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nggold Wilmer "Ring" Lardner (March 5, 1885[1] – September 25, 1933) was an American sports columnist and short-story writer best known for his satirical writings on sports, marriage, and the theatre. His contemporaries Ernest Hemingway, Virginia Woolf, and F. Scott Fitzgerald all professed strong admiration for his writing.
링골드 윌머 링 라드너. 링 라드너 라고 줄여 말하는데. 1885-1933 미국 스포츠 칼럼니스트 에 단편 작가. 스포츠 결혼 연극 에 관련된 풍자적 글쓰기로 잘 알려져있다. 동시대의 어니스트 헤밍웨이, 버지니아 울프, 피츠제럴드 모두가 그의 글에 대해 강한 찬사를 표했다. 버지나아 울프 가 세살 많고, 나머지 둘은 졸 어리고.
저 사람 책이
Books[edit]
- Bib Ballads (1915) (Illustrated by Fontaine Fox)
- You Know Me Al (1916)
- Champion (1916); [later adapted into a 1949 film]
- Gullible's Travels (1917)
- Treat 'Em Rough (1918)
- The Real Dope (1919)
- The Big Town (1921; basis of 1948 movie So This Is New York)
- My Four Weeks in France (1922)
- How to Write Short Stories (1924)
- Haircut (1925)
- What Of It? (1925)
- Round Up (1929)
Essays and other contributions[edit]
- Lardner, Ring (April 18, 1925). "The constant Jay". The New Yorker. 1 (9): 20.
Lardner later published such stories as "Haircut", "Some Like Them Cold", "The Golden Honeymoon", "Alibi Ike", and "A Day with Conrad Green". He also continued to write follow-up stories to You Know Me Al, with the protagonist of that book, the headstrong but gullible Jack Keefe, experiencing various ups and downs in his major league career and in his personal life. Private Keefe's World War I training camp letters home to his friend Al were collected in the book Treat 'Em Rough: Letters From Jack the Kaiser Killer. The sequel, The Real Dope, followed Keefe overseas to the trenches in France.
변역된게 하나 없어. 보니까 헤어컷.이 이발 로 전자책 번역해서 걍 파는가 본데. 우리네는 문학책 번역이 이제 시작이야. 쟤들 수천만권이 번역이 안되었다고 보면 돼. 우린 걍 무지 의 뇌로 사는 인종이여 이게. 호모 사피엔스 도 아녀 이건. 걍 벌레 수준의 지능...은 될까?
영화로 몇개 나왓고. 저게 걍 단편이니까, 영어공부해서 보도록 해. 저 목록이 전부가 아닌데.
Alibi Ike is a 1935 American romantic comedy film directed by Ray Enright and starring Joe E. Brown and Olivia de Havilland. Based on the short story "Alibi Ike" by Ring Lardner, the film is about an ace baseball player nicknamed "Alibi Ike" due to his penchant for making up excuses. After falling in love with the beautiful sister-in-law of the team manager, he is kidnapped by gangsters who want him to throw the last game of the season and the pennant.
이 사람 단편 중에. 알리바이 아이크. 라는 당시 잡지 연재 소설이걸랑. 링 라드너 가 죽고서 2년후에 영화로 나와. 로맨틱 코메디. 야구선수 프랭크 파렐 이걸랑. Frank X. Farrell. 얘 닉.이 알리바이 아이크.야.
프랭크 란건 franc 프랑크 라는 올드 프랜취인데. 이건 free 프리 에서 온겨. 게르만말이고 이게 라틴어가 되고.
프랑크족 할때 Frank 이 프랑크 는 창.이야. 얘들이 창을 잘 쓴겨. 이건 fanca 프랑카.여 그러다 프랭크 프랑카 가 혼용되는건데. 창 잘 쓰는 프랑크족이 프리 한거고 귀족 귀해지는거고. 이게 honest 아니스트 라는 우리말로 솔직 하지만, 아너러블, 아너 아니스트 honour 라는게 클래식 라틴어 honor 호노르 에 honos 호노스. 라는 명사에. 형용이 호네스투스 honestus 를 그대로 갖고 간건데. 이건 고급진 말이야. 이게 진짜 를 말하는 거고 진짜를 말하는 사람 드러내는 사람으로 로마에서 썼다가, 그대로 이걸 로망스 애들도 고급지게 쓰는겨. 정절 이니 정조 니 따위는 쟤들 말에 없어. 대부분 저 아너 아니스트 를 여자한테 쓰는 단어를 정조 정절 이따위로 번역하는거걸랑.
Borrowed from Latin alibī (“elsewhere, at another place”, adverb).
알리바이 라는게 라틴어 알리비. 야. 딴 곳에. 라는 뜻이고. 이게 딴곳에 있었음.을 말하는 알리바이로 쓴거야 고대 로마때도 법정에서 다툴때.
Ike + -y, representing a colloquial abbreviation of Isaac.
아이크 란 말이. 이삭.을 콜로퀴얼.의 줄임말. colloquy 콜로퀴 라는게 콜 로퀴. 로퀴.가 말하는겨. 함께 말하다. 대화 하는거고. 대화할때 친숙한 표현의 줄임 애칭.이야.
soliloquy 소릴로퀴. 가 솔로 로 말하는, 독백이야. 햄릿의 독백 이란게 햄릿 모놀로그 가 아니고 이 멍충이덜아. 햄릿 소릴로퀴 여.
아브람 abram 이 나이 99세에, 갓의 명령으로 이름을 아브라함 abraham 으로 바꾸고, 사래 sarai 도 사라 sarah 로 바꿔. 그리고나서 세명이 방문을 해. 그중 한명이 아브라함에게 말하는겨, 내가 내년에 다시 올텐데 그때 당신은 애가 하나 생겨있을꺼다. 이걸 사라 가 몰래 엿듣고, 웃어. 나이 백살인 영감에 먼 아기냐며.
이삭. 의 이름이 그래서 he laughs 그가 웃는다.에 그가 웃을거야.라는 의미걸랑.
아이크, 아이키. 가 이삭의 대화체 줄임말인데, 저게 애칭으로 쓰이는게 아니라, 유대인 비하 언어로 쓰인거야.
아이키 모세. Moses 이 모세 란 것도 히브리발음은 모셰.야. 영어로 모지즈. 하는데. 아이키, 아이키 모세 하며 놀림당한거지 유대인들이.
프랭크 파렐.이 파렐 도 펜실베니아 도시 이름이고, 원래는 파렐 땅 출신 아니스트 한 프랭크 였는데, 항상 죄송하다며 실례합니당 윤마담 식으로 실실 웃으며 착한 척 캐릭이여 저게.
아이크 라는 항상웃음질.에 자기의 알리바이 를 두는겨. 이 인간의 알리바이 는 아이크 라는 웃음 이삭 이야. 여긴 유대인 따위 감정선은 없고, 아 저 인간 잘 웃네. 여. 유쾌한 캐릭이야.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3. 말 이란 것1. 데카르트, 인간을 신의 족쇄에서 해방시키다 (1) | 2020.02.18 |
---|---|
212. 인간의 말 이라는 소리가 서양철학의 시작이자 전부 (5) | 2020.02.16 |
210. 리차드보다 먼저 온 윌리엄 (1) | 2020.02.15 |
유럽사262. 잉글랜드의 행정구역, 중세를 이어간다는 의지 (2) | 2020.02.15 |
209. 데카르트, 호모 코기탄스 의 시대 ft.타키딘 Taqī al-Dīn (2) | 2020.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