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일전.
The Russo–Japanese War (Russian: Русско-японская война, Russko-yaponskaya voina; Japanese: 日露戦争 Nichirosensō; 1904–05)
영어로 러시아 일본 전쟁. 일어로 일러전쟁.
The effects and impact of the Russo–Japanese War introduced a number of characteristics that came to define 20th century politics and warfare. Many of the technological innovations brought on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first became present on the battlefield in the Russo–Japanese War. Weapons and armaments were more technological than ever before. Technological developments of modern armaments, such as rapid-firing artillery and machine guns, as well as more accurate carbine rifles, were first used on a mass scale in the Russo–Japanese War. The improved capability of naval forces was also demonstrated. Military operations on both sea and land demonstrated that warfare in a new age of technology had undergone a considerable change since the Franco-Prussian War of 1870–71.[84]Most army commanders had previously envisioned using these weapon systems to dominate the battlefield on an operational and tactical level but, as events played out, these technological advancements forever altered the capacity in which mankind would wage war.[85] For East Asia it was the first confrontation after thirty years involving two modern armed forces.
러일전쟁은 인류사.에서 이 근대사를 가르는 전쟁이야. 이게 보통 일이 아닌데. 이에 대해서 이 조선바닥은 이걸 이해를 하는 인간이 단 하나가 없는데.
야코프 부르크하르트.의 지난 글을 말야. 짐이 당일 날 보고 걍 올린 거걸랑 저걸. 곧 짐께서 지금 까지 하시던 말씀을 이미 백년 전에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라는 위대한 역사가께서 다 언급하신거걸랑. 아 결국 이걸 한글로 옮긴 거일 뿐이라서 솔직히 쪽팔리긴 해. 짐의 독창적인 사유.물이야 여기 짐께서 정리하는 말들은.
헌데 초창기에 언급했듯이 말야. 쟤덜 이야기꾼들 즉 사가들이나 문학자들이나 말야, 쟤덜은 저리 연속선 상에서 역사를 이야기해. 그 선상에서 문학을 그림을 음악을 해.
쟤덜은 저 서양애들은 그리고 일본들은. 해서 머 열등감이니 머니 없어. 복수니 머니 없어. 적폐가 어딨니 사람 사는데에.
오히려 일본는 열등감이 아직 있어. 물론 얘들도 국뽕 해. 헌데 그 바닥엔 저 서양애들 얼렁얼렁 카피해서 뒤쫓자 라는 의식적인 의도가 있어.
쟤들은 메이지유신.때 뼈저리게 느꼈걸랑. 쟤들은 울었어. 뒈졌어. 그래서 또한 그 자부심은 쎄. 그래서 또한 깝깝해 한편으론. 해서 시오노 나나미.는 이태리 뽕이된겨. 이 할매는 일본 이야기. 허섭하게 생각하겠니 안하겠니. 허섭한겨 로마를 보면 베네치아를 보면. 해서 로마 가서 사는겨 저 할매는. 저 할매 눈에는 일본 싫어 싫어. 그 로마인 이야기나 그 이전 수많은 글에서나 비교 대상을 일본을 들어. 그 바닥은 자기 나라 일본에 대한 깊은 비하감이 있어.
헌데 저 할매가 모르는게 있는겨. 그따위 일본도. 그래도 음청난겨 저게. 옆에 조선민국에서 거시적 온전한 관점으로 보면.
웃긴겨 저 일본들. 어찌 이런 동양바닥에서 말야. 메소포타미아에서 문명이 제일 늦게 오고 섞이기 싫어하는 이 후진들의 땅바닥에서 어드래 저런 각성을 했냐는 거지 저게.
저건 엄청난겨 저거. 메이지 유신 이란건 세계사에서 가장 위대한 혁명이야.
러시아혁명이니 중국이들의 모택동 혁명이니. 는 후진 들의 개질알일뿐이고. 저따위 은 이미 유럽에서 십세기 전후에 이탈리아 랑 프랑스 에서 한번 겪고 버린걸 저들은 천년 지나서 저리 하는거고 저 을 중국이들은 지금도 여전히 개 인거고 저따위 인민 을 또 어떤 나라 같은 들은 오 헨리 조지가 봐쓰므는 어쩌고 저쩌고.
아 참 끔찍한겨 저게.
쟤들 천년 전에. 그리고 그 천년 전의 그 천년 전에 한걸 깜빡잊고 해서리 다시 접은걸
천년이 지나서야 제일 늦게 출발했던 들이 저따위 을 하는겨. 그게 지금 중남미고 베네수엘라 들이 하는거고 거 밑에 아르헨티나도 이전에 머 별다르간. 헌데 지들 실패한걸 또 이전 적폐 똑같이 핑게대고.
북조선 배떼기가 자기들 체제를 버리고 머리 숙이고 도와 달라디? 쟤덜은 대갈빡이 이미 굳어서리 저 이념을 절대 못버려. 저 이념을 버리면 자기들 권력이 뒈지는 걸 알걸랑. 옆의 중국이들이 또한 가만히 있겠니. 배떼기는 중국이 수족일 뿐이야. 걍 이념의 노예들일 뿐이야. 유럽애들이 버린 이념을 여전히 쥐고 있는거지. 헌데 또한 쥘 수 밖에 없어.
중국이는 중국은 말야. 950만 제곱키로. eu 라는 유럽연합이 450만 제곱이 안돼.
저 넓은 중국땅이 말야. 이전 춘추전국시대가 천년 이상은 더 갔어야 해. 유럽이 그러걸랑. 유럽이 로마가 망하고. 프랑스 독일 영국이 주축으로 섰지만 얘들은 근대 이전엔 걍 모두가 다 봉건국가 였어. 거 자잘자잘한 공후백자남 영지들이 자유롭게 경쟁하면서. 로마를 되새김질 한 것이걸랑 그리스도가 더해져서. 저기에 사유가 넓어지면서리 계몽주의에 산업혁명까지 간거걸랑.
프랑스 란 정체성은 잔다르크. 다음이야. 저 프랑스 라는게 한 묶음질이 끽해야 육백년이야 인간들 정서는. 다들 걍 지들 봉건영지들에서 산겨. 독일은 오스트리아랑 프랑스 전쟁 이기면서야 독일이야. 그전엔 독일이 없어. 끽해야 쟤들도 말야 150년이야.
스페인도 끽해야 저게 언제냐. 에스파냐 하는것도 까를로스란 카를 5세 직전이야. 육백년이야 끽해야. 이전엔 식민지였고 천년이상을 고트족 식민지 무슬림 식민지.
쟤덜 역사 별거 없어. 로마 이외는. 다 개거지들이었어.
헌데 말야. 저 개거지들이. 자기들이 없고 후진걸 인정을 했걸랑 인정을.
인정을 했어 인정을.
저들은 지들 뽕질을 안했어.
아 우리네 후지구나. 로마가 맞구나. 그리스를 가져온 로마가 엄청나구나. 그리스에 더하여 현실 그대로 보고 보다 실재적으로 살아라 하는 로마인들이 엄청난거구나. 그래 배우마.
해서 지금까지 온겨 쟤덜이.
저 게르만 조또 아니걸랑 역사는. 서기 8백년 까지는 개거지들이었어. 물론 그이전 삼사백년은 전쟁하며 습득하는 시기였지만 말야. 우리네 삼국시대와 수준이 달라 저긴. 유치해.
켈트란 갈리아는 카이사르 이후 사백년을 완전히 로마인이 되는겨. 그래서 야만에서 문명이 돼. 그리고 로마란 우산이 없어지고, 게르만 수하에서 섞여서리 문명인이 된겨. 게르만이랑 똑같이 서기 8백년은 쟤들은 이쪽이랑 비교가 안돼.
갈리아란 켈트는. 그래도 게르만 보다 그래서 나았던겨. 먼저 인정했걸랑. 헌데 어쨌거나 게르만이 힘이 쎄. 영국도 프랑스도 지배세력은 게르만이여.
여하튼간에 말야. 쟤들은 서기 천오백년 전후에야 정체성이 조금씩 생기면서 뭉치기 시작한 거야. 독일은 끽해야 150년이야. 헌데 저놈의 중국이 중국은 저들보다 땅덩어리는 두배 면서도 저 넓은 땅덩어리가 거의 그대로 하나로 간거걸랑. 물론 잠깐 삼국시대니 십국시대니 십육국시대니 하지만 거의 걍 한덩치로 간겨 저게.
중국이가 후진 이유야. 해서 쟤덜은 민주제도 라는 걸 할 수가 없어. 걍 개무식한 들이나 써처먹는 사회주의를 핑게로 일당독재 해야하걸랑.
사회주의. 개무식한 민들에게, 평등하게 살게 해주께. 따위의 말이 먹히는겨. 그걸 빌미로 지들 몇몇 지배들만 처먹고 사는건데. 헌데 또 그래야 저 덩치가 유지될 수 밖에 없걸랑 저게.
저따위 말이 먹히는게, 역사가 후진겨. 저 각각의 자잘자잘한 땅들 속에서 서로 쌈질하면서 상공업 교류질 하면서 거기서 위대한 사유들이 티나오고 그 낙수로 진화한 문명.을 저 후진 들에겐 꿈도 못꾸는겨.
저따위 말이 먹혀. 개 후진 나라에선
저따위 말은. 곧 모든 인간들을 죽이겠다는 겨 저건. 너희들을 굶어죽이겠다. 역사적 경험이걸랑 저건.
무시하는거지. 이념에 미친
.
러일전쟁이란건 말야. 저 문명의 진보에서 뒤늦게나마 각성을 하고, 뒤늦게 출발한 두 나라가 붙은 전쟁이걸랑.
그것도 산업혁명의 절정기에.
저 영문글 보면 이전에 이게 프랑스 프로이센 전쟁에 활용되었다 하걸랑. 그 신기술들이.
The Austro-Prussian War or Seven Weeks' War (also known as the Unification War[4], the War of 1866, or the Fraternal War, in Germany as the German War, and also by a variety of other names) was a warfought in 1866 between the Austrian Empire and the Kingdom of Prussia, with each also being aided by various allies within the German Confederation.
비스마르크.의 프로이센이 드뎌 독일지역을 통일할라고. 그전에 외부간섭 제거를 위해 먼저 치는게 오른쪽 아래 오스트리아. 보오 전쟁이라해. 우리말로. 이건 1866
The Franco-Prussian War or Franco-German War (German: Deutsch-Französischer Krieg, French: Guerre franco-allemande), often referred to in France as the War of 1870 (19 July 1870 – 28 January 1871) or in Germany as 70/71, was a conflict between the Second French Empire of Napoleon III and the German states of the North German Confederation led by the Kingdom of Prussia.
그리고 나서리 왼쪽 프랑스.를 치는겨. 보불전쟁. 1870
그리고 나서리. 외부 간섭세력 다 막고. 나폴레옹이 해체한 신성로마제국.이 라인동맹이 되고 이게 해체가 된걸 프로이센이 이제서야 통일을 하는겨.
The unification of Germany into a politically and administratively integrated nation state officially occurred on 18 January 1871, in the Hall of Mirrors at the Palace of Versailles in France
1871년. 이것도 공식선언을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 거울방에서. 프랑스 입장에선 치욕의 날이지만 독일애들 입장에선 나폴레옹에 깨갱한 것에 대한 통쾌한 한방인거고.
The German Empire (German: Deutsches Kaiserreich, officially Deutsches Reich),[5][6][7][8] also known as Imperial Germany,[9] was the German nation state[10] that existed from the Unification of Germany in 1871 until the abdication of Kaiser Wilhelm II in 1918.
저때부터 일차대전 지고 빌헬름 2세 카이저.가 물러나고 제정 끝나고 땅 쪼그라드는 1918년까지 독일제국인거고.
.
저 보오 보불 전쟁. 그리고 그 이전의 크림전쟁.에서 부터 산업혁명의 신기술들이 쓰여지고, 전쟁양상 자체가 달라져. 그러면서 이전 썰했듯이 작전계획.이란 사전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로 나가서리 이게 일차대전을 일으키는 진짜 이유였던겨 이 작전계획.이란게 말야.
말이 샜는데 넘어가고
비행기가 전쟁에 쓰여진건 일차대전 직전이야.
증기선들을 주축으로 한 함대.와 각종 신무기.를 갖춘 그야말로 산업혁명의 결과물을 갖고 거국적으로 부딪친게 저 러일전쟁이야.
엄청난겨 이게.
그것도 제일 후발 주자 둘. 러시아 일본. 이들이 제일 늦게 배우기 시작한 거걸랑. 그래도 배우겠다는 생각이 든게 어디냐 이거.
이 조선바닥은 말야. 지금도 여전히. 제국주의 개개끼 대민서리. 양키 개개끼 일본 개개끼 조선이노 위대하므니다. 우리민족끼리 뭉쳐서리 합치므는 대단한 나라 되므니다
쟤덜은 지들이 늦고 후진걸 알았어.
헌데 말야. 일본은 또한 러시아보다 더 늦었어. 일본이 더 후져. 일본이 습득한 시기는 더 짧아. 러시아의 르네상스는 표트르 대제.라는 인간이야
Peter the Great (Russian: Пётр Вели́кий,
Pyotr Velikiy,
IPA:
[ˈpʲɵtr vʲɪˈlʲikʲɪj]), Peter I (Russian: Пётр I,
Pyotr I,
IPA:
[ˈpʲɵtr ˈpʲɛrvɨj]) or Peter Alexeyevich (Russian: Пётр Алексе́евич,
IPA:
[ˈpʲɵtr ɐlʲɪˈksʲejɪvʲɪtɕ]; 9 June [O.S. 30 May] 1672 – 8 February [O.S. 28 January] 1725)[a] ruled the Tsardom of Russia and later the Russian Empire from 7 May (O.S. 27 April) 1682 until his death in 1725, jointly ruling before 1696 with his elder half-brother, Ivan V.
Emperor and Autocrat of All the Russias | |
---|---|
Reign | 2 November 1721 – 8 February 1725 |
Predecessor | Himself (as Tsar) |
Successor | Catherine I |
Tsar of All Rus' | |
Reign | 7 May 1682 – 2 November 1721 |
이전 썰했지만 루스.라는 저 스칸디나비아 에서 건너온 바이킹들이 시작해서리 역사가 862년 서기. 에 시작하는겨. 미친 닉네임 붙는 이반4세 때 차르 작명하고 카이사르가 되겠소 우리도 로마의. 하지만. 시작은 저 삼백년 전의 표트르.야
이 인간이 지금의 러시아를 만든겨. 이때부터 서유럽의 문명을 얘가 다 갖고 와. 이 인간 일대기 재밌어. 넘어가고.
Catherine II (Russian: Екатерина Алексеевна Yekaterina Alekseyevna; 2 May [O.S.21 April] 1729 – 17 November [O.S. 6 November] 1796), also known as Catherine the Great (Екатери́на Вели́кая, Yekaterina Velikaya), born Princess Sophie of Anhalt-Zerbst, was Empress of Russia from 1762 until 1796, the country's longest-ruling female leader. She came to power following a coup d'état when her husband, Peter III, was overthrown. Under her reign, Russia was revitalised; it grew larger and stronger, and was recognised as one of the great powers of Europe.
그리고 프랑스 혁명기간에 . 예카테리나 대제. 로 불리는 캐서린 2세. 이 예카테리나.가 유럽 문명 흡수의 절정을 이뤄. 유럽애들의 이름있는 인간들은 다 이 여자 싸롱으로 오는겨. 그 프리츠영감. 닉넴인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2세.는 이여자때메 죽다가 살아나고.
헌데 프랑스 혁명이 자기들에 영향 줄까봐. 그 자유.를 막아. 그때부터 얘들이 골치아프게 나가는겨 세계사에서
헌데 저 표트르대제 부터 예카테리나 여제.까지의 저 백년 기간에 들어와서 쌓여온 러시아의 힘이 어마어마 한거야. 여기에 유럽애들이 쩔쩔 매는겨. 유럽이 쫄았어. 아 헌데 말야. 러시아는 저리 백년. 밖에 안된겨 배우는 기간이.
크림전쟁 치르면서, 러시아가 저게 헛심만 있고 실속이 없다는걸 깨닫게 돼.
이걸 또한 러시아 애들 자체도 인정을 해. 그러면서도 자기들 체제를 안버려.
일본은. 메이지 유신 때에야. 시작하는거야. 아 음청난 사건이야 역사적으로. 이 메이지 유신.을 이 조선민국 사학자들이 썰하는 것 보면 . 그야말로 열등감에 의한 시선 정말 끔찍할 정도인데 말야.
절대 말야. 이땅바닥 한글러 애들이 역사를 평하거나 머를 평하거나 간에. 한글러애들이 무엇을 평하든 그 모든 글은 보지 말어.
사는게 재수없어 그런거 보믄.
.
西南戦争(せいなんせんそう)、または西南の役(せいなんのえき)は、1877年(明治10年)に現在の熊本県・宮崎県・大分県・鹿児島県において西郷隆盛を盟主にして起こった士族による武力反乱である。明治初期に起こった一連の士族反乱の中でも最大規模のもので、2018年現在日本国内で最後の内戦である。鹿児島では丁丑戦として語られている
쟤들은 료마의 대정봉환에서 세이난 전쟁끝나는 1877년 부터서야 시작을 한겨. 제대로.
즉 러시아보다 적어도 150년 이상 늦었어. 아무리 메이지시대 1년 해서리 십년 더 쳐줘도. 세이난전쟁은 메이지10년때.
쟤덜의 저 속도는 엄청난겨 그래서.
러일전쟁.을 1904년 으로 보면. 저때부터 끽해야 27년.이야. 러시아는 2백년 배운걸 쟤덜은 27년 동안 배워 흡수한겨.
저 산업혁명의 결과물로 치르는 그야말로 거국적인 전쟁이 터지는겨
観戦武官
日露双方に多数の観戦武官が派遣され日本にはイギリス、アメリカ合衆国、ドイツ帝国、オーストリア=ハンガリー帝国、スペイン、イタリア、スイス、スウェーデン=ノルウェー連合、ブラジル、チリ、アルゼンチン、オスマン帝国の13ヶ国から70人以上の武官が派遣されていた。日英同盟を結んだイギリスからの派遣が最多の33人となっている。観戦武官が持ち帰った日露戦争の戦訓は、第一次世界大戦の各国で活かされることになる。
- イギリス:エイルマー・ホールデン
- アメリカ:アーサー・マッカーサー・ジュニア
참전무관. 영국 미국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 스페인 이탈리아 스위스 스웨덴노르웨이. 프라질 칠레 아르헨티나 오스만제국. 70명의 무관들이 온겨.
직접 구경을 하는겨. 싕기하걸랑. 그 신무기들로 작전을 어드래 짜고 어드런 양상으로 가는지
이때 일본들은. 이전의 청일전쟁 에서도 그렇고. 자기들이 미개한 나라란걸 인지를 했어. 해서리 국제법 배우고. 전쟁포로 어드래 대우해야 미개인소리 안듣나 저 외국애들에게 미개하단 소리 안듣고 지들도 문명인입네 소리 한번 들어볼라꼬 신경 무지 써
明石 元二郎(あかし もとじろう、元治元年8月1日(1864年9月1日) - 大正8年(1919年)10月26日)は明治・大正期の日本の陸軍軍人。陸軍大将正三位勲一等功三級男爵。第7代台湾総督。福岡藩出身。夫人は国子、後妻に黒田信子(黒田一葦の娘)
아카시 모토지로. 이 인간이 러시아에 스파이로 잠입을해. 유럽에 가서 러시아 혁명을 부추겨.
明石の著した『落花流水』や司馬遼太郎が執筆した小説『坂の上の雲』においては、次のような粗筋がベースになっており、明石の工作は成功したものとして描かれ、著名な外国人(日本人から見て)が登場している。
이 인간 이야기는 자기가 낙화유수.라는 자서전. 그리고 료타로.의 언덕위의 구름.에서 언급이 되지만. 아카시가 레닌을 만났느니 레닌을 부추겨서리 혁명을 했냐는둥 뒤에 말이 많걸랑. 레닌은 거절했다고 하고.
헌데 어쨋거나 저 아카시의 공작이 러시아를 흔든건 평가를 하는편이야 지금.
日露戦争が開戦すると中立国スウェーデンに移り、以後この地を本拠として活動する。明石(当時の階級は大佐)は日露戦争中に、当時の国家予算は2億3,000万円程であった中、山縣有朋の英断により参謀本部から当時の金額で100万円(今の価値では400億円以上)を工作資金として支給されロシア革命支援工作を画策した。この点について2013年に西部邁(評論家)は次のように述べた。「日露戦争のときには、日本にも明石元二郎という立派なスパイがいました。彼が使った工作資金はいまの標準でいうと数百億円ですってね。一兆円という話も聞いたことがある。それで第一次ロシア革命を煽り立てるわけです。これにはさすがのツアーも参ってしまった。」[1]
공작금을 지금돈 400억엔. 단순 원화 사천억원을 줘. 러시아 를 내분 일으켜서리 흔들려고. 누구들은 이 인간을 러일전쟁에서 일본을 이긴 숨은 일등공신으로 쳐.
여하튼간에. 어쨋거나. 넘어가고
해서 저 모든 참전무관들이나 외국 언론은 말야. 다들 러시아에 베팅을 하걸랑.
말이 안되지. 27년 키운 힘 대 200년 키운 힘인데. 유럽애들도 벌벌떨었는데.
아 헌데 말야. 저따위 러시아를 저 미개해 보이던 일본가 이긴겨.
.
어드래 이기게 된걸까.
일단 이것만 넣어보자
評価[編集]
本作は司馬の著作の中でも特に議論を呼んだことで有名で、明治という時代そのものに対する高評価、日露戦争を一種の自衛戦争であると捉えた司馬の史観、旅順攻撃を担当した乃木希典およびその配下の参謀たちが能力的に劣っていたために無用の犠牲を強いたとする筆者の見解については、いまだに賛否両論がある。藤岡信勝はこの作品をきっかけとして自由主義史観を標榜するようになったと語り[20]、歴史書・伝記の「読書アンケート」でも一貫してトップクラス[注 1]の人気を獲得している。
戦争賛美の作品と誤解される危惧から、司馬本人は本作の映像化・ドラマ化等の二次使用には一切許諾しないという立場を取っていた[21]。映画プロデューサーの山本又一郎は生前の司馬に直接映画化交渉したものの、そのような理由で許諾しない旨を告げられている。司馬の死後、権利相続者のみどり夫人の許諾を得てテレビドラマ化が実現し、併わせて創設された『坂の上の雲ミュージアム』は「特定の政治・思想・信条を賛美しない」という意図で開館した。
司馬は本作を執筆するにあたり「フィクションを禁じて書くことにした」とし、書いたことはすべて事実であり事実であると確認できないことは書かなかったと主張しているが[22]、実際は多くの研究者・作家によって作中の誤りおよび創作部分との指摘がなされている。
特に旅順攻囲戦における描写はその点が顕著であり、
- 海軍が旅順艦隊殲滅に失敗し、その為陸軍に地上からの旅順攻略を要請して、陸軍はしぶしぶ攻略を決定したとなっているが、実際は未だ海軍が「海軍だけで旅順艦隊を殲滅できる」と豪語し、陸軍の介入を断っていた3月14日(第二回旅順港閉塞作戦の前)に陸軍は旅順攻略を決定し2個師団からなる攻城軍を編成することを決めている。海軍は実際は開戦時より「旅順は海軍だけで無力化できる」と豪語して陸軍の介入を拒絶していたのだが[要出典]、小説ではその点は全く触れられていない。
- 海軍は総攻撃前から観測射撃のために203高地を攻略するよう陸軍に要請している様に描かれているが、実際は第一次総攻撃前にその様な要請や発言を海軍がしたという記録は無い[要出典]。作中でも述べられている「203高地問題」が出てくるのは、第二次総攻撃後である。
- 28サンチ榴弾砲を旅順に移送する件について、史実では第三軍司令部の大本営あて返電には「…ソノ到着ヲ待チ能ワザルモ、今後ノタメニ送ラレタシ…」とあるにもかかわらず、作中では「送るに及ばず」と拒否したことになっている[23]。[要出典]
- 旅順に児玉が来訪して指揮を執る際に28サンチ榴弾砲の移動と203高地攻略へ投入することを指示したとなっているが、実際に移動を命じたのは28サンチ榴弾砲ではなく、予備の12サンチ榴弾砲と9サンチ臼砲の10数門で、これらも203高地を攻撃する為では無く、別目標を叩くためである。そもそも28サンチ榴弾砲の射程距離なら移動せずとも現地点から203高地を狙えるし、実際児玉到着前より28サンチ榴弾砲は全砲203高地の攻撃に使用されていた。また当時の土木技術では土台のセメントが乾く乾かない以前に、何十門もの28サンチ榴弾砲を3日間で移動させる事自体が無理である。他にも味方の同志討ちの危険を度外視した連続砲撃を要請した事実は無く(実際はこの時点で攻城砲兵司令部の判断で実施していた)第三軍司令部の参謀達を罵倒したり険悪な関係になった事実もない。[要出典]当時独立砲兵大隊長で、意見具申に司令部を訪れていた上島善重によると児玉と伊地知はいたって良好な雰囲気だったと述べている。また重砲の配置転換などの指示自体も児玉自身の発案では無く、第三軍司令部に考えさせ、児玉が了承したものである。
- 児玉は当初より203高地攻略案を支持していたかのように描かれているが、実際の児玉は終始第三軍と同じ要塞東北方面主攻を支持していて、203高地攻略に賛成したという記録は無い[要出典]。逆に反対の立場であり、乃木が独断で203高地攻略に方針を転換したことに対して反対すらしている。
- 児玉の第三軍への指揮権介入の件についてはその事実を証明する一次資料は存在せず、後にそのことが語られた回想録などの類も見つからない。
などが史実と異なっているとの指摘がある。
また、乃木を「愚将」と断じた司馬の評価についても、参照した史料が偏っているなどとの批判も多く、論争されている。(詳細は乃木希典#評価を参照)
언덕위의 구름.은 다들 꼭 보도록해. 번역되어있는게 있어. 저거에 대한 비평은 저걸 구글링 돌려보고.
乃木 希典(のぎ まれすけ、嘉永2年11月11日(1849年12月25日) - 1912年(大正元年)9月13日)は、日本の武士(長府藩士)、軍人、教育者。日露戦争における旅順攻囲戦の指揮や、明治天皇の後を慕って殉死したことで国際的にも著名である。
메이지.가 죽을때 자기 마누라.랑 같이 할복을 해. 노기 마레스케. 가 먼저 죽고 마눌이 그담에 죽어. 이 인간은 정말 문제적 인간이야.
하튼 말야
.저 일본 동네.는 그래서 어쨌거나 저당시의 향수로 사는거걸랑. 얘들은 지들이 아직도 늦은걸 알어. 헌데 저 때부터의 역사를 그야말로 뽕질하면서 사는겨. 여전히 깝깝한거야 그래서 나나미 할매는 이탈리아 가서 로마 이야기나 하는거고.
이땅바닥 인간들은 저 일본를 너무나 몰라.
쟤덜이 그래도 여전히 깝깝한 나라지만
이 조선바닥은 저 일본들보다 몇천만배 깝깝한걸. 조선민국애들은 모르지.
이들은 조선 선비들때부터 왜놈 왜놈 하던 그 말투랑 똑같이 지금도 일본 일본 해대민서리, 대단한 인간들인줄 안다는게
일본와의 근본적인 차이야.
일본들은. 아직도 여전히 늦게 출발해서 배워야 할게 많은 걸. 일본들 스스로 알아.
헌데.
이 조선 바닥 들은. 유구한 역사. 자랑스런 대한민국. 우리민족 끼리. 인민 평등. 일본 찬양 대는 친일적폐 개개끼 양키 개개끼 위대한 조선 왕조. 이 밖에 떨줄을 모르는거지.
전 세계에서 제일 미개해 질 나라야.
슬픈거지.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근동사21. 이집트와 로마를 카피한 미국 이란 나라 ft.미국 문장 (0) | 2018.06.30 |
---|---|
고대근동사20. 페리클레스 ft.데모크라시 (0) | 2018.06.29 |
고대근동사20.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0) | 2018.06.27 |
7. 고대근동사 이후 정신문명이란 사유의 절정인 원자 유전자 (0) | 2018.06.26 |
일본사31. 일체대 집단행동 日体大の 集団行動 ft.이슬람과 유교 (0) | 2018.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