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inrich Bullinger (18 July 1504 – 17 September 1575) was a Swiss reformer, the successor of Huldrych Zwingli as head of the Zürich church and pastor at Grossmünster. A much less controversial figure than John Calvin or Martin Luther, his importance has long been underestimated; recent research shows that he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eologians of the Protestant Reformation in the 16th century.  

 

하인리히 불링어. 울리히 츠빙글리.를 이은 사람이야. 취리히 교회에서. 

 

Scholars have found it difficult to assess Zwingli's impact on history, for several reasons.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definition of "Zwinglianism"; by any definition, Zwinglianism evolved under his successor, Heinrich Bullinger; and research into Zwingli's influence on Bullinger and John Calvin remains rudimentary

 

츠빙글리.가 역사적으로 지금 가장 저평가된겨 이사람이. 불링어.가 결국 츠빙글리의 유산을 장 칼뱅에 바친거야 이건. 불링어가 장 칼뱅과 만나고, 유산을 칼뱅에 넘긴겨. 루디먼터리, 라는건 가장 기본적인 거고 원칙이고. 즉 칼뱅에 츠빙글리 사상이 녹아 들어갔다는거지. 그리고 이름은 장 칼뱅이 다 취하는거야. 

 

Outside of Switzerland, no church counts Zwingli as its founder. Scholars speculate as to why Zwinglianism has not diffused more widely,[111] even though Zwingli's theology is considered the first expression of Reformed theology.[112] Although his name is not widely recognised, Zwingli's legacy lives on in the basic confessions of the Reformed churches of today.[113] He is often called, after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the "Third Man of the Reformation".[114]  

 

스위스 밖에선 어떤 교회도 츠빙글리를 자기교회 선구자로 생각않는다. 츠빙글리의 신학이 프로테스탄트 시대 가장 먼저 세상에서 나왔는데 왜 넓게 스미지 않았는지 의문으로 여기다. 그의 이름은 넓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츠빙글리의 유산은 오늘날 개혁교회 칼뱅주의 진영에 남아있다. 그는 종종 불린다, 마틴 루터와 장 칼뱅 다음으로 종교개혁의 세번째 사람. 으로. 

 

이사람은 탑에 넣어야 해. 

 

In 1549, however, Bullinger and Calvin succeeded in overcoming the differences in doctrine and produced the Consensus Tigurinus (Zürich Consensus). They declared that the eucharist was not just symbolic of the meal, but they also rejected the Lutheran position that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is in union with the elements. With this rapprochement, Calvin established his role in the Swiss Reformed Churches and eventually in the wider world  

 

츠빙글리를 이은 불링어.가 츠빙글리를 대신하면서 칼뱅이랑 타협하는거야. 여기서도 가장 문제는 유카리스트.라는 최후의 만찬.이야. 최후의 만찬이라는 라스트 서퍼.라는 번역은 루터의 번역이야. 츠빙글리는 유카리스트.를 은유 라고 생각해. 이건 더가서 말야, 유카리스트 라는 역사적 사건은 발생하지 않은거야. 저건 지저스의 정신을 음식에 담으면서 지저스를 잊지 말자는 저작자의 나름 스토리지 저걸 곧이 곧대로 믿어서는 안된다는겨 츠빙글리 입장은. 이걸로 루터 와 의견이 가장 달라서 헷세의 필립이 마르부르크.에서 두 사람의 회담을 만든거걸랑. 

 

Martin Luther, instigator of the Protestant Reformation and leader of the Protestant movement which would be called Lutheranism, rejected the doctrine of transubstantiation, but continued to hold that Christ is bodily present "under the bread and wine".[10] Luther insisted that Christ's words during the institution of the sacrament, "this is my body", be taken literally. He believed that anyone who ate and drank during the Eucharist (often called the "Lord's Supper" by Protestants) physically ate Christ's body and drank his blood, regardless of their faith.[11] 

 

카톨릭에선 유카리스트의 빵과 포도주.를 트랜스서브스탠시에이션. 서브스턴스. 하이포스타시스.여. 지저스 의 실재.가 트랜스, 빵과 포도주로 변신한거야. 페르소나가 변신한게 아냐, 실재야 실재. 

 

루터는 저게 아니라는겨. 저건 성경 글귀 지저스의 말 그대로, 빵과 포도주는 지저스의 살과 피야. 루터는 빵과 포도주를 입에 대고 먹는 예식은, 진짜 지저스의 몸과 피를 먹고 마시는 것.이라는겨 저게. 그 역사적 사건도 그런 의미로 해석해야 하고, 또한 성사 할때도 우리는 그렇게 예배를 드리는거야. 지저스의 살과 피.를 입에 담는거야. 

 

츠빙글리는 히포의 성오거스틴.을 따라. 

 

Huldrych Zwingli, the first theologian in the Reformed tradition, also rejected the view of transubstantiation,[10] but he disagreed with Luther by holding that Christ's body is not physically present in the Eucharist. He held, following Augustine, that Christ's whole person (body and spirit), is presented to believers in the Eucharist, but that this does not occur by Christ's body being eaten with the mouth.[12] This view has been labeled "mystical real presence", meaning that those who partake have a direct experience of God's presence,[13] or "spiritual real presence" because Christ's presence is by his spirit.[14] Zwingli also did not believe that the sacrament actually confers the grace which is offered in the sacrament, but that the outer signs of bread and wine testify to that grace and awaken the memory of Christ's death.[12]  

 

지저스의 전체 몸 이란 페르소나.는 몸과 정신 모두 신도들 앞에 나타나, 유카리스트 할때. 그걸 입에 대고 먹었다고 해서 지저스가 신도들 앞에 있는 게 아냐. 유카리스트 를 예배로 할때 그 속의 뜻은, 저 빵과 포도주를 입에 대는 순간에 지저스를 신도들이 접한다는 생각 과 믿음 이걸랑. 그렇지 않다는거야. 그걸 입에다가 댄다고 지저스가 현장에 있고 없고 가 말이 되냐며. 츠빙글리는 그냥 정신적인 측면을 강조할 뿐이야. 메모리. 지저스의 죽음 에 대한 기억.을 유카리스트 예배를 통해서 되새깁시다. 라는 의미부여를 하는거야. 저 빵과 포도주.를 보고서. 보던 먹던. 

 

The failure to find agreement resulted in strong emotions on both sides. “When the two sides departed, Zwingli cried out in tears, “There are no people on earth with whom I would rather be at one than the [Lutheran] Wittenbergers.””[74] Because of the differences, Luther initially refused to acknowledge Zwingli and his followers as Christians,[75]  

 

츠빙글리.가 죽기 2년전 1529년 마르부르크 에서 루터와 대화를 하는데, 츠빙글리가 그러는겨. 아니 대체 빵과 포도주가 지저스면, 먼 카니발리즘이냐. 지저스가 안그래도 고통스럽게 가셨는데, 그몸을 다시 씹고 찧고 빻고 입안에서 그리고 소화를 시키는거냐? 그게 대체 무슨 말이냐 그게. 그걸 어드래 곧이 곧대로 해석하는가

 

서로 대화가 안되는겨. 서로 감정싸움만 격해지는거고. 분위기가 서로들 화를 조오온나게 낸거야. 두 진영이 헤어질때 츠빙글리가 눈물을 줄줄 흘리면서 엉엉 운거야. 내가 다시 태어난다면 루터들 비텐베르거들 외엔 되고 싶은 사람이 없다. 반어야, 저런 논리구조가 당췌 이해가 안되는겨 자기 머리로는. 루터는 츠빙글리와 그 무리들을 그리스도 임을 인정치 않았어. 

 

결국 감정싸움이야. 장 칼뱅이 미구엘 세르베토.를 제네바 지나가는 걸 잡아서리 종교재판 걸어서 죽이는것도, 감정싸움이걸랑. 세르베토.가 장 칼뱅의 저 교리서, 장칼뱅이 갓 나이 25세에 쓴 게 얼마나 유치하겠냐 한번 생각을 해봐. 저나이에 애가 무얼 알겠어. 너무나 너무나 유치한겨 세르베토 가 보기엔. 그런데 제네바에 다시 가서 장칼뱅이 성인이 된겨 세인트.가 신앙적 리더가 돼. 헌데 그런 자기의 책에다 대고, 세르베토 가 또 편지를 조오올라리 쓰는겨 너 이 부분 저부분 이상하다 잘못됐다. 처음엔 둘이 친했걸랑 서신 교환하면서. 온갖 빨간펜을 못견디고 장칼뱅이 연락을 끊어. 속으로 부글부글 한겨. 마침 제네바 아래 저기 비엔.에 와있대. 친구가 고소를 해. 풀려났어. 제네바를 왔어. 이게 미스테리야 대체 왜 왔냐는겨 세르베토가 이 제네바에. 그냥 이탈리아에 가면 되는걸. 이때 장 칼뱅이 제네바 실세야. 걍 바로 고소해서 종교재판으로 죽이면서 조오오온나리 시원했겄지.

.

 

 Calvin, like Zwingli and against Luther, did not believe that Christ is bodily present in the elements of the Eucharist. He taught that Christ remains in heaven and that we commune with him in the Lord's Supper by being raised up to him rather than him descending to us.[17] Calvin believed the elements of the Supper to be used by God as instruments in communicating the promises which they represent, a view called symbolic instrumentalism.[18]  

 

칼뱅.은 유카리스트에 벼라별 의미를  덧붙이는겨. 늦게 시작할 수록 이런게 더 눈에 띄는거고. 지저스가 역사적으로 벌인 사건에서 자기가 가스펠에서 말한 것들의 약속을 컨펌 하는 의식이 유카리스트였다며, 아  있어보이지 이런 해석은. 루터와 달리 보는건, 루터처럼, 새크리먼털 유니온. 살과 피가 하나되서 그 현장에 지저스가 나타난다는걸 거부해. 루터는 이리 믿어 지저스가 그 현장에 나타나는겨 신도들이 유카리스트 성사를 할땐. 칼뱅은 , 아니  지저스가 얼마나 바쁜데 그 현장에 오시겠으며, 지저스는 지금 하늘에 계셔. 지저스와 왜 내려오시겄어. 걍 멀리서 함께 하는겨 우리네 생체육신이랑.

 

They declared that the eucharist was not just symbolic of the meal, but they also rejected the Lutheran position that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is in union with the elements. With this rapprochement, Calvin established his role in the Swiss Reformed Churches and eventually in the wider world.[109][110]  

 

츠빙글리의 후예 불링어.와 저걸로 합의를 보는겨. 루터의 저 현장에서 지저스의 살과피의 합체 현존. 이걸 거부하는걸로 둘이 타협을 봐. 그리곤 불링어.는 츠빙글리의 유산을, 즉 저작권을 다 칼뱅에게 준거야 이건. 

 

그래서 츠빙글리의 이름이 사라진겨 역사에서. 

 

지금 현재의 역사가 승자의 역사 어쩌고 전에, 사람들이 많이 알고 인정한다고 해서 그를 쳐 주는 짓거리는 해선 안돼. 이 세계사를 보면 말야, 정말 되새겨야 할 안타까운 사람들이  많은데, 대부분 역사에서는 드러나지 않고 있걸랑 현재. 오히려 가장 추악한 벌레들이 영웅놀이 상징이 되고, 롤 모델이 되는 게  현실이야 이게. 특히나 이 조선빠닥은 그야말로 극심하지만. 

 

아 난 저 마르틴 루터, 장 칼뱅. 존 녹스. 조오오온나게 별로다. 

 

루터와 츠빙글리.가 유카리스트 만 다른게 아냐. 그냥 세세히 들어가보면 총체적으로 달라.

 

칼뱅과 츠빙글리와 루터.가 유카리스트만 다른게 아냐. 드러가다보면 아주 걍 총체적으로 달라. 그걸 한줄로 

 

Most objections to and attacks on Calvinism focus on the "five points of Calvinism", also called the doctrines of grace, and remembered by the mnemonic "TULIP"  

 

TULIP 칼뱅주의의 주요 포인트 다섯가지. 튤립. 이란 첫글자들 따서 정리한걸 다른것과 비교하면, 머여 저거 머가 그리 달라? 지들은  다르고 유별나다 하지만 그냥 그 정리된 표 보면 다를게 없어 저게. 머가 그리 달라? 똑같어 아 어 다를 뿐이걸랑.

 

저게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말야, 아  달라 서로들. 그냥 유카리스트 대목에서 쎄게 부닥치고 감정상하는거걸랑. 이전에 숱하게 다른겨 저들이.

 

Zwingli criticised the practice of priestly chanting and monastic choirs. The criticism dates from 1523 when he attacked certain worship practices. His arguments are detailed in the Conclusions of 1525, in which, Conclusions 44, 45 and 46 are concerned with musical practices under the rubric of "prayer". He associated music with images and vestments, all of which he felt diverted people's attention from true spiritual worship.  

 

츠빙글리.가 음악을 좋아해. 작곡도 하고 연주도 할줄 알아. 헌데 막 음악으로 챈팅 찬송하고 예배에 쓰는걸 비난해. 츠빙글리도 이미지 비판자야. 음악도 마찬가지야. 저게 진짜 영적인 탐색과 예배에서 벗어나게 한다는겨. 집중력을 흐리는거야. 그렇다고 이사람이 완전히 음악을 배제하자고는 안하걸랑. 너무 과한겨 음악을 쓰는게. 

 

루터는 찬송가에 미친 양반이고. 

 

저 이미지 배제. 음악 배제. 이게 모두 칼뱅이 써먹는겨 이게. 저건 말야 저작자가 츠빙글리야. 이런걸 다 뺏긴겨 칼뱅이란 이름에. 츠빙글리란 이름은 잊혀지고. 하기사 머 역사에 남아 인간들이 찬양 추앙한다고 나을게 머가 있겠냐마는.

 

 

츠빙글리 라는 영화가 2019년 초에 개봉했걸랑. 당근 우리넨 저 영화도 저 이름도 모르는거고. 여기엔 안 오는거고.

 

츠빙글리. 종교개혁 이라는 리포메이션 당시 최고의 사람이야 이사람이. 

 

저작권을 다 뺏겼어. 역사에 의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