the ethical virtues together are:

 

해서 여기부턴, 그 처음의, 유데모니아. 해피니쓰. 웰빙. 하는. 그걸 위해선 soul과 씽크로, 일치하며 진행하는, stable dynamic 한 행동을 해야 하고, 그럴려면 저 soul 이 virtuous  좋은  엑설런트한 상황을 유지해야 한다는 건데. 

그럴려면, 저 soul을 일단 virtuous 하게 만들어야 하는거고, 다음으로 그것과 appropriate 일치하게끔 행동을 하게 하믄 되는 거걸랑. 그럼 유데모니아 해지는 거걸랑 가능한 일이라면. 

 

해서 그 글들이, 첫번째가 great soul 이야. 저기서 great가 무엇의 다른말이겠니, virtuous 겠지. 저 버츄어스를 덕있는 . 버츄를 덕. 이리 해석해서 글질하믄 이해가 되니 안되니. 걍 쏠은 쏠이고 버츄는 버츄고 버츄어쓰는 버츄어쓰해 지금 걍 막 글질하는데 적합한 단어가 안떠오른다.

 

다음글이 저 appropriate 에 관한겨. 저 단어 처음 유데모니아 정의할때 나온거다. 저걸 어드래 그레이트 쏘울과 일치시키느냐. soul은 머냐. 다 정의를 하겄지 우리 아리.형이. 서둘지 마러좀. 저 일치 싱크로시키는건, 일단 아리.형이 그걸 example 사례로 보여주는 거지. 이런 식으로 일치되는 경우가 있단다. 그 appropirate 할때 그걸 just 하다 정당하다 하는겨.

 

 

 

  • Being of "great soul" (magnanimity), the virtue where someone would be truly deserving of the highest praise and have a correct attitude towards the honor this may involve. This is the first case mentioned, and it is mentioned within the initial discussion of practical examples of virtues and vices at 1123b Book IV.[9]
  • The type of justice or fairness of a good ruler in a good community is then given a similar description, during the special discussion of the virtue (or virtues) of justice at 1129b in Book V.[10]
  • Phronesis or practical judgment as shown by good leaders is the next to be mentioned in this way at 1144b in Book VI.[11]
  • The virtue of being a truly good friend is the final example at 1157a in Book VIII.[12]

(In the Eudemian Ethics (Book VIII, chapter 3) Aristotle also uses the word "kalokagathia", the nobility of a gentleman (kalokagathos), to describe this same concept of a virtue containing all the moral virtues.)

This style of building up a picture wherein it becomes clear that praiseworthy virtues in their highest form, even virtues like courage, seem to require intellectual virtue, is a theme of discussion Aristotle chooses to associate in the Nicomachean Ethicswith Socrates, and indeed it is an approach we find portrayed in the Socratic dialogues of Plato.[13] Aristotle also does this himself, and though he professes to work differently from Plato by trying to start with what well-brought up men would agree with, by book VII Aristotle eventually comes to argue that the highest of all human virtues is itself not practical, being contemplative wisdom (theōria 1177a). But achieving this supreme condition is inseparable from achieving all the virtues of character, or "moral virtues".[14]

The way Aristotle sketches the highest good for man as involving both a practical and theoretical side, with the two sides necessary for each other, is also in the tradition of Socrates and Plato—as opposed to pre-Socratic philosophy. As Burger (2008) points out (p. 212):- "The Ethics does not end at its apparent peak, identifying perfect happiness with the life devoted to theōria; instead it goes on to introduce the need for a study of legislation, on the grounds that it is not sufficient only to know about virtue, but one should try to put that knowledge to use." At the end of the book, according to Burger, the thoughtful reader is led to understand that "the end we are seeking is what we have been doing" while engaging with the Ethics (p. 215).

 

 

하튼 저거 다 그런 이야기고.

 

https://socserv2.socsci.mcmaster.ca/econ/ugcm/3ll3/aristotle/Ethics.pdf

 

여기 영문 pdf. 180페이지 되는거. 저걸 저리 보믄 된단다. 저것도 말이지 한글판이 저거의 두세배 페이지다. 걍 영어 봐라.

 

일리아스. 영문판 단권 하나를, 책 나온거 봐라, 그 서사시. 그게 한글로 된게 세권 두껍게. 시.를 시 자체로 안읽고, 번역한게  뭔 논문이냐. 한글러는 뒤쳐질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