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이란 나라가, 비유럽에서 가장 이해를 못하는 나라가 이 영국이야. 영국사. 가장 어렵게 닥아오는 나라가 영국이야
영국의 행정구역 이랍시고 한글로 설명된거 몇개 오육분 봤는데, 저건 걍 모른다는겨.
우리네는 세계사 라는게 과목 의 하나 이고, 이게 필수도 아니고, 그렇다고 필수 일때 배우던 세계사도 그게 세계사가 아니거니와.
세상 모든 이야긴 유럽과 근접 아시아 에서만 벌어진거걸랑. 고대근동사 할때의 근동 이라는.
그 외의 지역은, 그냥 30만년동안의 호모사피엔스 만의 미개한 인간들의 중복되는 이야기야.
우리 조선 은 그야말로 없는 벌레같은 인간들과 이야기들을 떠받들며 그게 전부인양 살아온 애들이고 지금도 그리 사는 애들이고. 그게 지금 우리네 현실의 정치인들이고 학계 인간들이야. 저건 걍 지렁이 수준이여 저게.
너무 쉬워 너무. 간단한 이야기. 극동을 배운 이야기의 뇌세포로 유럽을 보려니, 당췌 이해가 되지 않는거야.
세상은 저 유럽의 천년 중세가 만든겨. 전혀 다른. 이전 30만년 의 호모사피엔스 를 뛰어 넘은 호모 코기탄스. 아 내가 작명한건데. 아 지금 몇개 보니 어중이 떠중이 들이 호모 코기탄스 란 이름으로 씨부리싼는데. 저것들이 무얼 안다고 저러녀 저거.
대륙 유럽애들도 중세를 지우걸랑. 프랑스 애들 조차 막막 지워. 중세를 잇겠다는 의지가 역시나 영국이야. 이 영국이 가장 앞선 애들이고 그래서.
The subdivisions of England constitute a hierarchy of administrative divisions and non-administrative ceremonial areas.
Overall, England is divided into nine regions and 48 ceremonial counties, although these have only a limited role in public policy. For the purposes of local government, the country is divided into counties, districts and parishes. In some areas, counties and districts form a two-tier administrative structure, while in others they are combined under a unitary authority. Parishes cover only part of England.
The current system is the result of incremental reform which has its origins in legislation enacted in 1965 and 1972.
영국에서, 잉글랜드 만 보면. 지금 행정구역 이 리전. 이 9개 이고, 이 다음 단위가 카운티. 카운티 안에 디스트릭트. 안에 패리쉬 가 있어. 정확하게 안 에 안 에 안 에 있는 리전 카운티 디스트릭트 패리쉬 야.
저기서 카운티. 만 보면.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counties are one of the four levels of subdivisions of England used for the purposes of local government outside Greater London and the Isles of Scilly. As originally constituted,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counties each consisted of multiple districts, had a county council and were also the counties for the purposes of Lieutenancies. Later changes in legislation during the 1980s and 1990s have allowed counties without county councils and 'unitary authority' counties of a single district. Counties for the purposes of Lieutenancies are now defined separately, based o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counties.
카운티. 가 둘로 나뉘는겨. 메트로폴리탄. 논-메트로폴리탄. 이 각각이 카운티 카운슬. 이라는 의회가 있어.
저 뒷문장을 유심히 보면, 카운티 의회를 가졌었고 라는 과거형에, 또한, 류트넌스.를 목적으로 하는 카운티 였었다.
즉 지금 은 류트넌스 를 목적으로 한 카운티 는 저 카운티들에 없다는거야. 또한 카운슬 이란 의회를 안갖는 카운티 가 있다는겨.
그러나, 메트로와 논메트로 라는 카운티 들은, 리전 안에 정식 권력의 행정구역이야. 저 문구는 별도로 다른 이름의 카운티가 갖고 가는거야. 지금 메트로폴리탄 카운티 6개들은. 각각 카운슬 이라는 의회가 없어.
In 2009 and 2019, there were further structural changes in some areas, resulting in a total of 82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counties. These 82 counties collectively consist of 283 districts or district-level subdivisions, i.e. 36 metropolitan boroughs and 247 non-metropolitan districts (192 of these are subdivisions of non-metropolitan counties with county councils; 6 are subdivisions (and also unitary authorities, but without non-metropolitan county status) of Berkshire, which is a non-metropolitan county with no county council; and the remaining 49 are unitary authorities that have non-metropolitan county status).
총 82개.의 카운티 들이야. 이게 실질적인 지방행정구역 단위야. 리전 region 각각 안에 있는겨. 메트로폴리탄 카운티.가 6개이고, 논-메트로폴리탄 카운티 가 76개.야.
.
그럼, 류트넌스 를 목적으로 한 카운티. 가 따로 있는겨 저것과 별개로. 이걸 세리모니얼 카운티 라고 해.
The Counties and areas for the purposes of the lieutenancies, informally known as ceremonial counties,[2] also referred to as the lieutenancy areas of England,[3] are areas of England to which a lord-lieutenant is appointed. Legally, the areas in England, as well as in Wales and Scotland, are defined by the Lieutenancies Act 1997 as "counties and areas for the purposes of the lieutenancies in Great Britain", in contrast to the areas used for local government. They are also informally known as "geographic counties",[4] to distinguish them from other types of counties of England.
정식 명칭이. 카운티즈 앤드 에어리어즈 포 더 퍼퍼시즈 오브 더 류트넌시즈. 류트넌시를 목적으로 한 카운티.야. 이걸 흔히, 비공식적 용어로, 세리모니얼 카운티.라고 하고 이걸 주로 써. 이건 48개 야. 지방행정구역 카운티 인 메트로 논메트로 82개.보다 적어.
세리모니얼 카운티 는 9개의 리전 각각 안에 서 나누는 게 아냐. 전혀 별개여. 리전끼리 서로 막 섞은겨 이건.
류트넌시. 라는 lieutenancy 말은 lieu 류 에 tenant 테넌트 의 자리여. 류 라는건 불어 이고 테넌트 는 라틴어야. 미들 프렌치가 만든 말이야. 테네오. 쥐고 있는겨. 이거의 수동의 명사 사람이야. 남이 준걸 갖고 있는 사람. 인 세입자야. 땅을 갖고 있는 자 인데 자기땅이 아냐. 세금을 바치는겨 영주한테. 임차인 이고 세입자고. 류 lieu 라는건 place 장소 야. 이게 더 가서 인 플레이스 오브, 인 류 오브 해서, 누구 대신. 임차인 대신 이야. 대리 인겨. 임차인 대리. 임차인 들이란게 결국 민들 이고, 민들을 대리 하는겨. 류트넌시 라는게 그 지역인들의 대리인. 대표야.
저건 중세의 개념이야. 각 땅의 대표. 가 카운티. 라는 백작이여. 중세의 중심은 카운트 고 그라프 라는 백작의 시대야 이게.
세리모니얼 이란 말로 써. 세리모니 라는게. 세레모니 하지만, 이게 아주 고리타분한 말이야.
From Middle English cerymonye, from Latin caerimonia or caeremonia, later often cerimonia (“sacredness, reverence, a sacred rite”).
라틴어 카이리 모니아. 카이리 가 카르마 에서 온거고. 모니아 라는건 앞의 어드젝티브 인 모든 성질을 담은 것.의 명사형이 모니아.라는겨. 빨강다움.의 다움 이야. 빨강인 것들의 총체.가 모니아 여. 카르마 의 카이리.는 행위 인거고, 이건 신에 대한 예배.의 행위야. 아주 원초적인 것에 대한 헌신. 바침. 이야. 이걸 위해 모인다는 의미.이고. 세레모니 라는게 모여서 신에 대한 헌신 바침 의 경배 의식 같은 행위 를 하는게 세레모니 한다라는거야. 그래서 졸업식 입학식 이 이 세레모니 라는거고 엄숙한겨 이건. 제사여.
세리모니얼 카운티 라는건, 세레모니의 대상이 머겠니. 중세여 중세. 중세 천년에 대한 제사의 마음 의 의식의 총체여. 의식적 카운티 라고 번역을 굳이 한다면, 더 가서 저건 중세적 카운티 라는 뜻이야.
저기서의 대표.가 lord-lietenant 로어드 류트넌트.야.
20세기에 들어와서, 저 자리.는 따로 뗀거야. 원래 로어드 류트넌트.는 군사권이 있어. 이것도 없어 이제. 완전히 저건 걍 명예직.이야. 저건 누가 임명하겄어? 중세랑 똑같이 킹 이 임명하는겨.
그래서 48개의 세리모니얼 카운티 라는건 완전히 걍 명예 인 이름뿐인 자리들로 라도 남은겨 영국은. 저걸 지금도 써. 저렇게라도.
저 48개의 세리모니얼 카운티.를 9개 리전으로 다시 나누고. 이 리전 각각에 다시 82개의 카운티.에 디스트릭트.에 패리쉬.를 정식행정구역으로 정리한거고.
A shire is a traditional term for a division of land, found in Great Britain, Australia, New Zealand and some other English-speaking countries. It was first used in Wessex from the beginning of Anglo-Saxon settlement, and spread to most of the rest of England in the tenth century. In some rural parts of Australia, a shire is a local government area; however, in Australia it is not synonymous with a "county", which is a lands administrative division.
82개의 카운티.를 이전에는 샤이어.라고 한겨. 샤이어 나 카운티 나 같은 말이야. 웨식스 에서 처음 사용된 말이고 7왕국체제때. 이 샤이어 를 지금 논-메트로폴리탄 카운티 를 샤이어 카운티.라고 써.
샤이어.라는게. 게르만 애들말이고.
The word shire derives from the Old English sćir, from the Proto-Germanic skizo (Old High German sćira), denoting an "official charge" a "district under a governor", and a "care".[1] In UK usage, shire became synonymous with county, an administrative term introduced to England through the Norman Conquest, in A.D. 1066. In contemporary British usage, the word "counties" also refers to "shires", mainly in places, such as Shire Hall.[2]
In regions with rhotic pronunciation, such as Scotland, the word shire is pronounced /ʃaɪər/; in areas of non-rhotic pronunciation, the final R is silent, unless the next word begins in a vowel sound. In England and Wales, when shire is a place-name suffix, the vowel is unstressed and usually shortened (monophthongised); the pronunciations include /ʃɜːr/ and /ʃɪər/, with the final R pronunciation depending on rhoticity. The vowel is normally reduced to a single schwa, as in Leicestershire /ˈlɛstərʃər/ and Berkshire /ˈbɑːrkʃər/.
올드 잉글리쉬 에서 온 말인데. 킹이 파견 보낸 자의 그 지역의 책임진. 임무. 이고, 지역.이야. 이건 사람.이 아냐. 사람이 맡은 공무.이고, 맡은 땅. 인겨. 영국 지명에 레체스터셔. 버크셔 라는 샤이어.들이 그 지역 인거고. 저게 윌리엄 이 정복하면서 카운티 급이 된겨. 이 카운티 의 짱인 백작은, 얼 earl 이라고 자기들 독자적 게르만 말을 쓴거고. 카운티 와 샤이어 가 같은 백작령 의 의미여.
로틱 발음 rhotic 이건. r 알 발음 이 특히나 유럽애들이, 저기 브리튼뿐만이 아니라 이 알 발음이 달라 이게. 프랑스에 독일에 네덜란드 벨기에. 크 흐 그 으 로 굳이 한글발음표기 하지만 딱히 저것도 아니고. 이게 샤이어.에서 셰어 시어 막막 쓰는거고. 대게 shwa 셔. 의 어. 로 발음 하는겨. 아이어. 가. 어. 로 줄어든거야 지금.
이 발음 을 보면, 그 언어족의 진화 정도를 알게 돼. 발음 소리가 줄어들고 연화 되는게 진화 된 발음이야.
그래서 독일 애들이 후지다는게, 미개했다는게 저 발음을 보면 알어. 딱딱한 트. 크. 프. 에 모음도 아이 어이. 아주 명확해. 즉 쟤들이 진화가 안된겨 이게. 데어. 데르. 분명하에 발음이 되걸랑 여전히. 이게 점점 데어 를 더. 이런식으로 지금 오는겨 독일어 발음도. 얘들이 지금 영어 발음을 따라가게 되어있어. 이 독어 발음이 좀 지나면 영어 발음 과 비슷해질꺼야.
된소리 격소리 가 많다는건 아직 진화가 안된겨. 이게 슬라브 소리여. 더하여 중국어 가 미개하고 후지고 진화가 안된게. 저놈의 된소리 가 많은겨 이게.
우리네 발음이 중국어와 비교하면, 화된 발음이야. 중국어 와 우리말이 가만 디다보면 다르지 않아. 하늘 천.을 중국애들은 티엔 이란 두글자 잖니. 우리도 저건 티엔 이라 했어 고대에. 이게 점점 모음을 간소화 하면서 이엔 이 언 이 되고 티 가 치 가 된겨. 중국애들은 진화가 전혀 된 애들이 아냐 이 언어를 보면.
지금 민주당의 pete buttigieg 피트 부티지지 라고 한글 소리하는 쟤도. 미국애들은 피잇 부더저지. 여. 트 발음을 안 내.
영국애들이 고급영어랍시고 posh 포쉬 라고 하면서 발음 또박또박 내는게 고급티가 난다며 쟤들은 저걸 굳이 쓰는거걸랑. 미국애들이 보기엔 후진겨 저건. 가장 앞선애들이 이 미국 발음의 미국애들이야 영어 발음 을 보면.
그래서 미개한 애들이 쌍소리를 한다는게, 단지 말의 의미의 쌍소리가 아니라, 발음 자체.가 된소리에 격소리야. 이건 뇌가 미개해서 그래.
조선 정치판 애들이 그래서 미개한거고. 이 조선 정치판 애들이, 정말 세상 정치판 애들 중에 미개한 수준이 이게 장난이 아냐 이게. 역사가 없는 애들이걸랑. 조선 오백년이 이전 천오백년의 숙신예맥의 진화를 완전히 말살을 시킨겨. 그게 소리 도 보면 알게되는거지. 뇌에서 나오는 내용은 둘째치고. 일단, 말 을 할줄 모르잖니.
읽어야 해 읽어야. 읽는 것도 못해 딕션이 안되서. 저런 것들이 항상 하는 단순한 말, 두 조선이 통일 되면 위대한 역사가 되는겨. 대갈빡에 든게 없는겨 저것들이. 아 대갈빡은 된소리고 대갈통에 든게..아니 통도 격소리고 아 머라해야하냐 저 대가리들을. 빡이든 통이든 붙여줘야 해 저런 대갈빡 대갈통 들에겐.
In England and Wales, the offices of high sheriff were created at the dire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ct 1972 incepting on 1 April 1974. The purpose was to distinguish sheriffs of counties proper from sheriffs of cities and boroughs designated counties corporate. Except for the City of London, which has two sheriffs, these cities and boroughs no longer have sheriffs, leaving only high sheriffs in England and Wales in the sheriff's office. The office is now an unpaid privilege with ceremonial duties, the sheriffs being appointed annually by the Crown through a warrant from the Privy Council except in Cornwall, where the high sheriff is appointed by the Duke of Cornwall and in Merseyside, Greater Manchester and Lancashire, where the High Sheriff is appointed by the Duke of Lancaster (currently the Queen). In England and Wales the office's civil (civil judgement) enforcement powers exist but are not exercised by convention.
지금 48개의 세리모니얼 카운티.라는 이름뿐인 카운티.의 대표는 Lord-liertenant 로어드 류트넌트.야. 류트넌트들중에서도 최고자리 라는겨 그 세리모니얼 카운티.에. 그리고 high sheriff 하이 셰리프.가 있어. 류트넌트 는 군권 이 있는 자리여 그 지역의. 그지역의 행정부 대표여. 로어드 류트넌트.는. 그리고. 하이셰리프 는 사법의 대표야. 법에 관련한건 모두 이 하이셰리프.야.
저 두개 자리.가 지금은 걍 48개 세리모니얼 카운티 의 명예직 이고, 월급도 없는 자리야. 완전히 무보수야. 런던 빼고.
셰리프 sheriff 가 보안관 으로 알고있는건데. 이게 shire reeve 샤이어 리브.의 줄임말이야. 샤이어 라는 땅을 리브. 책임지는 사람.인겨. 리브 reeve 가 사람 이야. 이 -riff 리프 가 붙으면. 이게 이슬람의 칼리프 니 샤리프 니 의 리프 와 상관이 전혀 없는 게르만 들의 말이야.
From Middle English reve, from Old English rēfa, an aphetism of ġerēfa (also groefa), perhaps dissimilated from Proto-Germanic *grēfijô (“officer, official”). Compare Danish greve, Swedish greve, Dutch graaf, German Graf. Role, and later word, mostly replaced by bailiff, of Anglo-Norman origin.
리브 reeve 라는게. 독일애들에 그라프 graf 여. 라인팔츠 그라프.하는 백작이 독일에선 카운트 가 그라프 걸랑. 그라프 와 상통하는게 영어 리브 야. 사람 이야. 땅에 책임있는 자리의 사람. 독일땅에선 그라프 를 백작 카운트 로 쓴거고. 브리튼은 얼 earl 로 썼던거고. 이 얼 과 중복 해서 쓰던 말이, 셰리프 sheriff 야. 샤이어 라는 카운티 의 관리인.
베일리프 bailiff 도 자주 보이는 단어인데. 똑같은 그라프 리브 여.
From Anglo-Norman and Old French bailif (plural bailis), probably from reconstructed Vulgar Latin *bāiulivus (“castellan”), from Latin bāiulus (“porter; steward”), whence also bail. As a translation of foreign titles, semantic loan from French bailli, Scots bailie, Dutch baljuw, etc. Mostly replaced the role of native reeve.
이 베일리프.는 러틴어에서 갖고온 말이야. 바이울루스. 가 베일 이 된건데. 원래 이건 짐꾼 이야. 짐꾼인 상인들이 돈 벌어서 부르즈와가 되면서 캐슬. 캐스틀런. 성주가 된겨 이게. 이들이 스튜어드. 지킴이 가 되는거고. 라틴어에 게르만들이 저 리브. 그라프. 를 붙인 말이야.
.
지금은 저 48개의 세리모니얼 카운티 마다. 명예 뿐인 로어드-류트넌트.와 하이-셰리프 가 있는거고.
82개의 정식 카운티들의 대표.는 그냥 Mayor 메이어.야.
이 카운티 들의 메이어 도 최근에야 직접선거로 뽑는겨. 이전에는 그 카운티 의 의회나 카운티를 이루는 디스트릭트 의회에서 다수당에서 먹은 자리가 메이어 라는 자리였어.
.
A metropolitan borough is a type of local government district in England, and is a subdivision of a metropolitan county. Created in 1974 by the Local Government Act 1972, metropolitan boroughs are defined in English law as metropolitan districts. However, all of them have been granted or regranted royal charters to give them borough status (as well as, in some cases, city status).[1] Metropolitan boroughs have been effectively unitary authority areas since the abolition of the metropolitan county councils by the Local Government Act 1985.[2] However, metropolitan boroughs pool much of their authority in joint boards and other arrangements that cover whole metropolitan counties, such as combined authorities.
메트로폴리탄 버러. 라는게 있어. 이건 메트로폴리탄 카운티 에 있는겨. 카운티 안의 디스트릭트 들이, 카운티 를 대표하는 메이어. 하나가 대표하기엔 자기 지역의 비중이 적다면서, 카운티 안에서 별도의 디스트릭트 들이 뭉친게, 버러 라는 개념이야. 부르조아(부르즈와)를 만든 부르크 개념의 영어 버러. 메트로폴리탄 카운티.는 별도의 의회.가 없어지면서 이 안의 버러들이 나뉘면서 힘이 쎄지는겨. 이게 지금 36개 버러들이 있고.
Greater London is a ceremonial county of England that makes up the majority of the London region. This region forms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of London and is organised into 33 local government districts—the 32 London boroughs and the City of London, which is located within the region but is separate from the county. The Greater London Authority, based in Southwark, is responsible for strategic local government across the region and consists of the Mayor of London and the London Assembly. The City of London Corporation is the principal local authority for the City of London, with a similar role to that of the 32 London borough councils.
런던.을 예로 들면. 우리가 부르는 런던.이란 도시.는 시티 오브 런던. 이야.
잉글랜드.가 총 9개의 리전 region 이고. 이중 하나가 런던 리전. london region 이야.
런던 리전. 이란건, 시티 오브 런던. 더하기. 그레이터 런던. 이야. 그레이터 런던 이란건 시티 오브 런던 빼고, 이 주위의 32개의 런던 버러들.을 말해. 런던 리전 은 시티오브런던 더하기 32개의 런던버러들(그레이터 런던)로 되어있어.
런던 리전.은 시티 오브 런던. 더하기. 그레이터 런던. 인데. 이 각각.은 카운티.야. 두개의 카운티.
시티 오브 런던. 과 그레이터 런던.은 별개의 카운티 이면서, 또한 각각 세리모니얼 카운티.야. 각각 명예직인 로어드-류트넌트 와 하이-셰리프 가 있어.
시티 오브 런던.은 세리모니얼 카운티 중 유일하게 별도의 카운슬. 의회 가 있어. 유일하게 힘있는 세리모니얼 카운티야. 여기엔 그래서 카운슬 이 두개가 있는겨.
시티 오브 런던. 이란 카운티 가 잉글랜드 카운티 들 중 가장 작아.
시티 오브 런던 과 그레이터 런던. 이란 두개의 카운티 는, 메트로폴리탄 카운티 와 논-메트로폴리탄 카운티.에 들어가지 않아. 즉 메트로 카운티 6개.에 논메트로 76개 해서 82개의 메트로 논메트로 카운티 에 들어가지 않는 별도의 두개 카운티야. 그러면서 세리모니얼 카운티들이야 각각. 즉 나머지 46개의 세리모니얼 카운티 들은 82개의 메트로 논메트로 카운티들에 있는겨. 저 82개 카운티들중 누군 세리모니얼이고 누군 아니야. 세리모니얼의 지위를 한곳에 몰아줘서 저기서 46개가 나오고 나머지 두개는 시티오브런던 과 그레이터런던 이야.
The London boroughs are the 32 local authority districts that make up Greater London; each is governed by a London borough council. The London boroughs were all created at the same time as Greater London on 1 April 1965 by the London Government Act 1963 and are a type of local government district. Twelve were designated as Inner London boroughs and twenty as Outer London boroughs.
런던 버러즈.란건 곧 그레이터 런던.이야. 32개의 디스트릭트들.인데. 카운티 안에 디스트릭트 잖니. 이 디스트릭트 각각 을 유독 여기 에만 버러.의 지위로 올려준겨. 이 각각 의 디스트릭트 가 각각 버러 의 자리에 있는 행정단위여.
버러 가 강력한 연합이야. 이게 다 사라지고 메트로 폴리탄 카운티의 버러들과 여기 런던버러들만 남은겨. 잉글랜드는. 웨일즈도 버러들이 11개가 있어. 스콧은 없어. 아마도.
이전에 도시들 단위로 버러들이 있었는데, 다 폐기를 한겨.
앞으로 잉글랜드 행정단위는, 저걸 한글 교재로 쓰도록 해.
.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 알리바이 아이크 ft.링 라드너 (1) | 2020.02.16 |
---|---|
210. 리차드보다 먼저 온 윌리엄 (1) | 2020.02.15 |
209. 데카르트, 호모 코기탄스 의 시대 ft.타키딘 Taqī al-Dīn (2) | 2020.02.14 |
208. 데카르트의 꿈 (2) | 2020.02.13 |
207. 주역 이라는 네이처, 음양오행 이라는 이데아 (2) | 2020.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