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역사든 소설이든 철학이든, 모든 이야기는 지도. 지명. 그리고, 그곳 사람들 언어들, 이해 없이는 탐색 불가.
용어정리좀 하자. 앞으로 세계사를 쓸거걸랑. 큰 맥을 잡아야해. 그리고 중간 중간 매듭을 지으면 되거든, 거 안에다가 각론, 세부 이야기를 쏟아 부으면 돼.
영프독 이야기 하려니, 유럽사 다 해야하고, 자연스레 미국사 해야하고, 유럽사 하려니 고대문명 이야해야 하고, 유럽 고대썰풀라니 그 인근 중동 북아프리카 이야기 안할수가 없네
유럽보믄 또 중동인간들 막막 티나오걸랑. 무어인, 어딘 아랍인 어딘 페르시아 어딘 베르베르. 어딘 이슬람. 사라센.
The Moors were the Muslim inhabitants of the Maghreb, North Africa, the Iberian Peninsula, Sicily, and Malta during the Middle Ages, who initially were Berber and Arab peoples from North Africa
무어인. Moors. 마그레브, 북아프리카, 이베리안반도 등등 중세에 살았던 사람들이래. 이들은 처음 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 버버, 그리고 아랍 사람들이었다.
무어인은 중세시대에 나온 개념. 중세개념도 나중 설명. 하튼 중세.
로마가 카르타고 한니발 이랑 싸우는 포에니전쟁. 그 카르타고 제국의 카르타고가 지금 튀니지고. 그 사람들이 페니키아, 지금 이스라엘 레바논 시리아 그 지중해 연안서 온사람들이고, 그 카르타고 제국이 아랍 사람들 베르베르 버버 사람들 이란 거걸랑. 무어인 무어족은 이때 사용하면 안되지 중세가 아니니.
아프리카아시아 언어족 afrorasiatic. 안에 셈족언어 semitic이 있고 베르베르 Berber 족언어가 있어.
버버 족은 언오피셜이 아냐. 셈족과 형제인 정식 언어족이야 아프로아시아 의.
베르베르족이랑 셈족이랑 핏줄이 가까워. 일단 핏줄이랑 언어족이랑 비슷한 걸로 생각하자고.
아랍. 아랍사람들이란 이 셈족 언어 쓰는 사람들을 말해. 헌데 페르시아. 랑 셈족이랑 구분을 디게 크게 해. 페르시안도 아랍이라 요즘 통칭을해. 엄격히 구분하면 셈족과 페르시안족. 전혀 다르고, 이 둘을 다 통칭해서 지금 아랍 이라 일반적르로 칭하지만. 원래는 셈족 계통을 아랍이라 했다.는것을 박아두자
베르시안은 아랍이 절대 아냐. 전혀 다른 애들이야
아랍어 arabic은 저 셈족언어 계통이고, 페르시아어는 인도유러피안 밑에 인도이란어 밑에 언어야.
저 맨 아래 왼쪽에 아랍어. arabic
왼쪽에 페르시안 persian.
이 둘은, 조상자체가 다른겨.
.
사대문명 중 중동문명인 메소포타미아를 보자고. 어드레 전개되는지.
지도가 가장 중요해.
저기 티그리스강 Tigre, 유프라테스강 Euphrate. 저기서 문명이 시작해. 저 두강 지역 부근 합해서 메소포타미아. 하는겨.
그리스 신화에 아프로디테 여신을 모시는 사제한테 딸이 셋 있었다지. 첫째가 티그리스 둘째가 유프라테스 셋째가 메소포타미아.
저 지명도 다 그리스가 작명하는거걸랑. 저 이야기가 헤시오도스의 theogonia 떼오고니아.에 그리스 신화가 되고 그 다음부터 윤색 가감 편집이 로마사람들 기원전후에 편집이 되는데, 저 지명 부여하는게 말이지, 그리스 페르시아 전쟁이 기원전 499야 오십년을 하걸랑. 그리고 알렉산더 원정을 다음에 하고 하면서 저 페르시아랑 섞이걸랑. 헬레니즘의 일부지. 로마가 그리스 섞는 헬레니즘이 있고, 저리 알렉산더가 페르시아 먹으면서 헬레니즘 하는걱걸랑. 그걸 로마가 통째로 다 먹는거고, 그러면서 저 중동 지역 작명을 그리스가 한거걸랑저거.
저 시작 저기가 sumer 수메르 문명이야. c. 4500 – c. 2004 BC . c.는 circa 써카. 라틴어. 약. 대략.
최근에 저길 기원전 7천년으로 보는 이들이 있어.
이어서, 아시리아 문명. 아카드문명=제국
Assyrian Empire 앗시리아제국 2500 BC–605 BC
Akkadian Empire 아카드 제국. c. 2334 – 2154 BC
수메르 다음에, 아시리아. 가 나오고, 그 다음 아카드가 나오는데, 아카드는 2백년 안되서 사라지고. 저 위에 아시리아 니네베 nineveh, 아수르 assur 지역에 중심을 두고. 아시리아가 대략 천년을 가.
아시리아에서 떨어져 나간 바빌로니아 문명이 아래로 가고, 히타이트 문명이 위로 가
Babylonia (fl. c. 1792 – 1752 BC middle chronology, or c. 1696 – 1654 BC, short chronology) 함무라비 법전이 이 바빌론 시대야.
Hittite Empire 히타이트 제국 c. 1600 BC–c. 1178 BC
저 히타이트 문명이 지금 터키 까지 뻗는겨. 저기 터키 반도가 아나톨리아 반도고. 저 끝에 troja 보이지? 저기가 그 트로이전쟁의 트로이. 하인리히 슐리만이 밝견한 유적지. 저 트로이의 문명을 몰라. 아마 이 히타이트 문명으로 추정하는 듯해. 저 히타이트 문명 기원전 1200년즈음으로 보걸랑 그 트로이전쟁을
그리고,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쇠락하고, 신 아시리아 신 바빌로니아 제국이 출현해
Neo-Assyrian Empire 네오 아시리아 제국 911 BC–609 BC
Neo-Babylonian Empire, 네오 바빌로니아 제국 626 BC–539 BC. 네오 아시리아가 쇠망하고 이들이 서는거지.
그다음 문명이 메데문명
Medes 영어발음 미즈. 불어 발음 메데. Median Empire, Mādai, c. 678 BC–549 BC
그다음이 아케메네스 제국이걸랑. 페르시아 제국. 이란 말은 공식적인 말이 아냐. 이 아케메네스 제국 부터 소위 그냥 페르시아 제국 하능겨. 무함마드, 마호메트 라 카는 이슬람이랑 전혀 상관없어. 이슬람이란 말은 무함마드가 천사 가브리엘보고 설교하는 621년 이후에 나오능겨.
페르시아 제국. persian empire 하면 이 아케메네스 제국, 그리고 기원 후 AD에 사샨왕조의 제국 을 페르시아 제국 해. 페르시안들이 지배했다는거지 특히.
저 페르시아 전이 조로아스터교야. 아후라 마즈다.
이슬람은 이때부터 천년 넘어서 나오는거고, 조로아스터 시작이 언젠지 몰라, 기원전 오천년이다 천년이다. 알렉산더가 조로아스터를 지워탄압을 지워, 저때부터 디아스포라 돼. 역사 텍스트에 이 아케메네스 때 등장을 하게돼
With possible roots dating back to the second millennium BCE, Zoroastrianism enters recorded history in the 5th-century BCE, and along with a Mithraic Median prototype and a Zurvanist Sassanid successor it served as the state religion of the pre-Islamic Iranian empires from around 600 BCE to 650 CE. Zoroastrianism was suppressed from the 7th century onwards following the Muslim conquest of Persia of 633-654
Achaemenid Assyria 539 BC–330 BC. 아케메네스 아시리아. 저걸 흔히들 페르시아 제국 해. 저 아케메네스 제국 때인 bc 499년에 그리스랑 전쟁하는겨. 그게 흔히 말하는 그리스 페르시아 전쟁 50년. 그 전쟁 후 그 이야가 헤로도토스 가 역사 하며 내능겨.
역사. Enquiries (Greek Historia, English (The) Histories) around 440–430 BC
헤로도토스의 역사. 영어 번역하면 enquiries 래. 찾아 드러냄. finding out. seek. 이게 일차적 뜻이야. narrative 는 부차적 뜻이고.
history. 어원
Origin
Late Middle English (also as a verb): via Latin from Greek historia ‘finding out, narrative, history’, from histōr ‘learned, wise man’, from an Indo-European root shared by wit.
그다음. 셀레우코스 제국
Seleucid Empire 312 BC–63 BC
다음, 파르티아 제국
Parthian Empire 파르티아 247 BC–224 AD
중국 한나라랑 생몰이 비슷.
저 파르티아때 로마 제국에 편입되는 지역이 있어
Mesopotamia (Roman province), 116–117, 198–637
province. 식민지야. 로마 식민지. 저 식민지니 총독이니 로마 라틴어야 다. 그거 일본애들이 총독 번역하는거고. 총독이 영어로 governor.
저 로마 제국때, 소위 사르센. sarcen. 이란 말이 나와. 아랍사람들을 저때 사르센 한겨. 그러니 사르센 문화 사르센 사람. 이단어가 사라지다가 십자군 원정때 흔히 쓰는말이 돼 사르센. 아랍사람들을 사르센 해 특히 십자군원정 11세기부터
파르티아 제국이 쇠망하고, 사산 사샨제국이 등장하는겨. 익숙한 이름 사산.
Sasanian Empire 224–651
사산조 말기에. 저때 드디어. 무함마드. 아랍어. 영어식 마호메드 모하메드. 생몰이 570-632야. 외워 이딴 인간은. 이제 드뎌 이슬람 종교가 생기는거지.
그러니 저때 전에 무슬림 하면 안돼.
저 아라비아 반도. 저기에 mecca 있잖오? 저기가 무함마드가 나이 40에 천사 가브리엘 만난거걸랑. 거 동굴 hira 에서 기도하다가. 득도하고, 632에 죽고, 칼리프 caliphate . 알라의 사도인 무함마드.의 대리인. rashidun califphate 정통 칼리프 가 등장하능겨
Rashidun Caliphate 632–661
여기서 4대 칼리프에서 끊겨. 3대가 기도중에 암살당하고, 4대가 바로등극하고, 해서 저거 머여 암살 이여? 싸우고, 쫓겨나간 이들이 저 위 사산지역 지금 이란, 가서 지들은 칼리프 안쓰고 이맘. 하는겨. 그리고 이긴이들이 왕조 이어가는겨
Umayyad Caliphate 661–750 우마이야 왕조.
저때 꼬르도바.Cordoba 스페인 땅. 우마이야 들이 다음 왕조 압바스 에 쫓겨나. 우마이야때 이베리아반도까지 진출. 나중 압바스에 쫓겨남. 그때 정착한 이들이 스페인을 지배함. 니네 적통아니니까 나가, 우리가 적통이여 하고 잡은게 압바스.
이때 우마이야 조 가 저 북아프리카 저길 지나서리 지브롤터 건너서리 스페인 가서 정착한겨.
가서, 쟤들이 이슬람. 을 본격적으로 전파하는거지. 얘들이 무어인 하능겨. 이전에도 일차로 넘어간 무어인들이 있었어. Moors.
얘들이 스페인 먹을때, 이 무어인들, 진짜 이슬람인들이지, 이들은 스페인 사람들을 포용했어 죽이지 않았어. 기독교랑 이슬람이랑 형제걸랑. 형제인데 왜죽이냐? 우리 형제다, 스페인인들이 이 이슬람 나름 좋아했어.
Abbasid Caliphate 750–1258 1261–1517
압바스 칼리프. 칭기스칸이 먹기전까지, 그리고 징기스칸 가고 이름만 칼리프 유지하다가 오스만 술탄에 칼리프 타이틀도 넘기는겨.
.
저 위, 수메르 다음에 아시리아, 아카드 문명때 비슷하게 엘람 Elam. 문명이 있어, 저 아주 아래지역. 바빌로니아보다 더 밑에.
2700 – 539 BC
얘들은 페르시안. 이란의 상고사에 편입을 해.
페르시아. 유래.
저 구글 위성 사진에서, 터키 저 아나톨리아 반도 밑에가 키프러스고, 저긴 지중해고, 에게해는 저 저 옆에 그리스랑 터키 사이
저 키프러스 섬 위에 터키 지역 크게 브이 V 그리면서 푸르스름한게 산맥이걸랑 저걸 taurus mountains. 타우루스 토러스 산맥 해. 저 산맥 동쪽 끝에 호수들이 있어. 군데 군데 물 같은. 저 아르메니아 밑에 터키랑 이란 국경선 가름해서 왼쪽은 짙은 호수 오른쪽은 흐릿한 호수가 있어. 짙은게 반 호수. 이란에 있는 호수인듯 아닌듯 하는 저 곳은 우르미야 호수야.
저 터키의 반 호수랑 저 산맥 동쪽줄기에 드문드문 호수들이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들의 발원지야. 아래 쫌 찐하게 보이는 강줅기가 유프라테스. 위의 흐릿하게 보이는게 티그리스. 사우디 반도와 이란 사이인 페르시아만. 으로 흐르는 거지. 지금 걸프만.으로 통칭하는.
페르시아랑 아랍이랑 달라. 페르시아는 이란 냄새고 아랍 아라비아는 이라크 사우디 냄새고. 무함마드 사후에 칼리프가 수니파 해서 이라크 사우디 인거고, 떨어져 나간 애들이 칼리프 지우고 이맘 해서 시아파 이란인거고. 해서 동해 일본해 싸우듯이. 저길 페르시아만 아라비아만 논쟁질하다가 걸프만 하는거고.
저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인 메소포타미아 상고사 문명에 지금 터키 시리아 이라크 이란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사우디아라비아 들이 겹치니 서로 자기들 역사라면서 갖고가겠지 겹치면서. 저 나뉨질은 사이크스 피코 가 한거고. 1차대전 전엔 저 지역이 대부분 터키 이전인 오스만땅이었던거고.
The Greeks (who tended earlier to use names related to "Median") began in the fifth century BC to use adjectives such as Pérsēs (Πέρσης), Persikḗ (Περσική) or Persís (Περσίς) for Cyrus the Great's empire (a word meaning "country" being understood). Such words were taken from the Old Persian Pārsa – the name of the people whom Cyrus the Great of the Achaemenid dynasty first ruled (before he inherited or conquered other Iranian Kingdoms) and of whom he was one.
저 페르시아. 란 말이 처음 등장하는건 아케메네스 제국 때래. bc 499년에 쟤들이 그리스 침공하는겨. 국가단위의 땅. 으로 정의한거지. 원래는 파르스에 살던 사람들. Fars/Pars province. 란 뜻이었걸랑. 여기가 이란에서 저 페르시아만 접하는 이란 남서부 해안가에 있어. 이사람들이 원래 있던곳 이 저 우르미아 Urmia 호수야. 저 반 호수 옆에 있는. 저때부터 페르시아. 우르미아 호수가 점점 말라간대.
이 지도로는 우르미아 호수가 뚜렷이 보이고.
.
베두인. Bedouin.
The term contrasts against 'Hathar' (حضر) which refers to the city or town dwellers in the Arabic language. Bedouin means "Badiyah dwellers" in the Arabic language, as 'Badyah' means literally the visible land (the desert). The Bedouins identify themselves as Arabs or by the names of their tribes.
사막에 사는 사람들. 이걸랑. 아랍말에서 따왔다. 바댜. badyah. 눈에 보이는 땅. 사막 이란 뜻이다. 이건 주로 셈족, 을 지칭했던 듯.
이란인. 아리아인. 즉 페르시아인의 다른 이름.
The term Iran derives directly from Middle Persian Ērān (𐭠𐭩𐭥𐭠𐭭) and Parthian Aryān. The Middle Iranian terms ērān and aryān are oblique plural forms of gentilic ēr- (in Middle Persian) and ary- (in Parthian), both deriving from Old Persian ariya- (𐎠𐎼𐎡𐎹), Avestan airiia- (𐬀𐬌𐬭𐬌𐬌𐬀), and Proto-Iranian arya-
이란.Iran 이란 말은 중세 페르시아. 즉 사산왕조. 기원후. 의 말 Eran.과 파티아인 기원전후. 지금아르메니아와 이란 접경지. 말 Aryan.아리안.에서 왔다. 이말들은 고대 페르시아. 즉 아케메네스 제국당시 ariya에서 왔다.
'세계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 기원전 켈트 (0) | 2017.12.28 |
---|---|
0.7 페니키아 카르타고 누미디아 ft.바바리안 베르베르 (0) | 2017.12.28 |
0.5 lord, god, church, catholic. 베드로 순교로 기독종교 중심이 된 로마 (0) | 2017.12.28 |
0.4 사대문명 밖의 그리스가 왜 문명의 시원과 배꼽이 되었나? ft.히라 (0) | 2017.12.28 |
0.3 고대 그리스사와 로마사 (0) | 2017.12.28 |