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anknote (often known as a bill, paper money, or simply a note) is a type of negotiable promissory note, made by a bank, payable to the bearer on demand. Banknotes were originally issued by commercial banks, which were legally required to redeem the notes for legal tender (usually gold or silver coin) when presented to the chief cashier of the originating bank. These commercial banknotes only traded at face value in the market served by the issuing bank.[1] Commercial banknotes have primarily been replaced by national banknotes issued by central banks.

화폐이야기들은 보완해서 영상으로 대체합니다
2022- 09-05
https://youtu.be/BtpTGY4faL8

https://youtu.be/UI-cqTo5GjA


https://youtu.be/RSWIDiL7P0I




뱅크노트.란게 지폐.여. 종이돈. 니고시어블 프라미써리 노트. 약정되서 주기로 한 마크. 싸인.이여. 괄호 하고 종이에 쓴. 현금이란건 말야. 이건 정확히 말해서 우리가 이해하는 수표.야 이건. 처음 지폐를 쓸땐. 프라미스.란게 앞장서 보내는겨. 적극적 행위야. 프로 미테레. 이걸 약속.이라 번역하지만 굳은 의지.가 내재가 된겨 이 말엔. 뱅크. 은행.이 만든겨.

이 지폐.란 건. 수표야. 시작이. 차용증서.여. 저게. 댓가를 현물로 주고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준 차용증이야 엄격히 말하면. 저기서 받기로 한 건 머겠니. 금.이야 금. 금에 대비되는 은.이고. 불리온 코인.에 대한 간접 차용증이 지폐.의 시작이야. 저걸 개인간 종이에 주고 받으면 단순한 차용증 종이고, 은행이 발행하는 차용증.이 뱅크노트.가 되는겨. 우리가 말하는 지폐. 이 차용증의 성격이 20세기 까지인겨. 지폐를 은행에 주면 은행은 금을 줄거란 믿음의 증표.가 뱅크노트여.

Many histories position the crucial historical development of a banking system to medieval and Renaissance Italy and particularly the affluent cities of Florence, Venice and Genoa. The Bardi and Peruzzi Families dominated banking in 14th century Florence, establishing branches in many other parts of Europe.[1] The most famous Italian bank was the Medici bank, established by Giovanni Medici in 1397.[2] The oldest bank still in existence is Banca Monte dei Paschi di Siena, headquartered in Siena, Italy, which has been operating continuously since 1472.

근대은행.의 시작은 이탈리아로 봐 역시나. 피렌체 베네치아 제노바. 바르디 가문과 페루찌 가문.이 14세기여. 이 둘이 콘소시엄으로 저때 잉글랜드 에드워드 3세.가 프랑스랑 백년전쟁을 시작하걸랑. 용병이랑 전쟁자금 돈을 펀딩을 한겨. 이걸 못받아서 저 두가문의 은행이 망해. 피렌체 가문들이야. 두가문이 망하고 메디치.가 등장하는겨. 14세기여 저게. 방카 몬테 데이 파스키 디 시에나. 지금 토스카나라는 과거 피렌체.의 시에나.에 있는 은행이. 1472년. 설립된 547년 된 은행이야. 저기가 지금 총자산.이 153 빌리언 유로면. 한 200조원 되는데. 국민은행이 4백조원이고.

The Bardi family were an influential Florentine family that started the powerful banking company Compagnia dei Bardi. In the 14th century the Bardis lent Edward III of England 900,000 gold florins, a debt which he failed to repay along with 600,000 florins borrowed from the Peruzzi family,

두 가문이. 150만 플로린.을 에드워드3세.에게 빌려줬어.

The Florentine florin was a coin struck from 1252 to 1533 with no significant change in its design or metal content standard during that time.[1] It had 54 grains of nominally pure or 'fine' gold (3.5368 grams, 0.1125 troy ounce)

플로린.이 피렌체.의 플로렌스.와 어원이 같은 플로스. 꽃이여. 피렌체가 만든 금화.야. 근대 직전 3백년 동안 쓰인.

1플로린.이 54 그레인.이야. 그레인.이란게 밀 보리 낟알.이걸랑. 그레인.이란게 원래 라틴어로 씨앗.이야. 낟알이 된거고. 이 낟알 54개 의 무게와 같은게 1 플로린.이야. 금덩어리 무게여. 이게. 트로이 온스.로 0.1125 여.

트로이 온스.라는 단위가. troyes 프랑스 트롸 마을에서 쓰던 무게 단위여. 이걸 지금도 써. 이게 표준이 되서. 비철금속의 귀금속의 단위.는 이 트롸 마을의 온스.를 지금 쓰는겨. 이 비교 대상이 저 곡물 낟알 갯수.여. 이걸 그램화 한거고.

어디보믄. 그램.이 그레인.이란 곡물 낟알에서 왓다고 한걸 본적이 있는데. 거짓말이고. 그램은 그리스어여. 작은 것.이란 뜻이고.

150만 플로린.을 저기에 대입해서. 보믄.

Silver Spot $/Oz 16.8048. Gold Spot $/Oz 1,458.79

지금 1트롸 온스.당 금 현물이 은 현물보다 90배 정도야. 이게 근대 직후 스페인이 중남미에서 은 발견할때 15대 1이었걸랑. 은의 가치가 지금 완전히 주저앉은겨.

저걸 환산해보믄 2억5천만 달러여. 2,500억원이야. 저걸 에드워드 3세의 백년전쟁 터질때 빌려줬는데, 못받고 망했어 두 집안의 은행이.

.
14세기에 태동한 저 은행들은 커머셜 은행이야. 센트럴 뱅크.라는 중앙은행이 아냐. 센트럴 뱅크.라는건 국가.라는 정체성이 정립이 되면서 등장하는 개념이야.

From Middle English banke, from Middle French banque, from Old Italian banca (“counter, moneychanger's bench or table”), from Lombardic bank (“bench, counter”), from Proto-Germanic *bankiz (“bench, counter”), from Proto-Indo-European *bʰeg- (“to turn, curve, bend, bow”). More at bench.

뱅크.란 말은 그래서. 이탈리아 말이야. 방카 banca. 이건. 벤치.라는 의자에 계산대라는 테이블 카운터야. bench. 벤치.를 이탈리아는 방카.라 하고 다른 게르만들은 뱅크 방크 라 했는데. 은행의 방카.는 이탈리아.가 먼저쓰면서 뱅크.가 은행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워드.가 된거야.

.
돈이란 무엇인가. 이 화폐란 뭐냐 말이지 이게. 이게 곧 부. wealth. 웰뜨.의 상징 추상이걸랑. 이게 재밌는건데. 그러면서 애매한겨. 대체 부.란게 머냐 말이지. 이걸 상징하는 그 중심의 화폐.란게 또머고. 이게 추상적이어서 어려운걸 쉽게 생각한 무리들이 바로 사회주의 해대는 애들이걸랑. 가장 대표적인게 소득주도성장 이란 말이야 정말 너무나 무식한 말이걸랑 저런건.

전혀 인간의 뇌가 아냐 저짓들이. 브레인리스 멍키. 뇌없는 원숭이 수준에서나 나올 수 있는 발상이걸랑 저게.

저건 정확히 산술적으로 리미트 엔.이 무한대로 갈때. 정확히. 제로. 영.이 되는 이념 이걸랑. 그래서 공산주의...하면 머하니까 사회주의 해대면서 요즘, 하는 얘들이 경제가 완전히 제로.가 되면서 남자는 비굴해지고 여자는 창녀가 되고 아이는 빛없는 곳에서 거지가 되는, 레미제라블.이 되는겨. 저게 요즘 베네수엘라 이고. 중남미 애들이 그대로 똑같은 전철 밟는거고, 북조선이 그리 사는거고, 그러면서 양키 제국주의 탓하는건데.

상표권을 찍어서 돌려가면서 써. 내수가 돌아. 계속 돌려가면서 써. 백원이 계속 돌고 돌아. 그럼 저게 무한대로 백원어치의 가치들이 돌아가면서 생명유지들을 하는거야? 저기서 백원 이상의 이백원의 가치의 부.가 터져?

천만에. 결국 돌고 돌아서 말야, 생기는 건. 처먹고 싼 똥 만 쌓이는겨 땅빠닥에. 아주 정확하게.

백원짜리가 돌고 돌아 점점 구십원 팔십원 되다가 제로의 가치.밖에 되지 않아.

그리곤 백원 최초에 준 애는. 그걸 갚지 않아도 된대 ㅋㅋㅋ. 아 저 상상도 보고 웃겼는데 얘네 선거할때.

완전히 사기지. 안갚아도 되는게 어딨어.

저게 빚만 생기고, 똥만 쌓이고, 완전히 거지가 되는 이념이걸랑. 저건 걍 산수야 산수.

저런게 대단한 이념인듯이 선동팔이 해대고. 참 그야말로 끔찍한 수준의 대갈빡들이 권력질 하는건데.

대체 부란 무엇인가. 화폐란 무엇인가 걸랑. 저걸 저 지폐의 역사.를 보자고. 피아트 머니. 란걸 보면 쫌 이해가 돼 저게.

저런것도 말이지, 아주 경제에 대한 피바가지를 쓰고 나서 지금 양키들이 경제정책을 펴는겨. 유럽 애들 외엔 경제란 무엇인가.를 이해하는 애들이 없어 이게. 후진국 애들이 경제 에 대해 너무나 무지한겨. 경제 자체가 역사였걸랑 유럽애들의. 주도적으로 로마이후로 살아온 역사의 흔적이 저 경제여 경제. 돈의 역사고.

Commercial banknotes have primarily been replaced by national banknotes issued by central banks.

피렌체 바르디. 페루찌 메디치.의 커머셜 뱅크노트.들이 중앙은행들의 뱅크노트.들로 대체가 되어 온겨. 그러면서 진짜 지금의 지폐.란 현금이 된건데. 수표 개념의 차용증서.를 중앙은행이 발급하면서 진짜 지폐 뱅크노트.가 된겨.


National banknotes are generally legal tender, meaning that medium of payment is allowed by law or recognized by a legal system to be valid for meeting a financial obligation.[2] Historically, banks sought to ensure that they could always pay customers in coins when they presented banknotes for payment. This practice of "backing" notes with something of substance is the basis for the history of central banks backing their currencies in gold or silver. Today, most national currencies have no backing in precious metals or commodities and have value only by fiat. With the exception of non-circulating high-value or precious metal issues, coins are used for lower valued monetary units, while banknotes are used for higher values.

이 뱅크노트.는 리걸 텐더.여. 텐더.가 러브미 텐더.의 부드럽게 텐더.가 아니라.

Borrowed from Old French tendre, from Latin tener, tenerum (“soft, delicate”).

From Middle English *tenden, from Old French tendre (“to stretch, stretch out, hold forth, offer, tender”), from Latin tendere (“to stretch, stretch out, extend, spread out”).

러브미 텐더.의 텐더.는 라틴어 테네르. 테레룸.의 부드럽고 섬세한거고. 리걸 텐더.는 텐데레. 뻗어서 주는겨. 법적으로 주는 증빙서.야. 돈을 빌린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해당하는 가치.를 갚는 "법적으로 인정된" 수단.이 리걸 텐더.야. 아주 많이 나오는 단어여 이게. 각 국이 정한 리걸 텐더.가 있어. 대표적인게 그나라 화폐인거고. 이건 재판할때 나오는 말이야.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돈을 갚았다는데 안받았다고 소송할때, 채무자가 지 맘대로 해당하는 가격의 것을 줬다.고 변론을 하걸랑. 이런 사례가 많아지니까, 리걸 텐더. 외에는 무효로 하는겨. 그러면서 이 단어가 쓰이는거야.

내셔널 뱅크노트.가 중앙은행이 발권하는 지폐.여. 이건 지금 리걸 텐더.야. 헌데 참 웃긴건데. 이 리걸 텐더.가 되는 지폐 라는건. 시작이. 여전히 이건 중앙은행이 발권한 차용증.과 성격이 똑같은겨. 이 배후엔. 저 지폐를 갖고 있는 이한테 은행은 해당하는 "금" 을 주겠다는 의무.가 있는겨. 요게 중요한겨.


저게 금 본위제.라는거야.

A gold standard is a monetary system in which the standard economic unit of account is based on a fixed quantity of gold. The gold standard was widely used in the 19th and early part of the 20th century. Most nations abandoned the gold standard as the basis of their monetary systems at some point in the 20th century, although many still hold substantial gold reserves.[1][2] In a 2012 survey of leading economists, they unanimously opined that a return to the gold standard would not benefit the average American.

골드 스탠다드.를 金本位制 일본애들은 금본위제. 金本位 중국애들은 금본위. 하고 우린 반일놀이하면서 일본 말 써야 하니 금본위제.란 말에 익숙한건데. 금이 근본적인 자리. 라는겨.

이건 말이지. 저기 보면 19세기 부터 사용된 개념 이라고 하는 거걸랑 이게. 20세기 초까지 사용된 겨. 지금은 금본위제.가 아냐 저걸 다 버렸어. 금본위제.를 버리고나서야 생긴 말이 정확히 피아트 머니. Fiat money 란거야. 이전 설명한. 완전히 그냥 종이 쪼가리 일뿐이야. 금본위제 일때는 저건 중앙은행이 해당하는 "금"을 주겠다는 약속. 프라미스. 강한 의지.가 있는거걸랑. 그걸 전제로 저 종이 쪼가리.를 금덩이로 다룬거야 사람들이. 헌데 이젠 저런 전제 조차 사라졌어.

골드 스탠다드.란 말이 19세기에 나온 말이지만, 인간의 역사는 그 자체가 금본위제.여. 로마만 따져도 2천년을 골드 스탠다드.에서 살아온겨 인간은. 유럽은. 온세상은. 조선 빼고.

그야말로 피아트 머니여. "너의 종이 쪽지에 그만큼의 금이 스며있을지니" 완전한 주문 속에서 사는겨 인간들이. ㅋㅋㅋ. 저 자체엔 아무런 담보가 없어 이젠. 헌데 금 못지 않은 담보력.을 사람들이 주는거야 저 종이 쪼가리에. 피아트.의 주문에 인간들이 걸린겨 이게. 저건 20세기 초까지도 상상을 못한겨. 상상도 못한, 지폐에 대한 피아트.의 주문 주술.이 현실이 된건 놀라운거야. 그만큼 국가의 정체성과 국가 라는 위상.을 믿게 된거고 이게 문명의 힘이야.

저건 진짜 괴상한겨.


Today, most national currencies have no backing in precious metals or commodities and have value only by fiat. With the exception of non-circulating high-value or precious metal issues, coins are used for lower valued monetary units, while banknotes are used for higher values.

저 위의 문장에서, 오늘날 대부분의 통화들은 그 자체론 아무런 배후가 못돼. 그자체로 전혀 가치가 없어 이건. 해브 밸류 온니 바이 피아트. ㅋㅋㅋ. 가치는 오직 피아트.에 의할 뿐이야. 주문이여 주술이고 명령이여. 코인들은 낮은 가치의 화폐단위로만 쓰이고, 뱅크노트들은 높은 가치들로 쓰이고 있다. 뱅크노트에 피아트.를 졸 쎄게 걸었걸랑.

In China during the Han dynasty promissory notes appeared in 118 BC and were made of leather.[3] Rome may have used a durable lightweight substance as promissory notes in 57 AD which have been found in London.[4][5] However, Carthage was purported to have issued bank notes on parchment or leather before 146 BC. Hence Carthage may be the oldest user of lightweight promissory notes.[6][7][8] The first known banknote was first developed in China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starting in the 7th century. Its roots were in merchant receipts of deposit during the Tang dynasty (618–907), as merchants and wholesalers desired to avoid the heavy bulk of copper coinage in large commercial transactions.[9][10][11] During the Yuan dynasty, banknotes were adopted by the Mongol Empire. In Europe, the concept of banknotes was first introduced during the 13th century by travelers such as Marco Polo,[12][13] with European banknotes appearing in 1661 in Sweden.

뱅크노트.란게 대단한게 아냐. 이건 차용증서야. 권위있는 집단에서 발행한. 그래서 지금 현금식으로 쓸 수가 있던겨. 한나라 기원전 118년.에도 가죽으로 만든 지폐가 있어. 로마.도 사용을 했어 서기 57년에. 런던에 있고. 카르타고.도 기원전 146년 이전에 썼고. 당나라때도 썼어. 몽골애들도 쓰고. 유럽은 잊혀졌다가 마르코폴로.가 몽골가서 듣보고 소개하고 유럽애들도 쓰기 시작했다는 거지만.

In medieval Italy and Flanders, because of the insecurity and impracticality of transporting large sums of cash over long distances, money traders started using promissory notes. In the beginning these were personally registered, but they soon became a written order to pay the amount to whomever had it in their possession. These notes are seen as a predecessor to regular banknotes by some but are mainly thought of as proto bills of exchange and cheques.[24] The term "bank note" comes from the notes of the bank ("nota di banco") and dates from the 14th century; it originally recognized the right of the holder of the note to collect the precious metal (usually gold or silver) deposited with a banker (via a currency account).

이탈리아에서 저 14세기 방카. 에서 뱅크노트.라는 이름으로 지페를 찍어. 이건 은행에 금.을 맡겨 놓은 사람이. 그만큼의 금.을 갖고있다는 확인증서.여. 그래서 저 증서를 내밀면 그만큼의 금.을 다시 주세요.하는 약속어음이여 저게.

우리말 어음.이란게 완전한 우리말이야. 이게 저 프라미써리 노트.여. 수표와 같은 말이야 일본어로 手形 테가타. 중국어로 票据 표거. 피아오 쥐. 근거있는 증표란겨. 일본애들은 수형. 종이에 싸인을 손을 찍은거고. 이게 또한 관습이 조선이랑 똑같은거걸랑. 노예문서들 보면 손바닥을 찍거나 손모양을 그리걸랑 종이에 대고. 조선과 일본은 하나야.

어음의 옛말이 어험.이여. 이걸로 추정컨데. 저건 말씀 어.라는 한자.에 힘.이라는 우리말의 조합이야. 말에 굳은 의지의 힘.이 붙은 단어야.

유럽에선 어음이 지폐 그자체여 개인간에. 자기가 모은 금.을 은행에 킵을 해. 금을 못들고 다녀 점점 거래 액수가 많아지면서. 저걸 개인이 종이 쪼가리에 쓰는겨. 그래서 우리가 보기에 영화보면 의아하게 느낀 이들이 있었을지 모르나. 걍 종이 쪼가리에 금액 얼마 쓰면. 그게 돈인겨 쟤들은. 그걸 은행에 주면 창구에서 돈을 줘. 사람들끼리 금화를 주고 받은 것 외에, 은행에 맡긴 금화의 증서.를 개인끼리 서로 써주고 받는겨 이게. 이게 얘들 수표 문화인거야. 어음처럼 쓱쓱 쓰고서 주고받아. 졸 싕기하게.

저건 천년 이상의 쟤들 역사여 저게. 완전한 약속과 신뢰와 법을 바탕으로 한. 그 써낸 금액에 대해 사기를 치면 걘 문명에서 완전히 박탈 당한다는걸 알걸랑. 그래서 그걸 쉽게 써서 줄 수가 없어. 저런건 우리나라에서 할 수가 없던 제도고.
.
저게 초창기의 프라미서리 노트.라는 뱅크노트.고 개인간의 또한 어음이야. 이런건 중앙은행이 발권하는 지폐와는 성격이 다른겨.

마르코 폴로.가 본 지금식의 종이지폐 는 아닌거야. 저건 걍 차용증서여. 지금식의 지폐.를 17세기에나 쓰기 시작한겨 유럽은. 은행이 금 갖고 있는 소유자.에 주는 증서로서가 아니라, 지금 중앙은행 처럼 발권을 해댄겨. 이게 17세기라는겨. 이것도 그 배후엔. 금 본위.라는겨. 금을 주겠다는 약속이야 결국. 금.이 고대부터 20세기까지 세상의 배후여 이게. 이것과 완전히 동떨어진 땅빠닥이 이 조선반도 였고. 위대한 조선. 포목이 20세기에 화폐 여. 위대한 조선민족.

In the 14th century, it was used in every part of Europe and in Italian city-state merchants colonies outside of Europe. For international payments, the more efficient and sophisticated bill of exchange ("lettera di cambio"), that is, a promissory note based on a virtual currency account (usually a coin no longer physically existing), was used more often. All physical currencies were physically related to this virtual currency; this instrument also served as credit.

저런. 어음. 수표. 증서. 식의 차용증.의 종이문서.들이 14세기에 본격화 된겨. 유럽 구석구석에서 저리 발전을 해. 이건 그만큼 거래해서 주고받을 금액이 커졌다는거야. 예전엔 주머니에 금화 몇닙 은화 몇닙 넣고 다니면서 돌아다니고 거래하다가 점점점점 액수가 커지는거야. 그만큼 완전히 상업화가 된겨 유럽들이. 은행이 생기고 거기에 금을 넣어놓고 자기가 증서를 끊어서 주고 받는겨 저게. 14세기 부터 본격적으로. 이건 금.을 전제로 한겨. 항상 금.과 은.이야.

부. 富 란게 머냔 말이지 이게. 문명이 발전하면서. 새로운 가치. 부가가치.가 생긴다는 거걸랑 저건. 원시의 맨바닥에서 지금 저리 휘황찬란한 문명이 선겨. 물질적인 부가 쌓인겨. 저게 단순히 금.의 양의 차이냐 이거야.

금의 양의 차이.여 저게. ㅋㅋㅋ. 원시 없을 땐 금이 그만큼 없는거고. 지금은 금.이 저만큼 있는겨. ㅋㅋㅋ. 쉽게 말하면.

금.이 말이지. 물질문명의 불쏘시개에 장작으로 활용이 된 거걸랑.

비싼 집을 짓기 위해선. 그만큼의 금.이 있다는 거야. 돈이 있어야 집을 지을 수 가 있어. 돈은 금이야.

원시시대의 금 백개.가 천년이 지나서 금백개.가 아니야. 금을 채굴해서 천만개가 된겨 이게.

그 채굴된 금 만큼의 부.가, 문명이, 고도화 된거야. 금의 크기.가 문명의 크기.야 아주 정확하게. ㅋㅋㅋ.

증가한 금 만큼 인간이 온전하게 보다 돌아다니고 업그레이드가 된거야. 그 문명의 업그레이드로 증가한 양을 수치화 한게 금.의 증가량.이야.

공짜로 집을 지을 수 없어. 그만큼.의 노동력과 자재와 설계력.을 활용한 거야. 이건 돈 없이 못해. 세상에 공짜는 없어. 돈은 금이야. 그만큼 금.이 쓰인거야. 똑같은 금의 양으로 문명이 업그레이드 된게 아냐. 업그레이드 된 만큼의 금.이 채굴이 된겨 이게. 금 채굴 또한 인간의 온전하고자 하는 발버둥의 산출물이야 정확하게.

금.의 산출량과 회전속도가 활발한겨. 여기서 인간이 계속 머리를 굴려야만 해. 살아남고자. 더 잘 살고자. 그러면서 금을 역시 더 캐내어야 하고. 저 캐낸 금을 갖기 위해서 다른 일들을 제공 해줘야 만 해.

그러다가 말이지. 인간의 부.를. 인간의 물질문명.의 진전 속도를, 금의 량.이 못따라오는겨 이게.

금이란건, 촉매제 일 뿐이야. 아무리 내재가치.가 있다지만. 금은 금일 뿐이야. 만약 인간이 우주크기의 무의식 공간에 새를 날려서 새로운 무언가를 새가 갖고 오지 않으면, 그냥 금은 걍 돌일 뿐이야.

저 금 이란 것을 촉매로, 사유의 새가 날라다닌 거걸랑. 금이란 것이, 인간이 활동하는 이데아, 천국, 으로 피아트.가 되었기 때문에 인간이 짐승과 다른거걸랑 이게. 캬 멋진 말들이 티나오는데.

헌데, 새가 날라다니는 속도와 공간. 새가 물고 갖고 오는 이파리, 노아의 방주, 길가메쉬의 까마귀.의 그 잎들이, 오메 왜 이리 멋진 말을 해대냐 주책없이, 이걸, 금이 따라오지 못하는거야 이게.

이게 결정적으로 터진게, 세계1차 대전이야. 웃기게도.

야 이거 내가 미친거 아니냐 이거. 어찌 이따위 성스런 말을 자꾸 해대냐 이거. 잠깐 하고 유럽사 정리 할랐더만.

걍 막 써지네 이거.

1차 대전이란게, 산업혁명의 결과물들을 집중적으로 토해내는 시기걸랑. 더하여, 지면 죽음이야. 인간 문명은 말야, 역설적으로 이 전쟁 이란게 단단히 한몫 한거야. 전쟁 때문에 인간이 살아나고자, 죽지 않고자, 생각을 더 절박하게 깊게 넓게 할 수 밖에 없어 이게. 과학문명은 군사학.이 만든겨. 미국의 배후는 저놈의 유에스에이 밀리터리 걸랑. 외계인을 쟤들이 관리를 하잖니.

이전에는 지폐 라는 걸. 정확하게. 중앙은행.에 갖고 있는 금.의 양.을 기준으로 발행을 한겨. 지금 생각하면 웃긴거걸랑. 갖고 있는 금의 크기 이상으로 돈을 찍어낼 수가 없어 감히. 은행의 뱅크노트란건 갖고있는 금을 교환하는 증서일뿐이야 20세기에도. 지금 듣기엔 황당하게 느끼겠지만. 그렇다니까? 해서 저런말하면 당췌 이해가 안가는겨 요즘 사람들이, 대체 저게 먼말이래? 저게 2천년 이상의 관습이었어

야 이렇게 쉽게 화폐의 역사를 이야기 해주다니. 왜 이리 음청난거냐 이거. 아 이걸 영어로 번역해서 갈키줘야 하는데. 쓰잘덱없는 두꺼운 책을 대체 왜보니 이해도 못하는 걸.


전쟁이 터졌어. 그만큼 막막 무기들을 만들고 인간들을 동원해야 해. 그만큼 돈을 찍어내야 해. 헌데, 2천년의 아키타입.이여. 지폐.란건 금.을 전제로 한거야. 감히 막막 어드래 돈을 찍어내. 감히 그럴 수가 없는겨 이게.

이때부터 특히, 금에 대한 발목 족쇄.에 대한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한거야 인간이. 여기서 인간.은 유럽이야. 조선은 인간이 아냐. 조선은 말이야. 정말 저건 인간이 아냐. 인간의 문명과는 전혀 별개로 살아온 시안한 기생충 집단이야 저게. 중국에 기생해온. 참 위대한 조선민족인데.

Some economic historians, such as Barry Eichengreen, blame the gold standard of the 1920s for prolonging the economic depression which started in 1929 and lasted for about a decade.[34] In the United States, adherence to the gold standard prevented the Federal Reserve from expanding the money supply to stimulate the economy, fund insolvent banks and fund government deficits that could "prime the pump" for an expansion. Once off the gold standard, it became free to engage in such money creation.

1930년대의 세계 대공황.이란게 왜 터졌냐 설이 분분하지만. 이게 가장 커. 위키 영어에선 몇몇 경제학자만의 주장이라며 저걸 말하지만, 아주 근본적으로 제대로 본겨. 저들이 내 수준 정도 되는건데.

이 금.에 대한 그야말로 시안한 2천년 이상의 역사.이게 완전히 하나님이 된겨. 골드 스탠다드.가. 더이상 이 골드.의 크기.가 인간의 문명.의 증가한 크기.를 못따라 온거걸랑. 헌데도 여전히 금.의 크기.에 발목을 잡힌겨 인간의 생각이. 금.에 대한 본질적 통찰.을 못해온거야. 화폐가 무엇인가.란 고민을 제대로 안한거야. 그냥 수천년의 아키타입 원형 이 리얼한 참인 하나님의 법.으로 생각해온거걸랑. 골드 스탠다드. 라는 경제학.을 못벗어난겨 인간이.

문명은 그야말로 터졌는데. 완전히 날라다닐 지경인데. 저걸. 금.이 발목을 잡은겨. 금 의 크기 이상. 문명을 받춰줄 화폐.를 찍어내었야 하걸랑. 그걸 안한거야. 그러면서 경제 대공황이 온거야.

아주 제대로 본거야 저건. 매우 칭찬해.

저러면서, 인간들이 본질적인 질문을 해댄겨. 아 대체 금이 머여 저거. 화폐란게 멀까. 지폐란게 멀까. 문명의 크기 만큼 화폐가 떠받들어 줘야 한다는 걸 깨달은거야. 그러면서. 골드 스탠다드.를 버리기 시작한겨. 저건 2천년 이상의 족쇄에서 인간이 해방된겨 저게. 그러면서 돈을 마음껏 찍어댄겨. 막막 찍어댄겨. 아, 오히려 돈을 찍어낼 수록 그만큼 부가 쌓이는거구나. 라는걸 알게 돼.

In October 1976, the government officially changed the definition of the dollar; references to gold were removed from statutes. From this point, the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was made of pure fiat money.

미국애들이, 1976년 에서야 정부가 공식적으로 달러의 정의를 내린겨. 골드.와는 완전히 이별하였음둥. ㅋㅋㅋ. 이때부터 피아트 머니.가 된겨 진짜루다가. 피아트 라는 주술.은 골드.와 이별을 하면서 진짜 피아트 머니.야. 금을 안주겠다는 공개적 선언이야. 그야말로 아무런 가치없는 종이쪼가리 지만 그만큼의 가치가 있을지니. 라는 말뿐인 지폐가 된겨 서기 1976년에야. 헌데 그만큼. 국가.를 믿는거야 그 배후에. 금.에 대한 주술을 국가.로 대체한 거야.

그래서. 화폐가치.는 기본적으로. 강하게 두는겨. 국력.은 그나라.의 환율.로 나타나는거야. 자기 나라 화폐가치.가 쎈나라가 강한 나라고 문명이 고도화 된 나라야. 이건 미국 어느 행정부가 들어와도 일관된 경제정책이야. 너무 쎄지 않게 조절할 뿐이야 미국애들은.
.
.

헌데 저게 오묘한거야. 문명 크기 수준을 넘어서 찍어내면. 인플레이션.이 오는거야. 이것도 안돼. 저건 고도의 기술이야 그래서.

그래서, 국부론 아담 스미스.를 다시 떠받드는겨. 시장은 함부로 건들지 말라우. 보이지 않는 손이여. 해댐시롱. 저게 유럽애들의 중세 천년 이후 근대 오백년 지나면서 역시나 로마를 배우고 습한 2천년의 역사여 저게.

저런 걸, 이해할 수 없는거야. 뉴런세포를 안 써본 애들은.

사회주의 하면 지선인듯 배운듯. 참 그야말로 너무나 무식한겨 저게. 소주성. 정말 경제의 한 점도 모르는 애들의 개무식한 소리걸랑. 그런걸로는 새가 날라다닐 필요를 느끼지 않아. 걍 새장 속에서 얻어 처먹는 모이만 처먹다가 뒈지고, 모이값은 빚이 될 뿐인거지. 그때 몇몇은 안 굶겠지만, 멀리보면 모두 굶어 죽는 거야 저따위 이념놀이는. 그걸 다른 국가들이 현실로 사례들을 매일 보여줘도, 안 믿어, 저건 외세의 외압때문이라면서. 할 말이 없는거지.

이걸 기본으로 해서, 화폐란 무엇인가. 부란 무엇인가 관련된 이야기들을 보도록 하고, 문명이란 무엇인가 도 찾아서 보도록 해. 그러면 이해가 훨씬 잘 될꺼야.

아 너무나 음청난 말들을 한거 같오.

왜이러니 대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