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ough the Looking-Glass, and What Alice Found There (also known as Alice Through the Looking-Glass or simply Through the Looking-Glass) is an 1871 novel[1] by Lewis Carroll and the sequel to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 (1865)  

https://youtu.be/NiMKUurSHaY

 

 

 

루이스 캐롤.이 앨리스의 리덜 집안과 연 끊은게 1863년 이야. 칠년 을 이 집에 드나들면서 아이들과 놀다가 끊어졌어. 앨리스 가 11세 때야. 1858년 앨리스 6세 때 사진이 랑 책 앨리스 랑 이미지 가 전혀 달라. 존 테니얼 의 삽화 는 캐롤 과 같이 그린거야 상의해서. 

 

연 끊어지고, 2년 후 처음 앨리스의 모험들 원더랜드에서, 가 나오고 1865년. 그리고 6년 후 에 거울나라의 앨리스 가 나온겨. 여기선 앨리스 가 자기 소개하면서 난 일곱살 반 이예요 하거든. 퀸이 백한살인가 라 하고, 앨리스는 걍 여기의 말들은 다 무시해 짜증나서. 

 

不思議の国のアリス』(ふしぎのくにのアリス ) 일본애들이 불사의, 후시기 노 쿠니 노 아리스.  슈퍼내추럴 한걸 불사의. 후 시기 라고 해. 불가사의 후카시기 를 줄여 써. 같이도 쓰고. 이걸 괴상하게 한글로 이상한 나라 이따위로 번역한건데. 원더 란건 미라클이고, 영어애들이 아이 띵크, 란 말 쓰는데 요즘 이 아이띵크 쓰면 진부 하고 유치한겨. 아이 원더 해 차라리. 아이 원더 댓 해서 먼가 자기만의 획기적 생각 이걸랑. 자주 써 아이 띵크 대신. 

 

걍 원더랜드의 앨리스 가 딱 맞아. 저걸 굳이 한글로 번역 할 필요가 없어. 책 제목도 모험들 이야. 앨리스의 모험들. 얘들은 꼬마 여자애 의 이야기 도 모험이야. 2탄도 어드벤처 모험이야 제목으론 안 뺏지만. 오뒷세이아 가 모험 이고, 끝날때도 행복하게 살았소 라고 안끝나, 오뒷세우스가 아들이랑 같이 집 나서는겨 후환 처리하려고. 로빈슨 크루소 도 끝은 머여? 아 그 이후 도 여기저기 돌아다녔어요 고생 무지 했고요 이 이야기는 다음에. 아르고호 이야기에, 십자군 이야기에, 

 

얘들은 걍 어드벤처 가 그 자체야 이야기 전부야. 이게 이 아시아 애들과 전혀 다른겨 정서가.

 

웨스턴과 아시아는, 전혀 전혀 다른 종족이야, 영혼이. 

 

아시아는, 똥이 된겨. 유전자의 차이는 없을지언정 같은 스피시즈 라고. 영혼은 똥이야 똥. 그래서 ㅇㅇ하면 위인이 돼, 머여? 애들 보고 ㅇㅇ하란겨 그럼 넌 위인이 된단다. 미친 똥빠닥이야 여기가. 인간의 모랄의 추락의 극치 를 보여주는겨 여기가. 얘들이 곧 짱게 와 북조선 과 합해서 이 인류의 가장 거대한 똥덩어리 적이 되는겨 이게. 

 

鏡の国のアリス』(かがみのくにのアリス ) 일본이 카가미 노 쿠니. 라며 거울나라 라 했거든. 

 

愛麗絲鏡中奇遇》 중국은, 애려사 경중기우. 애려사 가 알리스 앨리스 이고, 거울 가운데 의 기이한 만남 이야. 

 

일본분들이 거울 나라 해서 위대한 조선들도 거울나라의 앨리스 하는거고.

 

.

룩킹-글래스. 라는게 영국 영어야. 이건 미국애들도 안쓰는 영어야. 미러 가 미국영어고. 왜냐면, 미러 라는게 라틴어 미로르 야. 이건 원더하는 놀라는겨 미라클 이란게 미로르 하는 대상이고 기적이란거고. 이게 프랑스 가서 미레르 에 미러 가 되서 중세 위인전 을 미러 라고 이걸 거울 리터러쳐 이지랄 하는건데, 아시아에서 금속 뭔 문학 이렇고. 전혀 잘못된겨 이게. 저건 거울 비추는 듯한 위인전 이 아니고, 기적같은 이야기 원더풀 스토리야. 이게 거울 이 된겨 불어에 영어 미러 로.

 

글래스 는 게르만 말이야. 거울로 정확하게 룩킹-글래스 로 쓰는거야 영어로. 미러 는 잘못된 불어의 영어야 저건 얘들 입장에선. 안쓰는겨 영국은. 고급 영어애들은 미러 를 안쓰고 여전히 룩킹-글래스 라고 해 영국은. 미국 애들은 루이스 캐롤의 저책 이 아니면 룩킹-글래스 가 먼지 몰라. 미국애들은 저 단어를 전혀 안써. 

 

 

단지 거울을 통과해서 앨리스가 거기서 찾은 것. 이게 원 제목이야. 저기에 거울 나라 니 따위 단어는 없어. 

 

저긴 룩킹-글래스 하우스.야. 챕터 시작 제목이. 거울 집 이야. 먼놈의 거울나라 어쩌고. 다 완벽한 거짓말이야 번역이. 이 조선 애들은, 정말 근본부터 끄읕 까지 모~든게 거짓 이야. 특히 이 인문학 바닥은. 그래서 거짓 그 자체 인생 똥떵어리 가 똥 구데기 로 ㄷㅈ 저따위꺼를 위인 이랍시며 추모해대는겨. 추기경 이란 작자도 저길 가. 죽음이 그리 고귀하면 이 ㅇㅇ꺄 앞으로 모~든 인민들의 장례식에 똑같이 참여해 이 ㅇㅇ ㅇㅇ. 어떻게 너 따위가 추기경이냐. 넌 넌 넌 똥이야 똥. 

 

인간들이 사람 아주 차별하는겨. 저따위 똥 떵어리 에게 온갖 눈물지랄. 죽으면 모든게 용서되고 위인이야? 그럼 똑같이 모~든 죽은 자들 각각에게도 그렇게 대해 야 하는게 니덜이 추구하는 평등 아니냐?

 

모~든게 거짓말 모~든게 거짓이야 거짓. 이 위대한 조선의 땅은. 

 

One of the key motifs of Through the Looking-Glass is that of mirrors, including the use of opposites, time running backwards, and so on, not to mention the title of the book itself.  

 

거울 이란건, 반대 의 세상이야. 저길 가고자 하고 저걸 만지려 하면 눈앞에서 사라져. 오히려 반대로 가면 만나지는겨. 아똑같이 시간도 반대야. 

 

화이트 퀸이 말해, 나는 과거 현재 미래를 다 기억한다. 앨리스 가 미래를 어떻게 기억해요? 넌 미래를 기억 못해? 멍청이. 그러다 소리를 막 질러? 왜 그래요? 바늘에 찔릴거야 곧. 어머 곧 찔려. 그런데 조용해. 왜 소리 안질러요? 아까 질렀잖니 머 또질러.

 

The looking-glass world is divided into sections by brooks or streams, with the crossing of each brook usually signifying a change in the scene, and corresponding to Alice advancing by one square. Furthermore, since the brook-crossings do not always correspond to the beginning and ends of chapters, most editions of the book visually represent the crossings by breaking the text with several lines of asterisks ( * * * ).  

 

이 거울집.은 체스판이야, 앨리스가 들아가고 전경을 보면서 어머 체스판 같아 구역이 정확해 하거든. 체스판이 여덟 구획으로 끝까지 되어있잖아. 이게 브룩스 와 스트림즈 로 구분 되어있다는겨. 스트림 은 리버 보다 작은 거고, 브룩 은 스몰 스트림이야. 한 구획을 건너 가면서 이야기 전개 하는겨. 저게 번역판에선 제대로 안되어 있는데, 각 구획 을 넘어갈 때마다 영어 원본은 애스터리스크 표시들이 두세줄 로 구분이 돼. 

 

* * * * * * *

 * * * * * *

* * * * * * *

 

이렇게 구분을 해. 한 구획 건널때마다. 앨리스 는 pawn 폰. 졸 역할이야. 가만보니 나들은 날라다니는데 앨리스는 뛰다니거든. 

 

Alice carefully released the brush, and did her best to get the hair into order. ‘Come, you look rather better now!’ she said, after altering most of the pins. ‘But really you should have a lady’s maid!’

‘I’m sure I’ll take you with pleasure!’ the Queen said. ‘Twopence a week, and jam every other day.’

Alice couldn’t help laughing, as she said, ‘I don’t want you to hire me—and I don’t care for jam.’

‘It’s very good jam,’ said the Queen.

‘Well, I don’t want any to-day, at any rate.’

‘You couldn’t have it if you did want it,’ the Queen said. ‘The rule is, jam to-morrow and jam yesterday—but never jam to-day.’

‘It must come sometimes to “jam to-day,”’ Alice objected.

‘No, it can’t,’ said the Queen. ‘It’s jam every other day: to-day isn’t any other day, you know.’

‘I don’t understand you,’ said Alice. ‘It’s dreadfully confusing!’  

 

앨리스 가 하양 퀸 을 매무새를 봐주는겨 거지차림이야. 머리 모양을 잘 정돈해주고, 봐요, 당신 지금 훨 나아보여. 핀들을 막 여기저기 꽂고 다녔었거든. 퀸아 당신 은 메이드 를 갖아야해! 혼자 이런거 하지 말고.

 

내가 그럼 너를 고용한다 기꺼이!. 하양 퀸이 답해. 일주에 2펜스 그리고 잼은 격일로

 

앨리스 는 웃지 않을 수 없었어. 나는 당신이 나를 고용하길 원하지 않아. 나는 잼 은 필요 없어. 

그건 졸라 좋은 잼이야.

글쎄 나는 원하지 않아 어떤 투-데이 도, 어느 만큼이든간에

 

너는 그걸 가질 수 없어 니가 그것을 원했어도. 규칙은, 잼 투-모로우 이고 잼 예스터데이지. 결코 잼 투데이 란건 없어. 

 

때때로는 잼 투데이도 되어야 지. 앨리스가 반박해

 

아니, 안돼. 잼이란건 에브리 어더데이 지. 투데이 란건 어떤 어더데이 도 아냐 니도 알겠지만. 

 

.

이 앨리스 이전 어드벤처 1탄도 그렇고, 저런 말장난 천지여 저 글이. 얘들 동화수준이 이게 골때리는겨. 쟤들은 라임 에 따라서 단어 쉽게 익히라는 의도에 그 자체가 시이고, 얘들은 시 자체가 라임 그 자체야. 이 라임 을 어긴 여자가 에밀리 디킨슨 이고, 

 

수학자 야 루이스캐롤은. 옥스포드 수학교수야. 논리 의 인간이고. 언어 자체 쓰는거 보면, 논리 게임 하는겨 저 사람이. 이게 고급져 애들 이야기에서. 애들은 저런 넌센스 같은 말도 안되는 글들 보면서, 무의식적으로 쟤들 언어를 깊게 사용하게 되는거야. 

 

잼 Jam 이란게, 짜대는 단어에서 쨈이 된건데. 전혀 다르게 원래 라틴어 iam 이암 이란 있어. now 지금 이란 뜻이야. nunc 눈크 란 라틴어 의 로망스어가 나우 가 된겨. 이암 과 눈크 를 같이 쓴겨. already 이미 벌써 의 의미에 긍정 부정 에 따라 구분해서 써. 지금 이미 벌써 란 의미로. 

 

잼 이란건, 지금 이고 여기선. 잼 은 투데이 란겨. 잼은 에브리 어더데이 이고, 즉 격일 인데, 잼 투모로우 잼 예스터데이 는 있어도 잼 투데이는 없다는건, 잼 이란 것 자체가 투데이야. 오늘 이란건 내일에서 오는거고, 오늘 이란건 어제 로 간겨. 오늘 이란 지금 은 없어. 없어. 잼 투데이 란건 있을 수가 없다는겨. 잼 이라는 투데이 란건. 현재 란건 없어. 과거 와 미래 만 있을 뿐. 앨리스 가, 대체 먼 소리야?

퀸은 지금 오늘 의 의미로 잼을 쓰는거야 규칙은 불간데 너한테는 격일마다 지금 오늘을 준다는거고
앨리스는 잼 필요없다는거고 오늘주던 언제주던

 

In logicequivocation ('calling two different things by the same name') is an informal fallacy resulting from the use of a particular word/expression in multiple senses within an argument. 

 

이걸 이퀴보케이션. 이퀴, 같은, 보코. 소리. 소리는 같아. 그런데 뜻이 여러 뜻을 갖은 단어로 논리의 오류가 발생하는걸 이퀴보케이션 이라고 해. 맨 은 이성이 있어. 우먼 은 맨 이 아냐. 우먼 은 이성이 없어. 언어 의 의미 차이에 의한 오류 이고 인포멀. 비공식적인 오류야. 저게 리터러쳐 에서 흔히 쓰는 말장난이고. 

 

 

앨리스 가 원더랜드 앨리스 에 이어 6년후 나온 거울집 의 앨리스 도 아 저거 최고야 진짜. 

 

너무너무 신선해. 저건 애들 이야기 는 걍 애들 수준의 재미로 보는거지만. 저건 필히 성인들이 봐야하는겨 저건. 그림 동화 안데르센 동화는 필독 필독서야. 웨스턴 애들은 저런게 어릴때부터 찌인한겨 마더구스 이야기부터해서. 이 수준을 이스턴 애들이 따라 갈 수가 없는겨 이게. 

 

아 저거 다 번역해주고 픈데 내가. 저런게 전혀 번역으로 주석 으로도 없어 한글로. 먼말인지 몰라. 이땅 애들이 라틴어 를 전혀 전혀 모르잖니. 

 

이땅 인문학 이 아마 세상에서 가장 저능한 수준일거야. 

 

이땅 인문학에서 키우는게 정치권의 저런 똥 떵어리 들 수준이야. 앞으로 인문학의 정치꾼들이 사라질거야. 그리고 자연과학 애들이 정치 를 지배하게 돼. 테크노크라시 가 정확히 맞아 이렇게 되어야 하고 될 수밖에 없어. 인문학은 너무나 후지거든. 앞으로 자연과학 애들이 인문학을 같이 하게돼. 저 루이스캐롤 도 수학자가 추상의 세상을 아름답게 인문학으로 풀은겨. 자연과학 애들이 철학 을 지배하게 돼. 요즘 철학자들 만큼 미개한 이들이 없어. 앞으로 인문학은 철저하고 완벽하게 자연과학 의 품에 들어가는거야. 지금 자연과학 애들이 철학자 애들 의 말보다 더 깊어. 인문학 애들이 자연과학을 이해를 절대 못해 이해할 머리도 안되고, 자연과학 애들이 오히려 너무 쉬워 인문학이. 얘들이 앞으로 인문학을 다시 짜고 정치 를 얘들이 하게 돼. 그러다가 나중에 영성주의자 도 이 자연과학 에서 나오는거야. 

 

인문학은 똥이야 똥. 

 

‘Well, it no use your talking about waking him,’ said Tweedledum, ‘when you’re only one of the things in his dream. You know very well you’re not real.’

‘I am real!’ said Alice and began to cry.

‘You won’t make yourself a bit realler by crying,’ Tweedledee remarked: ‘there’s nothing to cry about.’

‘If I wasn’t real,’ Alice said—half-laughing through her tears, it all seemed so ridiculous—‘I shouldn’t be able to cry.’  

 

글쎄, 그건 소용이 없어 너가 이야기 하는건 그를 깨우는거에 대해. 너는 단지 그의 꿈속에서의 것들 중의 하나 일 뿐이야. 너도 알잖아 아주 잘, 너는 리얼 하지 않다는걸

 

나는 리얼해! 앨리스가 말하고 울기 시작했다

니가 운다고 해서 니가 조금 더 리얼해지게 만들지 않아져. 무엇을 위해 운다고 할때 의 무엇은 낫띵이야. 없는 것에 대해 왜 우니.

내가 리얼하지 않다면, 울면서 반은 웃으면서 말했다 좀 우스꽝스러운 모습일테지만. 나는 울 수 없을 거야. 

 

‘I hope you don’t suppose those are real tears?’ Tweedledum interrupted in a tone of great contempt.

‘I know they’re talking nonsense,’ Alice thought to herself: ‘and it’s foolish to cry about it.’  

 

야 나는 진짜 바래. 니가 그따위 것이 진짜 눈물들이라고 가정하지 말기를. 

저것들은 난센스 아무의미없이 말하는거지 참. 저런애들때문에 운다는건 어리석은거야. 라고 생각했다.

 

.

쟤들 저 전체 글들이, 아이 에게 삶의 지침들을 은연중에 쫘악 깔아. 더하여 유머 가 전체에 쫘악 깔아. 글 하나하나 가 졸 깊고 리얼해 저게. 애들이 현실감 없이 살 수 가 없어 저게. 동양의 글들과 전혀 달라. 

 

저게 고대그리스 로마 에 이전 수메르 에 중세유럽 천년의 정서들이 응축된 것이 쟤들 동화여. 

 

‘I should like to buy an egg, please,’ she said timidly. ‘How do you sell them?’

‘Fivepence farthing for one—Twopence for two,’ the Sheep replied.

‘Then two are cheaper than one?’ Alice said in a surprised tone, taking out her purse.

‘Only you must eat them both, if you buy two,’ said the Sheep.

‘Then I’ll have one, please,’ said Alice, as she put the money down on the counter  

 

나 계란 하나 사고 싶어. 소심하게 말했다. 당신 어떻게 팔아?

하나당 5펜스야. 두개에 2펜스고. 양이 답했다

그러면 두개가 하나보다 더 싼거야? 놀라운 톤으로 말했다 지갑을 꺼내면서

그 두개를 너만이 먹어야 만 해 두개를 산다면.

음 그럼 난 하나 갖을거야. 카운터에 그 돈을 놓았다. 

 

‘That’s three faults, Kitty, and you’ve not been punished for any of them yet. You know I’m saving up all your punishments for Wednesday week—Suppose they had saved up all my punishments!’ she went on, talking more to herself than the kitten. ‘What would they do at the end of a year? I should be sent to prison, I suppose, when the day came. Or—let me see—suppose each punishment was to be going without a dinner: then, when the miserable day came, I should have to go without fifty dinners at once! Well, I shouldn’t mind that much! I’d far rather go without them than eat them!  

 

키티. 가 1편에서 이름만 나오는 앨리스 의 고양이 다우너.의 새끼 고양이야. 실타래로 난리를 폈어. 키티, 너 세가지 잘못했어. 너 아직 그중 하나에 대해서도 벌받지 않았어. 너 알거야 내가 너의 모든 형벌들을 모아놓았다는걸 수요일에 집행할거야-가만, 그들도 내 모든 죄와벌들을 모아놓았을거아냐! 그녀는 키티 보다 자기에 대해 더 생각하게 되었다. 그들이 한 해의 마지막에 무엇을 할건가? 나는 감옥에 보내져야만 할 거야 그날이 오면, 아니면 가만 보자, 각각의 벌이 저녁 못먹게 하는거면, 음 그 비참한 날이 올때, 나는 한번에 50 개 저녁식사없이 지내야만 해! 흠, 난 그정도 는 신경써선 안돼! 한번에 50 저녁을 먹는것 보다는 아예 안먹는게 훨 나아. 

 

아 저거 재밌다 진짜

 

From Old French AlisAlice, from Old High German Adalheidis, from adal (“noble”) + -heit (“nature, character”). Doublet of Adelaide.  

 

앨리스 가, 게르만 말이고, 아달 하이트, 노블 한 캐릭터. 걸랑. 귀족적인 이란 귀족 은 잘못된 번역어고 메이지때의. 

 

From Middle English, from Old French noble, from Latin nōbilis (“knowable, known, well-known, famous, celebrated, high-born, of noble birth, excellent”), from nōsceregnōscere (“to know”).

 

노블 이란 건, 라틴어 노빌리스 이고, 노스케레 그노스케레. 그리스어에서 온거고. 노스코 나는 알다.야. 그노스티즘 의 영지주의에. 노우 날리지 의 알다 앎 지식 이고. 노타 노트 콕 찍은거고. 

 

귀족이 아니라, 걍 아는 거야 아는거. 배워 아는게 노블 한거야. 귀한 거고. 

 

저거의 게르만말 이 아달 이고. 이게 아델 Adel 이란 영국 가수 이름 이 노블 노빌리티 란겨 이게 앨리스 이고. 

 

저거 보믄 참 기분이 상쾌해진다. 영어로 봐야 머든 제맛인데, 한글로라도 처 읽어라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