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종실록 1권, 중종 1년 9월 2일 무인 1번째기사 1506년 명 정덕(正德) 1년 
중종 반정을 일으키다


...용사(勇士)를 신수근(愼守勤)·신수영(愼守英)·임사홍(任士洪) 등의 집에 나누어 보내어, 위에서 부른다 핑계하고 끌어내어 쳐죽였다...

 

 

 

신수근 신수겸 신수영, 이 삼형제는 신승선의 아들이다. 신승선은 연산군 일기 시작날 두번째 기사에 등장한다. 이때 우의정이었고 나중 영의정까지 한다. 국무총리다. 딸이 연산군의 정비다. 폐비 신씨. 

 

신수근 3형제의 매부가 연산군이라 연산군의 처남들. 다들 판서자리를 한다. 장관. 장남 신수근은 영의정도 하다. 실세 중 실세다. 연산군 당시.

 

이 신수근의 딸이 연산군의 배다른 동생. 나중 연산군 다음의 중종. 의 부인이다. 중종은 아마 이 신수근 딸이 없었으면 죽었을듯. 중종보다 1살 많다. 중종즉위시 19살. 반정군이, 중종비인 신씨(연산군의 부인 신씨는 신수근의 누이. 헷갈리지 말자)가 역적 신수근의 딸이라 일주일도 안돼 폐위시킨다.

 

 

 

반정 3대장 중 박원종은 이 신수근을 원래 반정에 가담시키기로 했다. 여러 야사가 전해진다. 

 


 

 

신수근의 입장이 애매한거라. 반정군이 옹립하는 중종의 부인은 자기 딸. 반정군이 엎으려는 연산의 부인은 자기 누이. 더구나 자기보다 26살 아래. 딸같은 여동생이라(중종의 부인인 자기딸보다 11살 많다)

 

신수근은 누릴꺼 다 누린 입장이다 연산군 밑에서. 영의정까지했으니. 1450년 생이니 저때 나이 56세. 

 

신수근은 가담하지 않는다. 

 

 

 

만약 신수근이 이 반정사실을 연산에게 알려줬다면, 반정은 성공할 수 없었을 지도 모른다. 신수근은 침묵했나보다. 이사람 묘하다

 

 

 

그리고 바로 반정군은 사람들을 보냈고, 그냥 자기 동생이랑 몽둥이로 맞아죽었다. 둘째 동생 신수겸은 당시 개성유수인가 하튼 다음날 칼로 쳐죽였다한다. 이렇게 삼형제는 죽었다.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박원종(朴元宗)이 신수근(愼守勤)에게 ‘대감의 매부(妹夫 연산군(燕山君))를 폐위(廢位)시키고 대감의 여서(女婿 중종(中宗))를 세우는 것이 어떻겠는가?’라고 하자, 신수근이 ‘금상(今上)이 피똥을 싸니 어찌 오래 살 수 있겠는가.’라고 대답하였습니다. 이는 따르지 않겠다는 뜻이었으므로 성희안(成希顔) 등이 사람을 보내어 신수근을 쳐 죽였습니다. 

 

고전번역서 > 동춘당집(同春堂集) > 동춘당집 별집 제6권 > 경연일기(經筵日記)  5일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연려실기술에선 몽둥이로 때려 죽이다.

 

 

 

 

 

후에 영조 때에 이 신수근을 복원시키다. 즉, 연산군이 폭군일지라도, 그 님을 버리지 않은 것이 영조에겐 충 忠 인거라. 임금입장에선 저런 신하가 너무나 애틋한거지. 

 

 

영조 15년 3월 15일 신유 2번째기사 1739년 청 건륭(乾隆) 4년 
선정전에 나가 백관이 낸 의견을 아뢰게 하고 사우에서 예할 날을 잡게 하다


"네가 신수근의 일에 대하여 본말(本末)을 잘 몰랐는데, 어제 시장(諡狀)을 보고 비로소 환히 알게 되었다. 그 대체를 논하면 신수근은 대개 천명(天命)을 몰랐다고 하나 이것은 또한 세속의 말이다. 아! 신수근의 마음은 괴로왔고 신수근의 뜻은 확고하였다. 훈척에 연연하지 않고 섬기는 바를 바꾸지 않으며 순박하고 강개하여 자신을 돌보지 않았으니, 만약 포장(褒奬)하지 않으면 어떻게 임금은 임금답게 신하는 신하다운 도리를 바루겠는가? 대신으로 하여금 품처하게 하라."
 

 

 

중종반정일이 1506년 9월2일 자정. 233년 만에 조명이 된다. 중종실록의 신수근은 사악한 이로 졸 묘사되어있다 시작에. 

 

 

 

그리고, 2달 후에

 

 

영조실록 49권, 영조 15년 5월 13일 무오 1번째기사 1739년 청 건륭(乾隆) 4년 
허옥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고, 좌의정 익창 부원군 신수근 등에게 증시(贈諡)하다
...신수근(愼守勤)에게 신도(信度)라 증시(贈諡)하고, ...

 

 

증시. 시호를 줬다. 신도. 믿음의 척도. 기준이라. 최고로 믿을만한 이란 거지. 

 

 

 

 

영조 51년 8월 24일 기해 2번째기사 1775년 청 건륭(乾隆) 40년 
‘고금 동충’이라는 4자를 써서 신수근의 사우에 걸도록 하다

임금이 ‘고금 동충(古今同忠)’이라는 4자를 써서 내려 주고 이르기를,

"신수근(愼守勤)136) 은 포은(圃隱)137) 과 함께 충의(忠義)가 같다."

하고, 호조에 명하여 사우(祠宇)를 만들어 주고 그 곁에 각(閣)을 세워서 이것을 새기어 걸게 하라고 하였다.

 

 

 

그리고 다시 36년 후의 기록. 신수근의 충의는 포은 정몽주와 같다. 하고 네글자를 내려준다. 고금동충. 예전엔 정몽주가 지금은 신수근이 있다 충.忠은.

 

극찬중 극찬이다.

 

 

 

홍언충(洪彦忠)

 

홍언충은 자는 직경(直卿)이며, 호는 우암(寓菴)이요, 본관은 부계(缶溪)이다. 대제학 귀달(貴達)의 둘째 아들로서 을묘년에 문과에 올라 호당(湖堂)에 뽑혀 들어갔다. 벼슬은 교리에 이르렀다.
○ 17세 때에 ‘병상구부(病顙駒賦)’ 를 지어 세상에 이름이 알려졌다. 일찍 과거에 올라 청관(淸官) 현직(顯職)을 지냈다.
○ 갑자년에 옛날 직언한 신하를 소급해 죄줄 때 시종신(侍從臣) 중에 죄를 면한 이가 드물었다. 공은 옥에 갇혀 고문을 당하고 나서 담여(擔輿) 아래에서 조금 쉬었다. 이때 김안로(金安老)는 그의 옷이 피로 물든 것을 보고 가엾게 여겨 그것을 가리키면서, “참혹하도다.” 하니 공은 “이것은 홍문관 물이 든 것이라.” 하였다.대개 홍문관 탄핵으로 죄를 받았다는 말인데 홍(弘)과 홍(洪)은 음이 같다. 국문을 마치고 귀양갔던 곳으로 다시 돌려보냈다. 김안로는 교외(郊外)에 나가 전송하였는데, 공이 “학문을 한 화가 이 지경에 이르렀는가.” 하며 자못 고통스러운 기색이 있었다. 이에 김안로는 희롱하기를, “만약 자네에게서 지혜를 깎아 버리고 학식을 어둡게 하여 좋고 나쁜 것을 가리지 못하고 콩과 조를 서로 혼합하여 아무 것도 분변 못하는 그런 물건이 되라 하면 자네가 또한 그리 하겠는가?” 하니, 공은 탄식하기를, “무슨 말이냐. 떠돌아 다니며 고생하는 중에도 사람들이 혹 나를 기억해 주는 것은 학문 때문이고, 나그네 길에 온갖 고생을 하고 양식이 떨어졌을 때 사람들이 혹 나에게 양식을 대주는 것이 다 학문 때문이다. 바다 섬 속에 귀양가 있으면서 정신이 괴로운 중에 문묵(文墨) 아니면 즐거워할 일이 없으니, 학문의 공은 큰 것이다. 진실로 나로 하여금 마음으로는 착하고 악한 것을 가려내고 입으로는 옳고 그른 것을 말하게 하여, 남의 시기와 미워함이 내 한 몸에 모여서 이 세상에서 화를 당하게 한 것도 학문이지만 또 스스로 학문의 힘으로 저만큼 얻은 것이다. 그로하여 죄를 얻고 고통을 당할 적에 나의 학문을 미워하여 나를 어리석은 자로 돌리고 나의 지각을 빼앗아 미련하게 밥만 먹고 있을 뿐이라면 하늘 위에서 떨어져 구덩이 속으로 내려오는 것처럼 망연자실할 것이니, 비록 엎드러지고 자빠지는 일이 있더라도 내가 어찌 감히 이 짓을 하리오.” 하였다. 《용천담적기》
○ 진보(眞寶)에 귀양가서는 반드시 죽게 될 것을 스스로 단정하고 옛 사람을 모방하여 자신의 만장(挽章)을 짓고 묘갈명(墓碣銘)도 지었다. 그 묘갈문에, “대명(大明 명 나라) 천하 햇빛이 비치는 나라에 남자의 성은 홍(洪)이며 이름은 충(忠)이요 자는 직(直)이라. 반평생에 오활하고 옹졸함은 문자의 공이다. 32세에 세상을 마치니 명은 어찌 그리도 짧으며 뜻은 어찌 그리도 긴고. 옛 고을 무림(茂林)에 묘지를 정하니, 푸른 산이 위에 있고 물굽이 언덕이 아래에 있도다. 천추만세 뒤에 누가 이 들판에 지날는지. 반드시 이곳을 가리키고 배회하면서 슬퍼할 사람이 있을 것이라.” 하였다. 《동각잡기》
○ 연산주의 음란하고 포악한 행실이 극도에 달하자 반정할 기미가 있었다. 집안 사람이 권고하기를, “당세에 이름이 알려진 이장곤(李長坤) 같은 이도 망명하였는데, 공은 어찌 지금까지 가지 않습니까?” 하였다. 공은 “인륜이 다섯 가지가 있으니 부자 관계가 그 첫째이고, 군신 관계가 그 둘째이다.나는 지금 아버지는 벌써 세상을 떠났으니 가장 중한 것은 다만 군신의 의리가 있을 뿐이다. 지금 만약 망명한다면 이는 아버지도 없는데 또 임금도 없게 되는 셈이 된다. 임금의 명을 어찌 도피하리오.” 하였다. 조금 후에 잡으러 왔으므로 공은 조용히 길을 떠났다. 가다가 유곡역(幽谷驛)에 이르러 자신의 만장을 지었다.조령(鳥嶺)에 이르러 중종(中宗)이 이미 왕위에 올랐다는 말을 듣고 공은 울기를 마지 아니하였다. 중종은 연산주 때 내쫓긴 사람을 먼저 뽑아 썼으니 장순손(張順孫)ㆍ이장곤(李長坤) 같은 이는 모두 좋아라고 나갔으나, 공은 끝내 나가지 않고 시 짓고 술마시는 것으로 스스로 즐겁게 지내다가 불행히 일찍 죽었다. 연산주를 위하여 절개를 지킨 사람은 오직 우암(寓菴)뿐이었다. 〈축수편〉
 

 

유기창(兪起昌)

 

유기창은 자는 자성(子盛)이며, 본관은 기계(杞溪)이다. 무과에 올라 연산주 때에 정평 부사(定平府使)로 있다가 거제(巨濟)에 귀양갔다. 같은 때에 거제로 귀양간 사람이 세 사람 있었는데, 매양 서로 이끌고 산에 올라 북쪽을 바라 보았다. 어느 날 금부 도사가 달려와서 한 사람을 잡아가서 죽이고 얼마 지나지 않아 또 한 사람을 잡아가 죽이니 공은 홀로 있으면서 아침 저녁으로 명령오기만 기다렸다. 어느 날 급한 심부름군이 바다를 건너오는 것을 바라다보고 집안 사람을 불러 영결하였다. 심부름군이 도착하여 중종(中宗)이 왕위에 올랐다는 소식을 알리고 공을 병조 참지로 임명하고 그 아들 여림(汝霖)은 한림(翰林)으로 승진하게 되었다는 아들의 편지를 전하였다. 공은 편지를 보고 집안 사람에게 말하기를, “나는 마땅히 예전 임금을 위하여 울어야 되겠다.” 하고 자리를 깔고 북쪽을 향하여 큰 소리로 울었다. 아들에게는 편지로 답을 써서 충성을 다하여 임금을 섬기라고 말하고, 자신은 비인(庇仁)으로 돌아가서 한평생을 마칠 때까지 벼슬하지 아니하였다. 죽을 때 신주에 첨지중추(僉知中樞)만 쓰라고 단단히 타일렀다. 《후촌만록(後村謾錄)》
 

 

김숭조(金崇祖)ㆍ남세주(南世周)

 

연산주의 옛 신하 김숭조와 남세주는 중종이 왕위에 오른 뒤에 벼슬하지 않고 밖에 나오지 아니하였다. 한 사람은 청맹(靑盲)이라고 핑계하고 한 사람은 고질이 있다고 핑계하였다. 연산주가 쫓겨나고 중종조가 일어나는 천명을 어길 수 없음을 알지 못한 것은 아니지만 자기의 주견을 지켜 세속을 따르지 않고 혼자 행하여 변하지 아니하였다. 《장빈호찬》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K

연려실기술 제6권

 

 

 

 

 

 

폭군이라해도 절개를 지킨 저들이 나은걸까?

 

 

연산군때 졸 즐겼으면서, 반정하고, 중종때 다시 졸 즐긴 대부분의 대간대신들이 나은걸까?

 

 

더 낫다는 건 뭘까? 낫다는 건 뭘까?

 

 

 

전두환의 그 장세동 이하 그들은 어떤걸까?

 

디제이의 그 동계동계는 무얼까?

 

 

 

 

노무현 구속하니 마니 할때 그 실세들, 친노라는 국회의원들은 머했을까? 지금 친노라는 그 x쌔끼들은 그때 머했을까?

 

 

 

 

 

충 忠이란 뭘까?

 

 

정몽주는 위대한 걸까?

 

 

 

 

이 몸이 주거주거 일백 번 고쳐 주거
백골이 진토되여 넉시라도 잇고 업고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싈 줄이 이시랴
-정몽주

 

이방원과 나눴다는 저 마음이 졸 훌륭한가?

 

 

 

이런들 엇더하며 뎌런들 엇더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긔 엇더하리
우리도 이갓치 얽어져 백 년까지 누리리라
-이방원

 

이방원의 이 마음이 졸 나은가?

 

 

 

산다는게 뭔가?

 

 

 

역사란게 뭔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