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과 서의 전쟁.의 탓.을 보려고 하는데. 계속 이음인데.
팔레스타인.이니 중동이니 무슬림이니 어쩌고 얘기할라믄. 로마 이야기를 뺄 수가 없어. 이거 없이 전혀 이해가 안돼.
동 과 서.를 구분하는 시작은 역사에서. 그리스 페르시아 전쟁.이야 기원전 500년. 으로 치면.
The geopolitical divisions in Europe that created a concept of East and West originated in the ancient tyrannical and imperialistic Graeco-Roman times.[6]
시작은 동쪽 페르시아.야.
지금 보면 무슬림들이. 이슬람들이 개불쌍하게 보이잖냐. 서구 들이 악마같잖냐.
그따위 동정적인 시선이 허섭한겨 그게.
저들이 말야. 그 위대한 수메르 부터의 메소포타미아문명 에서. 그 가운데에서 왼쪽 오른쪽의 것을 열린 마음으로 취해서 보다 온전하게 갔으면. 쟤덜이 지금 유럽애들에게 저리 당할 리가 없어.
저때부터 2500년간 말야. 기회는 숱하게 많았어 저 중동 들이.
페르시아.는 생뚱맞은 기마에 유목민족 노마드였걸랑. 얘들이 흑해 위에서 내려와서 자리잡으면서 수메르와 셈족 애들의 문명을 다 갖고 가는겨. 그리고 뒤이어서리 다른 페르시아 애들 뒤이어서리 드뎌 무함마드.의 이슬람을 취하걸랑. 이걸 역시나 셈족과 페르시안족 더하여 투르크족이 취해서리 지금까지 온거걸랑. 더하여 저건 인도까지 스며들고 더 지나서리 동남아까지 가는겨.
이슬람 이란 슬람이는 엄청난겨 이게.
왜 슬람이는 저따위 슬람이가 되었고. 중동은 저따위 중동이 되었고. 슬람이를 따르는 무슬림은 왜 저따위 무슬림이 되었냐는거지.
서유럽은 말야. 똑같이 야만이었어. 게르만이 주축이 되어서리. 로마 망하고 쟤들 역사는 시작하는거야. 즉 얘들은 말야. 저 오른쪽의 셈족애들 에 비해서는 역사 자체가 없는겨. 야만도 그따위 야만이 없어 이 서유럽이. 게르만에 더하여 켈트(갈리아 게일).
.
아 참. 무슬림이 대단하고 위대한 이들인데 왜 허섭 취급하냐 되묻는 애들이 있을 텐데. 아 끔찍하지 정말.
대화는. 이성이 있는 사람. 하고만 하는거야.
멀리 해 그런애들. 사는게 재수없어 그따위 말 하는 애들은.
먼 말이 통해야 대화를 하는거지. 헌데 저따위 생각하는 이유가 있걸랑. 열등감에 쩔고 쩔은 애들이 저따위 말하는겨. 열등감에 젖은 애들이. 착한 척. 인간적인 척. 하는 소리걸랑.
저 척척척 하는 애들 조심해. 나중 뒤에서 칼 질 하는애들이야 쟤덜이.
서양애들이 잔인하고 불합리하게 대해와서 저런겨? 천만에 말씀이야 그게.
유럽애들이 열린상태에서 서로들 경쟁하면서 확장할때. 저들은 문명을 확장 안하고 편한 만 한겨. 약탈만 한겨. 전쟁을 위한 전쟁 만 한겨. 유너크란 환관 두고 하렘 두면서리 계집질 만 한겨. 만든 문명도 윗대가리들 몇몇 만 누린겨. 그게 2500년간 그짓만 한겨.
.
그래서 저리 저따위로 사는겨. 그걸 남탓 하는겨.
똑같은 들이 조선건국이래 육백년 넘어 칠백년째 저런겨.
동지애여 저딴 개이.
.
그런 이야길 풀어볼려고 해. 단순한 이야기가 아냐.
팔레스타인. 안타깝냐?
저들은 왜 저만 할까 라는 질문을 해봐.
다 똑같은겨 그 역사가
.
옥시덴트. 오리엔트
occident.
Origin
Late Middle English: via Old French from Latin occident- ‘going down, setting’, from the verb occidere.
옥시덴트. 서쪽을 칭해. 라틴어 옥시덴트.에서 왔어. 저무는겨.
orient.
.
Origin
Late Middle English: via Old French from Latin orient- ‘rising or east’, from oriri ‘to rise’.
오리엔트. 떠오르다. 동쪽.
.
알렉산드로스.는 오리엔트로 가자 란 말을 못하지. 쟤들은 당시 아나톨리아. 아시아. 이 두 단어야. 더군다나 페르시아 넘어서 지금 아프가니스탄이니 파키스탄이니 인도니. 몰라 여긴. 그야말로 신세계에 대한 궁금함이 더 동진하게 만든걸꺼야.
저들의 당시 대갈 속 에는 파키스탄 넘어의 세계가 없어. 걍 머가 이쓰까 간겨 그 궁금에.
.
In the later Roman Empire, the Praefectura Praetorio Orientis, the Praetorian prefecture of the East, included most of the Eastern Roman Empire from the eastern Balkans eastwards; its easternmost part was the Diocese of the East, the Dioecesis Orientis, corresponding roughly to the region of Syria. Over time, the common understanding of "the Orient" has continually shifted eastwards, as European people traveled farther into Asia.
오리엔트.란 말은 라틴어에서 나와. 고대 로마가 나중에 국경이 관리가 안돼. 혼자서. 이걸 쪼개. 이탈리아 반도 제외하고 네 개로. 그걸 프라이펙투라 프라이토리오. 하는겨.
프라이펙투라. 가 일본애들 현. 을 영어로 번역할때 쓰고.
저 네개의 프라이펙투라. 각각 안에 diocese. 다이오시스. 디오케세.들로 또 나눠.
저때 동방지구.할때 오리엔트.란 말을 써. .
북이스라엘 킹덤이 네오앗시리아에 망하고. 이어서리 남유다 왕국이 네오바빌로니아에 망해. 그리고 퀴루스 대제의 페르시아제국이 다 점령하고 아나톨리아 소아시아 로 진출해서리 그리스와 전쟁을 50년 하고나서리. 알렉산드로스 가 오시는겨 복수하러. 그러면서 저 레반트.는 헬레니즘되면서 그리스 지배하에 들어가고 저 레반트는 셀레우코스.가 먹어.
레반트는 페르시아부터 셀레우코스 까지 속주인겨. 그리고 나서리 파르티아.라는 또다른 페르시아.에 먹힐 뿐인거지. 그러다가 로마에 먹히는겨.
힘없으면 걍 저리 먹고 먹히는 사이에 낑겨 살 뿐이야.
.로마의 영역 확장을 먼저 봐야 해.
http://www.ict.griffith.edu.au/wiseman/Roman/19Maps.html
^ > 338 BC -- The beginning: Conquest of the Latin League
자세히 볼건 없고. 저 사이트에 개괄만 풀은것만 이해하자.
In legend, Rome was founded in 753 BC by Romulus, supposedly the descendant of Aeneas, a survivor from the destruction of Troy. The city only emerges clearly out of legend and into history around 510 BC, when it overthrew its Etruscan rulers (to the North-West) and became a republic. It rapidly grew in size and power, becoming the leading city in central Italy and supreme commander of the League of Latin Cities in times of war. In 340 BC the Latin cities revolted, but Rome defeated them and they came under direct Roman rule in 338 BC. This area,
the nascent Roman Empire, is indicated in red
in the above map.
The stippled red area is Capua, an independent area owing allegiance to the Roman Empire.
These conventions apply to all of the maps below also.
로물루스.가 세운후에 공화정 되는 기원전 5백년 까지는 역사적으로 증거가 희박하다는거지. 본격 등장하는게 로마 공화정때야. 증명 가능한거지. 저때 오른쪽 그리스는 페르시아 전쟁 준비할때고.
그 직전에. 로마 도시국가만 있었어 로마는. 반도에 수십개의 도시국가나 부락이나 킹덤들이 있었어 역시. 로마 바로 위가 해변따라서리. 에투루리아.야 여기랑 합쳐. 그리고 공화정.으로 정식 출범해.
로마는 로물루스 부터 공화정까지의 250년간 왕이 7명이야. 로마 도시국가 창립자 멤버 부락만 왕 한게 아냐. 그 위 사비네 족도 왕을 해. 에트루리아에서 망명한 부락도 왕을 해. 그러다가 마지막 왕때 정치 개판으로 해서리 내 쫓고 공화정을 시작한건데. 그 직전까지는 저 로마 근처밖엔 없어. 아래 카푸아
The Servian Wall (Latin: Murus Servii Tullii; Italian: Mura Serviane) was an ancient Roman defensive barrier constructed around the city of Rome in the early 4th century BC
세르비우스 장벽. 이 세워진건 기원전 400년 전후로 보는데. 이건 로마 6번째 왕 이름을 딴겨. 이때 계획한걸로 봐.
The wall is named after the sixth Roman King, Servius Tullius. He reigned 575–535 BC.[1] Although its outline may go back to the 6th century BC, the currently extant wall was built in the 4th c., during the Roman Republic, in response to the sack of Rome after the Battle of the Allia by the Gauls of Brennus.
이건 로마의 일곱언덕 만 감싼 성벽이야. 티베리스 강(티베르 테베르) 오른쪽이야. 나중 기원후에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은 훨 넓어 티베리스 강변을 접하고 포함하면서.
저 세르비우스 성벽은. 위 갈리아족들이 쳐들어 와서리 로마 약탈 하고서야 비로소 세워진걸로 봐.
The Battle of the Allia was fought between the Senones (one of the Gallic tribes which had invaded northern Italy) and the Roman Republic.
기원전 390년.이야. 리비우스. 디오도루스. 타키투스. 등 사가들 마다 서로 말이 다른데.
플루타르코스에 의하면 저 로마약탈을 7개월간 했다고 해.
The Gauls killed everyone they captured, including women, children and the old.[36] Plutarch wrote that the Gauls entered Rome on the Ides of February (the 13th of February) and that the siege lasted seven months.[37]
아주 걍 로마에 들어와서리. 잔인하게 죽이고 약탈하고 놀다가. 걍 떠난겨. 더이상 놀고 먹을게 없어서. 로마의 문명이 저때 아주 개아작이 난겨.
살아남은 로마인들은 카피톨리누스 언덕.으로 피해서리 저 기간을 버텨.
갈리아가 떠나고 나서리. 저 폐허를 복구를 하는겨.
솔직히 로마는 저때 망했어야 하걸랑. 아 저걸 극복하고. 다시 세운겨 로마를. 그리고 성벽을 싼겨 세르비우스 성벽을.
이 로마사.를 보면. 아 증말 음청나 이 로마사람들.
.
갈리아.라는 저 지금 켈트 니 영국의 게일 이니 이들이. 똑같이 저 이후에도 저따위로 사는겨 저리. 약탈하고 이동하고. 해서 나중에 로마에 처먹히는겨.
갈리아가 로마에 배우는 동안. 게르만이 똑같이 저하는거고 내려와서.
헌데 저을 똑같이 말야. 무슬림들이 한겨. 이슬람 황금시기가 바그다드에 어떻고 코르도바 이슬람이 찬란 해서 저떻고 하미 빨아대지만 그건 지들만의 하렘 놀이일 뿐이고 그 대부분은 저따위로 산겨. 저걸 근대까지 저 해온겨. 무슬림이야 그게. 그게 동쪽 들의 인도들에 중국이들에 조선왕조 개 들이야 그게.
저러면서. 남탓 하는겨.
민족. 주체. 이이고. 이게 똑같이 저 무슬림이니 인디니 페르시안 이니 조선 이니 그들 공통점이야.
.
니덜은 닮지마라라
.
< ^ > 279 BC -- Minimum: Losses to Pyrrhus.
In 326-290 BC Rome won the struggle for control of Italy against its main rival, the Samnites to the south-east. The Samnite allies included the Etruscans, and the Gauls to the north-west. Almost the whole of central and southern Italy came under Roman rule. Under threat, the Greek cities on the "sole" of Italy called in Pyrrhus, Greek king of Epirus (across the Adriatic from the "heel" of Italy). He beat the Roman legions and drove them out of most of southern Italy in 279 BC. However the losses to his own forces were enormous, whence the phrase a "Pyrrhic victory". Pyrrhus went on to conquer Sicily from the Carthaginians, who were allied to Rome in this war.
갈리아 애들의 약탈은 엄청난겨 칠개월간. 다시 정비하고 아래랑 동맹맺고서리 있다가.로마 도시국가가 위의 에트루리아 합치고 그 옆에 부락들 합치고 있다가 배타고 간 사람들이 저 뒷굽 지역의 그리스인들의 국가 타렌툼에 갔다가 공격당해 예닐곱 배들이 침몰해. 저 남단의 그리스 국가들과 전쟁을 하는겨.
그리스 도시국가들은 전투병이 없어. 돈만 있어. 용병을 들여. 그리스 본토의 마케도니아와 에피로스 왕 퓌루스.를 불러. 알렉산드로스 이후로 제 2의 알렉산드로스 를 꿈꾸는 인간들이 많아지는겨.
Pyrrhus (/ˈpɪrəs/; Ancient Greek: Πύρρος, Pyrrhos; 319/318–272 BC) was a Greek generaland statesman of the Hellenistic period.
한니발이 알렉산드로스 다음으로 쳐 주는 인간이야. 그래도.
코끼리 데리고 건너오는겨. 로마랑 5년을 싸워
Routes taken against Rome in the Pyrrhic War (280–275 BC).
로마까지 가다가 물러나다가. 이기지만 이긴것도 진것도 아냐. 로마는 시스템으로 움직이걸랑. 그 질김에 지쳐. 자기도 병력손실이 나기 시작해.
그러다가 시칠리아섬에, 저 삼각섬의 그리스인들의 해변국가 시라쿠스에서 콜 하는겨.
저 시칠리아섬은 양분해서리 오른쪽은 그리스인들. 왼쪽은 카르타고인들의 영역이걸랑 해변을 따라서리. 카르타고.가 자기들 영역으로 들어온다는거지.
건너가서 에뤽스.eryx 를 점령하고. 그이후 남쪽 서쪽의 카르타고 본거지들과 싸우기 위해서는 해상병력이 필요하걸랑. 그리스인들에게 배를 만들고 병력 증강을 요구하면서 자기가 왕행세를 하는겨. 그런 와중에도 카르타고 애들과 싸우면 이겨. 그래도 부른 그리스인들이 이 퓌루스.를 싫어해.
이 와중에 이탈리아 반도의 로마는 다시 병력 증강 하면서리 그리스 해변 국가들을 점령하는겨 뒷굽 타렌툼 빼고 다 로마 땅이 되었어. 부랴부랴 다시 들어와. 여기서 지고 빠꾸해서 자기 땅 에피로스 epirus 로 건너가. 그리고 마케도니아. 가서리 지원안해줬던 안티고누스.랑 전투하고 쫓아내. 이 안티고누스 이야기도 백부작인데 넘어가고. 그러다가 하튼 스파르타 먹고 아르고스 먹을라다가. 아르고스에서 지붕위에서 자기 아들 응원하는 병사 엄마가 돌던진 거에 맞아서리 말에서 떨어지고 그 목을 마케도니아 병사가 짤라 죽여. 어이없이 죽는데 퓌루스.
그리스가 본토에서 저 퓌루스.를 부르는 장면이. 나중에 그리스가 로마에 먹히는 이유야. 나중 한니발이 처들어올때 로마가 제일 걱정한 것은 그리스에서 쳐들어오는거였어. 로마가 그리스 문제를 처리할 수밖에 없었어 저것도
< ^ > 212 BC -- Minimum: Hannibal's Campaigns.
The Romans finally got the better of Pyrrhus in 275 BC, and by 272 BC had secured the entirety of southern Italy. The next target of Rome's aggression was the great maritime Empire of Carthage. The first Punic war (so called because Carthage was originally a Punic, i.e. Phoenician, colony) of 264-241 BC ended in a Carthaginian defeat. The western Mediterranean islands of Sicily, Sardinia and Corsica were ceded to Rome. Rome acquired territories across the Adriatic in anti-piracy campaigns in the the 220s, and at the same time conquered the Celts in northern Italy. Meanwhile, Carthage had rebuilt its position by conquering much of Spain, and it was here that the second Punic war began in 218. This time it was a war for survival. The great Carthaginian general Hannibal defeated the Romans in Spain and invaded Italy over the Alps. There he inflicted defeat after defeat on the Roman legions, the worst being at Cannae in 216 where the Romans lost some 50 000 legionaries. As during the invasion of Pyrrhus, the Samnites defected, and so did the Greek South, followed by Syracuse in Sicily in 214.
저때 퓌루스.가 시칠리아섬에서 떠나면서 다시 카르타고.가 시칠리아 동쪽 그리스 국가들로 가는겨. 이번엔 이들이 로마에게 구원요청을 하는겨. 이게 포에니 전쟁 1차야.
264-241 BC. 20년 이상을 싸워. 이걸 로마가 이겨.
그리고 오른쪽 그리스에 접한. 에피로스 epirus 위 해변 일뤼리움에 해적들이 득실 하걸랑. 이 해적들 처부스고. 반도 북쪽에 갈리아인들을 몰아내면서 포강. 까지 먹는겨.
1차 포에니 전쟁에서 진 카르타고.의 해외파.의 한니발이 에스파냐에서 출발해서리 알프스를 넘어
The Second Punic War (218 BC – 201 BC)
한니발이 넘어와서리 특히 저 칸나이 전투. 기원전 216년. 로마에서 아주 치욕의 전쟁으로 여기는 것 중 하나야. 완전 대패해.
한니발이 로마 성벽까지 말타고 왔어. 세르비우스 성벽을 둘러보고 가. 아 그때 로마인들이 벌벌벌 떨었어.
헌데 한니발이 로마.를 공격을 못해. 주위의 로마 동맹국들이 배후에서 칠까봐. 반도의 많은 동맹국들이 배신을 안했어
한니발은 저 로마의 시스템에 결국 진겨. 동맹들의 덕질이 한 힘도 해주고.
< ^ > 86 BC -- Minimum: Losses to Mithridates.
Despite his victories, Hannibal was not prepared to move on Rome itself, and the Roman legions finally secured a victory against him in 211. Elsewhere Roman forces were also gaining the upper hand. In 203 Hannibal evacuated Italy, to defend Carthage against a Roman attack. There he was defeated by the Roman general Scipio in 202, and the war was concluded with harsh terms imposed upon Carthage. Rome acquired the whole eastern coast of Spain, and went on to conquer most of the country by 133 BC. As usual, Rome was at war most of the time, and everywhere its legions were eventually successful. Macedonia was annexed in 148 BC, Greece and Carthage two years later. By this time, the city of Rome had reached the 100 000 mark and its only rivals were Antioch, capital of the rapidly shrinking Selucid Kingdom, and Alexandria, capital of the Ptolemaic Kingdom of Egypt. Such was Rome's prestige that the king of Pergamum in western Anatolia bowed to the inevitable and in 133 BC bequeathed his kingdom to Rome. By 100 BC Rome's territory in the East stretched as far as the dotted border in the above map. Only one kingdom dared challenge Roman supremacy: Pontus, on the southern shore of the Black Sea. From 110-100 BC, King Mithridates (120-66 BC) more than quadrupled its territory, expanding eastward, southward (temporarily conquering the Roman protectorates in central Anatolia), and northward (conquering the Bosporan Kingdom on the northern shore of the Black Sea). In 88 BC, as Italy was just emerging from the "Social War" (which compelled Rome to extend the citizenship to all of Italy), Mithridates struck westward. The Roman province of Asia was over-run and 60 000 Romans executed. In 86 BC southern Greece defected to Mithridates, and received a Pontic army. Rome's strategic position in the East seemed to be falling apart.
한니발.이 보급 병참이 막혔어. 로마가 한니발한테는 져도 카르타고에서 오는 배들을 다 막았어 해상에서. 그리스애들의 지원도 외교로 끊고 해상을 또한 막았어.
한니발은 고립된겨. 아 한니발은 음청나. 같이 굶어 병사들이랑. 같은 잠자리에서 자. 한니발의 병사들도 용병이 많아. 에스파냐인들 북아프리카 인들. 헌데 이 외국애들이 말야 저런 한니발에 감동을 하는겨. 이것도 골때리.
한니발이 신이야 신. 인간적으로 끈끈하게 맺혀진. 신앙이 되는겨 병사들에겐.
헌데 저런 한니발도. 병참이 끊기고. 시스템의 문명 로마에 져.
저때 로마가 카르타고 본토를 치는겨. 한니발이 이탈리아 남단에서 배타고 떠나는겨.
저 지도에서 프랑스 남부 마르세유 와 피레네 산맥위의 저 빨간 빗금지역은 그리스 도시국가들이야.
로마의 이탈리아 본토는 한니발에 약탈을 당했지만. 반대로 로마는 카르타고 본거지를 치는거걸랑. 에스파냐를 다 갖고 오는거야. 에스파냐 가는 길의 땅을 점령하는거고. 나중엔 북아프리카의 카르타고를 치는거야. 카르타고의 리비아땅도 치는거야.
저땅들은. 로마가 먹으려고 한게 아냐. 한니발이 안 넘어왓으면. 로마는 저거에 관시미가 없었어.
당시 이집트는 중립이야. 로마로선 고마와.
저러면서. 카르타고에 협력적이었으면서 로마를 쳐들어왔던 그리스 북부를 처들어가는겨. 퓌루스의 마케도니아가 복속이돼. 저 아드리아해변은 해적의 본거지걸랑. 저길 다 치고 점령한겨.
한니발 전쟁을 이기고. 영토가 넓어지면서리. 카르타고와 시칠리아에서 밀이 대량으로 들어와. 싸걸랑. 이탈리아의 밀농사가 망하는겨. 올리브 등 대체작물 심지만.
그러면서 또한. 전쟁이 없어지면서. 일자리가 사라진겨. 군대있을땐 먹여주기나 했지.
실업자들이 느는겨. 빈민들이 발생해.
전쟁을 이기고. 오히려 사회문제가 발생을 해.
지금까지의 체제로는 이게 운영이 안되는겨.
그라쿠스 형제가 개혁 어쩌고 하다가 둘다 죽걸랑. 토지개혁에 무상급식이야. 구호가.
헌데 결국 저걸 비슷하게라도 할 수 밖에 없는거야. 물론 귀족들은 차명으로 토지 확보 여전 하지만. 무상급식도 해. 인원 한정 해서. 왜냐믄 무상급식이 근본적 해결이 안되걸랑. 그래도 안하믄 폭동이 나는겨.
저기서 마리우스. 카이사르의 고모부가 포풀라레스.의 거두가 되면서리. 집정관 하면서리 좀 권력을 푸는겨. 징병제를 도입해. 실업자들이여 군대와라.
저 와중에. 이탈리아 반도의 라티니.들인 연합도시국가들이 로마시민권의 확대를 요구하면서 이탈리아 내전이 일어나는겨.
그리고 마리우스의 포풀라레스 와 술라 의 옵티마테스 가 내전을 하는겨
요틈에 티나오는 인간이 미트리다테스야.
Mithridates VI or Mithradates VI ([pronunciation?]; Greek: Μιθραδάτης, Μιθριδάτης),[2]from Old Persian Miθradāta, "gift of Mithra"; 135–63 BC, also known as Mithradates the Great (Megas) and Eupator Dionysius, was king of Pontus and Armenia Minor in northern Anatolia (now Turkey) from about 120–63 BC.
폰투스.의 미트리다테스 6세. 폰투스.는 오른쪽 접한 아르메니아 킹덤이랑 같이 고대 로마에 맞섰걸랑.
폰투스 킹덤은 페르시아 핏줄이야. 그 옆 아르메니아 킹덤은 또다른 인도유러피안의 큰가지야. 달라. 헌데 둘다 유목에 기마민족이야 흑해 위에서 내려온. 그 문화습성은 같어. 얘들은 킹덤 해야해. 로마 정치로는 못 다스리는 애들이야.
이 미트리다테스.가 저 로마 내전 정세 불안 상황에서. 로마를 치는겨. 소아시아의 그리스땅을. 본토 그리스는 또 로마 물러가라 미트리다테스를 환영해.
The First Mithridatic War, fought between 88 BC and 84 BC, saw Lucius Cornelius Sulla force Mithridates VI out of Greece proper. After victory in several battles, Sulla received news of trouble back in Rome posed by his enemy Gaius Marius and hurriedly concluded peace talks with Mithridates.
저때 술라. sulla 가 그리스로 가는겨. 그리스 가기 전에 군단병력으로 로마에 입성해서리 마리우스파를 내쫓아. 그리고 그리스로 넘어가서리 연전연승해. 그러다가 마리우스가 로마에 들어온단 소식을 듣고 부랴부랴 다시 로마로 가는겨
복귀한 마리우스파는 술라 지지자들을 죽여. 참수하고. 술라를 내쫓는 법을 통과하고.
의미없는게 술라에겐 군단들 병력이 있걸랑. 대체 들어오면 어쩔껴.
마리우스는 술라없는 사이 복귀하자마자 콘술로 활동하다가 한달도 안되서 죽어. 병으로. 나이 70세.
Sulla's second civil war was one of a series of civil wars of ancient Rome. It was fought between Lucius Cornelius Sulla and Gaius Marius the younger in 82 BC
술라가 저때 다시 들어와서리 마리우스 아들이랑 내전하면서리 로마 점령하고 숙청하는겨. 살생부에 수천명이야.
Mithridates VI attacked with an even larger army, leading to the Third Mithridatic War from 73 BC to 63 BC. Lucullus was sent against Mithridates and the Romans routed the Pontic forces at the Battle of Cabira in 72 BC, driving Mithridates to exile into King Tigranes' Armenia.
그리고 나서리 저 미트리다테스.가 또 덤비는걸. 루쿨루스.가 조지는겨. 루쿨루스.도 전쟁 잘해 헌데 한무당식으론 덕이 부족해. 사병들이 싫어해 짠돌이라서. 얘들은 음청나 진짜.
He was routed by Pompey's legions at the Battle of the Lycus in 66 BC.
폼페이우스 한테서 지면서리 흑해 구석탱이로 쫓기는겨. 이 미트형 대단한데. 넘어가고.
< ^ > 9 AD -- Maximum: Augustus' Conquest of Germany.
Rome's efforts to put Mithridates back in his place were hampered by civil strife at home between the populists led by Marius and the aristocrats led by Sulla. However, the latter defeated Mithridates in 85 BC, and the Eastern frontier was restored by 81 BC. But Mithridates had not given up, and Sulla's successor Pompey was sent East again. By 66 BC, the Roman victory was complete: Mithridates committed suicide, the coast from Pontus to Syria (inclusive) was annexed to Rome, and the interior reduced to vassalage. In the West, Pompey's rival Julius Caesar (nephew of Marius) made even more spectacular gains during his military appointment, conquering all of Gaul by 51 BC and even raiding Britain. By this time the republican system was clearly breaking down as rival generals sought absolute power, or a share in it. The civil wars of 49-30 BC ended with this absolute power in the hands of Octavian, great-nephew and adopted son of Caesar. In 27 BC the Senate bestowed upon him the honorary title Augustus. As the first Emperor of Rome he was careful nevertheless to maintain the institutions of the Republic, and the fiction of their role in government. Legally, he was merely the Princeps, the first citizen, and so this system is called the Principate. No mere politician, Octavian finished the job begun by his predecessors by annexing or reducing to vassalage all of the land south of the Danube and Rhine, East of the Euphrates, and North of the Sahara. His most ambitious project was to conquer Germany, which seemed well in hand by 9 AD.
술라의 후예 폼페이우스가 폰투스 물리치면서리 저리 아나톨리아 반도와 시리아.와 유대땅을 먹어.
Gnaeus Pompeius Magnus[2] (
Classical Latin:
[ˈgnae̯.ʊs pɔmˈpɛj.jʊs ˈmaŋ.nʊs]; 29 September 106 BC – 28 September 48 BC),[1] usually known in English as Pompey/ˈpɒmpiː/ or Pompey the Great,[3] was a military and political leader of the late Roman Republic.
카이사르.보다 6살 많아. 카이사르와의 내전 상대야.
저 고대 로마의 내전은 여하튼 한니발 전쟁 이기고 나서의 싸움이야. 이건 체제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하는겨. 이걸 종지부를 찍은게 카이사르.야
한니발 이후 150년 간 해결할 수 없는 사회문제.를 기존 공화정 체제.로는 안되는걸 깨달은 인간이 카이사르야.
단지 카이사르는 공화정 망친 제국주의자 독재자 개개끼. 나뻐.
무식한겨 그따위 말이.
나중에 하자.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동서전쟁, 고대철학의 꽃을 피워 ft.알렉산더와 한니발 (0) | 2018.07.14 |
---|---|
고대근동사27. 고대로마 vs 근동 2 (0) | 2018.07.13 |
고대근동사25. 유럽과 아시아 전쟁의 탓 ft.페르시아전쟁. 이스라엘왕국 (0) | 2018.07.11 |
고대근동사24. 페르시아에서 오스만투르크 ft.시베리아 (0) | 2018.07.10 |
12명을 뽑아보자 ft.카틸리나 키케로 (0) | 2018.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