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중세대학이. 차터 받은 순위로 매김을 하지만. 

 

볼로냐가 1088년에 세워지고, 차터를 70년 후인 1158년에 받아.

 

다음이 파리대학이야. 1150년에 세워지는데, 차터를 50년 후인 1200년에 받아.

 

다음이 옥스포드.야. 1096년 으로봐. 파리보다 훨씬 빨라. 차터를 1248년에야 받아. 

 

다음 네번째가 베네토 지역 비첸차 대학이고, 다섯번째가 케임브리지.야. 1209년에 세워서 1231년에 받아. 옥스포드 보다 오히려 빨러 승인받는게. 

 

케임브리지.는 옥스포드 가 너무 싫어서 따로 떨어져 나와서 만든대학이야. 

 

이전 존 위클리프 때 

 

The St Scholastica Day riot took place in Oxford, England, on 10 February 1355.

 

성 스콜라스티카 날의 폭동.이 옥스포드 대학생들과 주민사이의 난투극에서 학생들 63명에 주민들 30명이 죽걸랑. 저게 이전 백년전에도 벌어진겨. 그래서 케임브리지 로 따로 나간거고

 

잉글랜드가 빨라. 옥스포드를 세우고, 프랑스와 경쟁이 생겨서 킹덤끼리는, 권력자 킹이 파리대학 입학생은 옥스포드나 케임브리지 입학을 불허하기도 해. 

 

Students were often very young, entering the school at 13 or 14 and staying for 6 to 12 years.[citation needed] They came from many regions and spoke many European languages, with all defined by their native language. Latin was the lingua franca at school. Eventually, the Masters were organized into four "nations" comprising the French, the PicardsNormans and a polyglot of nationalities (predominantly EnglishGermanScandinavian and otherwise Central European) referred to as "English".[2]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students were from the elite or aristocratic classes of Europe, as the cost of travel and maintenance of a stay at the university, as well as basic tuition, was beyond the reach of the poor.

 

학생들은 또한 매우 어렸어. 니미 13세 혹은 14세에 들어가는 애들도 상당수고, 6년에서 12년 학생생활을 해. 그들은 모든 유럽 언어지역에서 온거야. 모두 자기들 정체성이 저마다 탄탄한겨. 라틴어는 공통 언어 링구아 프랑카 로 쓰는거고. 프랑스 파리대학 같은 경우는 마스터들은 프랑스 피카르디 노르만 으로 구분 되고, 다른 하나는 다양한 정체성들 무리. 영어 게르만 스칸디나비안 언어족 에 중부 유럽어족 을 하나로 두고 마스터 를 둬. 대부분의 학생들은 엘리트, 즉 귀족층들이었다.여행 경비와 대학에 주거 체류비에 기본 학습비는 가난한 이들의 능력 밖이었다. 

 

During the Middle Ages, students admitted to European universities often held minor clerical status and donned garb similar to that worn by the clergy. These vestments evolved into the academic long black gown, worn along with hood and cap. The gown proved comfortable for studying in unheated and draughty buildings and thus became a tradition in the universities. The gown also served as a social symbol, as it was impractical for physical manual work. The hood was often adorned with the colours of the colleges and designated the young scholar's university affiliation. Thus by their distinctive clothing, the students were set apart and distinguished from the citizens of the town; hence the phrase "town and gown".  

 

중세에 학생들은 성직자 지위 를 받은거고 성직자 로서 옷을 입는다. 긴 검은 가운에 후드 와 캡을 쓰고 다닌다. 가운이 공부하는데 입기 편했고 이게 전통이 되었다. 또한 사회적 상징으로 자부심을 느끼게 했지만 육체적 작업에는 불편했다. 후드는 종종 단과대별로 구분되는 색으로 치장 장식했고 소속감을 갖게 하다. 이런 옷의 구분으로 학생들은 눈에 띄는거고 타운의 시민들과 구분이 되었다. 여기서 타운 과 가운 이란 말이 나왔다. 후드 는 어깨나 목에 걸치는 헝겊 휘장...일꺼야

 

이 가운 과 타운 이 부딪히는겨. 대학이 서자마자. 저게 옥스포드 에서 처음 저런 사건이 벌어져. 유명했던거야 저게. 케임브리지가 세워진게. 그리고 나서 바로 파리에서도 사건이 터져.

 

 

The University of Paris strike of 1229 was caused by the deaths of a number of students in punishing a student riot. The students protested with a "dispersion", or student strike, which lasted more than two years and led to a number of reforms of the medieval university. The event demonstrates the town and gown power struggles with the Church, secular leaders and the emerging student class and a lessening of local Church authority over the University of Paris. The university was placed squarely under direct papal patronage, part of the program to centralise the Church structure, which had intensified under Innocent III.  

 

서기 1229년 파리대학 학투 사건이야. 파리대학생들이 학교를 안가고 걍 흩어져. 학생이 없어. 학교가 문을 닫은겨 이때. 

 

저때도 타운과 가운 의 전쟁이여. 카니발 인데, 술처먹다가 여관 집 주인쪽과 싸움판이 벌어져. 

 

In March 1229, on Shrove Tuesday, Paris's pre-Lenten carnival was coming to its conclusion, similar to the modern-day Mardi Gras, when one wore masks and generally let loose. The students often drank heavily and were rowdy, and in the suburban quarter of Saint Marcel, a dispute broke out between a band of students and a tavern proprietor over a bill, which led to a physical fight. The students were beaten up and thrown into the streets.  

 

학생들이 술 처먹고 떠들다가 그 분위기에서 영수증 돈 지불건으로 싸움이 붙은거야. 학생들이 두드려 맞고 거리로 내 쫓겨.

 

The next day, Ash Wednesday, the aggrieved students returned in larger numbers armed with wooden clubs; broke into the tavern, which was closed on account of the penitential holiday, beat the taverner and destroyed the establishment. Other shops were damaged in a subsequent riot, which spilled into the streets.

Because students had benefit of clergy, which exempted them from the jurisdiction of the king's courts, angry complaints were filed with the ecclesiastical (Church) courts. The ecclesiastical courts knew that the university tended to be very protective of its students, and fearing a split like that of Cambridge University from Oxford, they were trying to approach the matter carefully. 

 

다음날 학생들이 모여서 곤봉 들고 여관을 박살내. 여관주인을 때리고 복수를 하고 다른 가게들도 난장판 만들고. 

 

헌데, 학생들은 성직자 자격이야. 교회법 애들이지 세속법 으로 못 다뤄. 시민들이 화를 내고 교회 코트로 소송을 하는겨. 아 교회에선 이미 케임브리지 대학이 이런식으로 해서 분리해 나갔걸랑. 우리 학생들을 보호해야 하는겨. 잘못하다간 파리대학 이 분리될 수가 있어. 케임브리지 처럼

 

저때가 루이9세 성루이.가 12세에 킹에 올르고 1226. 삼년 지날때야. 섭정할때야 어려서. 저때가 또 알비파 십자군 막바지일때야. 알비파가 이 해에 끝나는겨. 저 와중에 파리에서 터진 사건이야. 섭정이 열받는겨 저거. 알비파 때문에 골치인데 저것들 성직자 신분 학생들이 머냐 저거. 복수를 승인해주고, 파리 시 공무원이 직접 사람들을 데리고 들어가서 법집행 한답시고 애들을 패는거야. 저때 학생들이 몇몇 죽어. 

 

학생들이 열받은겨. 대체 대학교가 머냐 이거. 교회의 땅인데 여긴. 우린 성직자고. 왜 세속의 군바리들이 쳐들어 오게 두냐 니덜은. 

 

우리 학교 안다녀.

 

저때 2년여를 문닫았어 파리대학이. 

 

The University of Paris (French: Université de Paris), metonymically known as the Sorbonne (French: [sɔʁbɔn]), was a university in ParisFrance, active 1150–1793, and 1806–1970. 

 

이 파리대학.이 소르본느 대학 으로 당시는 불린거고. 이게 1789 프랑스 대학살 때 중세 지우기 하면서 없어졌다가, 나폴레옹이 다시 살리고, 1970년 까지 있다가, 일대학 이대학 지들 구역별로 평등하게 어쩌고 하면서 이게 없어진겨. 

 

프랑스가 완전히 중세를 지우는겨 이게 현대에 와서도. 행정구역 이름 바꾸고. 

 

영국은 중세를 그대로 간직한 나라고. 

 

프랑스가 참 너무나 후져진거고 앞으로도 여긴 점점 뒤쳐질거야. 걍 카이사르부터 데카르트 까지 쌓인 그 기빨로 지금 버티는 나라야 이  후져버린 프랑스란 나라는. 

 

In ancient Rome a collegium was a club or society, a group of people living together under a common set of rules (con- = "together" + leg- = "law" or lego = "I choose" or "I read").  

 

칼리지 라는건. 저 안의 단과대 이기도 하고, 유니버시티 와 별도로 세속 차트를 받은 학교 가 칼리지 이기도 하고. 서로들 이름이 좀 다르고. 함께 읽는 이들.의 모임.이야. 

 

옥스포드 코트 오브 암즈

Dominus illuminatio mea. 도미누스 일루미나티오 메아. 신은 나의 빛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