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erian literature constitutes the earliest known corpus of recorded literature, including the religious writings and other traditional stories maintained by the Sumerian civilization and largely preserved by the later Akkadian and Babylonian empires. These records were written in the Sumerian language during the Middle Bronze Age.  

 

수메르 리터러쳐.가 수메르 문명과 아카드 후기, 바빌로니아 제국 까지의 종교적 글들과 그외 맥락을 같이 하는 이야기들.인데 말야. 이건 청동기 시대 중기.의 수메르 언어로 쓰여진거야.

 

아카드 언어족.은 셈족으로 봐. 이 아카드.가 수메르와 셈족의 연결고리 시기걸랑. 이때는 바이링구얼 두 언어 겹침의 시기야. 이 아카드도 넓게는 수메르 리터러쳐 로 보는겨. 

 

왼쪽의 엘바 elba 도 여기로 넣을 수 있고. 엘바.도 셈족이야. 헌데 이 아래 메소포타미아 아래쪽 페르시아만에 걸쳐있는 곳이 엘람. Elam 이 있어. 여기도 리터러쳐 가 있걸랑. 이건 몰라. 해독이 안돼. 일부만 되고. 이건 수메르언어가 아녀. 올드 페르시안의 조상인듯 아닌듯. 몰라 이건. 

 

Cuneiform, or Sumero-Akkadian cuneiform,[a] was one of the earliest systems of writing, invented by Sumerians in ancient Mesopotamia.[b][4][5] It is distinguished by its wedge-shaped marks on clay tablets, made by means of a blunt reed for a stylus.[6][7][8][9] The name cuneiform itself simply means "wedge-shaped".  

 

큐니어포엄. 설형문자.라 하걸랑. cuneus 쿠네우스. 라틴어인데. 이게 wedge 웻지. 이건 게르만말이고. 양면을 갈아서 도끼날 처럼 된거야. 글자가 이 쿠네우스 를 닮았다는거야. 이걸로 파서 쓴게 아니라. 글자는 뭉툭한 갈대로 쓴거고. 

 

저걸 쐐기 설.이란 한자.로 설형 문자 하는건데.

 

Clay tablet. 이건 모두가 점토판.에 새겨진거야. 여기에 글들을 새겨. 그리고 이걸 편지로도 써. 전령이 이걸 갖고 우체부역할을 하는겨. 누가 중간에 못 보게, 글자들을 덮어, 모래같은 걸로. 보는 사람이 그걸 털거나 해서 그 글들을 읽은겨. 이거 골때린다 보면 볼수록. 

 

저게 오래 보존되도록 하기 위해, 글자를 쓰고 도자기 굽는 식으로 저걸 구워. 헌데 대부분은 말야, 화재로 저 점토판들이 굳어져서 지금까지 보존된걸로 보여. 

 

The Kesh Temple Hymn or Liturgy to Nintud or Liturgy to Nintud on the creation of man and woman is a Sumerian tablet, written on clay tablets as early as 2600 BCE.[1] Along with the Instructions of Shuruppak, it is the oldest surviving literature in the world.[2]  

 

The Instructions of Shuruppak (or, Instructions of Šuruppak[1] son of Ubara-tutu) are a significant example of Sumerian wisdom literature.[2] Wisdom literature, intended to teach proper piety, inculcate virtue, and preserve community standards, was common throughout the ancient Near East.[3]  

 

가장 오래된 점토판이. 기원전 2600년 것으로 보이는, 두개야. 케쉬 템플 찬송가. 슈룹팍 의 지침서. 슈룹팍.이라는 킹이 아들에게 너 이렇게 살아라 하는 인류최초 의 애비가 자식한테 전달하는 교훈서야. 케쉬 템플 찬송가는 인류를 창조한 닌투드 에 대한 예배서고.

 

이전에 세계 최고 오래된 문서.가 이집트 파피루스. 쿠푸 피라미드. 제4 다이어스티.의 두번째 파라오 쿠푸.가 기원전 2560년 이걸랑. 이건 단지 파피루스에 저 피라미드를 세우는데 노예를 몇명 쓰고 어떤 작업을 했다 란 작업 내용이걸랑. 이건 읽혔어. 헌데 저건 차원이 다른겨 비슷한 시대의 저 점토판이. 

 

쿠푸의 파피루스.는 리터러쳐 지만, 제대로 된 리터러쳐라곤 볼 수 없어. 그야말로 최고는 저 두개의 점토판이야 기원전 2600년. 

 

Between half a million[16] and two million cuneiform tablets are estimated to have been excavated in modern times, of which only approximately 30,000[17]–100,000 have been read or published. The British Museum holds the largest collection (c. 130,000), followed by the Vorderasiatisches Museum Berlin, the Louvre, the Istanbul Archaeology Museums, the National Museum of Iraq, the Yale Babylonian Collection (c. 40,000), and Penn Museum. Most of these have "lain in these collections for a century without being translated, studied or published",[16] as there are only a few hundred qualified cuneiformists in the world.  

 

저 점토판들이, 50만개 에서 2백만개.가 발굴된거로 추정 돼. 이중 단지 3만개에서 10만개 가 해독이 되었거나 출판이 되었어. 저 비율대로면, 10퍼센트도 이건 해독이 안된거야. 이걸 모두 유럽애들이 하는겨. 잘한겨 이건. 저건 유럽애들외엔 못하는겨 저 작업을. 고대 유물들을 슬람이들은 파괴하거나 태우거나 없애걸랑. 이단이걸랑. 

 

저기가 그야말로 노다지 야 저 설형문자 점토판이. 저것도 20세기 되서나 적극적으로 해독이 되는거야.

 

오메 성경 구약 이야기들이, 이미 저기에 줄줄줄이 다 있는겨. 홍수 이야기. 인간을 흙으로 만든 이야기. 야곱의 자식 요셉이 이집트로 잡혀가서 오히려 출세한 이야기. 모세의 이집트 탈출기. 모세가 갈대바구니로 강에 버려진 이야기. 

 

이름만 다를 뿐, 주요 와꾸는 다 있는겨 이미. 기원전 1천년 이전의 점토판에. 그것도, 해독된 점토판에. 나머지 해독 안된 구십퍼 를 풀면 아마 그 이상의 이야기들이 이미 다 있던거지. 고기서 몰래 이름만 바꾼겨. 저 구약이란게 그래서  엄청난 리터러쳐야 저건. 메소포타미아의 이야기들을 엑기스로 모은 거걸랑 저게. 지저스 가 없었으면, 저 구약 이야긴 유럽에서 버려졌을거야. 그러면 지금 유럽이란 없어. 내 확신하건데. 

 

큐니어폼 이란 설형문자.의 점토판.이 수메르 리터러쳐가 아냐. 수메르 리터러쳐.는 저 설형문자의 일개 부분집합이야. 

 

Mesopotamia's "proto-literate" period spans roughly the 35th to 32nd centuries BC. The first documents unequivocally written in Sumerian date to the 31st century BC at Jemdet Nasr.  

 

기원전 2600년 의 리터러쳐.가 가장 오래되었다고 하지만. 이 전의 리터러쳐 가 있어. 또한 발칸에도 점토판들이 있고. 메소포타미아에도 기원전 3500년께 있어. 헌데 해독이 안돼 이건. 

 

For centuries, travelers to Persepolis, located in Iran, had noticed carved cuneiform inscriptions and were intrigued.[29] Attempts at deciphering these Old Persian writings date back to Arabo-Persian historians of the medieval Islamic world, though these early attempts at decipherment were largely unsuccessful.[30]

In the 15th century, the Venetian Giosafat Barbaro explored ancient ruins in the Middle East and came back with news of a very odd writing he had found carved on the stones in the temples of Shiraz and on many clay tablets.  

 

저게, 중세 이슬람 진영에서도 발굴이 되고, 얘들도 이걸 해독을 시도를 해. 실패해. 묻힌거야.

 

15세기에 유럽에서 베네치아 사람이 저기서 글자들 새겨진 돌판들을 갖고와. 헌데 해독을 못해.

 

The Behistun Inscription (also BisotunBistun or BisutunPersian: بیستون‎, Old PersianBagastana, meaning "the place of god") is a multilingual inscription and large rock relief on a cliff at Mount Behistun in the Kermanshah Province of Iran, near the city of Kermanshah in western Iran, established by Darius the Great (r. 522–486 BC). It was crucial to the decipherment of cuneiform script as the inscription includes three versions of the same text, written in three different cuneiform script languages: Old PersianElamite, and Babylonian (a variety of Akkadian). The inscription is to cuneiform what the Rosetta Stone is to Egyptian hieroglyphs: the document most crucial in the decipherment of a previously lost script.  

 

베히스툰 비문. 이란의 베히스툰 산.의 절벽에 새겨진 비문이야. 아케메네스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대제때 세운건데. 여기에 설형 글자들이, 올드 페르시안 글자. 엘람글자. 바빌로니아글자(아카드언어의 가지) 가 같이 있는겨. 이게 나폴레옹의 로제타 비문이 신성글자에 민중글자에 그리스글자.가 같이 있어서 신성글자를 해독한거걸랑. 같은 의미를 세개의 언어로 쓴거야. 비교 가능해서 신성글자 가 번역이 되어서, 이걸 팁으로 신성글자들을 번역을 하는거걸랑.

 

In 1598, the Englishman Robert Sherley saw the inscription during a diplomatic mission to Persia on behalf of Austria, and brought it to the attention of Western European scholars 

 

저걸 다들 보긴 봤어. 서기 1598년엔 영국 사람도 저걸 봤어 외교관이. 

 

In 1835, Sir Henry Rawlinson, an officer of the British East India Company army assigned to the forces of the Shah of Iran, began studying the inscription in earnest. As the town of Bisotun's name was anglicized as "Behistun" at this time, the monument became known as the "Behistun Inscription". Despite its relative inaccessibility, Rawlinson was able to scale the cliff with the help of a local boy and copy the Old Persian inscription. The Elamite was across a chasm, and the Babylonian four meters above; both were beyond easy reach and were left for later.  

 

서기 1835년.에 헨리 로린슨. 영국 동인도회사 직원이. 저걸 연구를 시작한겨. 이사람이 앗시리아학의 아버지야. 이때부터 저 설형문자들이 해독이 되기 시작하는겨. 저게 로제타스톤 과 버금가는 발견이야 인류문명에.

 

로제타 스톤이 없었고, 저 베히스툰 비문이 없었으면, 고대 이집트 학은 없어. 수메르 문명은 없어 인류에. 의미가 없는 암호덩어리로만 남았을거야. 

 

올드 페르시안.은 해석이 되는겨. 저걸 기초로 엘람어에 바빌로니아어 를 해독 하는겨. 아직 이 엘람어를 점토판이 잘 해독이 안되는데, 바빌로니아어 는 해독이 되는겨. 이게 아카드어에서 나온거고. 셈족언어족과 맥락이 같은 조상님들 글자들로 보여지는겨 해독이 될 수록. 이걸 토대로 그 이전의 수메르언어를 디비 파 볼수 있는거고. 아카드가 수메르와 셈족의 다리걸랑. 저러면서 십퍼 정도 해석이 된거야 지금.

 

저게 50만개에서 2백만개 로 보이다.는 저게 중세부터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막막 주워가서, 저게 통계로 안잡히는거야. 

 

저게 아직 10퍼도 해독이 안되었어. 

 

20세기에야 알게 된거야. 구약이란게 이게 모두 저기서 나온거구나. 

 

그리스 신화란게 저 메소포타미아 이야기의 캐릭들의 다른 이름들이구나. 

 

 쇼킹한겨 이건. 

 

더하여, 어머 이거 역사적 사건 이었던거구나 이거. 이런것도 파들어가. 

 

고대 그리스 라는게 하늘에서 떨어진게 아니란거였지. 고대 그리스는 너무나 엄청난 문명이걸랑 이게. 더하여 고대 이집트는 물론이거니와. 

 

인류의 모든 사유는 저기서 시작을 한거야.

 

저 무게의 두께가 엄청난거고. 헌데 저걸 고대 그리스.가 제대로 갖고 간거야. 이게 로마 에 중세유럽으로 들어간거걸랑. 

 

저게 극동바닥과, 너무나 너무나 차이가 나는겨. 갑골의 글자들의 리터러쳐 와는 이게 수준이 비교가 안되요. 저건 단지 일기 걸랑 코트의. 저런 식의 시와 교훈서 와 법정문서도 아니거니와. 

 

길가메쉬 따위도. 야 저건 신들의 분노에서 천지창조에서 홍수에서 자기의 동성애적인 동료가 죽어서 삶이 비참해서리 죽음이란 무언가를 찾으러 현인을 찾으러 가서 만나고 대화하는 이야기야. 골때리는겨 이 리터러쳐 수준이. 노아 홍수는 여기서 다 나와 이게. 노아이야긴 까마귀를 비둘기로 바꾸고 나뭇가지를 올리브로 슬쩍 한거고. 

 

아시아와 유럽의 차이는 저 설형문자의 수메르 리터러쳐 부터야. 인도유럽피안 최초의 리터러쳐도 저기서의 히타이트 하티 리터러쳐고. 

 

저걸 나중에 좀 보자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